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25A -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25A
KR20100010225A KR1020080071114A KR20080071114A KR20100010225A KR 20100010225 A KR20100010225 A KR 20100010225A KR 1020080071114 A KR1020080071114 A KR 1020080071114A KR 20080071114 A KR20080071114 A KR 20080071114A KR 20100010225 A KR20100010225 A KR 2010001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generator
pair
horizontal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113B1 (ko
Inventor
권오훈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에이스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1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6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 sleeves being shock-absorbing, e.g. formed by helically-wound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39Profiles or beams

Abstract

본원 발명은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발전기용 냉각기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냉각기가 격납되어 있는 공간에서 냉각기를 인출할 때 슬라이드부재와 냉각기를 결합시켜서 인출부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재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상기 인출부재를 이용하여 냉각기를 더욱 간편하게 인출 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인출작업을 위해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옮기거나, 냉각기를 인출하기에 간편한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며, 상호 마주보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을 평행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빔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1고정빔과 상기 가이드빔 내부에 위치한 제2고정빔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제1·2고정빔이 결합된 네 개의 모서리 하면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지지수단이 구비된 네 개의 수직부재;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연장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수평지지부재, 슬라이드부재, 인출장치, 지지수단

Description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CARRY OUT EQUIPMENT FOR A COOLER OF GENERATOR}
본원 발명은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발전기용 냉각기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냉각기가 격납되어 있는 공간에서 냉각기를 인출할 때 슬라이드부재와 냉각기를 결합시켜서 인출부재가 구비된 수평지지부재의 상단에 안착시킨 후 상기 인출부재를 이용하여 냉각기를 더욱 간편하게 인출 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인출작업을 위해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옮기거나, 냉각기를 인출하기에 간편한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열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물, 기름,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전방식에 따라 크게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으로 구분된다.
열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인 발전기는 터빈에서 전달되는 고속의 회전력과, 발전기에서 생산되는 고압의 전력으로 인하여 발전기 자체에서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열을 방치하면 발전기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고, 결국 많은 비용을 들여서 설치한 발전설비가 고장 나거나, 폭발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기를 이용하여 발전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당한 임계점 이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냉각기는 주기적인 유지 및 보수 관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냉각기의 유지 및 보수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발전소의 일정한 공간에 격납되어 있는 냉각기를 격납 공간 외부로 인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큰 부피와 중량이 많이 나가는 냉각기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인출할 때에 협소한 작업 공간으로 인하여 중장비를 사용하기가 힘들어서 냉각기에 인출선을 체결하여 여러 명의 작업자가 비계를 쌓고 수직 및 수평으로 동시에 끌어당겨서 인출을 하였다.
따라서 인력에 의한 인출작업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발전기의 재가동이 늦어지게 되고, 전기 공급에도 차질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냉각장치가 격납되는 공간의 상단에 걸림고리가 구비된 지지빔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고리에 인출선을 체결하여 냉각기를 인출하는 방법이 있지만, 걸림고리와 냉각기의 높이가 달라서 5mm 이내의 공극으로 격납되어 있는 냉각기의 외관에 흠집이 나거나, 인출 도중에 격납 공간의 입구에 냉각기가 걸리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작업장으로 이송이 어려워서 냉각기를 인출한 곳에서, 냉각기의 둘레 를 쇠사슬로 묵은 다음 상기 걸림고리에 매달아 놓은 채로 보수 작업을 하였지만, 협소한 작업 공간으로 인하여 제한된 인원만 작업이 가능하여 보수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자의 행동반경도 제한되며, 작업 도중에 냉각장치가 흔들리게 되어 냉각장치의 낙하 사고와 주변의 장치 또는 작업자와 충돌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빔의 일측이 돌출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1·2고정빔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하면에 위치하여 수직하게 체결된 네 개의 수직바로 구성된 수직부재와, 상기 제1고정빔에 체결된 인출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된 냉각기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전·후진으로 이동을 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냉각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인출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 위치한 냉각기를 고정시켜서 이송 또는 보수 작업 시에 냉각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 후면부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체결되어 수평조절과 지지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킹볼트가 구비되어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된 냉각기가 상기 가이드 빔의 후면부 상면에 안착될 때 돌출된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하며, 