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539U - 롤러스키 세트 - Google Patents

롤러스키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39U
KR20100009539U KR2020090003221U KR20090003221U KR20100009539U KR 20100009539 U KR20100009539 U KR 20100009539U KR 2020090003221 U KR2020090003221 U KR 2020090003221U KR 20090003221 U KR20090003221 U KR 20090003221U KR 20100009539 U KR20100009539 U KR 20100009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ki
roller
ground
ski body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도래미정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래미정밀 (주) filed Critical 도래미정밀 (주)
Priority to KR2020090003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39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2Radio waves emitting or receiving, e.g. remote control,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판재(160) 전후에 바퀴(10,20)가 설치된 발판(340) 위에 양발을 올려놓고 양손을 이용하여 스틱의 손잡이(70)를 잡고 스틱의 지면마찰패드(110)를 지면에 접촉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력과 사용자의 근력을 이용한 추진력으로 롤러스키 본체(160)를 전진시키며 운동하기 위한 이륜형 롤러 스키세트에 관한 것이다.
판재의 하단 좌우에는 마찰판(60,65)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홈(40)이 있으며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설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높이를 조절하여 발판(340)이 지면(200)에 닿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운행중에는 좌,우 마찰판(60,65)을 지면에 대하여 마찰시키면 좌,우 마찰판의 마찰력 차이로 인하여 롤러스키본체(16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거나 정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롤러보드,롤러스키,롤러썰매,스케이트보드,롤러블레이드,인라인스케이트

