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149B1 -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 Google Patents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149B1
KR101857149B1 KR1020160156807A KR20160156807A KR101857149B1 KR 101857149 B1 KR101857149 B1 KR 101857149B1 KR 1020160156807 A KR1020160156807 A KR 1020160156807A KR 20160156807 A KR20160156807 A KR 20160156807A KR 101857149 B1 KR101857149 B1 KR 10185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toilet seat
detection modul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현
조민석
김철준
이민종
Original Assignee
그린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전원 공급부,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착좌 감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Seating detection module and Toilet seat}
전원 공급부,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착좌 감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인간이 대소변의 배설에 사용하는 위생 기구이며, 주택 및 시설의 화장실에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변기는 모양 및 형태에 따라서 좌변기 또는 화변기 등 다양한 제품으로 이루어지는데, 최근에 설치되는 변기는 대부분 좌변기의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좌변기 자체에 전열선을 추가하여, 좌변기에 앉는 사용자에게 겨울에도 차가운 감촉을 느끼지 않고 온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좌변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기 위하여 착용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좌변기(100)의 경우 착용 감지 센서(130)가 좌변기의 일부분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변기 커버(110)가 별도의 착용물이 없을 때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고, 착좌시 전열부(120)가 동작하여 좌변기를 데우게 된다.
특히, 종래의 좌변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착용 감지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좌변기에 사용자가 착좌함에 따라서 변하는 정전 용량의 차이를 기반으로 착좌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변기 커버에 천(fabric)이나 비닐 등, 그 외 변기 커버의 디자인적/심미적 향상을 위한 덮개를 씌우는 경우, 좌변기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가 제대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착용 감지 센서와 맞닿거나 또는 도전성이 있는 물체를 사이에 두고 착용 감지 센서에 간접적으로 맞닿아야 정전 용량 식의 착용 감지가 가능한데, 변기 커버에 천이나 부도체로 이루어진 덮개를 씌우는 경우 정상적인 정전 용량식의 착용 감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좌변기 및 착좌 감지 모듈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변좌의 주변부에 착좌감지부를 배치하고 상기 착좌감지부에 의한 감지 정보에 따른 착좌 여부를 판단하는 착좌 감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전원 공급부,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변좌의 안쪽 주변부 또는 바깥쪽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입력부가 상기 착좌감지부에서 연장된 연결선으로부터 상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착좌 감지 모듈이 포함하는 구성부와 연결되는 제1 접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변좌의 열전도부와 연결되는 제2 접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제2 접지가 상기 열전도부를 접지시켜, 상기 착좌감지부와 상기 열전도부의 전자기적 간섭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제1 접지와 상기 제2 접지가 신호 간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착좌감지부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착좌감지부가 상기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도전체 또는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착좌 감지 모듈이 상기 변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는, 전열부, 상기 전열부 상에 배치된 열전도부, 상기 열전도부 상에 배치된 커버,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좌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착좌감지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열부를 동작시키는 착좌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착좌 감지 모듈은, 전원 공급부, 상기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는, 변좌 주변에 착좌감지부가 형성됨에 따라서 좌변기에 별도의 덮개를 씌우더라도 사용자의 착좌 감지가 정상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는, 변좌가 포함하는 열전도부에 접지를 연결하고, 열전도부와 착좌감지부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적 간섭을 제거하여, 변좌의 착좌 감지 모듈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는, 변좌 하부에 별도의 착좌 감지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착좌감지부와 열전도부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설치된 변좌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설치된 변좌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설치된 변좌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설치된 변좌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의 일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변좌(200)는 전열부(210), 열전도부(220), 커버(230), 착좌감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변좌(200)는 도 2a와 같이 한쪽 구멍이 뚫려 있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이 도넛 모양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변좌의 사용처와 용도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열부(210)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입력된 전원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만큼 발열하도록 동작한다. 전열부는 전류에 의한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고온가열하기 위한 저항의 특성을 이용하며, 철사, 크롬, 니켈, 철-크롬 합금, 니켈-크롬 합금 등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열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부(210)는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에게 일정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 전원(상용 전원, 직류 전원, 교류 전원 등)으로부터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열부(210)는 후술하는 착좌 감지 모듈의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부는 전열선, 전열면, 전열도선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나의 전열선이 길게 늘어져 배치될 수도 있고, 여러 가닥의 전열선이 조각조각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열전도부(220)는 전열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부는 전열선, 전열면, 전열도선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변좌의 전체 면적을 모두 