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612Y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612Y1
KR200271612Y1 KR2020010039423U KR20010039423U KR200271612Y1 KR 200271612 Y1 KR200271612 Y1 KR 200271612Y1 KR 2020010039423 U KR2020010039423 U KR 2020010039423U KR 20010039423 U KR20010039423 U KR 20010039423U KR 200271612 Y1 KR200271612 Y1 KR 200271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age
lever
bow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한
Original Assignee
김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한 filed Critical 김대한
Priority to KR2020010039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6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612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보울에 담수된 오수를 하향 경사진 배수구를 통해 중력에 의해 배수할 수 있도록, 2차 배수로에 배수트랩을 두어 적은 양의 물로 보울을 수세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바닥에 급수구(10)를 갖는 저수탱크(1)와.상기 저수탱크 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저수탱크의 급수구(10)에 연결되는 담수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담수부에는 하향 경사진 1차 배수로(22)를 형성하며 1차 배수로에 배수턱(23)을 형성하고 2차 배수로(24)에 배수트랩(25)을 형성하는 보울(2)과. 상기 저수탱크(1)의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레버(4)와, 회동레버(4)의 중간에 줄로 연결되어 배수레버(3)조작에 의해 상기 급수구(10)를 개방하는 급수구 패킹(5)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소변과 같은 침전물이 1차 배수로의 배수턱(23)에 집중하여 침전되고, 또 그 침전물을 배수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 수세가 가능하여 물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omitted}
본 고안은 절수형 양변기에 잔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보울에 담수된 오수를 하향 경사진 배수로를 통해 중력에 의해 배수할 수 있도록 2차 배수로(24)에 배수트랩(25)두어 적은 양의 물로 보울을 수세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양변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 (2)과 상기 보울(2)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한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저,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 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내에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양변기는 보울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트랩(2c)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 해야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변기의 보울에 담수된 오수를 하향 경사진 방향의 배수로를 통해 중력에 의해 배수되고 보울내부를 수세할 수 있도록 하여, 수세에 사용되는 물의 양도 적어 물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한다.
도 1. 종래의 양변기 측단면도
도 2. 본 고안의 절수형 양변기의 단면도
도 3.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 측단면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 탱크 2 : 보울
3 : 배수레버 4 : 회동레버
5 : 급수구 패킹 7 : 수도연결관
8 : 수위 조절관 10 : 급수구
20 : 담수부 22 : 1차 배수로
23 : 배수턱 24 : 2차 배수로
25 : 배수트랩 100 : 물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수세용 물을 저수하며 그 바닥에 급수구를 갖는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탱크 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저수 탱크의 급수구에 연결되는 담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담수부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1차 배수로(22)를 형성하며, 상기 1차 배수로 끝에 배수턱(23)을 형성하고, 2차 배수로(24)에 배수트랩(25)을 형성하며, 상기 저수 탱크 외면에 설치된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레버(4)와, 상기 회동레버(4)의 중간에 줄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회동레버(4)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기 저수 탱크의 급수구(10)를 개방하는 급수구패킹(5)과, 2차 배수로에 배수트랩(25)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이상의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서두의 종래 기술 설명에서 인용되었던 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절수형 양변기는 수세용 물(100)을 저수하는 저수탱크(1)와. 상기 저수탱크(1)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저수탱크(1)의 물을 공급받아 수세되는 담수부(20)를 형성하는 보울(2)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1)는 수도에 연결되는 수도 연결관(7)을 통해 수세용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용기로서, 그 바닥에는 저장하고 있는 수세용 물을 상기 보울(2)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배수레버(3)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상기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막대 형상의 회동레버(4)가 설치되며 이 회동레버(4)에는 저수탱크(1)바닥의 급수구(10)를 밀폐하는 급수구 패킹(5)을 줄에 의해 매달려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수탱크(1)는 수도 연결관(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배수레버(3)를 조작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하고 있던 물을 회동레버(4)의 회동으로 들어올려지는 급수구 패킹(5)이 개방하는 급수구(10)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배출한다.
