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389A - 변좌 - Google Patents

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389A
KR20100007389A KR1020080068002A KR20080068002A KR20100007389A KR 20100007389 A KR20100007389 A KR 20100007389A KR 1020080068002 A KR1020080068002 A KR 1020080068002A KR 20080068002 A KR20080068002 A KR 20080068002A KR 20100007389 A KR20100007389 A KR 2010000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eat
user
bas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389A/ko
Publication of KR2010000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좌는 변좌 몸체(110); 상기 변좌 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20)에 구비되되 상기 변좌 몸체(110)에 사용자가 착좌하는지를 넓은 영역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좌 감지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고,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으며, 변좌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구비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착좌 감지부와 변좌의 가열을 위한 발열부를 베이스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변좌, 착좌 감지, 정전용량, 정전용량형 센서

Description

변좌{TOILET SEAT}
본 발명은 변좌에 관한 것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10)는 변기(도시되지 않음)나 비데(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좌(10)는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지며 서로 접착되는 변좌 몸체(11)와 변좌 몸체(11)에 내장되는 열전도판(12), 열전도판(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열선(13) 및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 센서(14)로 이루어져 있다. 착좌 센서(1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변기나 비데에 구비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변좌(10)에 앉으면 열선(13)을 발열시켜 변좌(10)를 가열시키거나 변기 또는 비데에서 사용될 온수를 가열시키거나 또는 변기 또는 비데의 자기세정 등을 수행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착좌 센서(14)는 사용자가 변좌(10)에 앉는 경우 나타나는 변좌 몸체(11) 또는 착좌 센서(14)의 물성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변좌(10)에 앉았을 때 변좌 몸체(11) 또는 착좌 센서(14)에 가해지는 힘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변좌(10) 에 앉았을 때의 변좌 몸체(11) 또는 착좌 센서(14)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도 있다.
종래 이러한 착좌 센서(14)를 변좌(1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 센서(14)가 위치될 열전도판(12)의 일부에 구멍을 내고 이에 착좌 센서(14)를 삽입하여 착좌 센서(14)를 변좌(10)에 설치하였다. 이러한 경우 열선(13)을 발열시켜도 착좌 센서(14)가 위치된 변좌(10)의 부분은 가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좌 센서(14)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없도록 사용자가 변좌(10)의 일부분에, 예컨대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 변좌(10)의 앞부분이나 측면에 앉는 경우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변좌(10)의 열전도판(12)의 여러 곳에 착좌 센서(14)를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열전도판(12)의 여러 곳에 구멍을 내야만 하고 착좌 센서(14)의 설치에 의해서 열선(13)을 발열시켜도 가열되지 않은 변좌(10)의 부분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좌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변좌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구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착좌 감지부와 변좌의 가열을 위한 발열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변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착좌 감지면적을 늘려서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변좌는 변좌 몸체; 변좌 몸체의 하측에 구비 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에 구비되되 변좌 몸체에 사용자가 착좌하는지를 넓은 영역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좌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좌 감지부는 베이스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센서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착좌로 인한 물성치 변화를 센서부재에 전달하는 감지패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물성치는 정전용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패드는 베이스부의 일면에 도전성 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감지패드는 베이스부의 일면에 금속 에칭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는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에는 발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열부는 발열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변좌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변좌에 착좌 감지부를 구비시킬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부에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착좌 감지부와 변좌의 가열을 위한 발열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좌 감지부와 발열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변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착좌 감지면적을 늘려서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의 일실시예와 같이 변좌 몸체(110)와 변좌 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20) 및 베이스부(120)에 구비되되 변좌 몸체(110)에 사용자가 착좌하는지를 넓은 영역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좌 감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좌 몸체(11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될 수 있다. 또한, 변좌 몸체(110)에는 베이스부(1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변좌 몸체(110)가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상부와 하부가 서로 접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에 포함되는 상기 베이스부(12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2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몸체(110)에 부착되어 변좌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변좌 몸체(110)에 더 구비될 수 있는 보호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보호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변좌 몸체(110)가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서로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베이스부(120)는 상부와 하부로 나뉜 변좌 몸체(110)의 사이에 위치되어 변좌 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변좌 몸체(110)는 베이스부(120)가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성형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2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좌 몸체(110)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20)는 기본적으로 환형으로 되어 있으며 변좌 몸체(110)의 뒷부분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20)의 뒷부분은 변좌 몸체(110)의 뒷부분의 형태와 일치할 수 있도록 직선으로 될 수 있고 변좌 몸체(110)의 앞부분에 대응되는 베이스부(120)의 앞부분은 변좌 몸체(110)의 앞부분의 형태와 일치할 수 있도록 곡선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2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변좌 몸체(110)에 구비되어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착좌 감지부(130)에 의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의 착좌 감지부(130)는 전술된 