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592U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92U
KR20100011592U KR2020090006082U KR20090006082U KR20100011592U KR 20100011592 U KR20100011592 U KR 20100011592U KR 2020090006082 U KR2020090006082 U KR 2020090006082U KR 20090006082 U KR20090006082 U KR 20090006082U KR 20100011592 U KR20100011592 U KR 20100011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side support
support portion
handl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822Y1 (ko
Inventor
박수경
Original Assignee
한솔피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피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솔피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2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partitions
    • B65D71/246Inserted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333Partitions, i.e. elements contacting a major part of each aarticle or extending across the whole length of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285Separately-attached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05Bottle-c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개시된 포장용기는, 제1바닥부 좌우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지는 제1좌측면지지부와, 제1우측면지지부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제1격벽과,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1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1용기와; 제2바닥부 우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는 제2우측면지지부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바닥부 좌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진 제2좌측면지지부와, 상기 제2좌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제2격벽과,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2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2용기와; 상기 제1,2용기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손잡이부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포장, 포장박스, 포장용기

Description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의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취급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여러 개의 음료용기 등을 수납하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박스(포장용 상자)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육면체 형상의 포장상자에 여러 개의 음료용기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음료용기끼리 부딪혀 음료용기가 파손되거나, 상기 포장상자의 형상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음료용기 사이에 여러 개의 (골)판지를 끼워 넣어 음료용기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여러 개의 상기 판지를 음료용기에 끼워 넣는 작업은 번거로워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상기 판지가 쉽게 변형되어 판지를 끼워 넣는 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료용기 사이에 판지를 끼워 넣는 경우, 상품성을 현저 하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음료수라는 제품(상품) 특성상 소비자에게 구매의욕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상기 음료수가 고가(또는 고급) 제품인 경우, 음료용기 사이에 여러 개의 판지를 끼워 넣는 경우, 상품성을 더욱 더 떨어뜨리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용기를 일체형으로 하여 포장이 쉽고, 포장용기의 구조가 간단하면서 견고하며,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장용기는, 제품이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의 좌우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부 좌우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지는 제1좌측면지지부와, 제1우측면지지부와,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수 개의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1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1용기와; 제품이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제2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 우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는 제2우측면지지부와,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바닥부 좌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진 제2좌측면지지부와, 상기 제2좌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수 개의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2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2용기와; 상기 제1,2보강부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용기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좌측면지지부의 상부 끝 단부를 커버하도록 접히는 동시에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손잡이부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2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단순하게 접는 작업만 하면 포장용기의 제조(조립)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쉽고, 경제적이며,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여러 개의 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제품 사이마다 격벽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품 수납이 편리하고, 제품에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다른 포장박스에 수납하는 경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다른 일반적인 포장박스와 호환성이 높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개도가 접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이루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에 제품이 수납된 상태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가 외부포장박스에 수납될 경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포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도 1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중앙에 위치하여 구비된 상부지지부(19)와, 이 상부지지부(19)를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여 구비된 제1,2용기(20A,1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용기(2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 또는 외부 형상이 같은 제품(예컨대, 캔, 병, 튜브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품)(300) 여러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일정 폭을 갖는 제1바닥부(25)와, 이 제1바닥부(25)의 좌우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제1바닥부(25) 좌우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지는 제1좌측면지지부(26)와, 제1우측면지지부(2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용기(20A)는,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26)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1손잡이부(27)와,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25a)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제1바닥부(25)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개의 수납공간(10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다수 개의 제품(300)이 수납되도록 구비된 다수 개의 제1격벽(21,22,23,24)과, 이 제1격벽(21,22,23,24)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26)에 밀착되게 접혀 제1좌측면지지부(26)를 보강하는 제1보강부(20)를 구비하여 된다.
또한 제2용기(10A)는, 제1용기(20A)와 마찬가지로, 제품(300)이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일정 폭을 갖는 제2바닥부(13)와, 이 제2바닥부(13)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제2바닥부(13) 우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제1좌측면지지부(26)에 밀착되는 제2우측면지지부(12)와, 이 제2우측면지지부(12)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2손잡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용기(10A)는, 상기 제2바닥부(13) 좌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진 제2좌측면지지부(13a)와, 이 제2좌측면지지부(13a)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13)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개의 수납공 간(10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제품(300)이 수납되도록 하는 구비된 다수 개의 제2격벽(14,15,16,17)과, 이 제2격벽(14,15,16,17)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12)에 밀착되게 접혀 제2우측면지지부(12)를 보강하는 제2보강부(20)를 구비하여 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9)는, 제1,2보강부((20,18)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용기(20A,10A)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좌측면지지부(26,13a)의 상부 끝 단부를 커버하도록 접히는 동시에 중앙에 개구(28)가 형성되어 제1,2손잡이부(27,11)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제1,2손잡이부(27,11)를 지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에는, 상기 제2손잡이부(11)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접히면 제1손잡이부(27)를 커버하여 제1,2손잡이부(27,11)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 커버부가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부(19)를 중심으로 제1용기(20A)와 제2용기(10A)가 대칭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보강부((20,18)는 접히기 전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25a) 및 상기 제2좌측면지지부(13a)로부터 일측이 돌출되게 이루어지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보강부((20,18)가 접힐 때 타측으로 밀려들어가 제1,2격벽(21~24,14~17)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납공간(100)을 이루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포장용기가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부(19)를 중심으로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접는다. 즉 우선,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26) 및 제2우측면지지부(12)를 기준으로 하여 제1,2바닥부(25,13)를 접는다. 이때, 상기 제1,2손잡이부(27,11)는 접지 않는다.
그런 후,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25a)와 제2좌측면지지부(13a)를 접는다. 그러면, 제1,2격벽(21~24,14~17)이 돌출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려 상기 제1,2격벽(21~24,14~17)과 수납공간(1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2격벽(21~24,14~17)과 수납공간(100)에 의해 여러 개의 제품(300)이 동시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보강부((20,18)가 제1좌측면지지부(26)와 제2우측면지지부(12)로 밀착되면서 제1,2손잡이부(27,11)가 상부지지부(19)에 구비된 개구(28)로 삽입되어 돌출된다.
그러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포장용기에 도 6의 상부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은 제품(300)을 여러 개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내부에 수납공간(201)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201)을 커버하는 덮개(202,203)가 구비된 포장박스(200)에 수납할 수도 있다.
상기 포장박스(200)에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수납할 때, 포장박스(200)의 커버의 중앙부에 관통공(204,205)을 형성하여 상기 제1,2손잡이부(27,11)를 포 장박스(200)의 외부로 돌출시키면, 포장용기만을 휴대할 때와 같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접착 공정도 없고, 하나의 몸체에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거나 빼는 공정이 추가되지 않으며, 하나의 몸체로만 이루어지고 단순히 접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제조)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는, 수납공간(100) 사이에 격벽(14,15,16,17)이 있으므로, 제품(300)끼리 부딪히지 않아 제품(300)을 안전 및 안정되게 포장할 수 있고, 상기 격벽(14,15,16,17)은 물론, 제1,2보강부((20,18) 및 상부보강부(19)가 구비되어 있어 구조면에서도 튼튼하다.
이러한 보강부(18,19,20)에 지지되어 제1,2손잡이부(27,11)가 구비되어 있어 휴대할 때에도 제품(300)을 안전 및 안정되게 수납공간(100) 내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용기를 사용한 후, 수거하는 경우에도 접힌 것을 쉽게 원래의 상태(전개 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수거가 쉽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별도의 포장박스(200)에 수납 적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포장박스(200)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전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개도가 접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이루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에 제품이 수납된 상태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가 외부포장박스에 수납될 경우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포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Claims (4)

