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111B1 - 장애인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111B1
KR100980111B1 KR1020100046186A KR20100046186A KR100980111B1 KR 100980111 B1 KR100980111 B1 KR 100980111B1 KR 1020100046186 A KR1020100046186 A KR 1020100046186A KR 20100046186 A KR20100046186 A KR 20100046186A KR 100980111 B1 KR100980111 B1 KR 10098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isabled
water
horizontal support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규현
Original Assignee
백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규현 filed Critical 백규현
Priority to KR102010004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화장실에는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돌려서 앉을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앉을 수 있도록, 후면부가 전면부 및 측면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변기커버를 구비하는 좌변기; 상기 좌변기에 결합되고,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면 시설; 및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로 이동하기 위해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 이 포함되고, 상기 세면 시설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좌변기로 공급되어, 상기 좌변기의 물을 내리는데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이 용변을 보기 위하여 불편한 몸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고, 장애인이 용변을 본 후 손을 씻기 위하여 불편한 몸을 이끌고 이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화장실{Toilet and Basin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에는 장애인 전용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애인 전용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은 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일반인이 사용하는 화장실의 내부에 비해 그 공간이 크고 넓게 형성되며, 상기 장애인 전용 좌변기의 양측 또는 일측에 장애인이 손으로 잡아서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은 출입문으로 들어간 후, 상기 지지대를 잡거나 제3자의 도움으로 몸을 일으켜 세우고, 이에 더하여 불편한 몸을 거의 180도 가까이 회전하고 나서야 상기 장애인 전용 좌변기에 앉을 수 있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장애인이 용변을 보고 난 후에는 손을 씻기 위해 상기 장애인용 변기가 설치된 공간에서 나와서 세면 시설로 이동한 후에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애인이 몸을 회전하지 않아도 용변을 볼 수 있고, 용변을 본 후에 손을 씻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는 장애인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을 씻고 난 물을 좌변기의 용변을 내리는데 재사용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장애인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는,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돌려서 앉을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앉을 수 있도록, 후면부가 전면부 및 측면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변기커버를 구비하는 좌변기; 상기 좌변기에 결합되고,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면 시설; 및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로 이동하기 위해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 이 포함되고, 상기 세면 시설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좌변기로 공급되어, 상기 좌변기의 물을 내리는데 재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지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 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가 포함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이 용변을 보기 위하여 불편한 몸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이 용변을 본 후 손을 씻기 위하여 불편한 몸을 이끌고 이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이 용변을 본 후 사용한 물을 좌변기의 물을 내리는데 재사용하여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의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좌변기 및 세면 시설 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화장실(1)에는 장애인이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10)와,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 시설(20)과, 장애인이 몸을 지지하기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30)과, 상기 세면 시설(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부(40)와,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볼 수 있는 거울(50)이 포함된다.
상기 좌변기(10)에는, 장애인이 용변을 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와, 장애인의 엉덩이를 받치는 변기커버(12)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1) 및 상기 변기커버(12)는 장애인이 벽을 향해 앉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변기와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장애인의 용변이 수용될 수 있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의 오목한 공간에는 물이 고여 있다. 상기 본체(11)는 상기 세면 시설(20)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11) 상기 세면 시설(20)에서 사용된 물이 상기 본체(11) 내부의 오목한 공간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세면 시설(20)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 시설(20)의 물은 본체에 수용된 용변을 내리는데 다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기커버(12)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커버(12)는 상기 본체(11)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변기커버(12)는,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10)에 앉았을 때,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본체(1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기커버(12)는 상기 본체(11)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기커버(12)에는, 주로 장애인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커버 측면부(12a)와, 장애인이 들어오는 출입구 측으로 형성되는 커버 후면부(12b)가 포함된다. 상기 변기커버(12)는 장애인의 불편한 신체를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측면부(12a)의 두께가 상기 커버 후면부(12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 후변부(12b)가 상기 변기커버(12)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변기커버(12)는 장애인의 엉덩이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12)에서 출입구의 반대측에는 장애인의 소변이 상기 변기커버(12)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된 부분인 전방 개구부(12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애인은 불편한 신체를 180도 회전하는 불편함을 겪지 않고, 출입문을 통하여 들어온 자세 그대로 다리를 벌려 상기 좌변기(10)에 앉을 수 있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엉덩이가 출입구를 향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세면 시설(20)에는, 장애인이 세안 또는 손을 씻기 위해 물을 받는 세면대(21)와, 상기 세면대(21)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22)와, 상기 세면대(21) 및 상기 물저장부(22)를 지지하는 지지부(23)가 포함된다.