베이스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착좌 감지부(13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표면실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패드 형태로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20)에 착좌 감지부(130)를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에 포함되는 착좌 감지부(130)는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131)와 센서부재(131)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착좌로 인한 물성치 변화를 센서부재(131)에 전달하는 감지패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좌에 따른 감지패드(132) 또는 변좌 몸체(110)의 물성치의 변화가 감지패드(132)를 통해 센서부재(131)에 전달되어 센서부재(131)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재(131)는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한 IC칩의 형태로 센서부재(131)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재(131)가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의 착좌에 따라 변하는 감지패드(132) 또는 변좌 몸체(110)의 물성치는 정전용량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변좌 몸체(110)에 착좌하면 감지패드(132) 또는 변좌 몸체(110)의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변좌 몸체(110) 또는 감지패드(132)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감지패드(132)를 통해 센서부재(131)에 전달되어 센서부재(131)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센서부재(131)는 변좌(100)가 설치될 수 있는 변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비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재(131)가 감지패드(132)를 통해서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면 센서부재(131)가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후술할 발열부(140)를 작동시켜 변좌(100)를 가열하거나 변기 또는 비데에서 사용될 온수를 가열시키거나 또는 변기 또는 비데의 자기세정기능 등을 수행시킬 수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감지패드(132)는 센서부재(131)에서 연장되어 베이스부(12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베이스부(120)의 앞부분으로 길게 베이스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감지패드(132)는 사용자가 변좌 몸체(110)의 외측 또는 앞부분의 일부 영역에만 앉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감지패드(132)는 변좌 몸체(110)의 앞부분에서 전술된 감지패드(132)와 연결되어 베이스부(1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베이스부(120)의 뒷부분쪽으로 길게 베이스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감지패드(132)는 사용자가 변좌 몸체(110)의 내측 또는 앞부분 의 일부 영역에만 앉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베이스부(120)에 형성된 감지패드(132)에 의해서 사용자가 변좌 몸체(110)의 내측이나 외측 또는 앞부분의 일부 영역에만 앉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좌(100)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감지패드(132)를 통해 센서부재(131)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부(120)에 형성되는 감지패드(132)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변좌 몸체(110)의 어느 부분에 어떠한 형태로 앉던지 센서부재(131)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감지패드(132)는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도전성 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성 도료를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감지패드(132)의 영역에 도포하여 감지패드(132)를 베이스부(120)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패드(132)는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금속 에칭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감지패드(132)의 영역을 금속 에칭하여 베이스부(120)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120)에는 발열부(14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발열부(140)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예컨대 탄소 등과 같은 발열체로 구성된 발열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전열선 등으로도 발열부(14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변좌(100)를 가열시키도록 베이스부(12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발열부(140)는 도6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감지패드(132)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패드(132)와 발열부(140)가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함께 형성된 경우에는 감지패드(132)와 발열부(140)가 서로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소정간격 이격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7의 (a)와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패드(132)는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형성되고 발열부(140)는 베이스부(120)의 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7의 (a)에와 같이 감지패드(132)는 베이스부(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발열부(140)는 베이스부(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7의 (b)에서와 같이 감지패드(132)는 베이스부(120)의 하면에 형성되고 발열부(140)는 베이스부(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좌(100)를 변기 또는 비데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변좌(100)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에 의한 감지패드(132) 또는 변좌 몸체(110)의 물성치, 예컨대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패드(132)가 센서부재(131)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센서부재(131)는 센서부재(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변기 또는 비데에 구비된 제어부에 사용자가 변좌(100)에 착좌했다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서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발열부(140)를 작동시켜 변좌(100)를 가열시키거나 변기 또는 비데에서 사용될 온수를 가열시키거나 또는 변기 또는 비데의 자기세정기능 등을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좌(100)의 베이스부(120)에 형성된 감지패드(132)에 의해서 사용자가 변좌의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앉던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착좌 감지부(130)를 변좌(100)에 구비시키기 위해서 착좌 감지부(130)가 구비된 베이스부(120)를 변좌(100)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착좌 감지부(130)를 변좌(100)에 용이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변좌(100)에 구비된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베이스부(120)에 구비된 발열부(140)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고 변좌(100)에 착좌 감지부(130)를 구비시킬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부(120)에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할 수 있는 착좌 감지부(130)와 변좌(100)의 가열을 위한 발열부(140)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착좌 감지부(130)와 발열부(14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변좌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종래의 변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변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좌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좌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좌의 일실시예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좌의 베이스부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변좌 11,110 : 변좌 몸체
12 : 열전도판 120 : 베이스부
13 : 열선 14 : 착좌 센서
130 : 착좌 감지부 131 : 센서부재
132 : 감지패드 140 : 발열부