  1. 제품이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제1바닥부와,
    상기 제1바닥부의 좌우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부 좌우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지는 제1좌측면지지부와, 제1우측면지지부와,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수 개의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1좌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1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1용기와;
    제품이 수납되어 놓일 수 있도록 일정 폭을 갖는 제2바닥부와,
    상기 제2바닥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 우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제1좌측면지지부에 밀착되는 제2우측면지지부와,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바닥부 좌측 끝 단부에서 수직으로 접혀 이루어진 제2좌측면지지부와,
    상기 제2좌측면지지부의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바닥부에 대하여 가로질러 접혀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다수 개의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에 밀착되게 접혀 상기 제2우측면지지부를 보강하는 제2보강부를 구비하여 된 제2용기와;
    상기 제1,2보강부 끝 단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용기가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좌측면지지부의 상부 끝 단부를 커버하도록 접히는 동시에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2손잡이부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2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에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접히면 상기 제1손잡이부를 커버하여 상기 제1,2손잡이부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를 중심으로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가 대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보강부는 접히기 전 상기 제1우측면지지부 및 상기 제2좌측면지지부로부터 일측이 돌출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1,2보강부가 접힐 때 타측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제1,2격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KR2020090006082U 2009-05-20 2009-05-20 포장용기 KR200453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2U KR200453822Y1 (ko) 2009-05-20 2009-05-20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2U KR200453822Y1 (ko) 2009-05-20 2009-05-20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92U true KR20100011592U (ko) 2010-11-30
KR200453822Y1 KR200453822Y1 (ko) 2011-05-27

Family

ID=4420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082U KR200453822Y1 (ko) 2009-05-20 2009-05-20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53A1 (ko) * 2019-08-01 2021-02-04 김순임 포장용 칸막이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769B (zh) * 2013-05-07 2015-01-07 广东工业大学 桥式瓷碟保护架
KR102127002B1 (ko) 2019-05-02 2020-06-25 김기구 우유팩 결속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959A (ja) * 1995-02-06 1996-08-13 Sigma Shigyo Kk トレー型収納容器
JP2003128131A (ja) 2001-10-23 2003-05-08 Rengo Co Ltd キャリア
KR100498336B1 (ko) * 2002-11-0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출력 방법
KR200440700Y1 (ko) 2007-05-09 2008-06-26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포장 박스용 판지 및 그에 의한 포장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753A1 (ko) * 2019-08-01 2021-02-04 김순임 포장용 칸막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22Y1 (ko) 201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64268B2 (en) Carton, blank and method of packaging
KR200453822Y1 (ko) 포장용기
KR20180087242A (ko) 소비재용 팩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MX2008001522A (es) Contenedor que contiene divisor integral interno.
KR200429253Y1 (ko) 포장상자
JP6004417B2 (ja) 梱包用緩衝体
KR200453823Y1 (ko) 포장용기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JP3141988U (ja) ティッシュ収納箱
KR20160123043A (ko) 포장박스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JP3164316U (ja) 緩衝材、包装物及び包装体
JP3201728U (ja) 保冷剤収容部付包装箱
KR200339384Y1 (ko) 접철식 종이상자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JP6924870B2 (ja) 宙吊り包装箱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KR20090035172A (ko) 손잡이 일체형의 포장용 상자
KR200376367Y1 (ko) 포장박스
JP6626019B2 (ja) 包装容器およびブラ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