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46B1 - 액체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액체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146B1
KR101384146B1 KR1020130108286A KR20130108286A KR101384146B1 KR 101384146 B1 KR101384146 B1 KR 101384146B1 KR 1020130108286 A KR1020130108286 A KR 1020130108286A KR 20130108286 A KR20130108286 A KR 20130108286A KR 101384146 B1 KR101384146 B1 KR 10138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liquid storage
members
side wall
horizonta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13010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65D90/024Modular panels with features of cylindrica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저장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체저장탱크는 액체가 저장되며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부;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수평보강부재; 및 상기 수평보강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보강부재에 연결되는 수직보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강부재는 링형상이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저장탱크{LIQUID STORAGE TANK}
본 발명은 음용수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부재를 저장공간에 구비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수직보강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보강부재에 의해서 외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액체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액체저장탱크는 음용수 등의 액체가 공급되어 저장된 후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체저장탱크는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측벽부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벽부에는 저장공간에 액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덮개부에는 정비나 청소를 위해서 작업자가 저장공간에 들어갈 때 사용하는 맨홀과 저장공간에 저장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구가 구비된다.
종래, 액체저장탱크의 저장공간의 단면은 사각형이었다. 즉, 액체저장탱크의 측벽부는 4개의 벽으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액체저장탱크의 저장공간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에 의해서 측벽부에 작용되는 힘이 벽마다 다르게 되고, 같은 벽이라고 하더라도 벽에서의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게 된다. 이에 의해서, 벽과 벽 사이와 같이 취약한 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극단적으로는 이와 같이 취약한 부분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저장공간의 단면이 사각형인 종래 액체저장탱크의 경우에는 저장공간에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도록 하면, 보강부재의 부식 등에 의해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음용수 등의 액체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에 의해서 저장공간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체저장탱크의 위생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저장공간에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도록 해야만 하기 때문에, 액체저장탱크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제조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체저장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저장공간에 별도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액체의 압력을 견디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보강부재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저장공간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액체저장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부재를 저장공간에 구비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수직보강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보강부재에 의해서 외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액체저장탱크는 액체가 저장되며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측벽부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부;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측벽부를 지지하도록 측벽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수평보강부재; 및 수평보강부재를 지지하도록 수평보강부재에 연결되는 수직보강부재; 를 포함하며, 수평보강부재는 링형상이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간격은 측벽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폐곡선은 원 또는 타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 및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부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분부재는 폴리에틸렌 더블 프레임(PDF; Poly Ethylene Double Frame)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는 평판인 제1부재; 및 제1부재에 적층되며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제2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나 덮개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는 평판인 제1부재; 제1부재에 적층되며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제2부재; 및 제2부재에 적층되며 평판인 제3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는 밀봉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복수개의 부분부재를 둘러싸는 외장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는 복수개의 부분부재를 둘러싸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복수개이며 외장부재가 복수개의 수직보강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는 칼라강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는 내측부재와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와 외측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는 강판이고, 충진부재는 스티로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외장부재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재는 칼라강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부재는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밀봉재가 삽입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수평보강부재는 아크형상인 복수개의 아크부재; 및 복수개의 아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 중 제일 아래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보강부재 아래에는 내측보강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부재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 중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에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 또는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 아래에 연결된 수평보강부재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기초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는 기초부재에 구비되는 밀봉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에틸렌(PE:Poly Ethylene) 시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저장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의 단면이 폐곡선이 되도록 하여 별도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보강부재에 의해서 액체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고 저장공간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어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측벽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바닥부나 덮개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2실시예의 도1에서의 A-A'선과 같은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3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4실시예의 도1의 A-A'선과 같은 선에 따른 단면도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5실시예의 도1의 A-A'선과 같은 선에 따른 단면도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를 만드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액체저장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부재를 저장공간에 구비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수직보강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수평보강부재에 의해서 외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평단면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측벽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1실시예의 바닥부나 덮개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 바닥부(300) 덮개부(400), 수평보강부재(500) 및, 수직보강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
측벽부(200)는 액체가 저장되며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C)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C)의 단면이 폐곡선이기 때문에 측벽부(200)에 저장되는 액체의 압력이 측벽부(200)에 비교적 고르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C)에 별도의 보강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C)에 별도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보강부재의 부식 등에 의해서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고, 저장공간(C)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액체저장탱크(100)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공간(C)에 별도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액체저장탱크(100)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저장공간(C)의 단면이 이루는 폐곡선은 원 또는 타원일 수 있다.
