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524A -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524A
KR20060092524A KR1020050013486A KR20050013486A KR20060092524A KR 20060092524 A KR20060092524 A KR 20060092524A KR 1020050013486 A KR1020050013486 A KR 1020050013486A KR 20050013486 A KR20050013486 A KR 20050013486A KR 20060092524 A KR20060092524 A KR 2006009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mage
dri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태
김상수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524A/ko
Publication of KR2006009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38Figures or parts thereof moved by the clockwork
    • G04B45/0061Moving parts of the clockwork, e.g. pendulum, hands in special form, mostly constructed as a fig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2Back-gearing arrangements between gear train and h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블록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표시블록은 단일의 패널로 구성되되 각각 소정의 디스플레이 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지원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각 표시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각 표시블록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단일의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이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의 끊김이 없는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장치{PLAT PANEL DISPLAY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듀얼 모니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각 모니터에 표시된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듀얼 디스플레이 모듈, 제1 패널 구동부 및 제2 패널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이미지가 표시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3 : 컴퓨터
10 : 제1 패널구동부 11 : 제1 게이트 구동부
12 : 제1 데이터 구동부 13 : 제1 타이밍 제어부
15 : 제1 신호처리부 16 : 제1 영상신호 수신부
20 : 제2 패널구동부 21 : 제2 게이트 구동부
22 : 제2 데이터 구동부 23 : 제2 타이밍 제어부
25 : 제2 신호처리부 26 : 제2 영상신호 수신부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일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연계된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포맷의 영상신호를 일련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음금선관(CRT : Cathode Ray Tube)을 사용하는 소형 모니터로부터 출발하여 현대기술의 발전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대형 모니터에 적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구성에 있어, 듀얼 모니터 시스템은 한 대의 컴퓨터로부터 복수개의 영상신호 출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모니터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시 복수개의 영상신호 출력을 통하여 복수개의 모니터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고, 입력 및 편집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등 다중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듀얼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평판 디스플레이장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듀얼 모니터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대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와 한 대의 컴퓨터(13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컴퓨터(130)는 각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에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한 영상신호를 제공하고, 각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는 컴퓨터(13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소정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지로 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니터 시스템은 두 대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TI)가 두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의 화면에 걸쳐 표시되는 경우, 이미지의 연속성이 끊기는 단점이 있다.
특히, 컴퓨터(130)가 가로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긴 이미지를 둘로 나누어 각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에 분산 출력하는 경우, 각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10,120)에 표시된 이미지가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TI)를 형성하지 못하고 이미지가 단절되어 자칫 사용자에게 이미지가 제공하는 정확한 의미 전달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으로 단일의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이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의 끊김이 없는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 기능을 제공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블록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표시블록은 단일의 패널로 구성되되 각각 소정의 디스플레이 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지원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각 표시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각 표시블록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규격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규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EL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패널 구동부는 상기 각 표시블록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각 표시블록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패널 구동부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각 패널 구동부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패널 구동부에 인가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패널 구동부는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제1 패널구동부(10), 제2 패널구동부(20)를 포함한다.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은 각각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을 갖는다. 여기서, 제1 표시블록(31) 및 제2 표시블록(32)은 각각 소정의 디스플레이 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표시블록(31) 및 제2 표시블록(32)이 각각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규격의 해상도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예컨대, 제1 표시블록(31) 및 제2 표시블록(32) 각각은 VESA의 VGA, XGA, WXG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해상도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은 상호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일의 패널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 각각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제1 표시블록(31)에 표시된 이미지와 제2 표시블록(32)에 표시된 이미지는 상호간에 이미지에 의해서만 경계가 생기게 된다. 즉, 하나의 이미지를 둘로 구분하여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제1 표시블럭에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제2 표시블럭에 표시하는 경우,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 전체에 표시되는 이미지(TI)는 상기 하나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고, 이론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블럭 및 제2 표시블록(32)에 표시된 이미지(TI) 간에는 경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이 구획되는 것을 일 예로 하로 하고 있으나, 세로 방향으로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이 구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각 표시블록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규격 등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지원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 EL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마련된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제1 표시블록(31)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게이트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데이터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게이트 라인과 제1 데이터 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각각 화소(미도시)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표시블록(32)에는 가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게이트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데이터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게이트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각각 화소를 형성한다.
한편, 제1 패널구동부(10)는 제1 표시블록(31)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1 표시블록(31)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패널구동부(10)는 제1 표시불록의 제1 게이트 라인에 제1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11)와, 제1 표시블록(31)의 제1 데이터 신호 라인에 제1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12)와, 제1 게이트 구동부(11) 및 제1 데이터 구동부(12)를 제어하는 제1 타이밍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패널구동부(10)는 제1 신호처리부(1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입력 커넥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처리부(15)로부터의 신호는 제1 데이터 입력 커넥터를 통해 제1 타이밍 제어부(13)에 인가된다.
