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587Y1 - 전동 외발 슬레드 - Google Patents

전동 외발 슬레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587Y1
KR200474587Y1 KR2020120007983U KR20120007983U KR200474587Y1 KR 200474587 Y1 KR200474587 Y1 KR 200474587Y1 KR 2020120007983 U KR2020120007983 U KR 2020120007983U KR 20120007983 U KR20120007983 U KR 20120007983U KR 200474587 Y1 KR200474587 Y1 KR 200474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led
step board
brake
outer s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599U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202012000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58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5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2Covers;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4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2Radio waves emitting or receiving, e.g. remote control, RFID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는 스텝 보드, 상기 스텝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사용자가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지치는 동작을 하기 위한 한 쌍의 스틱들,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외발 슬레드{ELECTRIC SLED USING SINGLE BLADE}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외발 슬레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동작하는 전동 외발 슬레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생활 중에서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상당히 증대되고 있다. 상기 놀이문화 중에서 롤러 스케이트, 롤러 보드, 자전거, 및 퀵 보드 등이 재미를 느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널리 보급된 상태이지만, 우리의 전통놀이는 상기 현대인의 놀이문화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우리의 전통놀이 중에서 재미를 느끼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겨울철 얼음 위에서 즐기는 외발 썰매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520호(2001.06.28) 외발 롤러 썰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겨울철뿐만 아니라 사계절 내내 외발 썰매를 즐길 수 있는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sled)는 스텝 보드, 및 상기 스텝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사용자가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지치는 동작을 하기 위한 한 쌍의 스틱들,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뒷바퀴일 수 있다.
상기 스텝 보드의 후방 영역의 하부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패드,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뒷바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바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텝 보드의 후방 영역이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때,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켜 제동될 수 있다.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급선회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틱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는 누구나 쉽게 우리의 전통놀이인 외발 썰매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형 감각을 극대화하고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브레이크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제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스텝 보드(step board, 40), 메인 프레임(70), 한 쌍의 스틱들(90),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메인 컨트롤러(200), 모터 드라이버(210), 무선 통신 장치(230), 모터(300), 브레이크 바퀴(400), 브레이크 패드(470), 제1전원공급장치(500), 및 제2전원공급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ser)는 양손에 한 쌍의 스틱들(90)을 잡은 상태에서 스텝 보드(40)의 상부에 양발을 올려놓고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ser)는 양손에 한 쌍의 스틱들(90)로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스텝 보드(40) 상부에 양발을 올려놓고 지치는 동작, 예컨대 양손의 스틱들(90)에 힘을 가하여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User)는 양손의 스틱들(90)을 빠르게 지치는 동작을 하여 점차 가속도가 붙는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모터(300)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중에서 어느 하나(100 또는 150)에 동력, 예컨대 회전력을 전달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User)는 스텝 보드(40) 상부에 위치한 작동 버튼(미도시)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95)을 조작하여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ser)가 리모트 컨트롤러(95)를 조작하거나 또는 사용자(User) 양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스텝 보드(40) 상부에 위치한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고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일정속도 이상으로 전진시킬 때,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모터(300)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메인 컨트롤러(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User)는 양발을 스텝 보드(40)의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텝 보드(40)의 상부에는 엠보싱(embossing) 가공에 의하여 요철 문양이 형성되거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무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 및 재질이 상술한 요철 문양 및 고무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텝 보드(40)의 상부는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는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타는 동안에 상기 요철 문양 또는 상기 고무판에 의해서 마찰력이 증대하여 스텝 보드(40)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메인 프레임(70)은 스텝 보드(40)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 되고, 사용자(User)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은 스텝 보드(40)의 중심선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70)에 일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퀴들(100 및 150)은 회전하는 동안에 메인 프레임(70)에 방해받지 않도록 메인 프레임(70)에 축간 결합 되고, 바퀴들(100 및 150)이 회전축 상에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 접촉을 이루면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바퀴들(100 및 150) 각각은 메인 프레임(70)에 축간 결합하면서, 메인 프레임(70)에 결합된 완충장치(shock absorber, 미도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장치는 전동 외발 슬레드(10)가 방지턱 등의 장애물을 통과하는 동안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는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타는 동안에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외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중에서 앞바퀴(100)의 크기는 뒷바퀴(150)의 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앞바퀴(100)의 크기가 뒷바퀴(150)의 크기보다 클 때,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방지턱 등의 장애물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이외에 보조바퀴들(미도시)이 스텝 보드(40) 하부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User)는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처음 탈 때 용이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바퀴들(100, 150, 및 410)은 발광장치(미도시), 예컨대 LED(light emmiting diode)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는 바퀴들(100, 150, 및 410)의 회전시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가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야간에 타는 동안에도 타인이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은 바퀴 커버(50)로 둘러싸일 수 있다. 