측벽부(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부분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부재(210)는 폴리에틸렌 더블 프레임(PDF : Poly Ethylene Double Frame)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저장탱크(100)의 측벽부(200)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2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210)는 제1부재(211)와, 제2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11)는 평판일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12)는 제1부재(211)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부재(212)가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부분부재(21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2부재(21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속으로 이어진 'ㄹ'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부재(212)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부분부재(210)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부재(211)를 중심으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곡면을 이룬 복수개의 부분부재(210)가 도2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C)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측벽부(200)를 이룰 수 있다.
측벽부(2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220)는 복수개의 부분부재(210)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부분부재(210)가 이루는 저장공간(C)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부분부재(210) 사이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220)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재(2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는 외장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부재(230)는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분부재(210)를 둘러쌀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장부재(230)는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부분부재(210)의 제2부재(2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부분부재(210)의 제2부재(212)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외장부재(230)는 칼라강판일 수 있다. 그러나, 외장부재(2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부분부재(210)를 둘러싸서 부분부재(210)의 제2부재(212)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바닥부
바닥부(3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바닥부(300)도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부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310)도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210)와 같이 폴리에틸렌 더블 프레임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3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저장탱크(100)의 바닥부(300)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310)는 제1부재(311), 제2부재(312) 및, 제3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311)는 평판일 수 있다. 또한, 제2부재(312)는 제1부재(311)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부재(312)가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부분부재(31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부재(312)는 연속으로 이어진 'ㄹ'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부재(312)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제3부재(313)는 제2부재(312)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평판일 수 있다.
이러한 부분부재(310)는 복수개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부분부재(310)는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가 형성하는 저장공간(C)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잘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의 개방된 하부, 즉 저장공간(C)의 개방된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200)의 개방된 하부, 즉 저장공간(C)의 개방된 하부가 밀폐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바닥부(300)는 밀봉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300)의 밀봉부재(320)는 측벽부(200)의 밀봉부재(220)와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부분부재(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분부재(310) 사이와, 측벽부(200) 및 바닥부(300) 사이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20)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밀봉부재(3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바닥부(300)에는 단열부재(도시되지 않음)도 포함될 수 있다. 단열부재는 부분부재(310)와 밀봉부재(320) 사이나, 부분부재(310)와 후술할 내측보강부재(530) 사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단열부재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닥부(300)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바닥부(300)에 단열부재가 포함되면 저장공간(C)으로부터 바닥부(300)를 통해 외부로의 열전달이나 외부에서 바닥부(300)를 통해 저장공간(C)으로의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외기에 영향받지 않고, 불필요하게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단열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덮개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덮개부(400)는 측벽부(2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덮개부(400)도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부분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4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410)도 측벽부(2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210)나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310)와 같이 폴리에틸렌 더블 프레임일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4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4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저장탱크(100)의 덮개부(400)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덮개부(400)에 포함되는 부분부재(410)는 제1부재(411), 제2부재(412) 및, 제3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411)는 평판일 수 있다. 또한, 제2부재(412)는 제1부재(411)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부재(412)가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기 때문에, 부분부재(41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부재(412)는 연속으로 이어진 'ㄹ'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부재(412)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제3부재(413)는 제2부재(412)에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평판일 수 있다.
