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312U -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Google Patents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9312U KR20100009312U KR2020090002916U KR20090002916U KR20100009312U KR 20100009312 U KR20100009312 U KR 20100009312U KR 2020090002916 U KR2020090002916 U KR 2020090002916U KR 20090002916 U KR20090002916 U KR 20090002916U KR 20100009312 U KR20100009312 U KR 2010000931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que
- cover
- upper cover
- automatic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47G1/143—Pivotable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노출이 가능한 상패에 관한 것으로, 상부커버(100)와; 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으로 자동선회작동되는 상패(200)와; 상기 상부커버(100) 배면측에 힌지결합되어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패(200)가 보관 및 전방으로 선회된 후 노출고정되도록 상부면에 상기 상패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상패보관부(410)가 형성된 하부커버(400);를 포함함에 따라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부터 상패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단순히 상부커버만을 개방함으로써 상패가 외부로 간단하게 자동노출되어 사용이 간편하며, 제품의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외관이 뛰어나 제품품질이 우수한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에 관한 것이다.
상패, 상부커버, 하부커버, 반자동, 선회.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힌지결합되고, 상부커버가 상측으로 전개되어 개방되는 전면에 상패가 경사지게 기립구성되는 가리비식 상패의 상부커버 하부면에 상패를 반자동선회작동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고, 사용자가 상부커버를 상측으로 전개하여 개방시, 상패가 반자동선회작동수단에 의해 상부커버 전방으로 자동선회되어 하부커버에 고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부터 상패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단순히 상부커버만을 개방함으로써 상패가 외부로 간단하게 자동노출되어 사용이 간편하며, 제품의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외관이 뛰어나 제품품질이 우수한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는 국가, 회사 등의 단체에서 특별한 공로, 실적 등에 따라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수고를 치하하도록 다양한 분야에 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패는 종이에 개인 또는 단체의 공로, 실적 등에 대한 치하내용을 기재하여 수여하거나, 메달, 트로피, 별도의 케이스에 상패를 담아 수여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방식의 상패는 단순히 개인 또는 단체의 공로, 실적 등을 치하하는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고, 별도의 부상품을 따로 전달해야 하는 등으로 인해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별도의 케이스에 상패를 담아 수여하는 경우에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힌지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케이스에 상패를 담아 보관하여 수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에 상패를 담아 수여하는 상패는 마치 조개가 입을 벌리는 것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 하여 통상 가리비식 상패라 불리우고 있고, 종래의 가리비식 상패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힌지결합한 후, 그 내부에 상패를 보관하고, 상패를 진열시에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상패를 경사지게 기립시켜 상패의 내용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리비식 상패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상패를 보관하기 위해 통상 하부커버에 별도의 상패수납부를 가공하여야 한다. 이때, 상패 수납부에 보관된 상패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있는 바, 가리비식 상패를 수여받은 자가 진열 등을 목적으로 상패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상패수납부로부터 상패를 꺼낸후,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상패를 경사지게 거치하여야 하였다.
즉, 종래의 가리비식 상패는 상패수납부(하부커버)에 보관된 상패를 용이하게 꺼내기 위해서 하부커버 양측으로 별도의 탈거홈을 더 가공하여야만 하고, 이로 인해 가리비식 상패의 작업공정이 더 추가되어 작업성이 좋지못하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 및 생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패를 상패수납부에서 꺼내였다 하여도 상패를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경사지게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전방측 일면에 별도의 거치홈을 더 가공하여야 하고, 이 역시, 제조단가 및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가리비식 상패는 사용자가 상부커버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부커버의 하부커버로부터 상패를 꺼낸후, 고정홈에 상패를 거치하는 일련의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사용자가 상패를 진열시 외부충격이나 부주의로 인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경사지게 거치된 상패가 외부로 이탈하기가 쉽고, 이탈된 상패가 손상, 파손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자신의 업적, 성과 등에 따라 수여된 중요한 상패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패가 상부커버와 반자동선회작동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패의 진열 또는 상패내용의 확인시, 상부커버의 개방만으로 상패가 전면으로 자동선회되어 상패내용의 확인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상패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자동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패를 외부로 노출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탈거홈, 고정홈 등 별도 공정이 필요없어 제작공정이 간소화되고, 미관이 수려하며, 이를 통해 제조단가와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패가 상부커버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패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실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자신의 업적, 공로, 실적 등에 따른 중요한 상패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는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는 상부커버(100)와; 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으로 자동선회작동되는 상패(200)와; 상기 상부커버(100) 배면측에 힌 지결합되어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패(200)가 보관 및 전방으로 선회된 후 노출고정되도록 상부면에 상기 상패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상패보관부(410)가 형성된 하부커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은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과 상기 상패(200) 배면측에 결합되는 힌지수단(310)과; 상기 힌지수단(310) 일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패(200)가 전방으로 자동선회작동되도록 마련된 비틀림스프링(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상기 상패(200) 형상에 대응되는 상패수납부(11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상기 상패(200)가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과 결합되어 수납되며; 상기 하부커버(400)의 전방측에 고정홈(420)이 형성되어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수납된 상패(200)가 자동선회되어 말단이 상기 고정홈(420)에 고정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00)와 