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518U - 위생 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518U
KR20100009518U KR2020090003188U KR20090003188U KR20100009518U KR 20100009518 U KR20100009518 U KR 20100009518U KR 2020090003188 U KR2020090003188 U KR 2020090003188U KR 20090003188 U KR20090003188 U KR 20090003188U KR 20100009518 U KR20100009518 U KR 201000095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sanitary
wire
sanitary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현 filed Critical 강태현
Priority to KR2020090003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518U/ko
Publication of KR20100009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흡시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마스크로서, 안감과 겉감을 포함한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 및 안면의 윤곽에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생 마스크 {Hygienic Mask}
본 고안은 호흡시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마스크로서, 구체적으로 안감과 겉감을 포함한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 및 안면의 윤곽에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병균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보온 등을 목적으로 의료용, 산업용 또는 일상생활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는 가제, 부직포 등의 시트상 여과재로 구성되어 있는 마스크 본체로 사용자의 코, 입 부위 및 턱 부근을 덮고, 상 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를 귀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평면상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코나 입 부위 등이 마스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호흡시 들숨과 날숨에 장애를 받게 되고, 장시간 착용시 마스크가 습기에 의해 축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호흡시 날숨에 의해 습기가 코 부위의 공간으로부터 마스크의 상부 틈새를 통해 안경으로 배출되므로 안경에 성애가 끼어 시야를 흐리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 마스크에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절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코 형상에 따라 와이어 조절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는 와이어가 마스크 본체의 상부에만 삽입되므로, 사용자의 입 또는 턱 부근이 마스크 본체에 그대로 밀착되어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이 마스크에 그대로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가 반복적으로 절곡되므로, 마스크 본체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어의 양단부가 마스크의 시트를 뚫고 나와 마스크를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에 상처를 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착용시 와이어를 통하여 코와 입 부분의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확보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적정하게 확보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호흡시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마스크로서, 안감과 겉감을 포함한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 및 안면의 윤곽에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뿐만 아니라 하단부에도 와이어부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입과 턱 부위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마스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와이어부가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종래의 일반 마스크가 얼굴에 밀착되어 숨을 쉬기 곤란하고, 의사 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여성들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화장품이 마스크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시트 구조는 이중막 또는 삼중막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중막인 경우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지고, 삼중막인 경우 안감과 겉감 사이에 중간층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수직단면상 N자 형태로 와이어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N자 형태의 손잡이부를 굽혀 손잡이부가 마스크 본체에 닿게 하는 경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축소시키고, 반대로 상기 손잡이부를 마스크 본체와 수직이 되도록 직립시키는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 및 코의 형상에 따라 손잡이부를 조절하여 마스크 본체의 적정한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5 내지 3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의 길이가 마스크 본체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5% 미만인 경우, 손잡이부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이와는 반대로 손잡이부의 길이가 마스크 본체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30% 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의 길이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 다.
이러한 손잡이부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10 내지 2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부의 표면이 마모되어 사용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테이프가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마찰 테이프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테이프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표면 거칠기가 100S 내지 0.8S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100S는 가공시 가공물의 표면에서 최저점과 최고점의 높이 차(거칠기)가 100㎛임을 나타내고, 숫자가 높을수록 표면의 요철이 심하므로 거칠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따라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에 와이어가 내장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가 마스크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테이프가 와이어부의 양 단부를 감싸고 있거나, 및/또는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대응하는 마스크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 테이프가 와이어부의 양 단부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마스크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부의 반복적인 절곡으로 인해, 마스크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의 양단부가 마스크 본체의 표면을 뚫고 나와 마스크를 훼손시키거나, 사용자의 안면에 상처를 내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귀걸이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 위생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밴드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또는 귀의 크기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 부위는 사용시 호흡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을 가지고 접혀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2 개 이상의 층은 안면의 굴곡 형태에 따라 펴지면서 사용자의 호흡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 또는 4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조공정상 복잡한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호흡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 본체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통기성이 우수한 부직포 및/또는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직포와 비닐이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마스크 본체의 시트 구조가 이중막인 경우 안감은 비닐 겉감은 부직포일 수 있고, 삼중막인 경우 겉감과 중간층은 부직포이고 안감은 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안감과 겉감 사이에 금속부재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코 모양 및 입 공간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재는 손잡이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수직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금속부재의 소재는 일 예로, 절곡이 용이한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와이어부의 수평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위생 마스크는(100)는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110), 마스크 본체(110)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120), 및 안면의 윤곽에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마스크 본체(110)의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 위해, 와이어부(130)의 양 단부에는 손잡이부들(140)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겉감이 통기성 있는 부직포이고, 안감은 통기성 있는 비닐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가 숨을 쉬더라도 마스크 본체에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스크 본체(110)의 중앙 부위는 상하방향으로 3개의 층을 가지고 접혀 있어서, 손잡이부들(140)을 양손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하 좌우로 호흡 공간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와이어부(130)는 플라스틱 수지(132)에 와이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와이어부(130)의 양 단부에 대응하는 마스크 본체(110)의 외면에 안전 테이프(131)가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부(130)의 양 단부가 마스크 본체(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손잡이부들(140)은 수직단면상 N자 형태로 와이어부(130)의 양 단부가 절곡되어 있고, 손잡이부들(140)의 길이는 마스크 본체(110)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각각 10%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귀걸이부(120)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밴드로 이루어져 있고, 손잡이부들(140)의 외면에는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테이프(141)가 부착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를 사용한 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위생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를 사용자(200)의 코, 입 부위 및 턱 부근을 덮고, 마스크 본체(110)의 양 측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120)를 귀에 걸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마스크 본체(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130)를 손잡이부(140)에 의해 절곡하여, 3개의 층으로 겹혀 있는 마스크 본체(110)의 중앙 부위을 사용자(200)의 안면 윤곽에 따라 밀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호흡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한다.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를 제조하는 과정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사각형 모양의 금속부재(300)를 마스크 본체의 안감(112)과 겉감(114) 사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금속부재(300)를 마스크 본체의 겉감(114) 내면에 부착시킨 후 안감(112)과 겉감(114)의 네 모서리를 밀봉시켜 도 5의 마스크 본체(110a)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마스크 본체(110a)를 금속부재(300)와 함께 가로로 접고, 입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다시 세로로 접어 마스크를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10a)의 안감과 겉감 사이에 사각형의 금속부재(300)를 내장하고 있어서, 코 모양과 입 공간의 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 마스크는 와이어부가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고, 손잡이부가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적정하게 확보하여 숨을 용이하게 쉬고 의사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위생 마스크를 사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 마스크를 제조하는 과정의 모식도들이다.

