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122A -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122A
KR20100010122A KR1020080070974A KR20080070974A KR20100010122A KR 20100010122 A KR20100010122 A KR 20100010122A KR 1020080070974 A KR1020080070974 A KR 1020080070974A KR 20080070974 A KR20080070974 A KR 20080070974A KR 20100010122 A KR20100010122 A KR 20100010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welded
water tank
inner cylin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092B1 (ko
Inventor
우영배
Original Assignee
우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배 filed Critical 우영배
Priority to KR102008007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0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측판의 구조를 보강하고 콘크리트 타설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는 상판(10)과 하판(20) 및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용접되고 원통형태로 되며 내통(33)과 외통(38)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되며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보강파이프(34,35)로 보강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측판(3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물탱크 측판을 보강파이프로 보강하고 별도의 거푸집과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필요없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판을 형성함으로써 물탱크 제작이 용이하며, 보강파이프의 보강에 의해 내통 및 외통이 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판을 형성함으로써 물탱크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탱크, 측판, 보강, 파이프, 용접, 플랜지

Description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Underground Laying Water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측판의 구조를 보강하고 콘크리트 타설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는 금속재로 되며 내부에 저수실이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원통형태의 측판이 구비된다.
종래 물탱크의 측판은 단순히 금속재의 벽체를 원통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시 그 버팀력이나 보강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의 측판 상하부에 각각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를 서로 용접하도록 하여 보강한 바 있다.
상기 물탱크의 측판은 절곡공정을 거쳐 플랜지를 형성한 다음 다시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플랜지를 벤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절곡 및 벤딩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공수가 많고 플랜지를 벤딩하는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물탱크는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지상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설치장소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므로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탱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물탱크를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토압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물탱크의 변형이 발생되므로 수명이 단축되므로 일반적인 물탱크를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물탱크를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탱크의 보강구조를 반드시 필요로 하며, 이러한 보강구조를 갖는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 측판을 보강함으로써 지하에 매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강도를 개선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공수를 줄이도록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매설용 물탱크는 외측에 플랜지(11)(21)가 각각 형성된 상·하판(10,20); 물탱크의 측면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되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내통(33)과,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을 둘러싸서 상기 내통(33)에 용접되어 상기 내통(33)의 변형을 보강하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내측 보강파이프(34)와,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용접되며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외측 보강파이프(35)와, 상기 외측 보강파이 프(35)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에 의해 변형이 보강되고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되는 외통(38)과, 상기 내통(33)과 상기 외통(38)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39)로 이루어지며, 지하에 매설되는 측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33)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1)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1)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2)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통(38)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6)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6)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7)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 원통(32)의 상하로 용접된 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외통(38)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은 a) 물탱크가 매설될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 b) 굴착된 하부면에 기초(1)를 시공하는 단계; c) 시공된 기초(1)의 상부에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하판(20)을 설치하는 단계; d) 설치된 상기 하판(20)의 상기 플랜지(21) 상부에 원통형으로 된 내통(33)의 하부를 용접하는 단계; e)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용접된 상기 내통(33)을 둘러싸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내측 보강파이프(34)를 용접된 내통(33)의 외측에 용접하는 단계; f)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외측 보강파이프(35)를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용접하는 단계; g) 원통형으로 된 외통(38)의 내측과 하부를 용접된 외측 보강파이프(35)와 하판(20)의 플랜지(21)에 각각 용접하는 단계; h) 내통(33)과 외통(38)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i) 내통(33)과 외통(38)의 상부를 각각 상판(10)의 플랜지(11)에 용접하는 단계; j) 외통(38)의 외부에 토사를 되메우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g) 단계와 h) 단계 사이에 내통(33)의 내부에 물을 채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탱크 측판을 보강파이프로 보강하고 별도의 거푸집과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필요없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판을 형성함으로써 물탱크 제작이 용이하며, 보강파이프의 보강에 의해 내통 및 외통이 토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판을 형성함으로써 물탱크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형성된 내통과 외통을 보강파이프로 보강시 용접부위를 보강함으로써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누수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물탱크 측판과는 달리 플랜지를 형성하는 절곡공정이 필요없고, 플레이트의 벤딩공정이 필요없으며, 가공이 용이한 보강파이프의 벤딩공정 및 용접공정만 필요 로 하므로 공수가 적고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물탱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측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100)는 상판(10)과 하판(20) 및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용접되고 원통형태로 되며 내통(33)과 외통(38)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로 되며 토압에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보강파이프(34,35)로 보강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측판(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100)는 일반적인 물탱크와 마찬가지로 상판(10)과 하판(20) 및 측판(30)으로 이루어지나, 측판(30)의 구조가 다르다.
