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69Y1 - 후드-넥 워머 - Google Patents

후드-넥 워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69Y1
KR200496469Y1 KR2020210000711U KR20210000711U KR200496469Y1 KR 200496469 Y1 KR200496469 Y1 KR 200496469Y1 KR 2020210000711 U KR2020210000711 U KR 2020210000711U KR 20210000711 U KR20210000711 U KR 20210000711U KR 200496469 Y1 KR200496469 Y1 KR 200496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neck
user
ear band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191U (ko
Inventor
이양운
Original Assignee
이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운 filed Critical 이양운
Priority to KR2020210000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6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6Hats; Caps; Hoods convertible or adaptable for uses other than as headg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넥 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고 후드부와 넥부를 통해 머리와 목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후드-넥 워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감싸는 후드(hood)부와; 상기 후드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넥(neck)부로 구성되어 후드부와 넥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드부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노출하도록 전방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넥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드-넥 워머{A hood-neck warmer}
본 고안은 후드-넥 워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고 후드부와 넥부를 통해 머리와 목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후드-넥 워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넥워머는 동절기에 착용자의 머리와 목을 따뜻하게 하고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착용하는 의류아이템으로, 특히 젊은층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려 호흡시 병균이나 먼지 등이 흡입되는 것을 막고, 주위환경에 따라 기관지를 보호하며, 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산업경제의 발달로 인해 황사 및 스모그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외출시 오염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추운 날 감기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사 및 스모그 현상이 있거나 추운 날, 또는 운동시에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스크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머리를 덮는 후드와의 일체감이 떨어져 패션을 중시하는 젊은이 층에서는 마스크의 사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952호에서는 머리를 덮기 위한 머리부(110)와 목을 감싸기 위한 목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목부(120)의 내측에 상하로 한 쌍의 암단추(121,122)가 형성되고, 상기 암단추(121,122)에는 그에 대응하도록 모서리부에 수단추(131,132)가 구비된 마스크(13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후드넥워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130)의 하단에 구비된 수단추(132)는 마스크의 착용을 위해 상기 머리부(110)의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암단추(1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구비한 후드넥워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감염병으로 인해 방역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보온을 위한 마스크 착용만으로는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어밴드가 있는 방역 마스크를 생활하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를 압박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952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이 간편하고 후드부와 넥부를 통해 머리와 목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후드-넥 워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감싸는 후드(hood)부와; 상기 후드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넥(neck)부로 구성되어 후드부와 넥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드부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노출하도록 전방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넥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에 있어서, 전방 개구부를 막거나 또는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 부위를 보온하는 보온 마스크가 마련되되, 상기 보온 마스크 및 전방 개구부의 좌우측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에 있어서, 후드부의 내면 좌우측에는 일회용 마스크의 이어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어밴드 고정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이어밴드 고정부재는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내장되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에 고정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고정되는 제1벨크로 접착부와,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에 포개져 접착되는 제2벨크로 접착부로 이루어지는 이어밴드 고정체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밴드는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와 제2벨크로 접착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며, 상기 이어밴드 고정체는 상하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일회용 마스크의 고정 위치 및 일회용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정도 또는 이어밴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착용이 간편하고 후드부와 넥부를 통해 머리와 목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1c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후드-넥 워머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마스크가 부착된 후드-넥 워머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후드-넥 워머에 이어밴드 고정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이어밴드 고정부재에 이어밴드가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후술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100)는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감싸는 후드(hood)부(110)와, 상기 후드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넥(neck)부(120)로 구성되어 후드부(110)와 넥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부(110)와 넥부(120)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넥부의 경우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 소재를 넣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부(110)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노출하도록 전방 개구부(111)가 마련되고, 상기 넥부(120)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 개구부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넥부를 통해 머리를 넣어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를 착용하게 되는데, 후드부가 머리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고, 후드부를 뒤로 젖혀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후드부와, 넥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 부위를 한번에 모두 보온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후드부를 뒤로 젖혀서 전방 개구부가 목에 걸치도록 할 수도 있다.
기존에 머리 부위를 보온하기 위해서는 후드티나 후드가 부착된 점퍼 등을 착용하여야 하고, 목 부위를 보온하기 위해서는 목도리를 착용하여야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머리와 목을 함께 보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후드티 등과 다르게 상의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착용하거나, 접어서 가방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후드-넥 워머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온 마스크가 부착된 후드-넥 워머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후드-넥 워머에 이어밴드 고정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이어밴드 고정부재에 이어밴드가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100)는 상기 전방 개구부(111)를 막거나 또는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 부위를 보온하는 보온 마스크(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온 마스크(140) 및 전방 개구부(111)의 좌우측에는 각각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재(113, 14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13, 141)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으나, 단추, 스냅 버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는 상기 후드부(110)의 내면 좌우측에는 일회용 마스크(130)의 이어밴드(131)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어밴드 고정부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용 마스크는 바이러스 침투를 막거나 황사나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마스크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 마스크의 경우 의무적으로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귀에 일회용 마스크의 이어밴드를 걸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후드-넥 워머에서는 이어밴드를 고정할 수 있는 이어밴드 고정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이어밴드 고정부재(115)는 내부에 지지와이어(117)가 내장되고 상기 후드부(110)의 내면에 고정된 지지체(116)와, 상기 지지체(116) 상에 고정되는 제1벨크로 접착부(118a)와,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118a)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118a)에 포개져 접착되는 제2벨크로 접착부(118b)로 이루어지는 이어밴드 고정체(118)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116)의 경우 후드부(110)의 내면 중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하게 부착되고, 상기 이어밴드 고정체(118)는 상하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밴드 고정체를 복수 개 설치하는 이유는 이어밴드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상기 지지체는 각 이어밴드 고정체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밴드를 4개의 이어밴드 고정체 중 맨 위와 맨 아래에 배치된 이어밴드 고정체에 끼워 고정한 경우, 지지체가 없으면 맨 위와 맨 아래에 배치된 이어밴드 고정체가 이어밴드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겹쳐지게 되어 이어밴드의 길이 조절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마스크의 밀착력을 전혀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지체를 수직하게 설치하여 그 위에 복수의 이어밴드 고정체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어밴드의 위치, 간격 및 입체적으로 벌어진 정도를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후드-넥 워머 110 : 후드부
111 : 전방 개구부 113 : 결합부재
115 : 이어밴드 고정부재 116 : 지지체
117 : 지지와이어 118 : 이어밴드 고정체
118a : 제1벨크로 접착부 118b : 제2벨크로 접착부
120 : 넥부 130 : 일회용 마스크
131 : 이어밴드 140 : 보온 마스크
141 : 결합부재

