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915U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915U
KR20100010915U KR2020090005141U KR20090005141U KR20100010915U KR 20100010915 U KR20100010915 U KR 20100010915U KR 2020090005141 U KR2020090005141 U KR 2020090005141U KR 20090005141 U KR20090005141 U KR 20090005141U KR 20100010915 U KR20100010915 U KR 201000109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coupling
coupling part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915U/ko
Publication of KR20100010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터미널(10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10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10)와 제 2 결합부(1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 상대물에 따라 원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결합 상대물이 끼움 장착되거나, 변형되어 장착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결합 상대물이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와 같은 원통 형상을 가지는 탭터미널(130)이나 플러그단자(140)이면, 이는 그대로 삽입되어 끼움 장착되게 한다. 반면, 와이어(150)가 삽입되면,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터미널(100)과 와이어(1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렐부의 용도로 사용된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와이어(150)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와, 상기 와이어(150)의 심선을 감싸는 와이어 바렐부(114)(124)로 구성되어 와이어(150)를 결합하는 바렐부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 1 결합부(110)와 제 2 결합부(120)에 탭터미널(130)이나 플러그 단자(140)가 삽입되어 터미널(100)과의 결합이 가능하고, 또 와이어(150)가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 및 와이어 바렐부(114)(124)를 감싸도록 압착하여 와이어(15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에 의하면 하나의 터미널을 복수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플러그 터미널, 암-암 터미널, 인슐레이션바렐부, 와이어바렐부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며, 특히 사용되는 목적, 용도, 기능 등에 따라서 터미널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기본적으로 상대물과의 접속을 위한 결합부와,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바렐부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터미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볼 수 있으며, 다만 터미널과 결합하는 결합 상대물의 형상에 따라 상기 결합부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일반적인 플러그 터미널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플러그 터미널(1)(터미널이라고도 함)은, 선단에 결합 상대물(미도시), 즉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부(3)가 형성되고, 후단에 와이어를 결합하기 위한 바렐부(5)가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5)는 감싸진 상태가 아니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게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바렐부(5)는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인슐레이션 바렐부(7)와 상기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는 와이어 바렐부(9)로 구성된다. 그리고 터미널(1)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커넥터(미도시)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터미널(1)에는 터미널(1)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간으로 터미널(1)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Stabilizer)(1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런 구조의 터미널(1)은 결합부(3)에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렐부(5)는 와이어가 안착되면 와이어의 인슐레이션 및 심선을 감싸도록 인슐레이션 바렐부(7) 및 와이어 발레부(9)를 압착한 형태로 사용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터미널의 다른 예로, 리셉터클 터미널이 있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도, 선단에는 상대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바렐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탭터미널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또 상기 결합부 내부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 등에 의해 탭터미널이 결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 등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의 또 다른 예로, 선단과 후단에 탭터미널이 각각 삽입되어 그 탭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암-암 터미널(F-F 터미널)이 있다. 참고로 암-암 터미널은 PCB 기판 등에 실장된 소자에 다른 소자, 예컨대 릴레이 소자 등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터미널을 말한다.
이와 같이 터미널은 사용하는 목적, 용도 등에 따라 그 구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터미널의 사용 목적,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터미널이 필요 한 것이다. 예컨대, 도 1의 플러그 터미널 및 미도시하고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은 선단에 플러그나 상대 탭터미널을 결합하고, 후단에는 와이어를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또 암-암 터미널은 양단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숫 터미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터미널의 용도에 맞게 터미널이 형성되는 것은 터미널의 사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터미널로 복수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용도에 맞게 터미널을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터미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터미널을 복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정 형상의 결합 상대물이 삽입되어 끼움 장착되게 하거나, 와이어가 삽입되면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인슐레이션 바렐부와 상기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는 와이어 바렐부로 구성되는 바렐부이고,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와 와이어 바렐부는 상기 결합 상대물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간으로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대 결합물에 따라 그 상대 결합물이 단순히 끼 움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고, 또는 상대 결합물을 고정하기 위해 형상이 변형되기도 한다. 즉, 터미널, 플러그 단자 등이 끼워져서 결합하게 할 수도 있고, 또 와이어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와이어를 삽입시킨 후 압착하여 터미널과 와이어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터미널을 복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터미널의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터미널(100)은 판상의 금속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100)의 골격은 몸체부(10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과의 경계는 명확하지는 않다. 실제로는 금속재질로 된 몸체부(101)에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상기 몸체부(101)의 양단에서 그 몸체부(101)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결합 상대물, 예컨대 탭터미널 및 플러그 단자 등이 삽입되어 끼움 장착되도록 그 결합 상대물과 그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결합 상대물이 삽입되어 끼움 고정된 방식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대한 압착 공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110)(120)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터미널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바렐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와 와이어 바렐부(114)(124)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는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100)과 와이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 바렐부(114)(124)는 상기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와 와이어 바렐부(114)(124)는 펼쳐져 있는 상태가 아니고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결합 상대물이 삽입되어 터미널(100)과 결합 상대물을 결합하게 할 수 있고, 또 와이어가 삽입되면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을 하여 터미널(100)과 와이어를 연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와이어뿐만 아니라 결합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1)의 중앙에는 스테빌라이저(103)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103)는 상기 몸체부(101)의 중앙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보다 더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103)는 터미널(100)이 장착되는 하우징(미도시)에 형성되는 관통공간으로 터미널(100)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테빌라이저(103)는 터미널(100)이 관통공간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터미널(100)은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소정 형상의 결합 상대물을 끼워서 단순 결합할 수 있고, 또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바렐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해당하는 결합부에 와이어를 끼우고 이를 압착시켜 결합할 수 있다.
우선, 터미널(100)의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결합 상대물을 끼워서 전기적 연결이 되게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터미널(100)은 암-암 터미널로 이용된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터미널(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로 결합 상대물의 예로, 숫 터미널(130)이 각각 삽입되어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숫 터미널(130)이 삽입될 때 숫 터미널(130)의 외주면이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의 내주면과 서로 밀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는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끼워진 숫 터미널(13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내에 상기 숫 터미널(130)이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100)을 매개체로 하여 숫 터미널(1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압착공정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원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다.
다음, 본 고안의 터미널(100)은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결합 상대물이 끼워지게 하고, 다른 결합부에는 와이어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결합 상대물, 예컨대 플러그 단자(140)가 몸체부(101)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결합부(1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몸체부(101)의 후단에 형성된 제 2 결합부(120)에는 와이어(150)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120)는 바렐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제 2 결합부(120)에 와이어(150)가 삽입되면 와이어(15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압착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 2 결합부(120)가 압착되면 그 제 2 결합부(120)의 인슐레이션 바렐부(122)는 상기 와이어(150)의 인슐레이션을 감싸게 되고, 상기 와이어 바렐부(124)는 상기 와이어(150)의 심선을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50)가 제 2 결합부(120)에 삽입되면, 와이어(150)의 인슐레이션은 인슐레이션 바렐부(122)의 내주면과 밀착되지만, 와이어(150)의 심선은 상기 인슐레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기 때문에 와이어 바렐부(124)와 밀착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제 2 결합부(120)의 인슐레이션 바렐부(122)와 와이어 바렐부(124)가 압착되면, 인슐레이션 바렐부(122)는 와이어(150)의 인슐레이션 외주면에 더 밀착되고, 와이어 바렐부(124)는 상기 인슐레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와이어 심선을 감싸기 위해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와이어(150)의 심선을 압착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 4의 'A' 부분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터미널은 하나의 결합부에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고 다른 결합부에는 와이어가 결합되고 있어, 종래의 플러그 터미널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터미널의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와이어(150)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는 바렐부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보면,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와이어(150)를 삽입하고, 와이어(150)를 감싸도록 압착됨에 의해 터미널(100)과 와이어(15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의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는 인슐레이션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이고, 와이어 바렐부(114)(124)는 상기 인슐레이션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와이어(150)의 심선을 감싸기 위해 그 형태가 변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100)의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숫 터미널(130), 플러그 단자(140), 와이어(150) 등이 결합된 후에는, 터미널(100)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터미널(100)의 제 1 결합부(110) 및 제 2 결합부(120)에 상기 숫 터미널(130), 플러그 단자(140), 와이어(150) 등을 먼저 결합한 다음 하우징에 장착하고 있지만, 반대로 터미널(100)을 하우징에 먼저 장착하고 숫 터미널(130) 및 플러그 단자(140)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는 숫 터미널(130)과 플 러그 단자(140)는 상기 제 1 결합부(110)와 제 2 결합부(120)에 끼워 결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와이어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인슐레이션 바렐부(112)(122) 및 와이어 바렐부(114)(124)를 압착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에 장착하기 전에 반드시 와이어(150)를 먼저 결합한 후 하우징에 장착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터미널은 각종 결합 상대물을 결합부에 끼움 고정되거나, 또는 와이어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터미널을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와 와이어 바렐부로 구성되는 바렐부 형상으로 형성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결합 상대물 및 와이어가 삽입된 후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러그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 실시 예의 터미널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터미널 101 : 몸체부
103 : 스테빌라이저 110 : 제 1 결합부
120 : 제 2 결합부 112, 122 : 인슐레이션 바렐부
114, 124 : 와이어 바렐부