상기 세면대(21)에는 상기 물공급부(40)의 인접한 하방에 설치되고,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211)와, 상기 세면대(21)에는 물이 빠질 수 있는 물빠짐홀(211)과, 상기 물빠짐홀(211)에서 빠지는 물을 상기 물저장부(22)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212)가 포함된다.
상기 세면대(21)는 상기 물공급부(40)에서 공급된 물이 1차적으로 수용되고, 장애인은 용변을 본 후에 상기 좌변기(10)에 앉은 상태로 상기 세면대(21)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거나, 세안을 할 수 있다. 상기 세면대(21)는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손을 씻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저장부(22)는 상기 세면대(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물저장부(22)에는 내부에 상기 세면대(21)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물저장부(22)에는 상기 세면대(21)에서 사용된 물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변기의 물저장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물공급이 이뤄지며, 이러한 일반적인 방식과 상기 세면대(21)에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방식이 함께 이뤄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22)에는 일반적인 변기의 물저장부보다 물이 더 빠른 속도로 채워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저장부(22)에는, 상기 물저장부(22)에 저장된 물이 상기 좌변기(10)로 내려가는 것을 선택적으로 막는 물막음부(221)와, 장애인이 조작할 수 있는 물내림스위치(225)와, 상기 물막음부(221) 및 상기 물내림스위치(225)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26)가 포함된다.
상기 물내림스위치(225)를 눌르면 상기 연결 부재(226)가 상기 물막음부(221)를 들어올려서 상기 물저장부(2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좌변기(10)를 내릴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22)의 일측에는 휴지(60)를 걸기 위한 휴지 걸이부(223)가 설치된다. 따라서, 장애인은 용변을 본 후에 휴지로 뒷처리를 하고, 손을 닦는 작업을 상기 좌변기(10)에서 일어나거나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좌변기(10)에 앉아서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물저장부(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세면대(21) 및 상기 물저장부(2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의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부(22)에 저장된 물이 상기 좌변기(10)로 흐르기 위해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23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좌변기(10)와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231)와 상기 좌변기(10) 내부는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22)에 저장된 물은, 장애인이 상기 물내림스위치(225)를 누르면, 상기 공간부(231)를 통하여 상기 좌변기(10)로 공급된다.
상기 지지부(23)는 장애인이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장애인의 다리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23)는 장애인의 다리와 간섭되지 않도록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는,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세면대(21) 또는 상기 물저장부(22)의 좌우폭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상기 좌변기(1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적인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30)는 장애인이 휠체어(W)에서 상기 좌변기(10)로 이동하기 위해 장애인이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 구조물(30)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세면 시설(20)이 설치된 벽에서 출입구 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대(31)와, 상기 수평지지대(31)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32)와, 상기 수평지지대(31)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 지지대(33)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30)은 장애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1)에는 지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1)에는 상부 수평지지대(31a)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의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수평지지대(31b)가 포함된다.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 및 하부 수평지지대(31b)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에는 슬라이딩 바(35)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35)는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를 따라서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35)는 장애인이 상기 휠체어(W)에서 상기 변기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세히, 장애인은 상기 슬라이딩 바(35)에 어깨를 걸치고,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31b)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바(35)는 장애인의 신체가 닿는 부분이므로, 장애인에게 압박을 가하지 않도록 스펀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바(3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바(35)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 사이에 윤활유 등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32)는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31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지지대(32) 사이에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31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대(33)는 상기 세면대(21) 앞에 위치되도록, 좌측 및 우측 수평지지대(31a)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대(33)는 장애인이 용변 시에 잡을 수 있어서, 장애인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부(40)는 상기 세면대(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면대(21)에 물을 공급한다. 일례로, 상기 물공급부(40)는 수도꼭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50)은 상기 세면대(21)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거울(50)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은 거울을 보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앉은 상태에서 거울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좌변기 20 : 세면 시설
21 : 세면대 22 : 물저장부
30 : 지지 구조물 35 : 슬라이딩 바
40 : 물공급부 50 : 거울

