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126A -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126A
KR20100009126A KR1020080069848A KR20080069848A KR20100009126A KR 20100009126 A KR20100009126 A KR 20100009126A KR 1020080069848 A KR1020080069848 A KR 1020080069848A KR 20080069848 A KR20080069848 A KR 20080069848A KR 20100009126 A KR20100009126 A KR 2010000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plate
seat plate
frame
nu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수
Original Assignee
김홍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수 filed Critical 김홍수
Priority to KR102008006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9126A/ko
Publication of KR2010000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6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atient, e.g. using flaps or additional ti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20)가 형성된 욕조(2)와, 상기 욕조(2)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수단(43)이 장착되고, 후방에 상기 욕조(2)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부여하는 회전장치(5)가 설치된 기대(4)와, 상기 욕조(2) 내의 수용부(20)에 설치된 레일홈(7)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의자(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입욕을 위한 이동횟수를 절감시킴으로써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환자의 전도 및 낙하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욕조, 반신, 회전, 의자, 이동식 욕조, 개호 욕조

Description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Movable Attendance Bathtub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쉽고 편하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은 신체의 전부를 물에 담그는 전신욕과 신체의 일부를 물에 담그는 반신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욕조 내에서 독서나 기타 손이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는 반신욕이 유행하면서 그에 필요한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가 많은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경우 목욕이 불편하고, 보호자가 부축하여 욕조에 입욕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힘과 이동 단계가 필요하다.
즉, 환자를 침대에서 일으켜서 휠체어에 앉히고, 욕조로 이동하여 다시 환자를 들어서 욕조에 넣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환자나 보호자에게 모두 힘들고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욕조에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환자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욕조 내에 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욕조를 눕힌 후 물을 담아 목욕을 할 수 있어 환자나 보호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욕조와, 상기 욕조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며 이동수단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욕조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부여하는 회전장치가 설치된 기대와, 상기 욕조 내의 수용부에 설치된 레일홈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의자로 구성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입욕을 위하여 이동횟수를 절감시킴으로써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환자의 전도 및 낙하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탕 및 배수가 가능한 장소만 확보된다면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도 목욕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신 욕종 장치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A)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20)가 형성된 욕조(2)와,
상기 욕조(2)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수단(43)이 장착되고, 후방에 상기 욕조(2)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부여하는 회전장치(5)가 설치된 기대(4)와,
상기 욕조(2) 내의 수용부(20)에 설치된 레일홈(7)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의자(6)로 구성된다.
이제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욕조(2)는, 수직으로 된 뒷판(21)과, 상기 뒷판(21)의 하부에 이어지며 수평으로 형성된 안착판(22)과, 상기 안착판(22)의 하부에 이어지며 경사지게 형성된 요입부(23)와, 양측에 형성된 측판(2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측면에서 보았을때 "ㄴ"자 형상으로 된 통체이다.
상기 욕조(2)의 하부에는 배수구(26)가 형성되는데, 가장 적절한 설치위치는 상기 뒷판(21)과 안착판(22)이 이어지는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기대(4)는, 욕조(2)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 되어 대략 "┌┐" 형상으로 된 장방형의 프레임(42)과, 상기 프레임(42)의 측면 상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욕조(2)의 측판(24) 외면에 힌지결합된 수직프레임(42)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프레임(42)의 하부에 이동수단(43)이 장착된다.
상기 이동수단(43)은 통상의 바퀴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를 갖는 바퀴, 일명 캐스터를 채용하였다.
상기 회전장치(5)는, 욕조(2)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부여하여 내측 수용부(20)에 물을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52) 내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로드(54)로 구성된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본체(52) 하단은 상기 프레임(42)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로드(54)의 상단은 상기 욕조(2)의 안착판(22) 후면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의자(6)는 욕조(2) 내의 수용부(20)에 형성된 레일홈(7)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한 것으로, 의자(6)를 욕조(2)의 전방으로 인출시키면 환자의 착석이 용이하게 되고, 인입시키면 환자와 의자가 함께 욕조(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의자(6)는, 후방에 등받이(61)가 형성되고 측방에 팔걸이(62)가 형성된 좌판(63)과, 상기 좌판(63)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발판부재(64)로 구성되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판(63)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7)에 삽입되는 롤러(632)가 장착되고, 상기 좌판(63)의 저면 후방에는 걸림턱(633)이 형 성된다.
