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400B1 -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400B1
KR102054400B1 KR1020190122318A KR20190122318A KR102054400B1 KR 102054400 B1 KR102054400 B1 KR 102054400B1 KR 1020190122318 A KR1020190122318 A KR 1020190122318A KR 20190122318 A KR20190122318 A KR 20190122318A KR 102054400 B1 KR102054400 B1 KR 10205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aption
effect image
subtit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102019012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5G 기반 통신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한꺼번에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가 출력되는 위치의 시작점 위치 및 크기 값을 포함하는 플래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가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지 상기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x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x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하거나,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y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y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한다.

Description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옥외나 가게 앞, 교통기관 등 가정 이외의 장소에 설치된 표시기기로 정보 를 발신하는 매체를 지칭하며, 광의로는 소형 액정을 사용한 가게 앞의 전자 POP 광고에서 LED(발광 다이오드) 를 활용한 대형 옥외 비전까지 포함하는 시장 전체를 의미하고, 협의로는 광의의 시장에서 전자 POP나 대형 비 전의 시장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현재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와 상업 공간에서 다양한 정보와 광고 등의 메시지나 컨텐츠를 LCD, LED, Plasma, CRT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전달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진화된 형태로 정의되곤 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하여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와 시간에 따라, 타겟 고객 대상에 대한 맞춤형 광고 제공이 가능하며, 광고 효과의 실시간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한 특징이 있어 디지털 사이니지는 효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복수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디스플레이의 베젤 때문에 컨텐츠에 몰입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10-2019-0078450 (2018.03.0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디스플레이를 복수개 연결하는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의 베젤로 인한 효과를 조정하여 컨텐츠에 몰입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5G 기반 통신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한꺼번에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가 출력되는 위치의 시작점 위치 및 크기 값을 포함하는 플래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가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지 상기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x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x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하거나,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y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y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를 원 영상의 자막 위치에 매우 유사하게 배치하면서도 베젤 때문에 끊기지 않도록 표현하여 정확한 콘텐츠 전달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의 출력부의 일 예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5G 기반 통신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110)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AR(augmented reality) 또는 VR(virtual reality) 컨텐츠가 효과적으로 재생되도록 컨텐츠 출력 배치를 관리하는 제어부(130),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하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출력부(140, 이하 "출력부"라 한다)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이용한 옥외광고, 즉,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광고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상기 출력부는 AR 컨텐츠 또는 VR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갖추어야 하며, 이는 발명의 특징이 아니며 출원 기점으로 당업자에게 용이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출력부(14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므로 각 디스플레이 외곽의 베젤(bezel)로 인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의 사용자 몰입이 방해되는 것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컨텐츠에서 자막 또는 효과로 제공하는 컨텐츠가 베젤 때문에 가려지거나 일부가 보이지 않아 컨텐츠 재생이 끊어지는 느낌을 시청자가 받는다면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의 출력부(140)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출력부(140)가 4 개의 디스플레이, 즉, 제1 디스플레이(142), 제2 디스플레이(144), 제3 디스플레이(146), 제4 디스플레이(148)가 바둑판처럼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4개의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출력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의 경우 영상 속의 자막 또는 효과가 소비자에게 전달되고자 하는 핵심 컨텐츠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컨텐츠 제작 당시 해당 자막(310) 또는 효과이미지(320)에 각각 플래그(flag)가 설정된다.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는 베젤에 의해서 일부가 가려지거나 표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 4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재배치(또는 매핑)되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플래그를 기초로 재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에 설정되는 각 플래그는 해당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즉,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및 크기(x값, y값)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를 재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막"excellent"(310)의 시작점 위치가 (-5,-2)이고 크기는 (9,1)이며, 효과 이미지(320)의 시작점은 (5,1)이고, 크기는 (2,2)이다. 자막과 효과 이미지의 각 플래그는 이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플래그를 기초로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를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가 영상의 4개의 구역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플래그를 기초로 판단하고,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온전히 다 표시될 수 있도록 재배치된다.