Claims (4)

  1.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일정 형상의 결합 상대물이 삽입되어 끼움 장착되게 하거나, 와이어가 삽입되면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상기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결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인슐레이션 바렐부와 상기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는 와이어 바렐부로 구성되는 바렐부이고,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부와 와이어 바렐부는 상기 결합 상대물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간으로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90005141U 2009-04-28 2009-04-28 터미널 KR201000109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41U KR20100010915U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41U KR20100010915U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15U true KR20100010915U (ko) 2010-11-05

Family

ID=4420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41U KR20100010915U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9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9790B (zh) 电缆组件、连接器和制造电缆组件的方法
US7976330B2 (en) Securely latched power connector assembly
EP2083480A2 (en) Connector terminal having electrical wire and connector receiving the same
JP2018200765A (ja) コネクタ
US20090246996A1 (en) Right-angle connector
JP4745394B2 (ja) 雄型電気端子
CN109980370B (zh) 连接器
JP5473758B2 (ja) コネクタ
CN110932009A (zh) 具有引入的绝缘压接
US20190288428A1 (en) Connection Terminal
TWI651905B (zh) 電線用連接器
KR102513547B1 (ko) 코일단말의 접속구조
KR20100010915U (ko) 터미널
WO2015012085A1 (ja) コネクタ用端子
JP3824269B2 (ja) 電線用コネクタ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100001179U (ko) 커넥터
JP4446477B2 (ja) コネクタ
JP7283365B2 (ja) 端子付き電線
JP6687166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6114266A (ja) 丸型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64727Y1 (ko) 터미널
CN205543569U (zh) 电连接器组件及其插头连接器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0294134Y1 (ko) 커넥터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