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935U -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935U
KR20100009935U KR2020090003756U KR20090003756U KR20100009935U KR 20100009935 U KR20100009935 U KR 20100009935U KR 2020090003756 U KR2020090003756 U KR 2020090003756U KR 20090003756 U KR20090003756 U KR 20090003756U KR 20100009935 U KR20100009935 U KR 20100009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pipe
open
drai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표
Original Assignee
홍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표 filed Critical 홍기표
Priority to KR2020090003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935U/ko
Publication of KR20100009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9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후면 상부 영역에 제 1 오버플로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 1 배수공을 갖는 제 1 배수관과, 표면에 제 1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오버플로파이프에서 돌출된 제 1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 1 후레쉬밸브와, 상기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1 핸들로 이루어진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공의 위치보다 일정간격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공을 갖고 상기 제 1 배수관의 일 측면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후면 상부 영역에 제 2 오버플로파이프가 연결된 제 2 배수관과; 표면에 제 2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2 오버플로파이프의 제 2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배수공을 개폐하는 제 2 후레쉬밸브와; 상기 제 2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대, 소변에 따라 사용자가 수조에 설치된 각각의 핸들을 선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수공 및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막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양변기, 배수량 조절, 배수량 조절장치

Description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displacement regulating appalatus of toilets bowls}
본 고안은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 소변에 따라 사용자가 수조에 설치된 각각의 핸들을 선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수공 및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막아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대, 소변을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는, 후면 상부 영역에 오버플로파이프가 연결되며 배수공을 갖는 배수관과, 표면에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부재가 상기 오버플로파이프의 축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후레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는 핸들이 양변기의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양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핸들을 조작하면 수조내부에 장치된 후레쉬밸브의 작동으로 소변과 대변의 구분 없이 수조에 충 만된 세척수의 전부가 배수공 및 배수관을 통해 양변기 내부로 배수시켜 용변을 제거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수조에는 다시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어 담수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 배수량 조절장치는, 양변기 사용시 대, 소변의 구분 없이 수조에 담수된 일정량 세척수 전부를 배수함에 따라서 많은 량의 세척수가 요구되지 않는 소변에 대하여도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세척수를 배출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세척수를 낭비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 소변 구분용 배수량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일부에서 적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한결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제조시 제조비용이 상승 요인이 될 뿐 아니라 고장이 잦아 수리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배수장치 일 측에 별도의 배수장치를 설치하되 기존의 배수장치에 마련되어 배수공을 개폐하는 후레쉬밸브의 높이로부터 일정간격 높은 위치에 배수공을 갖는 후레쉬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후레쉬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핸들을 더 설치함으로써 대, 소변에 따라 사용자가 수조에 설치된 각각의 핸들을 선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수공 및 배수관을 따라 배 수되어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막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후면 상부 영역에 제 1 오버플로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 1 배수공을 갖는 제 1 배수관과, 표면에 제 1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오버플로파이프에서 돌출된 제 1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 1 후레쉬밸브와, 상기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1 핸들로 이루어진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공의 위치보다 일정간격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공을 갖고 상기 제 1 배수관의 일 측면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후면 상부 영역에 제 2 오버플로파이프가 연결된 제 2 배수관과; 표면에 제 2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2 오버플로파이프의 제 2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배수공을 개폐하는 제 2 후레쉬밸브와; 상기 제 2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대, 소변에 따라 사용자가 수조에 설치된 각각의 핸들을 선택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수공 및 배수관을 따라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써 세척수의 낭비를 막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의 분해사시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기존 세척수를 담수하는 수조(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즉, 수조(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후면 상부 영역에 제 1 오버플로파이프(20)가 연결되며 제 1 배수공(21)을 갖는 제 1 배수관(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배수공(21)의 개구에는 표면에 제 1 당김끈(23)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24)가 제 1 오버플로파이프(20)의 제 1 축(25)에 회동가능 지지되어 상기 제 1 배수공(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 1 후레쉬밸브(26)를 마련하고 있으며, 수조(100)의 외면에는 내측에서 제 1 당김끈(23)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후레쉬밸브(26)를 개방하는 제 1 핸들(30)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배수관(22)의 일 측에는 제 1 배수공(21)의 위치보다 일정간격 높은 곳 예컨대, 수조(100)에 담수된 세척수의 전체 높이의 절반 정도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공(40)을 갖고 제 1 배수관(22)의 일 측면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후면 상부 영역에 제 2 오버플로파이프(41)가 연결된 제 2 배수관(42)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배수공(40)의 개구에는 표면에 제 2 당김끈(43)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44)가 제 2 오버플로파이프(41)의 제 2 축(45)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 배수공(40)을 개폐하는 제 2 후레쉬밸브(46)를 마련하고 있으며, 수조(100)의 외부에는 내측에서 제 2 당김끈(43)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후레쉬밸브(46)를 개방하는 제 2 핸들(50)을 설치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수조(100) 내부에 마련되어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밸브 및 상기 공급밸브를 동작시키는 부구는 도시치 않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배수량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대변을 본 상태라면, 사용자가 제 1 핸들(30)을 조작하면 제 1 당김끈(23)이 제 1 후레쉬밸브(26)의 일 측을 들어올려 제 1 배수공(21)을 개방하면 수조(100) 내부에 담수된 세척수는 제 1 배수공(21)과 제 1 배수관(22)을 통해 배수되는 것으로서 대변은 세척되고 따라서 도시치 않은 부구가 수조 내부가 비어 있는 것을 공급밸브(도시치 않음)를 동작시켜 수조(100)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한편, 사용자가 소변을 본 상태 또는 양변기 불필요한 이물질만을 버려 적은 량의 세척수만이 필요한 상태라면, 사용자가 제 2 핸들(50)을 조작하면 제 2 당김끈(43)이 제 2 후레쉬밸브(46)의 일 측을 들어올려 제 2 배수공(40)을 개방하면 수조(100) 내부에 담수된 세척수는 제 2 배수공(40)과 제 2 배수관(42)을 통해 배수되어 소변은 세척되고 수조(100) 내부의 세척수는 예컨대 도 3 에서와 같이 절반이 남게 된다. 이후 도시치 않은 부구가 수조(100) 내부의 세척수가 모자람을 감지하 고 공급밸브(도시치 않음)를 동작시켜 수조(100) 내부에 세척수를 보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제 1 배수관(22)의 일 측에 제 1 배수공(21)의 위치보다 일정간격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공(40)을 갖고 제 1 배수관(22)의 일 측면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후면 상부 영역에 제 2 오버플로파이프(41)가 연결된 제 2 배수관(42)과, 그리고 제 2 배수공(40)의 개구에는 표면에 제 2 당김끈(43)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44)가 제 2 오버플로파이프(41)의 제 2 축(45)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2 배수공(40)을 개폐하는 제 2 후레쉬밸브(46)와, 수조(100)의 외부에 내측에서 제 2 당김끈(43)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후레쉬밸브(46)를 개방하는 제 2 핸들(50)을 설치함으로써 수조(100) 내부에 담수된 세척수의 낭비를 막아 세척수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소변을 본 후 세척수가 배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제 2 오버플로파이프 21 : 제 1 배수공
22 : 제 1 배수관 23 : 제 1 당김끈
24 : 제 1 지지부재 25 : 제 1 축
26 : 제 1 후레쉬밸브 30 : 제 1 핸들
40 : 제 2 배수공 41 : 제 2 오버플로파이프
42 : 제 2 배수관 43 : 제 2 당김끈
44 : 제 2 지지부재 45 : 제 2 축
46 : 제 2 후레쉬밸브 50 : 제 2 핸들