바퀴 커버(50)는 스텝 보드(40)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00)는 전동 외발 슬레드(10), 예컨대 모터 드라이버(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00)는 모터 드라이버(21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특정 신호, 예컨대 무선 신호(WS), 및 스위칭 신호(SS)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CTRL)를 모터 드라이버(210)로 출력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모터(300)는 벨트(310)를 통하여 상기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모터(300)는 톱니 바퀴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연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300)는 DC 모터, BLDC 모터, 또는 허브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앞바퀴(100) 또는 뒷바퀴(150)일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210)는 메인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에 전력(PW)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 드라이버(210)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가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중에서 어느 하나, 예컨대 앞바퀴(100) 또는 뒷바퀴(1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력(PW)을 공급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210)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가 앞바퀴(100) 또는 뒷바퀴(1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도록 전력(PW)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User)가 리모트 컨트롤러(95)를 조작하거나 또는 사용자(User) 양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스텝 보드(40) 상부에 위치한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고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일정속도 이상으로 전진시킬 때,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모터(300)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메인 컨트롤러(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된 메인 컨트롤러(200)는 제어 신호(CTRL)를 모터 드라이버(210)로 출력하고, 모터 드라이버(210)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모터(300)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100 및 150) 중에서 어느 하나(100 또는 150)에 동력, 예컨대 회전력을 전달하여 동작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바퀴(400)는 보조 프레임(430) 및 바퀴(4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바퀴(400)는 메인 프레임(70)과 뒷바퀴(150)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제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이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때,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브레이크 바퀴(400)가 브레이크 패드(470)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켜 제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470)는 마찰열에 대한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의 패드로서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스위치(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50)는 브레이크 바퀴(400)의 보조 프레임(430)이 움직이는 통로, 예컨대 메인 프레임(70)의 안쪽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450)는 보조 프레임(430)이 스위치(450)와 접촉할 때 스위칭 신호(SS)를 메인 컨트롤러(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이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브레이크 바퀴(400)가 브레이크 패드(470)와 지면 사이에 접촉할 때, 브레이크 바퀴(400)의 보조 프레임(430)은 메인 프레임(70)에 연결된 스위치에 접촉하고, 스위치(450)는 스위칭 신호(SS)를 메인 컨트롤러(200)로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00)는 브레이크 바퀴(400)와 스위치(450)와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모터 드라이버(210)로 제어 신호(CTRL)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컨트롤러(200)는 스위칭 신호(SS)에 응답하여 모터 드라이버(210)로 제어 신호(CTRL)를 출력하고, 모터 드라이버(210)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가 앞바퀴(100) 또는 뒷바퀴(1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없도록 전력(PW)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브레이크 바퀴(400), 브레이크 패드(470), 및 스위치(450)를 통하여 이중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User)는 한 쌍의 스틱들(90)을 이용하여 전동 외발 슬레드(10)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지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틱들(90) 중에서 각 스틱은 포개어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스틱일 수 있고, 지면과 접촉하는 접촉 부분은 고무로 구현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틱들(90) 중에서 어느 하나는 리모트 컨트롤러(9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95)는 상기 어느 하나에 위치한 버튼들의 누름 여부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WS)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230)는 리모트 컨트롤러(95)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95)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WS)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200)는 무선 통신 장치(230)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95)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WS)에 응답하여 모터 드라이버(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컨트롤러(200)는 무선 신호(WS)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CTRL)를 모터 드라이버(210)로 출력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210)는 메인 컨트롤러(2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에 전력(PW)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전원공급장치(500)는 전동 외발 슬레드(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전원공급장치(500)는 컴퓨터, 충전기 또는 자동차 전원 공급기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전원공급장치(500)는 상기 컴퓨터로부터 충전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전동 외발 슬레드(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전원공급장치(500)는 1차 전지 또는 충전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전원공급장치(500)가 전동 외발 슬레드(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제2전원공급장치(600)는 전동 외발 슬레드(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전원공급장치(600)는 1차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200)는 제1전원공급장치(500)가 전동 외발 슬레드(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제2전원공급장치(600)가 전동 외발 슬레드(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브레이크 바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외발 슬레드의 제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바퀴(400)는 메인 프레임(70)과 뒷바퀴(150)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브레이크 바퀴(400)의 보조 프레임(430)은 뒷바퀴(15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Y형상 프레임 형태로 뒷바퀴(150)의 양쪽에 연결될 수 있다.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이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때,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브레이크 바퀴(400)가 브레이크 패드(470)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켜 제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ser)는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타는 동안에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감속하거나 정지해야 할 때 스텝 보드(40) 상부에 올려진 사용자(User) 양발의 앞꿈치를 드는 동시에 양발의 뒷꿈치에 체중을 실어서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스텝 보드(40)의 후방 영역은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고, 브레이크 바퀴(400)가 브레이크 패드(470)와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기계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
브레이크 바퀴(400)는 브레이크 패드(470)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할 때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바퀴(400)가 브레이크 패드(470)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면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급선회를 하기 때문에,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기계적으로 제동될 뿐 아니라 급선회를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200)는 브레이크 바퀴(400)와 스위치(450)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모터 드라이버(210)로 제어 신호(CTRL)를 출력하고, 모터 드라이버(210)는 제어 신호(CTRL)에 응답하여 모터(300)에 전력 공급(PW)을 제어하기 때문에 전동 외발 슬레드(10)는 전자적으로 제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User)는 이중 브레이크 시스템을 통하여 안전하게 전동 외발 슬레드(10)를 탈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동 외발 슬레드
40: 스텝 보드
70: 메인 프레임
90: 한 쌍의 스틱들
95: 리모트 컨트롤러
100: 앞바퀴
150: 뒷바퀴
200: 메인 컨트롤러
210: 모터 드라이버
230: 무선 통신 장치
300: 모터
400: 브레이크 바퀴
450: 스위치
470: 브레이크 패드
500: 제1전원공급장치
600: 제2전원공급장치