이러한 부분부재(410)는 복수개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부분부재(410)는 볼트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200)가 형성하는 저장공간(C)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잘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의 개방된 상부, 즉 저장공간(C)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저장공간(C)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보강부재
수평보강부재(500)는 측벽부(200)를 지지하도록 측벽부(2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평보강부재(500)는 측벽부(200)의 외장부재(2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 등에 의해서 측벽부(200)의 외장부재(230)와 부분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200)가 수평보강부재(5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평보강부재(500)는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평보강부재(500)는 복수개의 아크부재(510)와 연결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부재(510)는 아크, 즉 호(弧)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20)는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아크부재(5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링형상의 수평보강부재(5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링형상의 수평보강부재(500)가 이루어지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링형상의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아크부재(510)는 그 단면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520)의 단면도 이에 대응하여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아크부재(510)의 단면과 이에 대응하는 연결부재(520)의 단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ㅁ'자 형상, 'ㄱ'자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평보강부재(5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D)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보강부재(500)가 서로 이루는 간격(D)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벽부(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로 좁아질 수 있다.
액체저장탱크(100)의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에 의해서 측벽부(200)에 작용하는 압력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기 때문에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보강부재(500)가 서로 이루는 간격(D)이 측벽부(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깊이가 깊어짐에 따른 압력의 증가를 견딜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0) 중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보강부재(530) 아래에는 내측보강부재(5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초부재(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부재(B)는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부재(B)의 상단부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ㄱ'자 형상의 지지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0) 중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보강부재(530)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내측보강부재(53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ㅁ'자 또는 'ㄱ'자 형상 등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작용하는 바닥부(300)가 전술한 내측보강부재(530)와 기초부재(B)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 위에는 다른 수평보강부재(5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측벽부(200)의 하단부가 수평보강부재(5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500) 중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에는 전술한 덮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 아래에 연결된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격자형태로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구비되고, 일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의 위에 이에 교차되도록 다른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수평보강부재(500)에 타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덮개부(400)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C)에 낙하하지 않고, 내측보강부재(530)에 의해서 지지되어 저장공간(C)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 아래에 연결된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술한 내측보강부재(530)는 그 단면이 'ㅁ'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내측보강부재(53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ㄷ'자 또는 'ㄱ'자 형상 등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내측보강부재(530)의 소재는 강(鋼, steel)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측보강부재(530)의 소재가 강일 경우에는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에 의해서 내측보강부재(530)가 부식되지 않도록 내측보강부재(530)에는 부식방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씌위지거나 부식방지제가 도포될 수 있다. 내측보강부재(530)에 씌워지는 부식방지부재나 도포되는 부식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측보강부재(530)에 씌워지거나 도포되어 내측보강부재(5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내측보강부재(530)의 소재는 유리섬유복합소재('GRP'라고도 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보강부재(530)가 유리섬유복합소재인 경우에 내측보강부재(530)는 가벼우면서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내측보강부재(53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작용하는 바닥부(300)를 지지하거나 덮개부(400)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C)에 낙하하지 않고 지지되어 저장공간(C)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수평보강부재(500)의 소재는 강(鋼, steel)일 수 있다. 그러나, 수평보강부재(5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금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수직보강부재
수직보강부재(600)는 수평보강부재(5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보강부재(600)는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서 수평보강부재(5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직보강부재(600)는 복수개이며 각 수직보강부재(60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앵커볼트 등에 의해서 전술한 기초부재(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보강부재(600)가 수평보강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다.