수평을 맞춰서 안정한 인출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기와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바디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게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일측과 타측면에 사이드판을 결합하여 냉각기의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된 탭이 상기 끼움홈에 결합됨으로써 인출 도중 냉각기와 슬라이드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롤러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인출작업을 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수직한 관통구가 구비된 빔박스에 일측이 삽입되는 탈착이 가능한 지지빔이 구비되어 인출작업이 완료된 후에 이송 또는 보수 작업 중에 작업자가 부딪혀서 부상을 당하거나, 주변의 다른 장비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일단이 냉각기의 케이스에 체결된 인출 인출선의 타단이 상기 걸림고리에 체결됨으로써 인출 도중 인출선이 풀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수단은,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 동하기가 간편하고,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를 관통하는 지지볼트가 구비되어 냉각기 인출 작업 중에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을 맞추어 안전한 인출작업이 가능한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은,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며, 상호 마주보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을 평행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빔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1고정빔과 상기 가이드빔 내부에 위치한 제2고정빔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제1·2고정빔이 결합된 네 개의 모서리 하면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지지수단이 구비된 네 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연장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및 돌출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 후면부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체결되어 수평조절과 지지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킹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단에서 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게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의 일측 과 타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판이 구비된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수직한 관통구가 구비된 빔박스와 상기 빔박스의 관통구에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빔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측이 상향으로 직각 굴절되어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직바 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가능한 바퀴 및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를 지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쌍의 가이드빔의 일측이 돌출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1·2고정빔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하면에 위치하여 수직하게 체결된 네 개의 수직바로 구성된 수직부재와, 상기 제1고정빔에 체결된 인출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된 냉각기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전·후진으로 이동을 할 때 좌 또는 우측으로 냉각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인출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 위치한 냉각기를 고정시켜서 이송 또는 보수 작업 시에 냉각기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 후면부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체결되어 수평조절과 지지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킹볼트가 구비되어 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된 냉각기가 상기 가이드빔의 후면부 상면에 안착될 때 돌출된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하며, 수평을 맞춰서 안정한 인출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냉각기와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바디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게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일측과 타측면에 사이드판을 결합하여 냉각기의 케이스에 돌출되게 형성된 탭이 상기 끼움홈에 결합됨으로써 인출 도중 냉각기와 슬라이드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롤러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수평지지부재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인출작업을 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넷째,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수직한 관통구가 구비된 빔박스에 일측이 삽입되는 탈착이 가능한 지지빔이 구비되어 인출작업이 완료된 후에 이송 또는 보수 작업 중에 작업자가 부딪혀서 부상을 당하거나, 주변의 다른 장비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일단이 냉각기의 케이스에 체결된 인출선의 타단이 상기 걸림고리에 체결됨으로써 인출 도중 인출선이 풀리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다섯째, 상기 지지수단은,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가능한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가 간편하고,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를 관통하는 지지볼트가 구비되어 냉각기 인출 작업 중에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고 수평을 맞추어 안전한 인출작업이 가능한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빔박스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수평지지부재(100)와 수직부재(200), 인출부재(300) 및 슬라이드부재(400)로 구성되는 되는데, 먼저 상기 수평지지부재(100)는, 'ㄱ'형강에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게, 강판을 절단하여 결합한 이탈방지턱(110)이 구비된 가이드빔(120) 한 쌍을, 상호 마주보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을 평행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 빔(120)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1고정빔(130)과, 상기 가이드빔(120) 후면부가 돌출되게 후면부의 내부에 위치한 제2고정빔(140)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ㅂ' 형상을 띠게 된다.
