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190U -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190U
KR20100007190U KR2020090000063U KR20090000063U KR20100007190U KR 20100007190 U KR20100007190 U KR 20100007190U KR 2020090000063 U KR2020090000063 U KR 2020090000063U KR 20090000063 U KR20090000063 U KR 20090000063U KR 20100007190 U KR20100007190 U KR 20100007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mounting
horizontal connecting
coupled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거
Original Assignee
이동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거 filed Critical 이동거
Priority to KR2020090000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190U/ko
Publication of KR20100007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대의 자전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시에는 자전거의 앞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로서 핸들(H)과 후크부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1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질 것이므로, 바람등에 의해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쓰러지지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되어지며 그 하단에는 바닥 지지부(5)가 각각 결합되어진 두 개의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5)들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진 수평연결봉(3)으로 구성되는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봉(3)에는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자전거를 안정되게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지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평연결봉에 끼워져 고정되는 봉 결합수단(1)과, 상기 봉 결합수단(1)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21)가 형성되어진 거치수단(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거치대, 핸들, 거치수단, 후크부, 수평연결봉, 바퀴, 앞바퀴

Description

자전거 거치대{Bicycle supporting device}
본 고안은 여러대의 자전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시에는 자전거의 앞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로서 핸들(H)과 후크부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1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질 것이므로, 바람등에 의해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쓰러지지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자전거의 핸들부가 상기 거치대의 수평연결봉에 지지되어짐으로써 자전거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를 거치할 시에 뒷바퀴는 지면에 닿아 하중을 지지하게되며, 앞바퀴는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이지만, 자전거의 앞부분은 핸들(H) 좌우의 2지점에서 지지됨으로써 핸들이 좌우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자전거가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거치대는 역세권이나 공공장소 및 특정 장소등에 설치되는 부대시설로서, 자전거를 주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하며, 자전거의 도난방지 및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 종래에도 도 6과 같은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자전거의 앞 바퀴가 좌우의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자전거를 거치하는 방식으로서, 여기에서는 자전거 거치대가 자전거의 앞바퀴를 직접 지지하게되는데, 앞바퀴 부분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으로서 휨이 발생되기 쉬워 자전거가 훼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앞바퀴가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 끼워져서 지지되는 방식이므로, 바람 등에 의해 자전거의 횡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앞바퀴에 힘이 집중될 것이므로, 앞바퀴가 휘거나 표면이 손상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며, 어느 한 자전거가 쓰러지게되면 옆에 거치된 자전거에 대해 횡방향의 힘이 가중될 것이므로 자전거 거치대에 위치한 모든 자전거를 훼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전거 거치대에서는 좌우 한쌍의 지지대들이 모두 바닥부위에 위치하고 이들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으므로, 거치대 주변의 청소가 불가능하고 이곳에 쓰레기가 누적되기 쉬우므로, 도시 미관을 해치고 인체 건강에 대해서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거치대가 상부에 수평연결봉만 구비한 단순한 구조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변 바닥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도시의 미관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도록 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자전거 거치시에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핸들 부위에서 횡방향 힘을 견디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전거가 훼손되지않고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거치대에 함께 거치되어진 자전거에 대해서도 서로간에 부딪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서로간의 접촉으로 인한 훼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안에서는,
거치대를 상부에 수평연결봉만 구비된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수평연결봉에는 자전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주변 바닥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청소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자전거 거치시 자전거의 앞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로서 핸들(H)과 후크부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 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1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질 것이므로, 바람등에 의해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쓰러지지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드린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자전거 앞바퀴를 지면에서 뜬 상태가 되도록 자전거를 거치하게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거치시 자전거의 앞부분은 핸들(H)과 후크부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1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질 것이므로, 바람등에 의해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쓰러지지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거치대를 수평연결봉만 구비된 단순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거치대 주변의 바닥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청소작업이 용이해지므로 도시의 미관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여러대의 자전거들이 거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기본적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되어지며 그 하단에는 바닥 지지부(5)가 각각 결합되어진 두 개의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4)들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진 수평연결봉(3)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평연결봉(3)에는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자전거를 안정되게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봉(3)에 끼워져 고정되는 봉 결합수단(1)과, 상기 봉 결합수단(1)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21)가 형성되어진 거치수단(2)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수단(2)은 자전거 거치시에 핸들 연결축과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21)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중간이 관통되어진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자전거를 거치할 시에 자전거의 핸들(H)은 상기 거치수단(2)의 후크부(21)에 걸려 지지되어지며, 상기 후크부(21)는 두갈래로 갈라져서 중간이 관통되어진 형태이므로, 이때 상기 핸들연결축(S)은 상기 거치수단(2)과의 간섭을 받지않고 용이하게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자전거가 여러대 거치될 때 간섭현상이 발생되어지지 않도록, 서로간에는 충분한 간격으로 설치되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수평 연결봉(3)의 축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봉 결합수단(1)은 상기 수평 연결봉(3)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봉 결합수단(1)의 내경이 상기 수평 연결봉(3)의 외경보다 다소 큰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거치부는 자전거 거치대의 수평연결봉(3)에 구비되어 자전거 하중을 직접 지탱하게되는 부분으로서, 스텐레스강과 같이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상기 수평연결봉(3)에 설치되는 거치부의 높이는, 자전거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전거(B)의 앞바퀴(FW)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뜬 상태가 되도 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참조)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수직봉(4)과, 상기 수직봉(4)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진 바닥지지부(5)와, 상기 수직봉(4)들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진 수평 연결봉(3)으로 구성되는데,
수평연결봉(3)이 너무 길어질 경우 중간이 쳐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정 간격마다 보강 기둥(도시하지 않았음)을 설치할 수는 있겠으나, 종전과 같이 앞바퀴 고정 수단을 바닥에 별도로 설치하지않아도 되므로, 거치대 주변의 바닥공간을 널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 청소작업이 용이하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여러대의 자전거들이 거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를 사용하여 자전거를 거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자전거(B)를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H)부분을 거치수단(2)의 후크부(21)에 걸어줌으로써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되는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자전거의 앞바퀴(FW)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d)만큼 떠 있는 상태가 되고, 뒷바퀴(RW)만이 지면에 닿은 상태가 되므로,
결국 자전거는 앞부분은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고, 뒷부분은 뒷바퀴(RW)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거치부에서는 거치수단(2)의 후크부(21)가 중간이 관통되어진 갈고리형태이므로, 결국 자전거의 앞부분은 핸들(H)과 후크부(21)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1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질 것이므로 바람등에 의해 횡력이 작용하더라도 쓰러지지않고 안정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서는, 자전거에서 가장 견고한 부위인 핸들(H)부위를 지지하게되므로, 웬만한 횡력에 대해서는 거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부위가 휘거나 표면이 손상되어질 염려도 없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전거가 앞부분 2지점, 뒷부분 1지점의 총 3지점에서 지지되어지므로, 보다 안정된 거치상태가 가능케될 것이므로 인접한 자전거들간에도 부딪힘이 발생하지 않게될 것인 바, 거치된 자전거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자전거가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여러대의 자전거들이 거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사시도.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봉 결합수단 2: 거치수단
3: 수평 연결봉 4: 수직봉
5: 바닥지지부 21: 후크부
H: 핸들 B: 자전거
FW: 앞바퀴 RW: 뒷바퀴