수직보강부재(600)는 그 단면이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수직보강부재(600)의 단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ㅁ'자 형상, 'ㄱ'자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수직보강부재(600)의 소재는 수평보강부재(500)와 같이 강(鋼, steel)일 수 있다. 그러나, 수직보강부재(6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금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2실시예의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의 바닥부(300)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기초부재(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부재(B)가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액체저장탱크(100)의 제1실시예의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분부재(310)를 대체하여 복수개의 부분부재(310)의 역할까지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저장공간(C)에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바닥부(300)의 기초부재(B)에 바로 작용하여 기초부재(B)가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바닥부(300)를 지지하도록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보강부재(530)가 없어도 된다. 또한,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가 측벽부(200)의 하단부를 바로 지지하기 때문에, 다른 수평보강부재(500)가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에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의 바닥부(300)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300)의 밀봉부재(320)는 측벽부(200)의 밀봉부재(220)와 연결되도록 기초부재(B)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측벽부(200)와 바닥부(300) 사이로 누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320)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닥부(300)에 포함되는 밀봉부재(3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500) 아래에 연결된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수평보강부재(500)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방향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의 위에 이에 교차되도록 다른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530)가 수평보강부재(500)에 타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내측보강부재(530)가 격자형태로 수평보강부재(5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3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3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3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3실시예의 측벽부(200)는 단열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2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부분부재(210)를 둘러쌀 수 있다. 즉,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도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액체저장탱크(100)의 측벽부(200)의 외장부재(230)가 구비되는 위치에 외장부재(230) 대신에 단열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저장탱크(100)의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 또는 외부로부터 액체저장탱크(100)의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외기에 영향받지 않고, 불필요하게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여름에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고, 겨울에 저장공간(C)에 저장된 액체가 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열부재(240)가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부분부재(210)의 제2부재(212)를 둘러싸기 때문에 단열부재(240)와 제2부재(21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효과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단열부재(24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면 예컨대 스티로폼 등과 같이 단열가능한 합성수지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장부재(230)가 복수개의 수직보강부재(60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장부재(230)에 의해서 측벽부(200) 뿐만 아니라 수평보강부재(500) 및 수직보강부재(600)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즉 가려질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저장탱크(100)의 외관이 더 미려해질 수 있다.
외장부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강판일 수 있다. 그러나, 외장부재(2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수직보강부재(600)를 둘러싸서 측벽부(200) 뿐만 아니라 수평보강부재(500) 및 수직보강부재(600)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외장부재(23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부재(230)를 지지하기 위해서 링형상의 보강밴드부재가 외측에 둘러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보강밴드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장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4실시예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4실시예의 도1의 A-A'선과 같은 선에 따른 단면도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4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4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4실시예의 덮개부(400)는 외장부재(420)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장부재(420)는 볼트 등에 의해서 수평보강부재(5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외장부재(420)가 덮개부(400)를 덮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외장부재(420)는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단부가 서로 겹치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장부재(420)의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리벳,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단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재(4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외장부재(420)의 단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을 통해 덮개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400)를 덮는 외장부재(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강판일 수 있다. 그러나, 외장부재(4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5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5실시예의 도1의 A-A'선과 같은 선에 따른 단면도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5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5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가능하다.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5실시예의 덮개부(400)는 내측부재(430)와 외측부재(440) 및 충진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재(430)와 외측부재(440)는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진부재(450)는 내측부재(430)와 외측부재(4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내측부재(430)와 외측부재(440)는 강판일 수 있다. 그리고, 충진부재(450)는 스티로폼일 수 있다. 그러나, 내측부재(430)와 외측부재(440) 및 충진부재(45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덮개부(400)를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충진부재(450)가 스티로폼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는 실내가 아닌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저장탱크(100)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덮개부(400)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400)가 경사지게 하면,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경사진 덮개부(400)를 따라 덮개부(400)의 일측 가장자리로 흘러서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400)에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고여있지 않을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가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을 수 있고 덮개부(400)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장탱크(1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구획벽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벽부(700)는 측벽부(200) 내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저장탱크(100)의 저장공간(C)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획벽부(700)에 의해서 저장공간(C)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면, 별도로 다른 액체저장탱크(100)를 두지 않아도, 구획벽부(700)에 의해서 구획된 저장공간(C)의 일부의 공간에는 예비적으로 액체를 저장하고 나머지 공간에는 사용을 위해서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구획벽부(700)에 의해서 구획된 저장공간(C)의 일부의 공간을 청소하거나 정비하는 동안 나머지 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획벽부(700)의 구성은 전술한 측벽부(200)의 구성과 같을 수 있다. 즉, 구획벽부(700)도 측벽부(200)와 같이 복수개의 부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벽부(700)는 전술한 측벽부(200)를 지지하는 수평보강부재(500)에 의해서 지지될 수도 있으며, 다른 수평보강부재 또는 별도의 보강부재에 의해서 지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구획벽부(7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측벽부(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공간(C)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액체저장탱크의 제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1실시예의 제조에 대하여 도12 내지 도16을 참조로 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초부재(B)를 액체저장탱크(100)의 설치장소에 설치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며 하나에는 내측보강부재(530)가 구비된 2개의 수평보강부재(500)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B)에 설치한다.