상기 가이드빔(120)의 상면은 슬라이드부재(400)와 결합된 상기 냉각기(600)의 인출이 쉽도록, 평탄도가 균일해야 하며, 상기 냉각기(600)로 인한 하중이 부가되어도 휘지 않도록 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110)은 '┣'형 강을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빔(120)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냉각기(600)의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상기 가이드빔(120)의 외측에 강판을 덧대어 주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수평지지부재(100)는 강판을 절단하여 통째로 구성된 판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과 제1·2고정빔(130)(140)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2고정빔(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빔(120)의 후면부의 길이가 상기 냉각기(600)가 격납되어 있는 곳에 형성된 단턱(810)의 너비와 상응하게 하여,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후면부가, 상기 격납된 냉각기(600)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며, 상기 단턱(810)의 전면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걸림턱(820)에 상기 가이드빔(120)의 후면부 하단이 걸리지 않도록, 걸림턱(82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빔(120) 후면부의 하단을 절개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수직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과 상기 제1·2고정빔(130)(140)이 결합된 네 개의 모서리 하면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네 개의 수직바(210)가 구비되어 다리역할을 하고, 상기 수직바(210)의 하부에는 플랜지(222)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210) 하단의 모서리가 지면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수단(220)은, 상기 수직바(210) 하부의 내측에 볼트공이 구비된 플레이트(223)가 지면에 평행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형의 손잡이(224)가 구비되며, 둘레에 나사산이 구비된 환봉(225)이 상기 볼트공에 삽입된 후에 상기 환봉(225)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하게 강판이 결합되고, 상기 강판의 하면에 360°로 방향조정이 가능한 바퀴(221)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손잡이(224)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지지수단(2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는 유압식의 작키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둘레에 나사산이 구비된 환봉(225)의 상단에 손잡이(224)를 결합하여 조절하는 것이 적합하다. 조절된 높이에 맞추어 지지볼트(226)로 바닥면에 구비된 바닥플레이트(227)에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400)는, 일측과 타측 측면에 축(440)이 구비되고, 상기 축(440)에 한 쌍의 롤러베어링(430)이 결합된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410)가, 상기 한 쌍의 롤러베어링(430)이 가이드빔(120)의 상면에 각각 놓이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410)의 상면에 하향으로 함몰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게 구비된 끼움홈(420)이 상기 바디(410) 상면의 전면부에서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420)의 일측과 타측에 사이드판(450)을 결합하여 상기 냉각기(600)의 케이스 둘레에 구비된 탭(610)부가 상기 끼움홈(4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끼움홈(42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베어링(430)은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에 부가되는 하중이 최소가 되도록 롤러가 위치를 유지하는 자동 조심형 롤러베어링(430)이 적합하다.
상기 인출부재(300)는, 상단과 하단이 이어지게 개방된 관통구(331)가 구비된 직육면체의 빔박스(330)가 상기 제1고정빔(130)의 전면부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331)에 상응하는 형상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빔(130)의 반대쪽으로 직각 굴절되며, 타측은 상향으로 직각 굴절되는 '┏┛'형상의 지지빔(320)과, 상기 지지빔(320)의 타측에는 걸림고리(31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빔(320)의 형상은, 굴절부가 없는 '┃'형상도 가능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인출선(700)이 체결되어 높은 중량의 상기 냉각기(600)를 인출하여도 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의 지지빔(320)이 적합하다.
상기 인출부재(300)는 상기 제1고정빔(130)에 상기 지지빔(320)이 고정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인출작업 또는 보수작업 시 작업자가 상기 지지빔(320)에 부딪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사시도이 고,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제2실시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수평지지부재(100)와 수직부재(200), 인출부재(300) 및 슬라이드부재(400)로 구성되는 되는데, 상기 수평지지부재(100)는,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110)이 구비되며, 상호 마주보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빔(1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을 평행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빔(120)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1고정빔(130)과 상기 가이드빔(120) 내부에 위치한 제2고정빔(140)으로 구성되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의 제2고정빔(140)이 상기 가이드빔(120)의 내부에 위치하여 후면부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빔(120)의 후면부 하면에는, 각각 두 개의 너트(151)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의 후면부 하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너트(151)에 상응하는 잭킹볼트(152)는, 헤드(153)가 지면을 향하게 체결된다.