덮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소비전력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전도부(220)는 전열부(210) 상에 배치되어, 전열부로부터 발생한 열을 고르게 확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열전도부는 변좌의 전체 면적을 모두 덮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착좌 부위에만 열전도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열전도부는, 열 전도율이 뛰어난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등 다양한 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30)는 열전도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는 사용자가 착좌할 때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부위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착좌감지부는 커버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좌 여부에 따라 감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착좌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착좌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좌감지부는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도전체 또는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전체/와이어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터에 따라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은, 변좌의 열전도부와 착좌한 사용자의 신체 상에 발생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기 설정된 정전 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착좌한 것으로 판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변좌는 유전물질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므로, 열전도부와 플라스틱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에 커패시터가 형성된다. 정전용량은 변좌의 플라스틱 두께, 사용자의 착좌 면적에 의하여 변할 수 있으므로, 착좌감지부의 면적과 플라스틱 두께 등을 미리 계산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을 따라서 착좌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정전 용량 변화 자체가 감지 신호가 될 수 있으며, 감지 신호(정전 용량 변화값)를 수집한 착좌감지부가 해당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여 착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착좌감지부(240)는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착좌감지부의 경우 변좌 커버 상에 사용자의 엉덩이 모양 또는 일부분에 배치되는데, 변좌 커버 위에 별도의 덮개를 씌우게 되는 경우 정전용량 방식의 감지가 제대로 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좌감지부는 덮개가 씌워지지 않는 부위인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하도록 하여, 덮개가 있더라도 사용자의 착좌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착좌감지부는 PCB 기판 상에 패턴으로 형성하여 일부분에 배치하도록 하나, 본 발명의 착좌감지부는 변좌 주변에 와이어나 도체 등을 형성하여, 해당 선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경우에 생성된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 변화 신호를 감지하여 착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의 구성에 관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착좌 감지 모듈(300)은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여 전열부(2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300)은 변좌(200)의 하부 또는 별도의 장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변좌를 바라보았을 때 직접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심미성과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300)은 전원 공급부(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제1 접지(340) 및 제2 접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10)는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착좌 감지 모듈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변좌의 전열부, 열전도부, 착좌감지부 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착좌 감지 모듈과 변좌의 전원은 동일한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직류 전원, 상용 전원, 교류 전원, 배터리 등 별도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320)는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240)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감지 정보는 상술한 정전 용량의 변화 정도값(ex; 0.4mF 변화값)에 해당할 수도 있고, 착좌감지부가 직접 판단한 착좌 여부의 신호일 수도 있다.
아울러, 입력부는 변좌의 안쪽 주변부 또는 바깥쪽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할 때, 변좌 커버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커버에만 걸치고 나머지 한쪽에는 걸치지 않는 등 착좌감지부의 일부분에만 감지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부는 이러한 정보를 모두 수집하고, 어느 착좌 감지 부위에서 감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제어부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부(320)는 착좌감지부(240)에서 연장된 연결선으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좌 감지 모듈은 변좌의 착좌감지부와 직접 연결되거나 착좌 감지 모듈의 일부로 착좌감지부가 구성될 수도 있으나, 착좌감지부가 긴 와이어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최대 수 m에 달하는 착좌감지부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연결선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전원 공급부(310)가 변좌의 전열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전원 공급부는 착좌 감지 모듈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변좌에 구성된 전원 공급부가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330)는 입력부가 수신한 감지 정보의 정도에 따라서 착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좌의 착좌감지부에서 감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ex; 0.4mF)가 기 설정된 변화(0.1mF)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착좌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좌를 판단하는 동시에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적절한 온도로 변좌를 데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330)는 변좌의 착좌감지부가 여러 부위로 나뉘어 있는 경우, 다수의 착좌감지부 중 어느 하나가 착좌를 감지하더라도 착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좌감지부가 5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할 때 3개의 착좌감지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착좌감지부에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제어부는 변좌의 착좌를 판단하고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접지는 착좌 감지 모듈(300)이 포함하는 각 구성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부란 착좌 감지 모듈(300)의 전원 공급부(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및 그 외 착좌 감지 모듈에 포함될 수 있는 각 구성을 의미한다.