일 예로,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x값과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x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재배치한다. 다른 예로,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y값과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y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재배치 된다. 즉, 도 3에서 자막의 시작점 위치를 (-5,2)에서 (-9,-2) 또는 (9,-2)로 재배치한다. 또한, 도 3에서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의 위치를 (5,2) 또는 (5,-2)로 재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재배치가 적용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막(310)은 베젤에 가려서 일부가 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디스플레이에 새롭게 표시되고(410), 효과(320)는 베젤에 잘려서 일부가 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에 새롭게 표시된다(420). 비록 본래 영상이 보여주고자 하는 정확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을 어렵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많은 정보를 전달해야만 하는 현행 기술적인 한계에서는 이미지의 배치보다는 정확한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특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비행기 또는 열차의 시간 정보 또는 광고 속의 제품명 또는 약관 고지 내용 등의 표시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로, 자막의 글자마다 플래그가 구별되어 새로운 매핑 또는 재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자막의 글자마다 플래그가 구별되어 새롭게 디스플레이 매핑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최초 자막 "excellent"는 "excell"부분은 제3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e"는 베젤부분에 자막이 가려지며,"nt"부분은 제4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베젤 부분에 가려지는 "e"이후의 자막인 "ent"를 제4 디스플레이에 재배치한다. 따라서 "excell"은 제3 디스플레이에, "ent"는 제4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다. 단어가 일부 떨어져 있는 느낌이 있어서 몰입을 일부 방해할 수 있지만, 원 영상의 자막 위치에 매우 유사하게 배치하면서도 정확한 콘텐츠 전달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그 정보는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의 4개의 코너 위치(즉,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우측 상단 끝점의 좌표, 좌측 하단 끝점의 좌표, 우측 하단 끝점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이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그 정보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각 콘텐츠의 4개의 코너 위치(즉,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우측 상단 끝점의 좌표, 좌측 하단 끝점의 좌표, 우측 하단 끝점의 좌표) 또는 콘텐츠의 시작점 위치(즉,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및 크기(x값, y값)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이를 설명하는 도이다. "BMWMOTORS"라는 자막(700)은 "BMW"라는 콘텐츠(710) 및 "MOTORS"라는 콘텐츠(720)를 포함하고 있으며, 미리 설정한 사용자의 설정값(configuration)에 따라서, 자막(700) 전체가 어느 한 디스플레이(예, 제3 디스플레이)로 재배치될수도 있고, 일부 콘텐츠(710)는 제3 디스플레이, 다른 콘텐츠(720)는 제4 디스플레이로 분할 재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값을 미리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첫째, 자막 또는 효과를 재배치하는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둘째, 복수의 콘텐츠를 분리 재배치할지 여부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도면 미표시)를 통해서 사용자의 설정값이 미리 입력되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값을 적용하여 재생 선택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부로 출력할 때, 자막 파일을 함께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자막 파일은 표시되는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예,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값)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에서 자막 파일을 실행할 때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연관되는 플래그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즉, 자막 파일을 재생하면, 제어부는 자막 파일로부터 자막 콘텐츠와 함께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값을 함께 읽으며 이때 읽은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 값을 플래그로 저장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연동시킨다. 이후 멀티미디어 데이터/자막 데이터를 출력부로 출력할때 상기 저장한 플래그가 함께 전달되어 자막 데이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재배치되어 출력된다.
즉, 제어부에서 출력부로 출력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 자막 파일과 함께, 플래그 정보도 함께 전달되어 출력부에서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재배치된 디스플레이에 자막이 출력된다.
이때,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재생하는 콘텐츠는 일 예로, AR 멀티미디어 데이터, 백그라운드 데이터, 증강현실 데이터, VR 멀티미디어 데이터, 배경데이터, 또는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 들 중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에 데이터들은 제어부에서 플래그 정보를 생성하여 함께 출력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따른 일 예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플래그 정보는 자막에 대하여 한글 1자는 2칸의 크기, 영문 1자는 1칸의 크기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막 파일에는 시작 위치와 한글 또는 영문 길이(length)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는 이를 기초로 플래그 정보가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부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VR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하나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기기들에 고품질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부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여러 디스플레이를 통합하여 한 화면으로 송출함에 있어서, 각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의 정보(예, 베젤의 크기에 관련한 값)를 미리 저장하여 추후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출력할 때 미리 저장된 베젤의 크기 값을 기초로 자막의 재배치를 수정 조정하여, 이를 반영하여 연속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가 베젤의 두께를 초기값(예, 2cm)를 기초로 재배치 명령을 출력부로 송신했을 때, 출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의 프로세서에 베젤의 크기 값이 재설정값(예, 0.5cm)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기기의 프로세서는 제어부가 송신하는 재배치 명령에도 불구하고 베젤의 크기 값인 재설정값이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지 않는 소정의 임계값(예, 0.5cm)이하인 경우 제어부의 재배치 명령을 조정하여 원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시스템의 제어부의 명령을 받는 출력부의 프로세서가 상황에 따라 그 명령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미리 설정된 베젤의 크기 값과 사용자가 미리 시스템의 제어부 및 출력부인 스마트 기기의 프로세서에 미리 저장한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결정된다.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속 자막이나 효과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입수한 출력부는 자막의 글자가 베젤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도록 적응적으로(adaptive) 배치될 수 있다. 자막이 화면의 변화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백그라운드 데이터 또는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와 조화롭게 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경험을 보다 좋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에 센서부(150, 예 적외선 센서)가 연결되어, 출력부의 소정의 거리 이내에 사람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 재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저전력의 센서부에서 센싱한 정보를 기초로 전력을 절약하여, 디스플레이 재배치로 인한 트래픽 저감, 프로세서의 유휴시간 확보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5G 기반 통신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20);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가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한꺼번에 표시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출력부;및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출력되는 위치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가 출력되는 위치의 시작점 위치 및 크기 값을 포함하는 플래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가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지 상기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x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x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하거나,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시작점 위치의 y값과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크기의 y값의 절대값이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하고,