제2 패널구동부(20)는 제1 패널구동부(10)에 대해 독립적을 구동 가능하다. 즉, 제1 패널구동부(10)와 제2 패널구동부(20)는 각각 제1 표시블록(31)과 제2 표시블록(32)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1 표시블록(31) 및 제2 표시불록을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2 패널구동부(20)는, 제1 패널구동부(10)와 마찬가지로, 제2 표시블록(32)에 제2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게이트 구동부(21)와, 제2 표시블록(32)에 제2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22)와, 제2 게이트 구동부(2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22)를 제어하는 제2 타이밍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구동부(20)에 의해 제2 표시블록(32)에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구동부(20)는 제1 신호처리부(2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입력 커넥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신호처리부(25)로부터의 신호는 제1 데이터 입력 커넥터를 통해 제1 타이밍 제어부(23)에 인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 신호처리부(15)와 제2 신호처리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처리부(15)는 제1 영상신호 수신부(16)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영상신호를 제1 패널구동부(10)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1 패널구동부(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신호처리부(15)는 제1 영상신호 수신부(16)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신호 포맷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TDM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수신부, A/D 컨버터(Converter), 비디오 디코더(Decod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제1 표시블록(31)의 출력 규격에 맞도록 영상신호의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을 조절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처리부(25)는 제2 영상신호 수신부(26)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영상신호를 제2 패널구동부(20)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2 패널구동부(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신호처리부(25)의 구성은 제1 신호처리부(15)의 구성에 일응 대응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 영상신호 수신부(16) 및 제2 영상신호 수신부(26)는 각각 제1 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의 포맷에 대응하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신호 수신부(16) 및 제2 영상신호 수신부(26)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ngnal)의 수신을 위한 D-sub 단자, S-video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S-video 단자,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DVI(Digital Video Interface)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가 하나의 컴퓨터(3, 도 5 참조)에 연결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1 영상신호 수신부(16) 및 제2 영상신호 수신부(26)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는 각각 다른 영상신호원, 예들들어, 두 대의 컴퓨터나, 컴퓨터, DVD 플레이어, TV 방송신호원 및 셋탑박스 등의 다수의 영상신호원 중 두 영상신호원과 연결되어 제1 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에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1 표시블록(31) 및 제2 표시블록(32)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는 3 이상의 표시블록 예를 들어, 소정의 디스플레이 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각각 지원하는 4개의 표시블록을 갖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장치(1)가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각 표시블록에 대응하는 패널 구동부 및 신호처리부가 마련됨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단일의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이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미지의 끊김이 없는 듀얼 또는 멀티 모니터 기능을 제공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블록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표시블록은 단일의 패널로 구성되되 각각 소정의 디스플레이 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지원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각 표시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각 표시블록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규격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규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유기EL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구동부는 상기 각 표시블록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각 표시블록에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구동부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각 패널 구동부가 처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패널 구동부에 인가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 구동부는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50013486A 2005-02-18 2005-02-18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92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86A KR20060092524A (ko) 2005-02-18 2005-02-18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86A KR20060092524A (ko) 2005-02-18 2005-02-18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24A true KR20060092524A (ko) 2006-08-23

Family

ID=3759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86A KR20060092524A (ko) 2005-02-18 2005-02-18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5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69B1 (ko) * 2012-05-08 2014-03-19 (주)코텍 통합 디스플레이 기기용 데이터 처리 장치
US10096303B2 (en) 2014-08-25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 and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69B1 (ko) * 2012-05-08 2014-03-19 (주)코텍 통합 디스플레이 기기용 데이터 처리 장치
US10096303B2 (en) 2014-08-25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st and multi-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8431B2 (en) Expandable multi-module display apparatus
US7098903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83306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28817A (ko)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 제공 방법 및 비디오 프로세서
US20080246711A1 (en) Using packet transfer for driving lcd panel driver electronics
US20140184472A1 (en) Device for eliminating dead bezel of a display screen
US859348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51642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8054322B2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265210A1 (en)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880713B2 (en) Method of increasing efficiency of video display and related apparatus
US20100194689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Windows for Multiple Computers or Video Devices
US871118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7105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재생 방법
US8144075B2 (en) Display system for outputt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to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system and method
KR20060092524A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US941863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7029665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US7477272B2 (en) Normal mode driving method in wide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072039A1 (en)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a sync start point
US1101773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failure
CN111314630B (zh) 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EP2061237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12646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324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