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59Y1 - 킥보드 거치대 - Google Patents

킥보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59Y1
KR200484459Y1 KR2020150007005U KR20150007005U KR200484459Y1 KR 200484459 Y1 KR200484459 Y1 KR 200484459Y1 KR 2020150007005 U KR2020150007005 U KR 2020150007005U KR 20150007005 U KR20150007005 U KR 20150007005U KR 200484459 Y1 KR200484459 Y1 KR 200484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ottom plate
kickboard
posts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98U (ko
Inventor
장승리
Original Assignee
장승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리 filed Critical 장승리
Priority to KR2020150007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5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는 킥보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가 장착된 발판을 포함하는 킥보드를 세워 보관하기 위한 킥보드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킥보드 거치대는 상면과 하면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전방 바퀴를 지지하거나 또는 안착되는 상기 킥보드의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킥보드 거치대{KICK BOARD STAND}
본 고안은 킥보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레포츠 기구로서 킥보드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킥보드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너비의 기다란 발판을 포함하며, 발판 위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구름으로써 앞으로 전진한다. 발판 아래에는, 통상 바퀴가 앞뒤로 하나씩 달려 있어 지면을 구른 힘으로 굴러가게 되며, 굴러가는 동안 두 발을 모두 발판 위에 올려놓을 수 있고 속도가 떨어지면 다시 발을 내려 지면을 구를 수 있다. 발판 앞쪽에는 수직으로 1m 정도 높이의 봉이 달려 있고, 봉에는 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달려 있어 킥보드의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사용 후에 벽면 등에 기대어 보관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자칫 넘어지는 경우에는 파손될 우려도 있다. 또한, 킥보드를 현관 등에 보관하는 경우, 넘어진 킥보드로 인해서 현관 등의 보관장소를 통행하는데 방해를 줄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킥보드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2163호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킥보드를 제안한다. 상기 문헌이 제안하는 킥보드는 발판의 일측면에 절첩이 가능한 지지수단을 구비하며, 킥보드를 세우기 위해 지지수단을 회동시켜 펼칠 수 있다. 그러나, 킥보드는 봉과 손잡이로 인해 발판보다 높게 위치하는 무게중심을 가진다. 따라서, 지지수단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킥보드가 안정적으로 세워지지 않고 쓰러지기 쉬우며, 지지수단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지지수단의 회동 반경이 커져서 킥보드를 세워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2163호, 2001.02.19. 등록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킥보드를 안정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는 킥보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가 장착된 발판을 포함하는 킥보드를 세워 보관하기 위한 킥보드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킥보드 거치대는 상면과 하면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전방 바퀴를 지지하거나 또는 안착되는 상기 킥보드의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지지바 및 상기 후방 지지바보다 더 높게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상방에서 볼 때,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가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 사이의 거리는 상기 킥보드의 전방 바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전방 바퀴를 받쳐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 각각은 상기 킥보드의 발판을 받쳐 지지하는 편평한 상단면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 거치대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 각각의 상기 상단면에 부착되는 밀착 패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 거치대는 상기 바닥판의 상기 하면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킥보드를 안정적으로 간편하게 세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킥보드의 전방 바퀴를 삽입시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킥보드의 발판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어서, 예컨대, 한 쌍의 전방 바퀴를 갖는 아동용 킥보드나 아동용 킥보드보다 발판의 크기가 큰 성인용 킥보드, 전동 킥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킥보드를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이 가능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므로, 킥보드와 함께 휴대하면서 다양한 장소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킥보드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와 이에 거치되는 킥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킥보드 거치대는 킥보드의 전방 바퀴를 지지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와 이에 거치되는 킥보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킥보드 거치대는 킥보드의 발판을 지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100)는 킥보드(10)를 벽면 등에 기대어 놓거나 또는 지면에 눕혀 놓지 않고서 킥보드(10)를 세워 보관할 수 있다. 킥보드 거치대(100)에 의해 거치될 수 있는 킥보드(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너비의 기다란 발판(11)과, 발판(1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바퀴(12) 및 후방 바퀴(13)와, 발판(11)의 전방 측에서 수직으로 장착되는 봉(14) 및 봉(14)의 상단에 장착되는 손잡이(15)를 포함한다. 그러나, 킥보드 거치대(100)에 의해 거치될 수 있는 킥보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발판의 전방에 한 쌍의 전방 바퀴가 장착되는 킥보드(예컨대, 아동용 킥보드), 아동용 킥보드보다 발판의 크기가 더 큰 성인용 킥보드, 전동 킥보드 등의 경우에도 킥보드 거치대(100)에 의해 세워져 보관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킥보드 거치대(100)는 지면에 놓여지는 바닥판(110)과, 바닥판(110) 상에 고정되어 킥보드(10)를 세워 지지하는 지지틀(120)을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11)과 하면(112)을 갖는 평평한 판으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킥보드 거치대(100)에 킥보드(1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거치되더라도 킥보드(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무게를 갖는 재료, 예컨대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 바닥판(110)은 모서리가 둥글게 챔퍼링(chamfering)된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킥보드 거치대(100)의 사용 시에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판(110)의 하면(112)에는 완충 패드(130)가 부착되어 있어, 지면으로부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바닥판(110)과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완충 패드(130)는 고무 재료나 실리콘 재료로 형성되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바닥판(110)의 하면(112)에 부착된다.