Claims (9)

  1. 변좌 몸체(110);
    상기 변좌 몸체(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20)에 구비되되 상기 변좌 몸체(110)에 사용자가 착좌하는지를 넓은 영역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좌 감지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20)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감지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센서부재(131); 및
    상기 센서부재(1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착좌로 인한 물성치 변화를 상기 센서부재(131)에 전달하는 감지패드(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치는 정전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드(132)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도전성 도료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드(132)는 상기 베이스부(120)의 일면에 금속 에칭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131)는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20)에는 발열부(1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40)는 발열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KR1020080068002A 2008-07-14 2008-07-14 변좌 KR20100007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02A KR20100007389A (ko) 2008-07-14 2008-07-14 변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02A KR20100007389A (ko) 2008-07-14 2008-07-14 변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89A true KR20100007389A (ko) 2010-01-22

Family

ID=4181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02A KR20100007389A (ko) 2008-07-14 2008-07-14 변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38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9118A (zh) * 2017-05-21 2017-08-18 盐城市威隆管夹制造有限公司 一种坐便不麻腿的柔性座便器盖子
CN107174157A (zh) * 2017-05-21 2017-09-19 盐城市威隆管夹制造有限公司 一种根据人体坐姿设计的柔性座便器盖子
EP3272260A1 (en) * 2016-07-22 2018-01-24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ary device seat and sanitary device
KR101896544B1 (ko) * 2017-04-04 2018-09-11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용 난방변좌
KR20210053495A (ko) * 2019-11-03 2021-05-12 제이엠디테크(주) 발열부를 감지 센서로 이용하여 변좌 전영역을 감지 영역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착좌 센서가 구비된 비데 장치
US20220244238A1 (en) * 2020-09-29 2022-08-04 Olive Diagnostics Ltd. Home toilet system for monitoring urine components in real time while urin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2260A1 (en) * 2016-07-22 2018-01-24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ary device seat and sanitary device
KR101896544B1 (ko) * 2017-04-04 2018-09-11 주식회사 나누텍 비데용 난방변좌
CN107049118A (zh) * 2017-05-21 2017-08-18 盐城市威隆管夹制造有限公司 一种坐便不麻腿的柔性座便器盖子
CN107174157A (zh) * 2017-05-21 2017-09-19 盐城市威隆管夹制造有限公司 一种根据人体坐姿设计的柔性座便器盖子
KR20210053495A (ko) * 2019-11-03 2021-05-12 제이엠디테크(주) 발열부를 감지 센서로 이용하여 변좌 전영역을 감지 영역으로 하는 정전용량형 착좌 센서가 구비된 비데 장치
US20220244238A1 (en) * 2020-09-29 2022-08-04 Olive Diagnostics Ltd. Home toilet system for monitoring urine components in real time while urination
US11698370B2 (en) * 2020-09-29 2023-07-11 Olive Diagnostics Ltd Home toilet system for monitoring urine components in real time while ur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389A (ko) 변좌
JP6280649B2 (ja) 静電式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把持検出装置
JP475186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US7652230B2 (en)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and subadjacent sensor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n operating device
JP4793002B2 (ja) 誘導加熱装置
JP5855007B2 (ja) ドアハンドル
KR101266474B1 (ko) 온도센서와 정전용량센서를 일체화한 복합센서의 설치구조
US20100192698A1 (en) Seat sensor apparatus for occupant presence detection
US20080122645A1 (en) Seat sensor
JP2008039195A (ja) 加熱調理器
JP4564894B2 (ja) 乗員検知システム
KR20110094568A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스위치
JP3999466B2 (ja) 乗員検知装置
JP6524472B2 (ja) 車両用の乗員識別システム、並びに車両用の乗員識別およびシートヒータシステム
US20080244938A1 (en) Ironing System
WO2024070174A1 (ja) 静電容量センサ
WO2012038326A1 (en) Capacitive occupant detection system
JP2022125264A (ja) シートへの圧力センサーの配置構造
JP2019165981A (ja) 便座装置
JP6907501B2 (ja) 静電センサ
JP7179261B2 (ja) 便座装置
KR101857149B1 (ko)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CN219557104U (zh) 马桶座圈和智能马桶
CN108309043B (zh) 电烹饪器及其防溢出显示系统和防溢出显示方法
KR100625117B1 (ko) 비데의 착좌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