이후,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재(B)에 수직보강부재(600)를 설치하고, 도13에 도시된 2개의 수평보강부재(500)와 함께 다른 수평보강부재(500)를 서로 소정 간격(D) 이격되게 수직보강부재(600)에 연결한다.
그리고, 내측보강부재(530) 위에 바닥부(300)를 설치하고, 외장부재(230)와 복수개의 부분부재(210) 및 밀봉부재(220)를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보강부재(500)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차례로 설치한다.
이후,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수평보강부재(500)에 내측보강부재(530)를 설치하고 덮개부(400)를 제일 위에 위치한 수평보강부재(500)에 설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100)의 제1실시예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I'는 저장공간(C)에 액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이고, 'O'는 저장공간(C)으로부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이며, 'M'은 정비나 청소를 위해서 작업자가 저장공간(C)에 들어갈 때 사용하는 맨홀이고, 'V'는 저장공간(C)에 저장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벤트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탱크를 사용하면, 별도의 보강부재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아도 저장된 액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으며, 별도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보강부재에 의해서 액체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고 저장공간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어서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별도의 보강부재가 저장공간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할 수 있고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액체저장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액체저장탱크 200 : 측벽부
210,310,410 : 부분부재 211,311,411 : 제1부재
212,312,412 : 제2부재 220,320 : 밀봉부재
230,420 : 외장부재 240 : 단열부재
300 : 바닥부 313,413 : 제3부재
400 : 덮개부 421 : 밀봉재
430 : 내측부재 440 : 외측부재
450 : 충진부재 500 : 수평보강부재
510 : 아크부재 520 : 연결부재
530 : 내측보강부재 600 : 수직보강부재
700 : 구획벽부 C : 저장공간
D : 간격 B : 기초부재
S : 지지부재 I : 유입구
O : 배출구 M : 맨홀
V : 벤트구

Claims (30)

  1. 액체가 저장되며 단면이 폐곡선인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부;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
    상기 측벽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수평보강부재; 및
    상기 수평보강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보강부재에 연결되는 수직보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보강부재는 링형상이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액체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원 또는 타원인 액체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 및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부분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부재는 폴리에틸렌 더블 프레임(PDF; Poly Ethylene Double Frame) 패널인 액체저장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는
    평판인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에 적층되며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제2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나 덮개부에 포함되는 부분부재는
    평판인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적층되며 주기적으로 굴곡진 단면을 가지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적층되며 평판인 제3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바닥부는 밀봉부재; 를 더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시트인 액체저장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복수개의 부분부재를 둘러싸는 외장부재; 를 더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복수개의 부분부재를 둘러싸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복수개이며 외장부재가 상기 복수개의 수직보강부재를 둘러싸는 액체저장탱크.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칼라강판인 액체저장탱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는 내측부재와 외측부재; 및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충진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는 강판이고, 상기 충진부재는 스티로폼인 액체저장탱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외장부재에 의해서 덮이는 액체저장탱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칼라강판인 액체저장탱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재는 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연결되는 복수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액체저장탱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밀봉재가 삽입되는 액체저장탱크.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부재는
    아크형상인 복수개의 아크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아크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 중 제일 아래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가 구비되는 액체저장탱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재 아래에는 상기 내측보강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기초부재가 구비되는 액체저장탱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보강부재 중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에는 상기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 또는 상기 제일 위에 위치하는 수평보강부재 아래에 연결된 수평보강부재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내측보강부재가 서로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액체저장탱크.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기초부재; 를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기초부재에 구비되는 밀봉부재; 를 더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에틸렌(PE:Poly Ethylene) 시트인 액체저장탱크.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내부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부; 를 더 포함하는 액체저장탱크.