Claims (3)

  1. 사용자의 머리 부위는 감싸는 후드(hood)부와;
    상기 후드부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는 넥(neck)부로 구성되어 후드부와 넥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후드부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노출하도록 전방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넥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전방 개구부를 막거나 또는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 부위를 보온하는 보온 마스크가 마련되되, 상기 보온 마스크 및 전방 개구부의 좌우측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 좌우측에는 일회용 마스크의 이어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어밴드 고정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이어밴드 고정부재는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내장되고 상기 후드부의 내면에 고정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고정되는 제1벨크로 접착부와,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에 포개져 접착되는 제2벨크로 접착부로 이루어지는 이어밴드 고정체로 구성되며,
    상기 이어밴드는 상기 제1벨크로 접착부와 제2벨크로 접착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이어밴드 고정체는 상하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일회용 마스크의 고정 위치 및 일회용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정도 또는 이어밴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넥 워머.
  2. 삭제
  3. 삭제
KR2020210000711U 2021-03-05 2021-03-05 후드-넥 워머 KR200496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11U KR200496469Y1 (ko) 2021-03-05 2021-03-05 후드-넥 워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711U KR200496469Y1 (ko) 2021-03-05 2021-03-05 후드-넥 워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91U KR20220002191U (ko) 2022-09-14
KR200496469Y1 true KR200496469Y1 (ko) 2023-02-07

Family

ID=8327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711U KR200496469Y1 (ko) 2021-03-05 2021-03-05 후드-넥 워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6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89Y1 (ko) * 2006-06-02 2006-09-19 김능세 사우나 찜질용 모자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2B1 (ko) 2010-11-15 2013-03-11 임현주 마스크를 구비한 후드넥워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89Y1 (ko) * 2006-06-02 2006-09-19 김능세 사우나 찜질용 모자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91U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385B1 (ko) 조임 기능이 부가된 사각마스크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101869654B1 (ko) 방한용 마스크
KR101525794B1 (ko) 보호 마스크를 가진 넥워머
WO2008085014A1 (en) Mask
KR20100010454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가지는 안면 마스크
KR20200001910U (ko) 다수의 지지클립이 구비된 마스크
KR200496469Y1 (ko) 후드-넥 워머
US20040244798A1 (en) Nasal respirator
KR102121934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2584190B1 (ko) 스포츠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0445739Y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US11065480B2 (e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KR102003183B1 (ko) 안면마스크
KR200492417Y1 (ko) 마스크
KR200389797Y1 (ko) 얼굴 전면 방한대
KR20210133018A (ko) 마스크용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102456197B1 (ko) 흘러내리지 않는 마스크
JP3233269U (ja) インナーマスク
KR102667364B1 (ko) 위생 마스크용 지지패드
KR102317156B1 (ko) 착용성이 개선된 워머
KR102221198B1 (ko) 착용끈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