Claims (4)

  1. 장애인이 불편한 신체를 돌려서 앉을 필요없이 들어온 자세 그대로 앉을 수 있도록, 후면부가 전면부 및 측면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변기커버를 구비하는 좌변기;
    상기 좌변기에 결합되고,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면 시설; 및
    장애인이 상기 좌변기로 이동하기 위해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 이 포함되고,
    상기 세면 시설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좌변기로 공급되어, 상기 좌변기의 물을 내리는데 재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은,
    지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 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가 포함되는 수평지지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바; 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화장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 시설이 설치되는 벽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거울이 설치되는 장애인용 화장실.




KR1020100046186A 2010-05-17 2010-05-17 장애인용 화장실 KR10098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86A KR100980111B1 (ko) 2010-05-17 2010-05-17 장애인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86A KR100980111B1 (ko) 2010-05-17 2010-05-17 장애인용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111B1 true KR100980111B1 (ko) 2010-09-06

Family

ID=4300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186A KR100980111B1 (ko) 2010-05-17 2010-05-17 장애인용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5614A (zh) * 2017-05-25 2017-08-29 厉海若 一种具有辅助坐立功能的自清洁坐便系统及使用方法
KR102176090B1 (ko) 2020-05-12 2020-11-09 정재홍 장애인화장실용 휠체어회전장치
KR102648109B1 (ko) 2023-02-03 2024-03-18 이건화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528U (ko) * 1989-11-27 1991-07-31
KR20070032763A (ko) * 2007-02-23 2007-03-22 김창덕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20100033949A (ko)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케이원 세면대 일체형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528U (ko) * 1989-11-27 1991-07-31
KR20070032763A (ko) * 2007-02-23 2007-03-22 김창덕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KR20100033949A (ko) *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케이원 세면대 일체형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5614A (zh) * 2017-05-25 2017-08-29 厉海若 一种具有辅助坐立功能的自清洁坐便系统及使用方法
CN107095614B (zh) * 2017-05-25 2019-04-05 厉海若 一种具有辅助坐立功能的自清洁坐便系统及使用方法
KR102176090B1 (ko) 2020-05-12 2020-11-09 정재홍 장애인화장실용 휠체어회전장치
KR102648109B1 (ko) 2023-02-03 2024-03-18 이건화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184B2 (en) Portable personal hygiene apparatus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US3711872A (en) Sit in shower
KR100980111B1 (ko) 장애인용 화장실
US5937454A (en) Bathing chair
KR102648109B1 (ko)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KR102253201B1 (ko) 이동식 환자용 욕조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CN2815320Y (zh) 残疾人多功能生活护理轮椅
JP2019058359A (ja) 浴室内介助用チェア
KR200485509Y1 (ko) 크로젯형 유니트 화장실
CN201175306Y (zh) 中老年人用多功能椅
JP3217432U (ja) 車椅子から便座へ自力で移乗できる三点ポイントレストルーム
JPH1156662A (ja) 浴 槽
JP3496435B2 (ja) 衛生設備
KR20150071582A (ko)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JP2000157440A (ja) 出窓付き浴室並びにこの浴室に用いる浴槽
JP4187048B2 (ja) 浴室ユニット
JP3624217B1 (ja) 携帯用簡易洗髪台
JPH05111439A (ja) 車椅子用洗面化粧台
TWM626208U (zh) 坐式浴缸
JP2001198042A (ja) バスルーム構造
JPH08254030A (ja) 病院用ユニットルーム
Swann Providing convenient and accessible toilet facilities
Fernandes Assistive bathing and showe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