KR1020130108286A 2013-09-10 2013-09-10 액체저장탱크 KR10138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86A KR101384146B1 (ko) 2013-09-10 2013-09-10 액체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86A KR101384146B1 (ko) 2013-09-10 2013-09-10 액체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146B1 true KR101384146B1 (ko) 2014-04-10

Family

ID=5065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86A KR101384146B1 (ko) 2013-09-10 2013-09-10 액체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1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7B1 (ko) *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KR102136965B1 (ko) * 2020-02-24 2020-07-23 한삼코라(주) 수로형 물 고임 방지 저수조
KR20210080882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KR20220036510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폼 탱크시스템
KR20230055563A (ko) * 2021-10-19 2023-04-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동파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568U (ko) * 1996-09-18 1998-06-25 변무원 합성수지재 대형수조
KR100352388B1 (ko) * 2000-08-03 2002-09-11 변무원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KR20100010122A (ko) * 2008-07-22 2010-02-01 우영배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9976B1 (ko) * 2010-05-24 2011-04-20 주식회사 젠트로 패널 조립형 물 탱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568U (ko) * 1996-09-18 1998-06-25 변무원 합성수지재 대형수조
KR100352388B1 (ko) * 2000-08-03 2002-09-11 변무원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KR20100010122A (ko) * 2008-07-22 2010-02-01 우영배 지하매설용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9976B1 (ko) * 2010-05-24 2011-04-20 주식회사 젠트로 패널 조립형 물 탱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7B1 (ko) * 2019-11-21 2020-01-28 이수행 다중탱크
KR20210080882A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KR102280413B1 (ko) * 2019-12-23 2021-07-23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
KR102136965B1 (ko) * 2020-02-24 2020-07-23 한삼코라(주) 수로형 물 고임 방지 저수조
KR20220036510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폼 탱크시스템
KR102456081B1 (ko) * 2020-09-16 2022-10-19 주식회사 엔케이 폼 탱크시스템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폼 탱크시스템
KR20230055563A (ko) * 2021-10-19 2023-04-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동파방지장치
KR102669550B1 (ko) * 2021-10-19 2024-05-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동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146B1 (ko) 액체저장탱크
RU2014112235A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опор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20120086315A (ko) 다각형 lng 용기
RU151544U1 (ru) Колодец кабельны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1158033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복합 물탱크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KR101204897B1 (ko) Sts 보온일체형 물탱크
CA2942865C (en) Heat insulated tank
US20020144861A1 (en) Soundproofing element and soundproofing wall
BG110904A (bg) Метод за антикорозионна защита на стоманени резервоари и стоманени резервоари, защитени от корозия
KR101468718B1 (ko) 물탱크 조립체
KR200466424Y1 (ko) 물탱크
CN211450336U (zh) 大型低温液体储罐及其排液管结构
ES2544849T3 (es) Refugio rígido para material técnico
RU2526870C1 (ru)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ая герметичная стенка емкости из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EP3241955B1 (en) Wall structure
KR101026135B1 (ko) 밑판 보강구조를 갖는 원통형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107622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노즐 구조
EP2409936B1 (en) Water tank,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tank and its use
RU2219117C2 (ru) Понтон
KR20180131947A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200479748Y1 (ko) 보강플랜지를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EP3124714B1 (en) Light transmitting roof panel
KR200379269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