Description

롤러스키 세트 {Roller ski set}
본 고안은 이륜 바퀴(10,20)가 장착된 롤러 스키세트에 대한 내용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롤러 스키본체의 브레이크 장치, 롤러 스키본체의 휴대성을 향상시킨 손잡이,악세서리 부품의 고정을 위한 장치, 전동으로 운행시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레포츠 시장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보드, 킥보드등이 활성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신발 및 판재 하단에 바퀴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근력과 지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추진력을 바퀴에 전달함으로서 사용자가 탑승한 판재나 사용자의 몸을 이동시키는 운동기구들이다.
하지만 인라인은 신발을 벗고 갈아 신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발을 수차례 지면에 닿게 하여 얻어진 추진력으로 진행할 수 있으나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없어서 사용자가 정지하기 위해서는 보드로 부터 내려서 발을 지면에 닿게 해야만 정지할 수가 있다. 또한 경사면에서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케이드 보드가 굴러내려 가는 경우도 있어서 위험하다.
사륜형 롤러 스키 경우 신발을 갈아 신을 필요가 없이 발판위에서 스틱만을 지면에 닿게 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나 정지하기 위하여 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고 발판위에 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또한 사륜형 롤러 스키는 회전할 때 이륜형 롤러 스키 탑승때 몸이 기울어져서 회전하는 스릴을 맛보기가 어렵다.
기존 이륜형 롤러 스키의 경우는 사륜형 롤러 스키에 비해 균형잡기가 쉽지 않으며 야간 운행시에 필요한 전조등 고정장치와 이동에 간편한 손잡이를 겸용으로 장착한 제품이 없어서 별도로 장착해야 한다.
본 고안은 이륜형 롤러 스키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안정된 자세로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브레이크와 관련된 부분 및 제품의 이동 및 편리성 향상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첫째, 사용자가 본체 탑승시 발판(340)기울어 지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블록(60,65)을 설치하였으며 이는 위치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능력에 적합한 위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는 전진운동시 브레이크패드의 용도로도 사용되며 내부에 스프링(170)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하는 압력에 따라 브레이크 강도가 달리 작용하여 회전을 하거나 정지할 때 유용하도록 고안하였다.
둘째, 휴대가 편리하도록 롤러스키본체(160) 하부에 이동손잡이(30)를 설치하였으며 스틱(8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틱 고정용 클램프(150)를 장착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키 본체(160)와 스키스틱(80)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스키 본체에 스틱을 고정시켜 이동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세째, 야간 운행중을 위하여 전조등(290)과 후미등(310) 고정이 용이하도록 고정대(300)를 설치하였다.
네째, 사용자의 근력과 스틱의 마찰력으로 운동하는 대신 밧데리의 에너지로만 운동을 즐기고자 할 경우를 대비하여 롤러스키본체(160)에 밧데리(240)를 설치 하였으며 탑승자의 발이 스키 본체와 이탈될 경우 스키 본체가 스스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 누름 버튼(21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두 발로 버튼을 누르고 있을 경우에만 전원이 흐르고 운행작동이 될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다섯째, 스키본체를 세워서 보관 할 경우를 위하여 받침용 돌기(50)를 설치하였으며 운행중에는 반사판(280)을 받침용 돌기(50) 중앙에 설치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고안 하였다.
여섯째, 스키 손잡이(70)에 리모트콘트롤러 버튼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는 행위등으로 스키본체의 수신부(350)로 신호를 발신하여 스키본체의 진행 및 브레이크등의 제어를 가능토록 고안하였다..
본 고안은 판재의 중심 전후에 두개의 바퀴가 설치된 롤러스키 본체하단에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여 운행중 사용자가 중심을 이동하여 좌우 마찰판이 지면(200)에 닿게하여 상이한 마찰력의 발생함으로 방향전환 및 정지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스키본체(340) 하단에 휴대용 손잡이(30)를 설치하였며 스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스틱 고정용 클램프(150)를 설치하였으며 스키 본체(150) 중심 상부에 전조등(290) 및 후미등(31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대(300)를 설치하고 사용자로 부터 추진력을 얻지 않고 본체에 장착된 동력원을 이용하여 추진하는 경우에 안전성을 위하여 발판(340)에 안전누름버튼(210)을 설치하여 탑승 및 비탑승 여부에 따라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길이가 같은 브레이크 블럭일 경우(L1=L2), 설치 위치를 바퀴의 중심에 가까히 할수록 발판(340)기울어지는 각도는 커진다. 즉 각도의 변화를 보면 A1>A2>A3와 같다. 따라서 초보자는 도2의 (다)처럼 기울어짐이 적도록 브레이크 패드를 설치 한후 탑승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출발하거나 운행중에도 안정된 마음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도3은 블록형 브레이크 패드를 사용자의 능력에 맞게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키본체 및 발판(34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길이가 L1<L2일 경우 지면에 각도는 A4>A5가 된다. 따라서 초보자는 도3의 (다)처럼 발판(340)의 기울어짐이 적도록 브레이크 패드를 설치 한후 탑승하기 때문에 안정된 마음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도4는 스키본체(160) 하단에 휴대용 손잡이(120)를 설치한 모습을 표현하며 도5는 플라스틱 소재의 클램프(150)에 스키스틱(80)을 접촉시킨 후 압력을 가하면 클램프(150)가 벌어지면서 스키스틱이(80)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도6은 브레이크 장치내부에 압축스프링(17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지면(200)에 스키본체(160)의 발판(340)을 지면(200)에 대하여 누르면 사용자의 누르는 힘의 차이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정도가 차이가 나도록 고안되었다. 도6의 (가)와 (나)는 지면에 대하여 누르는 힘에 따라 압축스프링(170)이 압축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7에서는 유선으로 스키본체의 구동모터(230)등을 제어하여 전진운동을 하는 경우 탑승자의 발이 발판으로 부터 이탈되었을 경우에는 더 이상 구동모터(230) 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정지할 수 있도록 발판(340)에 안전누름버튼(210)을 설치하여 탑승자가 탑승하고 안전누름버튼(210)을 누르고 있을 때만 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8에서는 롤러스키본체(160)을 세워서 보관할 경우 롤러스키본체(160)의 후미에 받침용 돌기(50)를 설치하여 롤러스키 본체(160)의 후미의 모든 면이 바닥에 닿아서 상처가 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받침 돌기(270) 중앙에 반사판(280)을 설치함으로서 운행중에 눈에 잘 띄어서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도9에서는 기존 스케이트 보드에 없는 전조등(290) 및 후미등(310)의 고정이 쉽도록 고정대(300)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10에서는 스틱 손잡이(70)이 역할을 하면서 스키본체(160)를 제어할 수 있는 발신부를 스틱손잡이 내부에 설치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으로 구동모터(230)를 제어 하도록 하였다.
도1 롤러스키세트의 구성도
도2 브레이크 위치변화에 대한 본체 발판의 각도 변화 설명도
도3 블록형 브레이크의 패드의 수량변화에 따른 발판의 각도변화 설명도
도4 휴대용 손잡이에 대한 설명도
도5 스키본체 하부 스틱고정용 클램프 설명도
도6 스프링이 내장된 브레이크 장치 단면도
도7 동력을 이용한 롤러 스키의 안전버튼 설명도
도8 롤러스키 본체의 안전반사판 및 받침용 돌기 설명도
도9 전조등 및 후미등 고정을 위한 고정대 설명도
도10 무선콘트롤 제어 방식의 롤러스키본체와 스틱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단 바퀴 20.후단 바퀴 30.휴대용 손잡이
40.지면 마찰패드 고정용 홈 50.받침용 돌기
60.단독형 지면마찰패드 65.블록형 지면마찰패드 70.스틱 손잡이
80.스틱 90.스틱길이 고정장치 100.스틱관절
110.스틱의 지면마찰패드 120.손잡이용 판
130.손잡이 고정 볼트 140.손잡이 고정용 볼트 삽입구
150.스틱 고정용 클램프 160.롤러스키본체 170.압축스프링
180.브레이크장치케이스 190.브레이크장치케이스 고정용볼트
200.지면 210.안전누름버튼 220.구동벨트
230.구동모터 240.밧데리 250.콘트롤러
260.전선 280.안전용 반사판
290.전조등 300.램프 고정대 310.후미등
320.브레이크 블록 330.브레이크 블럭 고정볼트
340.스키 본체의 발판 350.신호 수신부

Claims (10)

