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148A -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148A
KR20100011148A KR1020080072237A KR20080072237A KR20100011148A KR 20100011148 A KR20100011148 A KR 20100011148A KR 1020080072237 A KR1020080072237 A KR 1020080072237A KR 20080072237 A KR20080072237 A KR 20080072237A KR 20100011148 A KR20100011148 A KR 2010001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unit
coordinate value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718B1 (ko
Inventor
김국원
정광현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어큐브
Priority to KR102008007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7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데이터를 2개의 메모리부에 한 프레임씩 교변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제어, 좌표, 변환

Description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MULTIVISION}
본 발명은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비전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멀티비전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영상 출력 수단을 연결하여 멀티비전 시스템을 형성하고, 여러 대의 영상 출력 수단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영상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멀티비전 시스템은 전시장이나 행사장의 전면에 설치되어 그 전시 또는 행사에 필요한 영상을 출력하여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노래방 등과 같은 장소에서 영상 및 자막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이용 되고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시회나 행사장의 진행상황을 가로방향으로만 나타내게 되므로 특정한 부분의 화면이 가로방향으로 나타나게 되어 세로방향으로 나타낼 화면 구성에 적합하지 못한 점이 있었고, 사용자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세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멀티비전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세로방향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세로방향으로 표출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배열을 자유롭게 하고, 1 × 3의 디스플레이 배열 시 16:9의 비율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데이터를 2개의 메모리부에 한 프레임씩 교변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분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비디오 신호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은 디스플레이 배열의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는 CRT(Cathode-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e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영상신호 입력부; 영상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부; 신호 처리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 신호 처리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제 1 메모리부와 한 프레임씩 교번하여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 제 1 메모리부와 제 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변환시키고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 XY 변환부;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분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은 디스플레이 배열의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는 CRT, DLP, LCD 또는 PD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멀티비전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세로방향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세로방향으로 표출되게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배열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 3의 디스플레이 배열 시 16:9의 비율을 구현할 수 있어 와이드 영상을 왜곡 없이 멀티비전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 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배경 기술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영상신호 입력부(10),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2),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입력부(10)에서는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에서는 각 디스플레이부(12)가 전체 영상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전달받은 비디오 신호를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들로 분리/변환하여 각 디스플레이부(12)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 디스플레이부(12)가 표시하는 이미지가 하나의 전체 영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영상신호 입력부(20)와, 신호 처리부(21)와, 제 1 메모리부(22)와, 제 2 메모리부(23)와, XY 변환부(24)와, 디스플레이 제어부(25)와,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한다.
영상신호 입력부(20)에서는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신호 처리부(21)로 전달하고, 신호 처리부(21)에서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제 1 메모리부(22)와 제 2 메모리부(23)에 한 프레임씩 교대로 보내준다.
제 1 메모리부(22)와 제 2 메모리부(23)에서는 변환된 데이터를 한 프레임씩 교번하여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XY 변환부(24)에서는 제 1 메모리부(22)와 제 2 메모리부(23)에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제어부(25)에 보내준다.
예를 들어, 제 1 메모리부(22)에서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XY 변환부(24)에서 제 2 메모리부(23)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변환하고, 제 2 메모리부(23)에서 영상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XY 변환부(24)에서 제 1 메모리부(22)의 영상신호 데이터를 변환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5)에서는 XY 변환부(24)에서 XY 좌표값이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26)의 설정에 따라 3개로 분리한다. 여기에서 1 × 3의 디스플레이부(26)의 설정은 디스플레이 배열의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인 경우 일 수 있다.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는 HDTV 방송의 영향으로 16 대 9의 비율을 가지게 되는데, 일 실시예에서 이런 16 대 9의 비율을 갖는 3개의 디스플레이를 각각 9 대 16의 비율을 갖게 세로로 돌려 횡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로 대 세로 비는 27 대 16가 되고 멀티비전의 특성상 디스플레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브라켓을 고려하면 그 비율은 16 대 9와 같은 비율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2 × 6 또는 3 × 9 등 1 × 3의 정수배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16:9의 비율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 와이드 영상을 왜곡 없이 멀티비전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5)에서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6)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CRT(Cathode-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e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신호 처리부에서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고(S300), 변환된 데이터를 2개의 메모리부에 한 프레임씩 교번하여 저장한다(S310).
XY 변환부에서는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고(S320),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는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한다(S330).
디스플레이부에서는 분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비디오 신호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340).
이와 같이 멀티비전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세로방향으로 표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배열을 자유롭게 하고, 1 × 3의 디스플레이 배열 시 16:9의 비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의 비율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한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는 A, B, C의 세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이 영상신호를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고,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한 결과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와 같이 표현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여 좌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될 데이터를 표시하면 도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이 데이터를 9 대 16의 비율을 갖는 세로로 세운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결과는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가 변환/분리되어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디스플레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브라켓을 고려하면 1 × 3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가지는 멀티비전은 16 대 9와 같은 비율을 구현할 수 있어 16 대 9의 비율을 가지는 와이드 영상을 왜곡 없이 멀티비전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배경 기술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신호 입력부 11 : 디스플레이 제어부
12 : 디스플레이부 20 : 영상신호 입력부
21 : 신호 처리부 22 : 제 1 메모리부
23 : 제 2 메모리부 24 : XY 변환부
25 : 디스플레이 제어부 26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2개의 메모리부에 한 프레임씩 교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비디오 신호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은
    디스플레이 배열의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CRT(Cathode-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e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5. 영상신호 입력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마다 X, Y 좌표값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상기 제 1 메모리부와 한 프레임씩 교번하여 저장하는 제 2 메모리부;
    상기 제 1 메모리부와 제 2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X 좌표값을 Y 좌표값으로 변환시키고 Y 좌표값을 X 좌표값으로 변환시키는 XY 변환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에 따라 분리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분리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분리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가 처리 가능한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 × 3의 디스플레이부의 설정은
    디스플레이 배열의 가로 대 세로 비가 16 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CRT, DLP, LCD 또는 PD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0080072237A 2008-07-24 2008-07-24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5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237A KR100951718B1 (ko) 2008-07-24 2008-07-24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237A KR100951718B1 (ko) 2008-07-24 2008-07-24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148A true KR20100011148A (ko) 2010-02-03
KR100951718B1 KR100951718B1 (ko) 2010-04-07

Family

ID=4208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237A KR100951718B1 (ko) 2008-07-24 2008-07-24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00B1 (ko) * 2019-10-02 2019-12-10 백정현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406A (ko) * 2003-08-30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301B1 (ko) * 2005-01-14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00B1 (ko) * 2019-10-02 2019-12-10 백정현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718B1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2797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KR100386579B1 (ko) 멀티 소스용 포맷 변환 장치
US8482480B2 (en) Multi display system and multi display method
US8922605B2 (en) Projector,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20050022406A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84784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306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087433A (zh) 一种多画面组合电视墙显示画面的方法
JP2007089110A (ja) テレビウォール用画像分割方法
WO2015074487A1 (zh) 一种在拼接显示屏上点对点显示输入视频的方法
WO2012090952A1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装置の制御方法
CN101329841A (zh) Lcd大屏幕中拼接电路模块及其控制方法
JP2008244981A (ja) 映像合成装置および映像出力装置
JP200720635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KR100555576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외부 메모리 없이 프레임 레이트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US871118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42505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51718B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6767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56891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1139249A (ja) 表示装置
JP2006203848A (ja) 映像表示装置
CN111314630B (zh) 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JP2007171454A (ja) 映像表示装置
KR20060092524A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