KR20100011831U - 보조 구두굽 - Google Patents

보조 구두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831U
KR20100011831U KR2020090006424U KR20090006424U KR20100011831U KR 20100011831 U KR20100011831 U KR 20100011831U KR 2020090006424 U KR2020090006424 U KR 2020090006424U KR 20090006424 U KR20090006424 U KR 20090006424U KR 20100011831 U KR20100011831 U KR 201000118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hard
shoe
auxiliary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건채
정운훈
Original Assignee
장건채
정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건채, 정운훈 filed Critical 장건채
Priority to KR2020090006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831U/ko
Publication of KR20100011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8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02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1/0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51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with keyhole-shaped opening and pi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시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율을 최소화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정된 보행을 유도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는 보조 구두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구두굽에 타격하여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의 선단에 일체화되게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일체화 성형하는 경질고무재질의 경질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굽부와, 상기 경질굽부의 경질굽의 지지돌기를 감싸면서 일체화되게 인서트사출되는 연질고무재질의 연질굽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두굽의 마모율을 최소화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피로도의 상승을 저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구두, 하이힐, 구두굽, 보조 구두굽, 결합구, 인서트사출성형

Description

보조 구두굽{Assistance shoes heel}
본 고안은 보조 구두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시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율을 최소화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정된 보행을 유도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는 보조 구두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두 즉 제화(製靴)는 가죽으로 만든 신발로써 사람의 발에 착용되어 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피혁 및 합성고무재등을 이용하여 각양각색 및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신체의 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구두제조 분야에도 다양한 기능과 구조로 이루어진 구두가 제작되고 있다.
상기 구두는 오랫동안 사용하면 가죽으로 이루어진 몸체 부분 중에서 반복적으로 절첩되는 부분이 파손되거나 또는 합성고무재로 형성된 바닥창이 마모되며, 특히 앞쪽부분보다는 주로 뒷굽부분이 더 빠르게 마모되므로 보통 구두의 뒷굽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두의 뒷굽 교체는 먼저 기본뒷굽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폐보조뒷 굽을 탈거시킨 후 상기 폐보조 뒷굽이 부착되었던 기본뒷굽의 하단면을 평탄하게 연마 처리한 다음 기본뒷굽 및 새로운 보조뒷굽의 상호 대응면에 접착재를 적당하게 각각 도포시킨 다음 소정시간 경과후 상호 부착시키고 경우에 따라 못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기본뒷굽에 부착 고정된 보조뒷굽을 날카로운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돌출된 외주부를 절단시키고 다시 연삭기에 외측면을 다듬가공처리하여 구두뒷굽을 교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두의 굽은 단일 경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마모는 잘 되지 않으나 쿠션력이 없어 발과 발목의 관절에 충격력이 전해져 피로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율이 최소화되어 내구연한의 증대로 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경질굽와 쿠션력을 제공하여 발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질굽으로 구성되는 구두의 보조 굽을 개발하였으나 경질굽이 금속이나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바닥면과 미끄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율이 최소화되어 내구연한의 증대로 인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면서 지면과의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하는 동시에 쿠션력을 제공하여 발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두의 보조 굽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두굽의 마모율을 최소화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피로도의 상승을 저감시켜 주는 보조 구두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질의 굽과 연질의 굽을 일체의 형태가 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형성하여 경질굽은 마모를 방지하고 연질굽은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질의 굽이 경질고무재로 이루어져 지면과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지지력의 분산, 연질의 굽과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질굽에 연질굽을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일체화시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간단히 결합구를 분리 삽입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발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메인 구두굽의 끝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보조적인 굽의 기능을 하는 구두굽에 있어서, 봉 형상의 결합구 선단에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일체화 성형하는 경질고무재 질의 경질굽으로 이루어지는 경질굽부를 형성하여 상기 경질굽부의 결합구가 메인 구두굽의 하부 끝단에 삽입 결합하며, 합성수지재의 연질굽을 경질굽의 지지돌기를 감싸면서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일체화 결합되게 성형시켜, 상기 경질굽부의 경질굽에 의해 마모와 미끄럼 현상을 최소화하며 연질굽에 의해 쿠션력이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두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구두굽의 마모율을 최소화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동시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피로도의 상승을 저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질의 굽과 연질의 굽을 일체의 형태가 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형성하여 경질굽은 마모를 방지하고 연질굽은 쿠션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경질의 굽이 경질고무재로 이루어져 지면과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지지력의 분산, 연질의 굽과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경질굽에 연질굽을 인서트사출성형방식으로 일체화시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간단히 결합구를 분리 삽입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 구두굽은 발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메인 구두굽(20)의 끝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구두굽(20)에 타격하여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31)의 선단에 일체화되게 인서트사출성형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가 돌출되게 일체화 성형하는 경질고무재질의 경질굽(32)으로 이루어지는 경질굽부(30)와, 상기 경질굽부(30)의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를 감싸면서 일체화되게 인서트사출성형되는 연질고무재질의 연질굽(40)으로 보조 구두굽(100)이 구성된다.