상기 하부커버(400)는 사각, 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패가 상부커버와 반자동선회작동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패의 진열 또는 상패내용의 확인시, 상부커버의 개방만으로 상패가 전면으로 자동선회되어 상패내용의 확인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상패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자동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패를 외부로 노출시켜 고정하기 위한 탈거홈, 고정홈 등의 별도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공정이 간소화되고, 미관이 수려하며, 이를 통해 제조단가와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패가 상부커버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패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실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자신의 업적, 공로, 실적 등에 따른 중요한 상패의 소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는 상패를 수여받은 사용자가 상부커버의 개방만으로 상패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가리비형태의 상패로 형성된 것으로, 상부커버(100), 상패(200),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 하부커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0)와 후술되는 하부커버(400)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개가 입을 벌리는 것과 같이 개방되도록 각각의 후단이 대응되어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400)는 통상의 가리비형 상패와 동일한 구성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400)는 도면에는 사각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및 삼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상패(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후술되는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으로 상기 상패(200)가 자동선회작동되어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상패(200)는 상부커버(100)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되어 파손, 손상 등으로 인한 상패의 소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여 사용자 개인의 실적, 공로 등으로 수여받은 상패를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0)와 상기 상패(200)를 일체로 결합하여 보관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상패(200)를 진열하기 위해 상부커버(100)를 상향개방시, 상기 상패(200)의 하부커버(400)측 말단이 하부커버(400) 상측면상에서 전방으로 자동전진하여 최종적으로 하부커버(400)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패(200)가 상부커버(100)와 후술되는 하부커버(400)와 삼각형태로 고정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수단(310), 비틀림스프링(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수단(310)은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과 상기 상패(200) 배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수단(310)은 경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수단(310)은 경첩이외에 플렉시블한 시트를 상기 상패(200)의 배면과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에 결합하여 일체로 하여도 좋다.
상기 비틀림스프링(320)은 상기 상패(200)가 상부커버(100)의 개방에 따라 전방으로 자동선회되도록 상기 힌지수단(310) 일측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틀림스프링(320) 외에 테엽식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 상기 상패(200)가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선회되도록 텐션을 가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0) 배면측에 힌지결합되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40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패(200)가 보관 및 전방으로 선회된 후 노출고정되도록 상패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상패보관부(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패(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관시에는 상기 상부커버(100)의 상패(200)의 말단이 상부커버의 하부면측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회작동한 후, 상부커버(100)를 하부커버(400) 하부면측으로 선회한다. 이후,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에 돌출된 상패(200)는 하부커버(400)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상패보관부(410)에 삽입되어 보관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패(200)를 외부로 노출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커버(1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상패(200)는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의 비틀림스프링(320)의 텐션에 의해 전방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이에 따라 상기 상패(200)의 말단은 상패보관부(410)의 내측면을 따라 전진이동하고, 요입형성된 상기 상패보관부(410)의 전방 최종단에 걸림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패(200)가 사용자의 상부커버(100)의 개방만으로 자동선회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상기 상패(200) 형상에 대응되는 상패수납부(110)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상기 상패(200)가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과 결합되어 수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의해 상기 상패(200)가 상부커버(100)의 하부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400)의 전방측에 고정홈(4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커버(100)를 개방하게 되면 상패(200)는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의 비틀림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선회된다. 이후, 전방으로 선회작동되는 상기 상패(200)의 말단은 하부커버(40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패(200)는 하부커버(4000의 상부면을 따라 전방으로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홈(420)측에 도달하게 되면 상패(200)의 말단이 고정홈(420)에 삽입되어 더이상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400), 상패(200)가 가리비 상패의 삼각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상패(200)를 보관시에는 상기 고정홈(420)에서 상패(200)의 말단의 삽입을 해제한 후, 외력으로 상패(200)를 상기 상패수납부(110) 의 하부면으로 수동으로 선회작동하여 위치시켜 상부커버(100)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한 후, 상부커버(100)를 하부커버(400)측으로 선회하여 서로 마주보게 대응되도록 한 후 보관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와 다른 실시예는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고안의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는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에 의해 상패(200)와 상부커버(10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거치가 간편하고, 자동으로 상패(200)가 전방으로 노출되어 고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좀더 편리하게 상패의 진열을 위한 노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패의 이탈, 분실 등을 방지하여 중요한 내용의 상패를 소실을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제조시, 종래의 고정홈과 탈거홈이 없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이를 가공하기 위한 엔드밀 등의 특수한 장비의 사용이 필요없어 생산단가가 절감됨은 자명한 것이다.
