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65Y1 - 절수가 가능한 변기 - Google Patents

절수가 가능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65Y1
KR200243365Y1 KR2020010012986U KR20010012986U KR200243365Y1 KR 200243365 Y1 KR200243365 Y1 KR 200243365Y1 KR 2020010012986 U KR2020010012986 U KR 2020010012986U KR 20010012986 U KR20010012986 U KR 20010012986U KR 200243365 Y1 KR200243365 Y1 KR 200243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aft
branch
valve
bran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진
Original Assignee
서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진 filed Critical 서상진
Priority to KR2020010012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65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변의 세정과 소변의 세정을 달리하여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변기에 관한 것으로, 구획벽(11)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1)와,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들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13)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조(1)의 외부에 상기 연결축(13)을 회동시키도록 취부된 양방향수세레버(12)와, 상기 수조(1)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 상기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들에 연결줄(7)로 연결된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들이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일측단부가 상기 수조(1)의 저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부가 하나의 도관(2)에 연결된 제1분지관(19) 및 제2분지관(20)들이 상기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들에 의하여 개폐토록 구성되되, 상기 제1밸브(15)가 상기 제1분지축(14)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18)가 상기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에 동시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절수가 가능하면서도 고장 및 오동작의 위험이 극히 적고, 설치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수가 가능한 변기{Water-saving toilet}
본 고안은 절수가 가능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변의 세정과 소변의 세정을 달리하여 절수가 가능하도록 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특히 아파트나 대형 건물, 관공서 등과 같은 생활공간에서는 변기가 실내에 설치된다. 이 경우, 특히 위생상의 문제로 수세식 변기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수세식 변기들은 용변 후, 간단한 손잡이를 작동시켜 수조 내에 저수된 용수로 대변 또는 소변을 씻어내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변기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변기의 경우, 용변을 마치고 수세레버(5)를 회전시키면, 이 수세레버(5)와 연결된 연결축(6)이 가변되고, 이 연결축(6)은 연결줄(7)에 의하여 밸브(8)와 연결되어 있어, 수조(1) 내 밸브(8)가 들어올려지면서 수조(1)내의 용수가 배출되게 된다. 배출된 용수는 도관(2)을 통하여 변기조(3)내로 들어가 변기조(3) 내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계속해서,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용수는 배출관(4)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영문자 유자형(U)의 역의 형상인 역유자형(∩) 부분을 통하면서 중력에 의한 낙하에 의해 역유자형 부분에서의 공기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따라서 변기조(3)내의 용수가 하수관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고, 그에따라 대변과 같은 고형분들도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변기는 대변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수조(1) 내의 용수가 모두 변기조(3)를 통해 배출되면서 세정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소변의 경우에도, 다량의 용수가 그대로 소비되게 되어 수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기의 수조(1)나 배출구조 등을 개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7-9061호, 제1996-30502호 및 제1998-1120호들에는 양변기용 절수형 대,소변 분리 개폐장치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원통의 상단에 개별적으로 개폐변을 설치하고, 이들 개폐변들을 서로 다른 2개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대변과 소변의 세정을 구별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나, 서로 다른 2개의 손잡이를 구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점과 내부 배관이 복잡하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87-2155호에는 밸브식 절수 양변기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 역시 수조 내에 구분된 공간이 형성되고, 이들 공간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개폐변들이 설치되며, 이들 개폐변들은 서로 다른 2개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문제점들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에 더해, 배수구 내에 소변배수구가 더 설치되어, 수조 중 소수량 수조의 개폐변을 가동시키는 손잡이에 연동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하며, 변기의 제작이 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4-25270호에는 절수형 양변기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는 수조를 두개의 구분된 수조로 구분하고, 하나의 손잡이를 세게 누르는 경우, 두개의 수조 모두로부터 용수를 배출하여 대변을 세정토록 하고, 손잡이를 약하게 누르는 경우, 둘 중의 어느 하나의 수조로부터 용수를 배출토록 하여 소변을 세정토록 구성하고 있으나, 하나의 손잡이를 눌러 대변세정과 소변세정을 구분, 동작시키는 것이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며, 소변세정을 위하여도 대변세정과 마찬가지의 용수의 소비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용수의 절약 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변기의 설치에 있어서도 하나의 하수관에 수조와 변기조로부터의 관이 모두 연결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40892호에도 절수형 양변기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는 대소변을 배출시켜 주는 작동부를 설치하여 이 작동부의 구동모터에 의한 기계적인 회전에 의하여 대변 등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을 위한 용수의 양을 줄일 수는 있으나, 구동모터 및 작동부의 등의 설치로 인하여 초기설치비용이 높고, 작동부의 