Claims (4)

  1.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입설되어지며 그 하단에는 바닥 지지부가 각각 결합되어진 두 개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들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진 수평연결봉으로 구성되는 자전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봉에는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자전거를 안정되게 거치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지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평연결봉에 끼워져 고정되는 봉 결합수단과, 상기 봉 결합수단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자전거의 핸들(H)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가 형성되어진 거치수단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자전거 거치시에 핸들 연결축과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중간이 관통되어진 형태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위치를 수평 연결봉의 축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봉 결합수단은 상기 수평 연결봉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자전거가 거치된 상태에서는 앞바퀴는 지면에서 뜬 상태가 되므로, 앞부분은 핸들(H)과 후크부가 닿는 2지점, 즉 좌우의 2 지점에 의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부분은 상기 뒷바퀴(RW)와 지면이 닿는 지점에서 지지되어, 총 3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KR2020090000063U 2009-01-05 2009-01-05 자전거 거치대 KR20100007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063U KR20100007190U (ko) 2009-01-05 2009-01-05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063U KR20100007190U (ko) 2009-01-05 2009-01-05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90U true KR20100007190U (ko) 2010-07-14

Family

ID=4445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063U KR20100007190U (ko) 2009-01-05 2009-01-05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1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46Y1 (ko)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핸들바아 거치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JP2019099123A (ja) * 2017-12-01 2019-06-24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自転車用携帯駐輪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46Y1 (ko) * 2011-11-01 2012-05-10 박병철 핸들바아 거치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보관대
JP2019099123A (ja) * 2017-12-01 2019-06-24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自転車用携帯駐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459Y1 (ko) 킥보드 거치대
EP1623647A3 (en) Bag with caster wheels
KR20100007190U (ko) 자전거 거치대
EP2646311B1 (en) Bicycle stand and bicycle parking facility with such a bicycle stand
USD597217S1 (en) Stand for a chromatography column
CN207107266U (zh) 一种支座总成运输器具
KR101105792B1 (ko) 자전거 주차장치
CN210581248U (zh) 一种止滑体验装置
CN201347151Y (zh) 自行车泊车架
CN205630590U (zh) 一种园林灌溉多功能工具放置小车
KR20100007435U (ko) 자전거 거치구
CN220032092U (zh) 一种滑板车单柱停车架
JP2011235698A (ja) 駐輪用ブロック
CN219790206U (zh) 一种可调的营地车
KR200445617Y1 (ko) 이동 및 격납용 보면대 카트
CN202882750U (zh) 无动力取货车
CN201062052Y (zh) 通用之电动车底架
CN210353547U (zh) 一种具有防变形功能的旅行箱
CN210947426U (zh) 一种不易变形的高强度钢构控距垫块
KR20130003247U (ko) 자전거용 스탠드장치
CN217153553U (zh) 一种建筑测绘用多功能便携支架
CN212319181U (zh) 一种便携式主机支架
JP3065831U (ja) 自転車の整備用スタンド
KR101059534B1 (ko) 자전거 거치대
CN212332692U (zh) 一种翻转笼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