삭제
제2 접지(350)는 변좌의 열전도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지는 변좌의 열전도부만을 위한 별도의 접지로, 특히 제1 접지와 제2 접지가 전기적으로 분리되거나 신호 간섭으로부터 분리되어 별개의 접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열부(210)와 열전도부(220)는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정전 용량 방식의 특성상, 커버와 도체 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착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전열부와 열전도부가 금속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기가 인가되면 자연스럽게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기장들이 서로 간섭함에 따라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접지(350)는 변좌의 열전도부(220)와 연결됨으로써, 열전도부(220)를 접지시켜 쉴드화 시키고, 정확한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열전도부(220)를 접지시켜, 상기 착좌감지부와 상기 열전도부의 전자기적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접지와 제2 접지는 신호 간섭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수의 회로와 연결되는 접지의 경우 하나의 접지에서 모두 연결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접지를 통해서 열전도부와 전열부가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접지와 제2 접지는 신호 간섭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전 용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는, 전열부, 상기 전열부 상에 배치된 열전도부, 상기 열전도부 상에 배치된 커버,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좌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착좌감지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열부를 동작시키는 착좌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착좌 감지 모듈은, 전원 공급부, 상기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종래의 변좌
110 : 종래의 변좌 커버
120 : 종래의 변좌 전열부
130 : 종래의 변좌 착좌감지부
200 : 변좌
210 : 전열부
220 : 열전도부
230 : 커버
240 : 착좌감지부
241 : 안쪽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
242 : 바깥쪽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
300 : 착좌 감지 모듈
310 : 전원 공급부
320 : 입력부
330 : 제어부
340 : 제1 접지
350 : 제2 접지

Claims (11)

  1. 전원 공급부;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 입력부와 제어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접지; 및
    상기 전열부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변좌로 고르게 확산시켜주는 열전도부와 연결되는 제2 접지;
    를 포함하고,
    상기 착좌감지부는,
    상기 변좌의 내측 주변부 또는 외측 주변부 전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변좌의 안쪽 주변부 또는 바깥쪽 주변부에 배치된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좌감지부에서 연장된 연결선으로부터 상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는,
    상기 열전도부를 접지시켜, 상기 착좌감지부와 상기 열전도부의 전자기적 간섭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와 상기 제2 접지는,
    신호 간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감지부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감지 모듈은,
    상기 변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
  11. 전열부;
    상기 전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전열부에서 발생한 열을 변좌로 고르게 확산시켜주는 열전도부;
    상기 열전도부 상에 배치된 커버;
    변좌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좌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착좌감지부; 및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열부를 동작시키는 착좌 감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착좌 감지 모듈은,
    전원 공급부;
    상기 착좌감지부가 수집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감지 정보에 따라 착좌 여부를 판단하고, 착좌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변좌의 전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 입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부와 연결되는 제1 접지; 및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는 제2 접지;
    를 포함하며,
    상기 착좌감지부는,
    상기 변좌의 내측 주변부 또는 외측 주변부 전체에 배치되는 와이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KR1020160156807A 2016-11-23 2016-11-23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KR10185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07A KR101857149B1 (ko) 2016-11-23 2016-11-23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07A KR101857149B1 (ko) 2016-11-23 2016-11-23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149B1 true KR101857149B1 (ko) 2018-06-20

Family

ID=6276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807A KR101857149B1 (ko) 2016-11-23 2016-11-23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6870A (ja) * 2018-08-31 2020-03-12 Toto株式会社 便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931A (ko) * 2011-11-03 2013-05-13 박상용 온도센서와 정전용량센서를 일체화한 복합센서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931A (ko) * 2011-11-03 2013-05-13 박상용 온도센서와 정전용량센서를 일체화한 복합센서의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6870A (ja) * 2018-08-31 2020-03-12 Toto株式会社 便座装置
JP7179261B2 (ja) 2018-08-31 2022-11-29 Toto株式会社 便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789B2 (en) Heater apparatus
US20220330893A1 (en) Vital Signs Monitoring System
JP4721059B2 (ja) 車両用座席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067518B2 (en) Heating system
JP6288310B2 (ja) ヒータ装置
EP3496574B1 (en) Seating structure including a presence sensor
US20090008377A1 (en) Occupant sensing heat mat
KR20150057184A (ko) 인체의 움직임 감지 기능이 부가된 온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57149B1 (ko) 착좌 감지 모듈 및 착좌 감지 모듈이 배치된 변좌
US10442328B2 (en) Assembly, system, and circuit with combined heating and occupancy detecting for a vehicle seat
CN109883571B (zh) 一种用于智能床垫温控检测的温度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WO2024070174A1 (ja) 静電容量センサ
JP7077905B2 (ja) ヒータ装置
CN105848970B (zh) 乘员的存在和分类系统
KR20100007389A (ko) 변좌
JP504037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7175163A (ja) 静電式着座センサ
JP7085117B2 (ja) 便座装置
CN113613531A (zh) 加热器装置
EP3414065B1 (en) Capacitive sensing for automated furniture
CN113951752A (zh) 感应电路、马桶座圈及智能马桶
KR101731011B1 (ko) 생체의 움직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 제어 장치, 온열장치
JP7179261B2 (ja) 便座装置
CN102218995B (zh) 用于在待调温或通风的区域中提供多个功能的产品
JPH0760185B2 (ja) 着座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