상기 상판(10)은 측판(30)의 상부에 용접되고, 부채꼴로 된 다수개의 판을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20)은 측판(30)의 하부에 용접되고, 부채꼴로 된 다수개의 판을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에는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배관부재 부분이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 또한, 물탱크(100)의 내부구조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제10-0757496호(발명의 명칭: 정 수처리장치가 구비된 물탱크)에 개시된 물탱크의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은 측판(30)과 용접되도록 하는 외측에 플랜지(11)(2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측판(3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내통(33)과, 상기 내통(33)을 둘러싸서 상기 내통(33)에 용접되는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용접되는 외측 보강파이프(35)와,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의 외측에 용접되는 외통(38)과, 상기 내통(33)과 상기 외통(38)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39)로 이루어지며, 지하에 매설되게 된다.
상기 내통(33)과 외통(38)은 물탱크의 측면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된다.
상기 내통(33)은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한다.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을 둘러싸서 상기 내통(33)에 용접되어 상기 내통(33)의 변형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된다.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에 필렛 용접된다.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긴 파이프를 라운드지게 벤딩하여 상기 내통(33)을 둘러싸서 상기 내통(33)에 용접한 후에 파이프의 단부를 맞대기 용접할 수도 있고, 라운드지게 벤딩한 다수개의 파이프를 맞대기 용접하여 길게 형성하여 상기 내통(33)을 둘러서 용접할 수 있다. 즉, 내측 보강파이프(34)가 하나의 긴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의 파이프를 맞대기 용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탱크가 대형인 경우에 상기 내통(33)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1)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1)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2)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 원통(32)의 상하로 용접된 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통(33) 형성시 절곡공정을 거쳐 플랜지를 형성한 후에 벤딩하여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플레이트(31)를 절곡하지 않고 용접하여 원통(32)을 형성한 후에 라운드지게 벤딩한 내측 보강파이프(34)로 둘러서 용접하게 되므로 공수가 줄고, 플랜지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벤딩하지 않고 내측 보강파이프(34)를 벤딩하게 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한줄로 구비될 수 있으며(도 2 참조), 두줄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가 두줄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 외주연의 접하는 부위가 서로 맞대기 용접되고 상부에 위치한 원통(32)과 하부에 위치한 원통(3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 위치한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부에 위치한 원통(32)과 필렛 용접되며, 하부에 위치한 보강파이프(34)는 하부에 위치한 원통(32)과 필렛 용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통(33)의 상단과 하단에는 내측 보강파이프(34)가 상기 내통(33)과 상기 상판(10) 및 하판(20)과 각각 필렛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는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용접된다. 이때, 외측 보강파이프(35)는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개로 된다.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는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에 필렛용접되게 된다.
상기 외통(38)은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에 의해 변형이 보강되고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된다.
이때, 물탱크가 대형인 경우에 상기 외통(38)은 상기 내통(33)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플레이트(36)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6)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7)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외통(38)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파이프(34,35)가 내통(33)과 외통(38)의 용접부위를 보강하고 내통(33)과 외통(38)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견고한 물탱크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누수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부(39)는 상기 내통(33)과 상기 외통(38) 사이에 타설되어 양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지하매설용 물탱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게 된다.
먼저, 물탱크가 매설될 지면을 굴착하고, 굴착된 하부면에 기초(1)를 시공한다(도 4a). 이때, 기초(1) 시공은 잡석을 채우고 다지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시공된 기초(1)의 상부에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하판(20)을 설치한다(도 4b).
설치된 상기 하판(20)의 상기 플랜지(21) 상부에 원통형으로 된 내통(33)의 하부를 용접하고,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용접된 상기 내통(33)을 둘러싸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내측 보강파이프(34)를 용접된 내통(33)의 외측에 용접한다.
이때, 물탱크가 대형인 경우에는 상기 내통(33)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1)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1)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도 4c)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2)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도 4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e).
용접된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외측 보강파이프(35)를 용접한다(도 4f).
원통형으로 된 외통(38)의 내측과 하부를 용접된 외측 보강파이프(35)와 하 판(20)의 플랜지(21)에 각각 용접한다.
이때, 물탱크가 대형인 경우에는 상기 외통(38)은 상기 내통(33)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플레이트(36)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6)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7)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g). 이 경우,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외통(38)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통(33)과 외통(38)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부(39)를 형성함으로써 측판(30)을 완성한다(도 4h). 콘크리트 타설은 바로 실시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한 상기 내통(33)이 내부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통(33)의 내부에 물을 채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내통(33)과 외통(38) 사이에 보강파이프를 격자형태로 용접하여 보강하고 바로 타설하여 측판(30)을 형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거푸집과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필요없이 측판을 형성하게 되어 물탱크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측판(30) 완성 후 내통(33)과 외통(38)의 상부를 각각 상판(10)의 플랜지(11)에 용접한다(도 4i).
외통(38)의 외부에 토사를 되메워(도 4j) 물탱크(100)의 매설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 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측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용 물탱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판 20: 하판
11,21: 플랜지 30: 측판
33: 내통 34: 내측 보강파이프
35: 외측 보강파이프 31,36: 플레이트
32,37: 원통 38: 외통
39: 콘크리트부 100: 물탱크

Claims (9)