상기 보울(2)은 대략 반구형으로 함몰된 담수부(20)와 상기 담수부의 최저면에 하향 경사진 배수로(22)가 형성되고 다시 배수로(22)의 바닥에 배수로턱(23)을 두어 턱 높이만큼 물이 담수 되도록 하며, 2차 배수로(24)에 배수 트랩(25)이 형성되어 배수로(24)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막아 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울(2)은 평소 그 담수부(20)에 상기 배수턱(23) 의 높이와 동일한 수위의 물을 담수하고 있으면서 배수레버(3)가 조작된 경우에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수구(10)를 통해 물이 급속히 보울에 유입되고 1차 배수로(22)를 따라 배수트랩(25)을 통과하여 2차 배수로(24)에 배출하며, 수도 연결관(7)에서 물이 저수탱크(1)에 급속히 유입되여 저수된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가지는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평소 그 보올의 담수부(20)에 배수턱(23)의 높이와 동일한 수위의 물을 담수한 상태로 유지하다가 담수부(20)에 대소변과 같은 침전물이 침전되어 사용자에의해 배수레버(3)가 조작되면 도3과 같이 작동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침전물을 배수하고 동시에 그 보울(2)이 수세된다.
먼저 담수부(20)에 침전되는 침전물은 중력에 의해 담수부(20)의 1차 배수로(22)를 따라 흘러 내려가 배수턱(23)에 근접하여 침적된다. 이 상태에서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배수레버(3)를 조작하면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되는 회동레버(4)에 의해 급수구 패킹(5)이 개방되면서 저수탱크(1)의 저장된 물이 급수구(10)를 통해 담수부(20)로 급속히 유입된다. 물의 부력으로 급수구 패킹(5)은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담수부(20)와 배수트랩(25)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담수부의 수위는 배수턱(23)높이 이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물이 모두 보울(2)로 배수되어 저수탱크(1)에 물의 잔량이 없게 되면 부력을 받지 않게 된 급수구패킹(5)이 자중에 의해 내려와 급수구(10)가 닫혀지고 저수탱크(1)에는 그 이후에 수도 연결관(7)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채워져 다음의 수세가 있을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상의 작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침전물이 배수턱(23)에 집중적으로 침전되므로 침전물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적고 또 보울(2)의 수세에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적어 종래의 양변기에 비해 물 소비량이 아주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형 양변기는 대.소변과 같은 침전물이 배수턱(23)에 집중하여 침전되므로 적은 양의 물로 도 침전물이수면 위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고 또 그 침전물을 하향 경사진 방향의로 배수하므로 적은 양의 물로 수세할 수 있으며, 소음도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수세용 물(100)을 저수하며 그 바닥에 급수구(10) 를 갖는 저수탱크(1)와. 상기 저수탱크 보다 낮게 위치하며 상기 저수탱크의 급수구 (10)에 연결되는 담수부(20)와 담수부의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1차 배수로(22)에 배수턱(23)을 형성하며, 2차 배수로(24)에 배수트랩(25)을 형성하는 보울(2)과. 상기 저수탱크(1)외면에 설치된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레버(4)와, 상기 회동레버의 중간에 줄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레버(3)에 연동하여 회동레버에 의해 들어올려져 저수탱크의 급수구(10)를 개방하는 급수구 패킹(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양변기
KR2020010039423U 2001-12-19 2001-12-19 절수형 양변기 KR200271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23U KR200271612Y1 (ko) 2001-12-19 2001-12-19 절수형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23U KR200271612Y1 (ko) 2001-12-19 2001-12-19 절수형 양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097A Division KR20020079616A (ko) 2002-07-05 2002-07-05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612Y1 true KR200271612Y1 (ko) 2002-04-12

Family

ID=7311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423U KR200271612Y1 (ko) 2001-12-19 2001-12-19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6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30467A (en) Flush toilet bowl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WO2007056937A1 (fr) Chasse d'eau
JP2006274540A (ja) 便器用洗浄水タンク装置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176999Y1 (ko) 절수형 양변기
WO1999007952A1 (en) Flush toilet utilizing waste water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20079616A (ko) 절수형 양변기
KR101124613B1 (ko) 절수형 변기
US5761749A (en) Structure of toilet bowl
KR200313300Y1 (ko) 절수형 양변기 및 레버구조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200262721Y1 (ko) 절수형 양변기
KR102189021B1 (ko)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CN208718024U (zh) 一种马桶储水箱及马桶
KR200150862Y1 (ko) 중수도를 이용하는 절수형 변기
KR200306433Y1 (ko) 절수형 양변기의 분뇨개폐장치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