Claims (6)

  1. 스텝 보드, 및 상기 스텝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동 외발 슬레드(sled)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사용자가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지치는 동작을 하기 위한 한 쌍의 스틱들;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상기 스텝 보드의 후방 영역의 하부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패드;
    상기 메인 프레임과 뒷바퀴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바퀴;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 영역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 보드의 후방 영역이 지면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때,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지면 사이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켜 제동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로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동 외발 슬레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외발 슬레드는 상기 브레이크 바퀴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선회하는 전동 외발 슬레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틱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전동 외발 슬레드.
KR2020120007983U 2012-09-07 2012-09-07 전동 외발 슬레드 KR200474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83U KR200474587Y1 (ko) 2012-09-07 2012-09-07 전동 외발 슬레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983U KR200474587Y1 (ko) 2012-09-07 2012-09-07 전동 외발 슬레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99U KR20140001599U (ko) 2014-03-19
KR200474587Y1 true KR200474587Y1 (ko) 2014-10-01

Family

ID=520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83U KR200474587Y1 (ko) 2012-09-07 2012-09-07 전동 외발 슬레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58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84Y1 (ko) * 2005-11-10 2006-03-23 이태하 바퀴 달린 썰매 놀이기구의 제동장치
KR20100009539U (ko) * 2009-03-20 2010-09-29 도래미정밀 (주) 롤러스키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84Y1 (ko) * 2005-11-10 2006-03-23 이태하 바퀴 달린 썰매 놀이기구의 제동장치
KR20100009539U (ko) * 2009-03-20 2010-09-29 도래미정밀 (주) 롤러스키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99U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7547B2 (en) Motor control and regulating device, especially for an electrically driven skateboard or longboard
US7204330B1 (en) Battery-powered, remote-controlled, motor-driven, steerable roller skates
JP2023033343A (ja) 動力式ホイール付きボード
US10392057B2 (en) Vehicle
US20160332062A1 (en) Split-style electric skateboard
KR20160065241A (ko) 전동식 킥보드
CN101745213B (zh) 滑板
CN105169687A (zh) 一种带有压力感应系统的电动滑板车及其驱动方法
KR101703940B1 (ko)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296907A1 (en) Powered wheeled board
TWM554444U (zh) 一種代步健身多用電動自行車
KR100424779B1 (ko) 전동식 주행용 보드
CN102500100A (zh) 一种全自动压力控制滑板
KR200474587Y1 (ko) 전동 외발 슬레드
CN203469429U (zh) 分体式电动滑板
CN205007543U (zh) 一种带有压力感应系统的电动滑板车
US7690659B2 (en) Multi-directional roller disc
KR20170015059A (ko) 발의 회전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WO2019153418A1 (zh) 单脚式车体
CN201940000U (zh) 自行鞋
KR200231351Y1 (ko) 전동식 주행용 보드
US20050285363A1 (en) Roller sled and roller ski using the same
CN204932798U (zh) 一种电动轮滑鞋
KR20070103659A (ko) 동력 인라인 스케이트
KR20100009539U (ko) 롤러스키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