상기 팔걸이(62)는, 상기 좌판(63)의 측단에 관통결합되어 승강되는 축봉(622)과, 상기 축봉(622)의 상단에 설치된 수평봉(624)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축봉(622)의 하단은 상기 욕조(2)의 요입부(23), 특히 경사면에 접촉된다.
상기 레일홈(7)은 상기 욕조(2)의 안착판(22) 양측 상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의자(6)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부 측벽에는 상기 좌판(63)의 걸림턱(633)이 걸리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4)가 형성되고, 전단 및 후단에는 단턱(71,7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33)은 상기 고정부재(74)를 타고 넘기 용이하도록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A)를 이동시켜 환자가 있는 장소, 즉 침대까지 이동시킨다.
이후, 보호자는 하부의 이동수단(43)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잠가서 욕조(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의자(6)를 전방으로 당겨서 인출시킨 후 보호자가 환자를 착석시킨다.
즉, 의자(6)를 당기면 좌판 하부의 롤러(632)가 레일홈(7)을 타고 구르게 되 므로 인출될 수 있고, 레일홈(7)의 전단 단턱(71)에 롤러(632)가 닿으면 의자(6)의 인출작동은 정지된다.
이렇게 의자(6)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환자를 착석시킨다. 이때 팔걸이(62)는 하강된 상태이므로 좀더 편하게 착석이 가능하다.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의자(6)를 후방으로 밀어 인입시키면, 좌판(63) 하부의 롤러(632)가 레일홈(7)을 타고 후진하게 되고, 좌판(63) 하부의 걸림턱(633)이 고정부재(74)를 타고 넘으면서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팔걸이(62)의 축봉(622) 하단이 욕조(2)의 경사진 요입부(23)를 타고 후진함으로써 점차 상승하게 되고, 요입부(23)를 지나면 최대로 상승된 상태가 되어 환자가 편하게 팔을 걸칠 수 있다.
이후, 도 5를 참조하면, 욕조(2)를 목욕장소로 이동시킨 후 배수구(26)를 막은 상태에서 회전장치(5)를 작동시켜 욕조(2)가 약 30°~ 45°정도 상방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즉, 회전장치(5)의 로드(54)가 인입됨으로써 욕조(2)가 수직프레임(44)의 힌지결합부위를 회전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욕조(2)를 회전시켜 환자가 누운 형상이 되도록 한 후 수용부(20)에 물을 공급하여 적정량을 채운 후 목욕을 실시한다.
목욕이 끝나면, 배수구(26)를 열어 욕조(2) 내의 물을 배출시킨다.
이후, 회전장치(5)의 로드(54)를 인출시킴으로써 욕조(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상태로 환자가 쉬는 장소로 욕조(2)를 이동 시킨다.
이후, 보호자가 의자(6)를 앞으로 강하게 당기면 좌판(63)의 걸림턱(633)이 고정부재(74)를 타고 넘어서게 되고 롤러(632)가 레일홈(7)을 타고 구름으로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상태로 환자를 착석시킨 의자가 인출되면, 환자를 내려 침대로 이동시키고 목욕을 마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신 욕종 장치의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욕조 4 : 기대
5 : 회전장치 6 : 의자
7 : 레일홈 20 : 수용부
21 : 뒷판 22 : 안착판
23 : 발판부 24 : 측판
42 : 프레임 43 : 이동수단
44 : 수직프레임 52 : 본체
54 : 로드 61 : 등받이
62 : 팔걸이 63 : 좌판
64 : 발판부재 71,72 : 단턱
74 : 고정부재

Claims (7)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20)가 형성된 욕조(2)와,
    상기 욕조(2)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하부에 이동수단(43)이 장착되고, 후방에 상기 욕조(2)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부여하는 회전장치(5)가 설치된 기대(4)와,
    상기 욕조(2) 내의 수용부(20)에 설치된 레일홈(7)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의자(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2)는, 수직으로 된 뒷판(21)과, 상기 뒷판(21)의 하부에 이어지며 수평으로 형성된 안착판(22)과, 상기 안착판(22)의 하부에 이어지며 경사지게 형성된 요입부(23)와, 양측에 형성된 측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4)는, 상기 욕조(2)가 안착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어 대략 "┌┐" 형상으로 된 장방형의 프레임(42)과, 상기 프레임(42)의 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욕조(2)의 측판(24) 외면에 힌지결합된 수직프레 임(42)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프레임(42)의 하부에 상기 이동수단(43)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5)는, 본체(52) 내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로드(54)로 