    상기 출력부는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및 스마트 VR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및 스마트 VR 기기 중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 및 스마트 VR 기기 중 하나의 베젤의 크기 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한 베젤의 크기 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다면, 상기 출력부로 출력되는 상기 제어부의 재배치 명령을 재조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출력부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옥외광고를 표시하는 광고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자막의 글자마다 상기 플래그 정보를 구별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막의 글자마다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재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정보는 상기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의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우측 상단 끝점의 좌표, 좌측 하단 끝점의 좌표 및 우측 하단 끝점의 좌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자막 또는 효과이미지를 재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자막은 동시간대에 재생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플래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좌측 상단 끝점의 좌표, 우측 상단 끝점의 좌표, 좌측 하단 끝점의 좌표 및 우측 하단 끝점의 좌표 또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시작점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자막의 복수의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르게 재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치의 재배치 여부에 관한 설정값 또는 상기 자막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각각을 서로 다르게 재배치할지 여부에 관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설정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재배치 여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 및 표시되는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막 파일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자막 파일을 실행할 때 상기 자막의 크기 및 출력위치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에 연동되는 플래그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막 파일을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과 함께 재생하며, 상기 자막 파일에 포함된 자막은 상기 저장된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재배치되어 출력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AR 멀티미디어 데이터, 백그라운드 데이터, 증강현실 데이터, VR 멀티미디어 데이터, 배경데이터, 또는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가 소정의 거리 이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막 또는 효과 이미지의 재배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90122318A 2019-10-02 2019-10-02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5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18A KR102054400B1 (ko) 2019-10-02 2019-10-02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18A KR102054400B1 (ko) 2019-10-02 2019-10-02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400B1 true KR102054400B1 (ko) 2019-12-10

Family

ID=6900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318A KR102054400B1 (ko) 2019-10-02 2019-10-02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4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148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웨어큐브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3171054A (ja) * 2012-02-17 2013-09-02 Jvc Kenwood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50034950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0484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3834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로드 배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8450A (ko) 2017-12-26 2019-07-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148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웨어큐브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3171054A (ja) * 2012-02-17 2013-09-02 Jvc Kenwood Corp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50034950A (ko) * 2013-09-27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0484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3834A (ko)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로드 배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8450A (ko) 2017-12-26 2019-07-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8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earance mapping for compositing overlay graphics
US100558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earance mapping for compositing overlay graphics
US9881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with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01359013A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に基づいてディジタルビデオ画像の一部を動的に変更する方法
JP5321694B2 (ja) 三次元画像に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ニング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894314B2 (en) Encoding, distributing and displaying video data containing customized video content versions
US200802912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Video Images
US20170140190A1 (en) Multimedia service push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wo-dimensional code
EP3685575B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providing apparatus
JP2002232861A (ja) 映像情報配信装置および操作装置
EP240076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image
EP3474555A1 (en) Advertisement push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514409B (zh) 基于控制信息修正替换内容的播放的方法及系统
CN102457749A (zh) 图像显示装置和操作该图像显示装置的方法
KR20180054377A (ko) 인터랙티브한 가상현실 시스템
KR102054400B1 (ko) 5g 기반 실감형 ar/vr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관리 및 송출용 멀티미디어 통합관리 시스템
CN103152536A (zh) 一种可展示广告的数字电视终端
US10834298B1 (en) Selective audio visual synchronization for multiple displays
KR20140139671A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개인화된 디지털 사이니지 운영시스템
JP2009069407A (ja) 情報出力装置
MY12677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video incorporating multiple on screen display formats
KR102278748B1 (ko) 360 vr 인터랙티브 중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KR102070075B1 (ko) 컨텐트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04930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ini-banner content
KR20210071332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