상기 헤드(153)의 상면에는 헤드(153)의 원주를 포함하는 원형의 강판을 덧대어 헤드(153)의 마모를 방지하며, 상기 네 개의 잭킹볼트(152)를 조이거나 풀음으로써, 상기 냉각기(600)가 격납된 곳에 구비된 단턱(810)의 상면에서 수평을 맞추게 되며, 상기 가이드빔(120)의 후면부에 상기 냉각기(600)가 안착할 때 부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빔(120)이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820)에 맞추어 가이드빔(120)의 절개된 턱에 인출기가 고정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150)는 유압식의 작키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잭킹볼트(152)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의 전면부 내측에, 하면에서 상향으로 관통하는 스토퍼(160)가 구비되어, 인출이 완료된 상기 냉각기(600)와 상기 수평지지부재(10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상기 냉각기(600)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하거나 작업장에서 보수작업을 할 때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냉각기(600)가 움직이게 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20)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1고정빔(130)과 제2고정빔(1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재(500)가 결합된다.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수단(220)은, 상기 수직바(210) 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가능한 바퀴(221) 및 상기 수직바(210)의 하부에 플랜지(222)가 구비되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222)를 지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관통하는 3개의 지지볼트(22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볼트(226)는, 상기 플랜지(222)와 지면에 구비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227)를 체결하여, 인출작업 또는 보수작업시에 인출기의 수평을 맞추고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쇠말뚝 또는 버클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지지볼트(226)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각 모서리가 상기 네 개의 수직부재(20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보강재(500)가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를 포함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사용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후면부가 격납되어 있는 상기 냉각기(600)에 최대한 밀접하도록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위치를 정하고, 수평자를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올려놓고, 상기 수평조절부재(150)와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221)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수평을 맞추고, 상기 지지볼트(226)를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222)와 지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바닥플레이트(227)를 체결함으로써, 인출 또는 보수 작업 중 상기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수단(220)을 조절하여 맞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빔(320)의 타측에 구비된 걸림고리(310)와, 상기 냉각기(600)의 케이스를 레버블럭(도시되지 않음)으로 체결하여 약 30~50 cm 정도를 인출한 후에,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에 구비된 끼움홈(420)에 상기 냉각기(600)의 케이스 둘레에 구비된 탭(610)을 결합하여,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후면부에 안착하게 한 다음 상기 레버블럭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기(600)의 인출을 계속한다.
상기 냉각기(600)의 격납된 부분이 약 30 cm 정도가 남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파이프를 상기 수평지지부재(100) 후면부의 상면과 상기 냉각기(600)의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냉각기(600)의 인출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냉각기(600)가 이송 또는 작업 중에 상기 수평지지부재(100)의 상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스토퍼(160)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기(600)와 수평지지부재(100)를 체결하고, 상기 냉각기(600)와 걸림고리(310)에 체결된 상기 레버블럭을 분리하고, 상기 빔박스(33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지지빔(320)을 분리한 후에 보수작업을 하게된다.
보수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상기 지지빔(320)을 상기 빔박스(330)에 삽입한 후에 상기 걸림고리(310)와 상기 냉각기(600)를 레버블럭으로 체결하고, 상기 냉각기(600)와 수평지지부재(100)를 고정하고 있는 스토퍼(160)를 풀어서 상기 냉각기(600)를 천천히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제1·2실시예를 포함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는, 상기 이탈방지턱(110)이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빔(120)과, 상기 가이드빔(120)을 가로질러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고정빔(130)과 제2고정빔(140)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100)의 상면에 냉각기(600)에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00)가 전·후진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인출부재(300)에 의하여 냉각기(600)에 체결된 인출선(70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기 냉각기(600)를 인출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이 가능한 지지수단(220)에 의하여, 상기 무거운 냉각기(600)의 인출 및 보수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작업이나 보수작업 시 상기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지면에 체결하는 지지볼트(226)와, 인출작업이 완료된 상기 냉각기(600)와 상기 수평지지 부재(100)를 고정해주는 스토퍼(160)가 각각 구비되어, 작업 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청구하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빔박스의 확대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의 확대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의 사용예.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수평지지부재
110 : 이탈방지턱 120 : 가이드빔
130 : 제1고정빔 140 : 제2고정빔