Claims (1)

  1. 후면 상부 영역에 제 1 오버플로파이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 1 배수공을 갖는 제 1 배수관과, 표면에 제 1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오버플로파이프에서 돌출된 제 1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배수공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 1 후레쉬밸브와, 상기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1 핸들로 이루어진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공의 위치보다 일정간격 높은 곳에 위치하는 제 2 배수공을 갖고 상기 제 1 배수관의 일 측면과 통하도록 연결되며 후면 상부 영역에 제 2 오버플로파이프가 연결된 제 2 배수관과;
    표면에 제 2 당김끈의 일단이 설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제 2 오버플로파이프의 제 2 축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2 배수공을 개폐하는 제 2 후레쉬밸브와;
    상기 제 2 당김끈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후레쉬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수조의 외면에 설치된 제 2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20090003756U 2009-04-01 2009-04-01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100009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56U KR20100009935U (ko) 2009-04-01 2009-04-01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756U KR20100009935U (ko) 2009-04-01 2009-04-01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935U true KR20100009935U (ko) 2010-10-11

Family

ID=4420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756U KR20100009935U (ko) 2009-04-01 2009-04-01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5212A1 (ko) * 2014-01-10 2015-07-16 권성수 소음감소수단을 채용한 절수형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623Y1 (ko) 양변기의 저수 및 배출 구조.
KR20060049402A (ko) 양변기의 자동 물 내림 장치
EP3643844A1 (en)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100477981B1 (ko)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KR20100009935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5441015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2214200B1 (ko) 양변기 수조의 가변식 보충수 공급장치
KR101028851B1 (ko) 오수탱크를 장착한 승강트랩이 구비된 양변기
KR100664910B1 (ko)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102084159B1 (ko) 양변기의 가변 트랩 구조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1476620B1 (ko)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200366358Y1 (ko) 변기의 절수구조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43365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13300Y1 (ko) 절수형 양변기 및 레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