동작을 위한 전기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필수적이어서 에너지의 소비가 높으며, 작동부 등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리 등이 어렵고, 유지, 보수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5-24690호에는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가 기술되어 있는 바, 이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원통의 상단에 개별적으로 개폐변을 설치하고, 이들 개폐변들을 하나의 손잡이로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들 개폐변들을 가변시키기 위한 영문자 와이자형(Y)의 지레를 구분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이 불충분하게 기재되어 있어, 역시 세정의 수량의 조절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동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대변과 소변을 분리하여 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절수가 가능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양방향수세레버에 의하여 대변세정 및 소변세정이 명확히 구분되어 동작될 수 있는 절수가 가능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변기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기의 수조 내 세정을 위한 방수(放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가 가능한 변기의 수조 내 세정을 위한 방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 2 : 도관
3 : 변기조 4 : 배출관
5 : 수세레버 6 : 연결축
7 : 연결줄 8 : 밸브
11 : 구획벽 12 : 양방향수세레버
13 : 연결축 14 : 제1분지축
15 : 제1밸브 16 : 제2분지축
17 : 제3분지축 18 : 제2밸브
19 : 제1분지관 20 : 제2분지관
21 : 통수구
본 고안에 따른 절수가 가능한 변기는, 구획벽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와, 제1분지축,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들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조의 외부에 상기 연결축을 회동시키도록 취부된 양방향수세레버와, 상기 수조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 상기 제1분지축,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들에 연결줄로 연결된 제1밸브 및 제2밸브들이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일측단부가 상기 수조의 저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부가 하나의 도관에 연결된 제1분지관 및 제2분지관들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들에 의하여 개폐토록 구성되되,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1분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에 동시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수가 가능한 변기는, 구획벽(11)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1)와,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들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13)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조(1)의 외부에 상기 연결축(13)을 회동시키도록 취부된 양방향수세레버(12)와, 상기 수조(1)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 상기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들에 연결줄(7)로 연결된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들이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일측단부가 상기 수조(1)의 저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부가 하나의 도관(2)에 연결된 제1분지관(19) 및 제2분지관(20)들이 상기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들에 의하여 개폐토록 구성되되, 상기 제1밸브(15)가 상기 제1분지축(14)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18)가 상기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에 동시에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양방향수세레버(12)를 동작시키는 방향에 따라 구획벽(11)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1) 내의 용수 중 어느 한 영역 또는 2개의 영역 모두의 용수를 배출시켜 변기조(3)를 세정해내는 수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구획벽(11)은 하나의 수조(1)의 내부공간을 2개의 구획된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중 어느 한 영역 내 또는 두 영역 내의 모든 용수를 임의로 선택하여 변기조(3)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벽(11)은 상기 수조(1)의 내부 공간을 반분할 수 있으며, 달리 수량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임의의 비율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어느 한 영역이 수조(1)의 전체 내부공간의 1/2 내지1/5 등 임의의 비율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1/10로 될 수도 있다. 그러나, 1/10 이상의 비율로 구분되는 경우, 1/10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 저수되는 용수의 양이 너무 적어 변기조(3)를 충분히 세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구(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벽(11)에 의해 구분되는 어느 한 영역내에 용수의 보충을 위한 용수보충구가 위치하여 그 영역내로 용수를 보충하는 경우에도, 보충되는 용수는 상기 통수구(21)를 통하여 수조 내 전체 공간으로 용수를 보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통수구는 그 직경을 조절하여, 대개 1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로 하여 용수의 보충시 통수를 원활히 하면서도 어느 한 영역 내의 용수의 배출시 비록 일부는 이 통수구(2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나, 그 배출량을 적게 하도록 적의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수세레버(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양쪽 방향 모두 회전이 가능하도록 취부되는 레버이다. 이 양방향수세레버(12)에는 연결축(13)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결축(13)은 수조(1)의 내부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축(13)에는 그 연결축(13)에 대하여 수직방향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된 서로 다른 3개의 분지축들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들 분지축들을 편의상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으로 구분한다. 이들 중 어느 한 분지축은 일측으로만 취부되며, 다른 2개의 분지축들은 서로 방향을 반대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지점에 취부된다. 이들 분지축들은 상기 양방향수세레버(12)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어 후술하는 밸브들을 개폐시킨다.