  1. 외측에 플랜지(11)(21)가 각각 형성된 상·하판(10,20);
    물탱크의 측면을 이루는 원통형태로 되되,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내통(33)과,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을 둘러싸서 상기 내통(33)에 용접되어 상기 내통(33)의 변형을 보강하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내측 보강파이프(34)와,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용접되며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외측 보강파이프(35)와,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의 외측에 용접되어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5)에 의해 변형이 보강되고 상부 및 하부가 상기 상·하판(10,20)의 플랜지(11)(21)에 각각 용접되는 외통(38)과,
    상기 내통(33)과 상기 외통(38)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부(39)로 이루어지며, 지하에 매설되는 측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3)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1)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1)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2)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통(38)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6)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6)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7)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 원통(32)의 상하로 용접된 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외통(38)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5. a) 물탱크가 매설될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
    b) 굴착된 하부면에 기초(1)를 시공하는 단계;
    c) 시공된 기초(1)의 상부에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하판(20)을 설치하는 단계;
    d) 설치된 상기 하판(20)의 상기 플랜지(21) 상부에 원통형으로 된 내통(33)의 하부를 용접하는 단계;
    e) 벤딩에 의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용접된 상기 내통(33)을 둘러싸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내측 보강파이프(34)를 용접된 내통(33)의 외측에 용접하는 단계;
    f) 단면이 사각으로 되고 상기 내통(33)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통(33)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와 직각되게 설치되고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외측 보강파이프(35)를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의 외측에 용접하는 단계;
    g) 원통형으로 된 외통(38)의 내측과 하부를 용접된 외측 보강파이프(35)와 하판(20)의 플랜지(21)에 각각 용접하는 단계;
    h) 내통(33)과 외통(38)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
    i) 내통(33)과 외통(38)의 상부를 각각 상판(10)의 플랜지(11)에 용접하는 단계;
    j) 외통(38)의 외부에 토사를 되메우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3)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1)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1)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2)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통(38)은 다수개의 플레이트(36)의 좌우측 단부 부위를 인접한 플레이트(36)와 맞대기 또는 겹치기 용접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37)을 상하로 맞대기 용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내통(33)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2)의 상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강파이프(34)는 상기 외통(38)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에 용접되어 상기 원통(37)의 플레이트(36) 좌우측 단부의 용접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 단계와 h) 단계 사이에 내통(33)의 내부에 물을 채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용 물탱크 시공방법.
KR1020080070974A 2008-07-22 2008-07-22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74A KR100976092B1 (ko) 2008-07-22 2008-07-22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74A KR100976092B1 (ko) 2008-07-22 2008-07-22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22A true KR20100010122A (ko) 2010-02-01
KR100976092B1 KR100976092B1 (ko) 2010-08-16

Family

ID=4208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974A KR100976092B1 (ko) 2008-07-22 2008-07-22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46B1 (ko) * 2013-09-10 2014-04-10 주식회사 젠트로 액체저장탱크
CN111215847A (zh) * 2019-11-27 2020-06-02 山东涵轲尔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水泥仓的加工工艺
CN111422517A (zh) * 2020-04-10 2020-07-17 潘勇 一种海上石油储存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667Y2 (ko) 1987-02-27 1993-05-28
KR100570303B1 (ko) 2004-08-18 2006-04-12 영광기제주식회사 대용량 물탱크
KR200392292Y1 (ko) 2005-05-27 2005-08-19 우영배 물탱크의 조립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46B1 (ko) * 2013-09-10 2014-04-10 주식회사 젠트로 액체저장탱크
CN111215847A (zh) * 2019-11-27 2020-06-02 山东涵轲尔建设机械有限公司 一种水泥仓的加工工艺
CN111422517A (zh) * 2020-04-10 2020-07-17 潘勇 一种海上石油储存罐
CN111422517B (zh) * 2020-04-10 2021-11-26 江苏微纳光膜科技有限公司 一种海上石油储存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092B1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1042185B (zh) 一种带塔吊基础的地下室筏板基础施工方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563617B1 (ko) 조립식 교각 구조물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JP5041223B2 (ja) 既存構造物基礎の補強工法および補強構造
KR100976092B1 (ko)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JP3888174B2 (ja) 仮締切工法
KR101440392B1 (ko) 벤트형 교대 및 교각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203821381U (zh) 矩形预应力灌注桩
KR101061238B1 (ko)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6584979B2 (ja) 地下タンク構造の構築方法、地下タンク構造
JP6475554B2 (ja) 立坑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式貯槽の構築方法
KR101845870B1 (ko) 중공 내부의 강관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TWI658193B (zh) 半地下式避難所之建造工法
JP6924682B2 (ja) 杭頭免震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10150818A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及び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
KR200324563Y1 (ko) 조립식 교각 구조물
JP2021143576A (ja) 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セグメント
KR101318301B1 (ko) 지하구조물용 프레임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지하구조물구축방법
CN220203894U (zh) 一种钢波纹管竖井结构
KR20200005841A (ko) 탑다운 공법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 방법
CN211446570U (zh) 一种桥台结构
CN220057991U (zh) 一种用于新建基坑与现状箱涵交汇结合处的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