150 : 수평조절부재
151 : 너트 152 : 잭킹볼트
153 : 헤드
160 : 스토퍼
200 : 수직부재
210 : 수직바
220 : 지지수단
221 : 바퀴 222 : 플랜지
223 : 플레이트 224 : 손잡이
225 : 환봉 226 : 지지볼트
227 : 바닥플레이트
300 : 인출부재
310 : 걸림고리 320 : 지지빔
330 : 빔박스 331 : 관통구
400 : 슬라이드부재
410 : 바디 420 : 끼움홈
430 : 롤러베어링 440 : 축
450 : 사이드판
500 : 보강재
600 : 냉각기
610 : 탭
700 : 인출선
800 : 격납공간
810 : 단턱 820 : 걸림턱

Claims (5)

  1. 외측 일면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구비되며, 상호 마주보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을 평행하게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빔의 전면부에 위치한 제1고정빔과 상기 가이드빔 내부에 위치한 제2고정빔으로 구성되는 수평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과 상기 제1·2고정빔이 결합된 네 개의 모서리 하면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지지수단이 구비된 네 개의 수직부재;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연장되는 인출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및
    돌출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 후면부의 하면에서 지면과 수직하게 체결되어 수평조절과 지지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킹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단에서 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끼움홈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게 구비된 바디;
    상기 끼움홈의 일측과 타측면에 결합된 사이드판; 및
    상기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제1고정빔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지면에 수직한 관통구가 구비된 빔박스;
    상기 빔박스의 관통구에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제1고정빔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측이 상향으로 직각 굴절되어서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수직바 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가능한 바퀴;
    상기 수직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상응하고,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플랜지와 바닥플레이트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KR1020080071114A 2008-07-22 2008-07-22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KR10097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14A KR100974113B1 (ko) 2008-07-22 2008-07-22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14A KR100974113B1 (ko) 2008-07-22 2008-07-22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25A true KR20100010225A (ko) 2010-02-01
KR100974113B1 KR100974113B1 (ko) 2010-08-04

Family

ID=4208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114A KR100974113B1 (ko) 2008-07-22 2008-07-22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01B1 (ko) * 2010-12-02 2015-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터 지지 기구를 갖춘 반송 로봇 시스템
KR20180075007A (ko) * 2016-12-26 2018-07-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동기 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81Y1 (ko) 2011-07-01 2013-06-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용 수소가스 쿨러 인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179B2 (ja) * 1999-09-27 2001-05-21 東洋ガラス株式会社 バルク包装容器の取り出し装置
KR200195224Y1 (ko) 2000-03-09 2000-09-01 유니셈주식회사 수동대차 시스템
DE10016548A1 (de) * 2000-04-03 2001-10-11 Bayer Ag Polyurethan-Dispersionen
JP2001278057A (ja) 2000-04-04 2001-10-10 Toda Constr Co Ltd 移動式荷取台装置
JP2003116640A (ja) 2001-10-18 2003-04-22 Uchie Kk 移動式簡易テーブ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01B1 (ko) * 2010-12-02 2015-0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터 지지 기구를 갖춘 반송 로봇 시스템
KR20180075007A (ko) * 2016-12-26 2018-07-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동기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113B1 (ko)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113B1 (ko) 발전기용 냉각기 인출장치
US103849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equipment parts from a platform of a wind turbine generator, and method for filling a fuel tank on said platform
CN110323680A (zh) 一种便于维修的配电柜
US9896308B2 (en) Electric hydraulic catalyst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20150086190A (ko) 로터 피봇 시스템
KR101705476B1 (ko) 원자로 보수 장치의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1440219B1 (ko) 보일러 하부커버 취외장치
CN209799316U (zh) 一种安全型建筑施工用脚手架
CN108190188B (zh) 一种用于格架运输与翻转的装置
CN205724576U (zh) 变频器模块更换工装
KR101185663B1 (ko) 내부 장치물의 수납 관리가 용이한 배전반
US20220331895A1 (en) Method for cutting tensioned tensioning members of a concrete tower, cutting device for cutting tensioned tensioning members of a concrete tower, and use of a cutting device
CN203755796U (zh) 电力施工安全防护栏
CN110359760B (zh) 一种安措杆及使用方法
KR102319647B1 (ko) 주급수 승압 펌프의 분해 점검 전용 지그 장치
JP6422309B2 (ja) 燃料貯蔵設備及び保護構造
KR102334708B1 (ko) 단축 제매기용 인양장치
KR20210061797A (ko) 불산가스 배관 제작 공정용 폴리에틸렌관 삽입장치
CN214518313U (zh) 一种切管机的辅助落料架
CN205303959U (zh) 一种导轨式箱式变电站
JP2011080668A (ja) ボイラ火炉内作業用足場構造
JP6920109B2 (ja) 耐震補強方法
CN108709546A (zh) 乏燃料水池扩容用高密格架的安装和垂直度检测方法
CN205557479U (zh) 一种移动升降式不锈钢检修平台
CN213341197U (zh) 一种电力设备的预埋式电力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