구성된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장치이며, 상기 본체(52) 하단은 상기 프레임(42)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로드(54)의 상단은 상기 욕조(2)의 안착판(22) 후면에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6)는, 후방에 등받이(61)가 형성되고 측방에 팔걸이(62)가 형성된 좌판(63)과, 상기 좌판(63)의 전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발판부재(64)로 구성되며, 상기 좌판(63)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7)에 삽입되는 롤러(632)가 장착되고, 상기 좌판(63)의 저면 후방에는 걸림턱(63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62)는 상기 좌판(63)의 측단에 관통결합되어 승강되는 축봉(622)과, 상기 축봉(622)의 상단에 설치된 수평봉(624)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축봉(622)의 하단은 상기 욕조(2)의 요입부(23)에 접촉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7)은 상기 욕조(2)의 안착판(22) 양측 상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이며, 후단부 측벽에는 상기 좌판(63)의 걸림턱(633)이 걸리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4)가 형성되고, 전단 및 후단에는 단턱(71,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KR1020080069848A 2008-07-18 2008-07-18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KR20100009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48A KR20100009126A (ko) 2008-07-18 2008-07-18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48A KR20100009126A (ko) 2008-07-18 2008-07-18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26A true KR20100009126A (ko) 2010-01-27

Family

ID=4181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848A KR20100009126A (ko) 2008-07-18 2008-07-18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9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46B1 (ko) * 2012-12-04 2014-06-10 황규일 절수형 틸팅 욕조
KR102111532B1 (ko) * 2018-12-18 2020-05-15 주식회사 영실 자동 운반 욕조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목욕 차량
KR20220056290A (ko) 2020-10-27 2022-05-06 최도현 환자용 목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46B1 (ko) * 2012-12-04 2014-06-10 황규일 절수형 틸팅 욕조
KR102111532B1 (ko) * 2018-12-18 2020-05-15 주식회사 영실 자동 운반 욕조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목욕 차량
KR20220056290A (ko) 2020-10-27 2022-05-06 최도현 환자용 목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13297A (zh) 沐浴輔助裝置
CN201404131Y (zh) 可移动特殊护理浴缸
US20080034494A1 (en) Invalid bathing seat assembly and system
JP2008104846A (ja) 理美容用椅子
JP4555632B2 (ja) 理美容用椅子
KR20210042244A (ko) 다기능 휠체어
KR20100009126A (ko) 이동식 개호 욕조 장치
KR20210136359A (ko) 환자용 이동식 양변기
JP2009279361A (ja) 患者を車椅子からベットに乗り移らせたり、、入浴、排便させる介護を一人で行えるように組み合わせた、床ずれ防止機能を備えた介護ベッド
JP7081787B2 (ja) 浴槽のレー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入浴システム
JP6769653B2 (ja) 入浴介護装置
JP2001000499A (ja) 入浴介護用昇降装置
JP3584263B2 (ja) 入浴システム
KR100980111B1 (ko) 장애인용 화장실
KR101219634B1 (ko) 장애인 구강 진료용 휠체어 리프트
JP4425391B2 (ja) リフト入浴装置
JP6170344B2 (ja) 容器取付構造
JP2002065802A (ja) 浴槽、及び入浴装置
JP7332232B2 (ja) 介護用椅子
JP2019051303A (ja) 入浴装置
KR20130003231A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2587321B1 (ko) 편안한 포지셔닝을 제공하는 반자동 샴푸대
CN210989956U (zh) 护理用如厕辅助装置
KR101078224B1 (ko) 움직이는 욕조가 구비된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위한 고령 친화형 자동 목욕 장치
KR20120060132A (ko) 움직이는 욕조가 구비된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위한 고령 친화형 자동 목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