상기 경질굽부(30)는 봉 형상의 결합구(31) 선단에 인서트사출성형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가 돌출되게 일체화 성형하는 경질고무재질의 경질굽(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질굽부(30)의 결합구(31)가 메인 구두굽(20)의 하부 끝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31)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돌기(31a)가 형성되는 결합봉(31b)의 일단에 돌기편(31c)이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단(31d)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봉(31b)은 메인 구두굽(20)에 삽입 결합되고 결합단(31d)에 경질굽(32)이 결합되게 성형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경질굽부(30)의 경질굽(32) 하부면에는 지지면과의 접촉시 미 끄러짐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경질굽부(30)는 경질고무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메인구두굽(20)에 삽입되는 결합단(33)의 하부로 몸체(3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4)의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를 형성한다.
즉, 상기 경질굽부(30)는 전체가 경질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작이 간편하다.
그리고, 경질굽부(30)의 경질굽(32)은 우레탄이나 불소계열의 고무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여건에 따라 마모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질의 선택폭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질굽(40)은 우레탄이나 불소계열의 합성수지로써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 외주면과 지지돌기(32a) 들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간(32b)에 충진 결합되도록 인서트사출성형방식을 이용하여 일체화 결합되게 성형시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 배열 형태는 두 개가 마주보는 배열, 삼각형 배열, 사각형 배열, 다각형 배열, 불규칙형 배열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32a)의 배열 형태에 따라 연질굽(40)과의 결합 면적이 달라질 수 있는데 개수가 많을수록 결합 면적이 증대되는 동시에 지면과의 접촉시 지지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 형상은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타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 다.
즉, 상기 지지돌기(32a)의 자체 형태에 따라 연질굽(40)과의 결합 면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미적 고급스러움이 표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불어 상기 결합굽부(30)는 메인구두굽(20)의 면적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보조 구두굽(100)의 면적이 클 경우 결합구(31)를 여러 개로 결합시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굽부(30)는 결합구(31)가 결합된 경질굽(32)이나 전체가 경질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결합굽(32)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보조 구두굽(100)은 경질굽부(30)의 경질굽(32)에 의해 마모를 최소화하며 지면과의 접촉시 고무재질의 특성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연질굽(40)에 의해 쿠션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보조 구두굽의 제조방법 및 작용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구두굽(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결합구 제작단계, 경질굽부 제작단계, 연질굽 성형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 제작단계는 결합구(31)의 결합봉(31b)과 결합단(31d)을 형성하고 각각 결합봉(31b)과 결합단(31d)의 원주면에 걸림돌기(31a) 및 돌기편(31c)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 제작단계에서 걸림돌기(31a)는 메인 구두굽(20)에 타격되어 삽입 결합되는 결합봉(31b)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조되는 것이고, 상 기 돌기편(31c)은 결합단(31d)에 일체화되게 성형되는 경질굽(32)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제조 단계인 것이다.
상기 경질굽부 제작단계는 결합구 제작단계를 거친 후, 결합구(31)의 결합단(31d)에 인서트사출성형방식을 이용하여 지지돌기(32a)가 형성되면서 경질굽(32)이 결합되게 성형시켜 경질굽부(3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경질굽부 제작단계는 경질굽(32)이 경질고무재질 일 경우 고온에서 용융상태로 녹여서 인서트사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결합단(31d)에 일체화로 고착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 연질굽 성형단계는 경질굽부 제작단계를 거친 후, 경질굽(32)의 외측면과 연통공간(32b)에 연질굽(40)을 인서트사출성형방식을 이용하여 충진 결합되게 성형하는 과정을 거쳐 보조 구두굽(100)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경질굽(32)의 외측면으로 연질굽(40)의 원재료를 용융상태로 녹여서 인서트사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경질굽(32)의 형태가 되도록 성형 제작하는데 이때, 용융 상태의 연질굽(40)이 경질굽(32)의 외주면과 연통공간(32b)에 충진되어 결합시키는 단계인 것이다.
한편, 상기 경질굽부(30)가 경질고무재질로 전체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경질고무를 용융상태로 만든 다음 사출성형하여 간단하게 제작한다.
이로써, 상기 보조 구두굽(100)은 메인 구두굽(20)의 끝단에 결합구(31)의 결합봉(31b)이 삽입되도록 타격 결합하여 장착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구두굽(100)이 지면과 접촉될 경우 경질굽(32)과 연질 굽(40)이 동시에 지면에 접촉되면서 경질굽(32)은 하중의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연질굽(40)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경질굽(32)은 경질의 특성으로 마모가 잘 되지 않아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고무재질의 특성으로 지면과 접촉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안정된 보행이 보장되며, 연질굽(40)은 내마모성은 경질굽(32)보다 감소되나 충격을 흡수하여 인체의 발이나 발목, 무릎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하여 피로도를 저감시켜 주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두와 보조 구두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경질굽부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경질굽부에 연질굽이 성형된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와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보조 구두굽이 메인 구두굽에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질굽부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보조 구두굽의 모양에 따른 다른 실시도,
도 8은 보조 구두굽의 모양에 따른 다른 실시도,
도 9는 면적이 넓은 보조 구두굽에 서로 다른 경질굽부가 하나 이상으로 적용된 예시의 사시도,
도 10은 보조 구두굽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안착부 20 : 메인 구두굽
31 : 결합구 31a : 걸림돌기
31b : 결합봉 31c : 돌기편
31d : 결합단 32a : 지지돌기
32b : 연통공간 32 : 경질굽
33 : 결합단 34 : 몸체
30 : 경질구두굽 40 : 연질굽
100 : 보조 구두굽