상기 수조(1)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는 각 영역들 내에 저수되는 용수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들이 각 영역에 하나씩 회동가능하게 취부된다. 이들을 편의상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로 구분한다. 상기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는 모두 연결줄(7)에 의해 상기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에 연결되되,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밸브는 일측으로만 연장되는 분지축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밸브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분지축들에 동시에 연결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밸브(15)는 연결줄(7)에 의해 제1분지축(14)에만 연결되고, 제2밸브(18)는 연결줄(7)에 의해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에 동시에 연결된다.
상기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는 각각 제1분지관(19) 및 제2분지관(20)들을 개폐하게 되며, 상기 제1분지관(19) 및 제2분지관(20)들은 하나의 도관(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바의 구성 이외에, 본 고안에 따른 절수가 가능한 변기에는 수조 내의 용수의 보충을 위한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용수의 보충 시 수조 내에 용수가 충분히 보충된 후에는 급수를 중단시키기 위한 레버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용수보충구 등과 같은 기존의 수세식 변기에서 정상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부속구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양방향수세레버(12)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두개로 구획된 영역들 중 어느 한 영역 또는 두 영역 모두의 용수를 임의로 배출시켜 변기조(3)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양방향수세레버(12)를 (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분지축(14) 및 제2분지축(16)들은 모두 하향 회전하게 되고, 제3분지축(17) 만이 상향 회전하게 된다.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들이 모두 제1밸브(15)와 제2밸브(18)에 연결되어 있기는 하나, 제1분지축(14) 및 제2분지축(16)들은 하향 회전하는 경우에는 연결줄(7)이 느슨하게 되어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 모두를 들어올리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제3분지축(17)에 연결된 연결줄(7)은 상기 제3분지축(17)이 상향 회전하게 되면서 긴장되게 되면서 상기 제2밸브(18)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제1밸브(15)는 그대로 둔 채, 제2밸브(18)만 들어올려 개방시키게 되며, 제2밸브(18)가 고정된 영역 내의 용수만 제2분지관(20) 및 이에 연결된 도관(2)을 통해 변기조(3) 내로 흘러들어가 변기조(3)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획된 한 영역 내의 용수만 배출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변기에 비해 절반 이상의 용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특히 소변 후의 세정에 적절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양방향수세레버(12)를 (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분지축(14) 및 제2분지축(16)들은 모두 상향 회전하게 되고, 제3분지축(17) 만이 하향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들 제1분지축(14) 및 제2분지축(16)의 상향 회전에 의해 이들에 연결된 연결줄(7)들이 모두 긴장되게 되면서 상기 제1밸브(15)및 제2밸브(18) 모두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제3분지축(17)에 연결된 연결줄(7)은 제3분지축(17)이 하향 회전하면서 느슨하게 되어 제2밸브(18)의 개방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 모두를 개방시켜 수조(1) 내 전체의 용수를 모두 제1분지관 및 제2분지관(20) 및 이들에 연결된 도관(2)을 통해 변기조(3) 내로 흘러들어가 변기조(3)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조(1) 내의 모든 용수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대변 후의 세정에 적절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조(1)의 구조 및 방수구조의 간단한 변경으로 대변과 소변에 따라 변기조(3)를 세정하는 용수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빈번한 소변 후 세정에 있어서도 종래의 변기가 수조(1) 내 모든 용수를 일시에 방류하여 변기조(3)를 세정하는 것에 비해, 소량의 용수만을 선택적으로 방류하여 변기조(3)를 세정토록 함으로써 용수의 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비록,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편의상 분지축들을 제1분지축(14), 제2분지축(16) 및 제3분지축(17)으로 구분하고, 밸브들을 제1밸브(15) 및 제2밸브(18)로 구분하고, 분지관들을 제1분지관(19) 및 제2분지관(20)으로 구분하기는 하였으나, 각 분지축들, 각 밸브들 및 각 분지관들은 모두 균등한 것으로서, 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획벽(11)에 형성된 통수구(21)에 의하여 어느 한 영역의 용수의 배출 시, 이 통수구(21)를 통하여 다른 영역의 용수도 일부 배출되기는 하나, 이 통수구(21)의 직경을 적의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극히 짧은 시간 동안에 상기밸브들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유출량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용수의 낭비를 줄이면서도 어느 한 영역으로의 용수의 보충시 다른 영역으로도 충분히 용수가 보충될 수 있게 된다. 