나아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심플한 미감이 표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요부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상부커버 110 : 상패수납부
200 : 상패 300 : 반자동선회작동수단
310 : 힌지수단 320 : 비틀림스프링
400 : 하부커버 410 : 상패보관부
420 : 고정홈
Claims (4)
- 상부커버(100)와;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으로 자동선회작동되는 상패(200)와;상기 상부커버(100) 배면측에 힌지결합되어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패(200)가 보관 및 전방으로 선회된 후 노출고정되도록 상부면에 상기 상패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된 상패보관부(410)가 형성된 하부커버(400);를 포함하는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은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과 상기 상패(200) 배면측에 결합되는 힌지수단(310)과;상기 힌지수단(310) 일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커버(100)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패(200)가 전방으로 자동선회작동되도록 마련된 비틀림스프링(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커버(100)의 하부면에 상기 상패(200) 형상에 대응되는 상패수납부(11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상기 상패(200)가 반자동선회작동수단(300)과 결합되어 수납되며;상기 하부커버(400)의 전방측에 고정홈(420)이 형성되어 상기 상패수납부(110)에 수납된 상패(200)가 자동선회되어 말단이 상기 고정홈(4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커버(100)와 상기 하부커버(400)는 사각, 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916U KR200453106Y1 (ko) | 2009-03-13 | 2009-03-13 |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916U KR200453106Y1 (ko) | 2009-03-13 | 2009-03-13 |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9312U true KR20100009312U (ko) | 2010-09-27 |
KR200453106Y1 KR200453106Y1 (ko) | 2011-04-06 |
Family
ID=4419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2916U KR200453106Y1 (ko) | 2009-03-13 | 2009-03-13 |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310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65388A (zh) * | 2015-01-29 | 2015-06-03 | 湖州织里荣华铝业有限公司 | 一种可组装正多边形的铝合金框架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705Y1 (ko) * | 2002-09-06 | 2003-01-30 | 강인태 | 상패틀 |
US7556384B2 (en) | 2005-01-07 | 2009-07-07 | C.C. & L Company Limited | Press-up tri-fold display device |
KR20080029026A (ko) * | 2006-09-28 | 2008-04-03 | 정진철 | 표면에 장식층이 형성된 순금 장식판을 구비하는 장식용액자 |
JP2008104706A (ja) * | 2006-10-26 | 2008-05-08 | Ladonna:Kk | 展示器具 |
-
2009
- 2009-03-13 KR KR2020090002916U patent/KR2004531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65388A (zh) * | 2015-01-29 | 2015-06-03 | 湖州织里荣华铝业有限公司 | 一种可组装正多边形的铝合金框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3106Y1 (ko) | 201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R2661012A1 (fr) | Montre a cadran transparent a decor amovible. | |
KR200453106Y1 (ko) | 상패내용의 자동노출이 가능한 상패 | |
USD566114S1 (en) | USB memory device | |
JP4726819B2 (ja) | 遊技台 | |
JP2005125074A (ja) | 弾球遊技機 | |
ES2605798T3 (es) | Lectores de cartas de agujero y cajas de fichas de blackjack integrados y cubiertas mejoradas para cajas de fichas | |
JP2004254967A (ja) | 遊技機 | |
JP2001340517A (ja) | 遊技機 | |
ES2305387T3 (es) | Maquina de juegos. | |
JP2008302018A (ja) | 遊技台 | |
KR200419571Y1 (ko) | 기념주화케이스 | |
JP4046635B2 (ja) | 遊技機 | |
KR200381189Y1 (ko) | 알루미늄 안경케이스 구조 | |
JP2001239038A (ja) | パチンコ遊技機 | |
JP4713404B2 (ja) | 表示ユニットの取付構造 | |
JP2002200296A (ja) | 遊技機枠体 | |
KR20100012616U (ko) | 상패 | |
CN217524164U (zh) | 一种用于娱乐的多功能卡套 | |
JP2005312784A (ja) | 節句飾り | |
JP4558897B2 (ja) | パチンコ遊技機 | |
JP2009131502A (ja) | 遊技機 | |
KR100724039B1 (ko) | 기념주화 케이스 | |
JP3076539U (ja) | 展示用装身具収納ケース | |
KR20090010131U (ko) | 상패케이스 | |
TWM629073U (zh) | 可掀式眼鏡結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