Claims (4)

  1. 발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메인 구두굽(20)의 끝단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보조적인 굽의 기능을 하는 구두굽에 있어서,
    봉 형상의 결합구(31) 선단에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결합되면서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가 하부로 돌출되게 일체화 성형하는 경질고무재질의 경질굽(32)으로 이루어지는 경질굽부(30)를 형성하여 상기 경질굽부(30)의 결합구(31)가 메인 구두굽(20)의 하부 끝단에 삽입 결합하며,
    합성수지재의 연질굽(40)을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를 감싸면서 인서트사출을 이용하여 일체화 결합되게 성형시켜, 상기 경질굽부(30)의 경질굽(32)에 의해 마모와 미끄럼 현상을 최소화하며 연질굽(40)에 의해 쿠션력이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두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굽부(30)는 경질고무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메인구두굽(20)에 삽입되는 결합단(33)의 하부로 몸체(3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34)의 하부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32a)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두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 배열 형태는 두 개가 마주보는 배열, 삼각형 배열, 사각형 배열, 다각형 배열, 불규칙형 배열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두굽.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굽(32)의 지지돌기(32a) 형상은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타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구두굽.
KR2020090006424U 2009-05-27 2009-05-27 보조 구두굽 KR201000118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24U KR20100011831U (ko) 2009-05-27 2009-05-27 보조 구두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424U KR20100011831U (ko) 2009-05-27 2009-05-27 보조 구두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831U true KR20100011831U (ko) 2010-12-07

Family

ID=4420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424U KR20100011831U (ko) 2009-05-27 2009-05-27 보조 구두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83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912A3 (ko) * 2010-12-17 2012-08-09 Jang Kun Chai 보조구두굽 및 제조방법
KR101369187B1 (ko) * 2012-02-10 2014-03-04 장광식 보조 구두굽
CN107932838A (zh) * 2017-12-19 2018-04-20 东莞市福码鞋材有限公司 一种一次性成型鞋跟及其成型模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912A3 (ko) * 2010-12-17 2012-08-09 Jang Kun Chai 보조구두굽 및 제조방법
CN103237471A (zh) * 2010-12-17 2013-08-07 将健埰 辅助鞋跟及其制造方法
KR101369187B1 (ko) * 2012-02-10 2014-03-04 장광식 보조 구두굽
CN107932838A (zh) * 2017-12-19 2018-04-20 东莞市福码鞋材有限公司 一种一次性成型鞋跟及其成型模具
CN107932838B (zh) * 2017-12-19 2023-08-04 东莞市福码鞋材有限公司 一种一次性成型鞋跟及其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587B2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EP3135146B1 (en) Welt-frame construction and protection devices for use in shoes
JP5008995B2 (ja) 歩行矯正用靴底
KR101086636B1 (ko) 보조구두굽 및 제조방법
EP2627207B1 (en) Suspension heel
KR100233213B1 (ko) 탄성징 및 탄성징을 사용한 스포츠 신발
KR100518307B1 (ko) 신발
TWI403280B (zh) Shoes and fishing shoes
KR20100011831U (ko) 보조 구두굽
US20180064206A1 (en) Shoe having a spinal disk material damping element
KR100972609B1 (ko) 보조 구두굽 및 제조방법
KR101319821B1 (ko) 신발창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JP3226944U (ja) 踵交替型履物
KR20080090758A (ko) 아치 지지체가 형성된 신발
JPH07284403A (ja) 履き物の底部構造
CA2814514C (en) Suspension heel
KR100300342B1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KR200418392Y1 (ko) 보조신발창
KR101016330B1 (ko) 보조 구두굽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1369187B1 (ko) 보조 구두굽
KR20090116249A (ko) 신발 밑창
KR101284891B1 (ko) 키 높이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