  1. 스틱(70)과 롤러스키 본체(160)로 구성된 롤러 스키 세트에 대하여 발을 놓을 수 있는 발판(340)과 롤러스키본체(160)의 하부 전단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바퀴(10)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방향이 고정된 바퀴(20)가 설치되어 있으며 탑승자의 근력과 스틱(70)을 이용하여 지면에 마찰시킴으로 발생된 추진력으로 전진하며 운행시 탑승자의 중심이동으로 방향전환바퀴의 방향이 전환되어 롤러스키 본체(160)의 진행방향이 결정되고 롤러스키 본체(160) 좌우에 브레이크용 마찰패드(60,65)가 마찰패드 고정용 홈(40)에 설치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회전,방향전환 또는 정지할 때 한쪽 면은 바닥에 닿고 반대쪽은 바닥에 닿지 않게하여 마찰력을 상이하게 발생함으로써 롤러스키본체(160)의 방향전환 또는 정지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롤러 스키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발판(340)이 지면에 닿을 때의 각도(A1, A2, A3)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롤러 스키 본체(160)의 중심으로 부터 좌,우로 거리가 다른 다수의 브레이크 패드 고정용 홈(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패드(65)를 블록화하여 블록을 삽입 또는 제거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발판(340)이 지면에 닿는 각도(A4,A5)를 변화시킬 수 있도 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 스키 세트를 휴대하기 위하여 롤러스키 본체(160) 하단에 휴대용 손잡이(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스키 본체(160) 또는 발판(340)의 하단에 스틱(80)을 고정할 수 있는 스틱고정용 클램프(150)를 설치하여 롤러스키 본체(160)와 스틱(80)을 함께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롤러 스키 세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200)과 마찰되는 브레이크 부품을 2개 이상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내부에 압축스프링(170)을 삽입함으로서 사용자가 지면에 가하는 압력의 세기에 따라 브레이크의 힘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롤러 스키 세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 또는 유류등을 동력원으로 추진하는 롤러 스키 본체(160)의 좌우 발판(340)에 안전누름버튼(210)을 돌출시켜 사용자가 안전버튼을 밟고 있는 경우에만 동력이 바퀴에 전달되어 앞으로 진행되며 좌 또는 우측의 발이 하나라도 안전누름버튼(210)으로 부터 이격되면 동력이 차단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무인상태로 롤러 스키가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스키본체(160)를 세워서 보관하고자 할때 롤러스키본체(160) 후미에 지면에 닿는 부분을 돌출하여 후미 전체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긁힘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고 돌기 중앙에 반사판(280)을 설치하여 운행중에 교통안전에 도움을 주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스키 본체에 전조등(290)을 부착할 수 있는 고정대(300)와 후미등(310)을 부착할 수 있는 고정대(300)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키 세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틱의 상단이 손잡이(70)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롤러 스키의 본체를 정지 또는 진행등을 지시할 수 있는 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 내부에 무선콘트롤러의 송신부가 설치 되어 있으며 롤러스키 본체(160)에는 콘트롤러 신호수신부(350)가 설치되어 받은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30) 및 브레이크등이 작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키 세트
KR2020090003221U 2009-03-20 2009-03-20 롤러스키 세트 KR201000095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21U KR20100009539U (ko) 2009-03-20 2009-03-20 롤러스키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21U KR20100009539U (ko) 2009-03-20 2009-03-20 롤러스키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39U true KR20100009539U (ko) 2010-09-29

Family

ID=4419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21U KR20100009539U (ko) 2009-03-20 2009-03-20 롤러스키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87Y1 (ko) * 2012-09-07 2014-10-01 정진우 전동 외발 슬레드
KR20220141155A (ko) 2021-04-12 2022-10-19 케이씨엠몰드주식회사 롤러형 바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587Y1 (ko) * 2012-09-07 2014-10-01 정진우 전동 외발 슬레드
KR20220141155A (ko) 2021-04-12 2022-10-19 케이씨엠몰드주식회사 롤러형 바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806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6367828B1 (en) Recreational board vehicle
CA2237776A1 (en) Portable, power-drive unit and accessory attachment
JP2007532278A (ja) 足推進式車輪付きホビー用具及び/又はスポーツ用具
US8636306B2 (en) Skate board paddle
US5547204A (en) Multipurpose mobile device with open sided foot engagement
JP2007523684A (ja) 複数の移動手段アタッチメントを有する足載せ式人体移動装置
KR101703940B1 (ko)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
CN101745213A (zh) 滑板
CN111840969A (zh) 自动行走滑雪板
US9211937B2 (en) Leg scooter device
KR20100009539U (ko) 롤러스키 세트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JP2001259108A (ja) 動力付きスケートボード
KR20030017836A (ko) 스키식 구동 킥보드
US10449436B2 (en) Skateboard with lateral wheel position
US20050285363A1 (en) Roller sled and roller ski using the same
KR20020021200A (ko) 롤러썰매
AU735789B2 (en) Snow bike
KR200474587Y1 (ko) 전동 외발 슬레드
KR101719798B1 (ko) 이동 장치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KR20050026132A (ko) 스케이트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