이는 변기의 사용 특성상 용수가 보충되는 시간은 길고, 용수를 배출하는 시간은 짧기 때문에 상기 통수구(21)의 직경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용수의 원활한 보충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용수의 배출은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수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성을 극히 단순화 시켜 절수가 가능하면서도 고장 및 오동작의 위험이 극히 적고, 설치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구획벽에 의하여 2개의 구분된 영역으로 구분된 수조와, 제1분지축,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들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조의 외부에 상기 연결축을 회동시키도록 취부된 양방향수세레버와, 상기 수조의 구분된 영역들 각 저면에 상기 제1분지축,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들에 연결줄로 연결된 제1밸브 및 제2밸브들이 회동가능하게 취부되고, 그 일측단부가 상기 수조의 저면에 연결되고, 그 타측단부가 하나의 도관에 연결된 제1분지관 및 제2분지관들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들에 의하여 개폐토록 구성되되,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1분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제2분지축 및 제3분지축에 동시에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가 가능한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수가 가능한 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구의 직경이 1 내지 25㎜의 범위 이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20010012986U 2001-05-04 2001-05-04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243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86U KR200243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수가 가능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86U KR200243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수가 가능한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65Y1 true KR200243365Y1 (ko) 2001-10-12

Family

ID=7306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86U KR200243365Y1 (ko) 2001-05-04 2001-05-04 절수가 가능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264A1 (en) * 2008-09-11 2010-03-18 Wajda George J Dual toilet tank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264A1 (en) * 2008-09-11 2010-03-18 Wajda George J Dual toilet tan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533164Y (zh) 节水卫生直排式座便器
KR20030031038A (ko)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243365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CN201106194Y (zh) 多功能节水洗便柜
KR200243366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101324082A (zh) 分排式无存水弯节水座便器
US6671891B2 (en) Commode-urinal
KR102085962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KR200247286Y1 (ko) 강제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395208Y1 (ko) 생활폐수의 선택적 방류를 이용한 변기 절수 장치
CN2818588Y (zh) 马桶用水箱及使用该水箱的马桶和马桶洗脸盆联用节水装置
KR200291589Y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020076031A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CN2491497Y (zh) 双水源节能座便水箱
KR200372183Y1 (ko) 에너지절약형 변기
KR200146305Y1 (ko) 급수변의 절수장치
CN2372374Y (zh) 家庭卫生间双缸节水水箱
KR200399352Y1 (ko) 양변기
CN2414116Y (zh) 密闭旋流式坐便器
CN2622264Y (zh) 节水型水箱的排水阀装置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CN2368889Y (zh) 可选择冲水量的便器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