Claims (11)

  1. 호흡시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마스크로서,
    안감과 겉감을 포함한 시트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귀걸이부; 및
    안면의 윤곽에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수직단면상 N자 형태로 와이어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는 마스크 본체의 상단면 길이를 기준으로 5 내지 30%의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테이프가 손잡이부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플라스틱 수지에 와이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의 양 단부가 마스크 본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테이프가 와이어부의 양 단부를 감싸고 있거나, 및/또는 와이어부의 양 단부에 대응하는 마스크 본체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 부위는 사용시 호흡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층을 가지고 접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통기성 있는 부직포 및/또는 비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안감과 겉감 사이에 금속부재가 추가 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수직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마스크.
KR2020090003188U 2009-03-19 2009-03-19 위생 마스크 KR201000095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88U KR20100009518U (ko) 2009-03-19 2009-03-19 위생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88U KR20100009518U (ko) 2009-03-19 2009-03-19 위생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18U true KR20100009518U (ko) 2010-09-29

Family

ID=4419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88U KR20100009518U (ko) 2009-03-19 2009-03-19 위생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51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42B1 (ko) * 2014-03-10 2015-04-08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210094454A (ko) * 2020-01-21 2021-07-29 이상호 마스크
KR20220029486A (ko) * 2020-08-31 2022-03-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KR102377040B1 (ko) 2021-11-02 2022-03-21 주식회사 청각장애인생애지원센터 조립형 투명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42B1 (ko) * 2014-03-10 2015-04-08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210094454A (ko) * 2020-01-21 2021-07-29 이상호 마스크
KR20220029486A (ko) * 2020-08-31 2022-03-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
KR102377040B1 (ko) 2021-11-02 2022-03-21 주식회사 청각장애인생애지원센터 조립형 투명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US10688264B2 (en) CPAP comfort seal
CA3099988C (en) Face mask with supporting strip
KR100927336B1 (ko) 잠금용 지지대를 갖는 위생 마스크
US20210352976A1 (en) Face mask
KR200389356Y1 (ko) 위생마스크
JP2013544592A (ja) 環状のパッド部とフィルター部固定体を有する防塵マスク
CN116568171A (zh) 具有防止下滑和防止起雾功能的外科口罩
KR101975176B1 (ko) 반려동물용 마스크
KR20100009518U (ko) 위생 마스크
JP2024038134A (ja) 口腔・口周り保湿具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20120006113U (ko) 위생 마스크
KR20200001910U (ko) 다수의 지지클립이 구비된 마스크
JP2000288109A (ja) 突出型マスクインナー
JP6865941B2 (ja) 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JP2015198676A (ja) 排気口を設けた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の機能を具備したマスク
JP3115718U (ja) マスク用ノーズフィットパット
KR102209970B1 (ko) 마스크
JP2021195701A (ja) マスク用折り畳みスペーサー
JP2019081984A (ja) 口腔・口周り保湿具
JP3962392B2 (ja) 顔面保護シールド
KR102511530B1 (ko) 마스크용 코클립
KR102605051B1 (ko) 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
KR200496469Y1 (ko) 후드-넥 워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