지지틀(12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킥보드(10)의 전방 바퀴(12)가 삽입될 수 있어 킥보드(10)를 안정적으로 세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틀(12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킥보드(10)의 발판(11)이 안착될 수 있어 킥보드(10)를 안정적으로 세워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킥보드(10)의 발판(11)에 한 쌍의 전방 바퀴가 장착되는 경우, 발판(11)의 전후방에 전동 장치 등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발판(11)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킥보드(10)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틀(120)은 바닥판(110)의 상면(111)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는, 바닥판(110)의 상면(111)에서 직사각형의 4개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는 바닥판(110)의 폭방향(도 1에서 Y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는 바닥판(110)의 폭방향(Y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전방 포스트(121)와 후방 포스트(122)는 바닥판(110)의 길이방향(도 1에서 X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킥보드(10)의 발판(11)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편평한 상단면(121a, 122a)를 가진다. 킥보드(10)의 발판(11)은 4개의 포스트, 즉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져 지지되며, 이때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의 상단면(121a, 122a)과 발판(11)의 하부면이 면 접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포스트(121)와 후방 포스트(122)는 원형 단면을 갖는 바 형상을 가지므로, 상단면(121a, 122a)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포스트(121)와 후방 포스트(122) 각각의 상단면(121a, 122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 패드(140)가 부착되어 킥보드(10)의 발판(11)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틀(120)은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바(123)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바(124)를 더 포함한다. 전방 지지바(123)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 사이에서 바닥판(110)의 상면(111)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바닥판(110)의 상면(1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후방 지지바(124)는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 사이에서 바닥판(110)의 상면(111)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바닥판(110)의 상면(1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지지틀(120)은, 바닥판(11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와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125)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바(125)는 바닥판(110)의 상면(111)으로부터 전방 지지바(123)와 후방 지지바(124)보다 더 높게 이격되어 위치한다.
지지틀(120)에 있어서, 바닥판(110)을 상방에서 볼 때 전방 지지바(123)와 후방 지지바(124)는 평행하며, 한 쌍의 가이드바(125)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전방 지지바(123)와 후방 지지바(124) 사이[또는, 전방 포스트(121)와 후방 포스트(122) 사이]의 거리(L)는 킥보드(10)의 전방 바퀴(12)의 직경(R)보다 작다(도 3 참조).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바(125) 사이로 삽입되는 킥보드(10)의 전방 바퀴(12)는 전방 지지바(123)와 후방 지지바(124)에 의해 받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바(125)는 삽입되는 전방 바퀴(12)의 양측을 지지하여, 킥보드(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틀(12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121), 한 쌍의 후방 포스트(122), 전방 지지바(123), 후방 지지바(124) 및 한 쌍의 가이드바(125)는, 내구성이 강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이들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0)의 폭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지지틀(120)의 양측 각각을 가이드바(125)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 포스트(121), 후방 포스트(122)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지틀(120)의 양측 각각을 직육면체 블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0)이 직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판(110)에 하나의 지지틀(120)이 구비되었지만, 복수의 지지틀(120)이 구비되어 복수의 킥보드(10)를 세워 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 거치대(100)는 휴대가 가능한 크기 및 무게를 가지므로,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 킥보드 11: 발판
12: 전방 바퀴 13: 후방 바퀴
14: 봉 15: 손잡이
100: 킥보드 거치대 110: 바닥판
120: 지지틀 121: 전방 포스트
122: 후방 포스트 123: 전방 지지바
124: 후방 지지바 125: 가이드바
130: 완충 패드 140: 밀착 패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가 장착된 발판을 포함하는 킥보드를 세워 보관하기 위한 킥보드 거치대로서,
    상면과 하면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고정되고,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전방 바퀴를 지지하거나 또는 안착되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틀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지지바 및 상기 후방 지지바보다 더 높게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을 상방에서 볼 때,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가 평행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 사이의 거리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전방 바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전방 지지바와 상기 후방 지지바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전방 바퀴를 받쳐 지지하는, 킥보드 거치대.
  4.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가 장착된 발판을 포함하는 킥보드를 세워 보관하기 위한 킥보드 거치대로서,
    상면과 하면을 갖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고정되고, 삽입되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전방 바퀴를 지지하거나 또는 안착되는 상기 킥보드의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틀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에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연결하는 후방 지지바와,
    상기 바닥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전방 지지바 및 상기 후방 지지바보다 더 높게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 각각은 상기 킥보드의 상기 발판을 받쳐 지지하는 편평한 상단면을 가지는, 킥보드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 각각의 상기 상단면에 부착되는 밀착 패드를 더 포함하는, 킥보드 거치대.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기 하면에 부착되는 완충 패드를 더 포함하는, 킥보드 거치대.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지지틀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킥보드 거치대.
KR2020150007005U 2015-10-28 2015-10-28 킥보드 거치대 KR200484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05U KR200484459Y1 (ko) 2015-10-28 2015-10-28 킥보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05U KR200484459Y1 (ko) 2015-10-28 2015-10-28 킥보드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98U KR20170001598U (ko) 2017-05-10
KR200484459Y1 true KR200484459Y1 (ko) 2017-09-07

Family

ID=5871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05U KR200484459Y1 (ko) 2015-10-28 2015-10-28 킥보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829A (ko) 2020-02-07 2021-08-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 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보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69B1 (ko) * 2018-09-03 2019-08-19 김희준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KR102033960B1 (ko) 2019-03-25 2019-10-18 양수석 배관 보관용 창고형 설비
KR102021340B1 (ko) 2019-04-30 2019-09-16 정시국 약품 박스 이송 시스템
KR102104575B1 (ko) 2019-05-04 2020-04-28 신현수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2046814B1 (ko) 2019-06-11 2019-11-20 이재환 물품보관창고 관리시스템
KR102020871B1 (ko) 2019-06-19 2019-09-11 강수용 오토바이 보관 창고 시스템
KR102233272B1 (ko) * 2019-06-27 2021-03-29 (주)이브이패스 전동킥보드를 위한 이동형 스테이션
KR102034467B1 (ko) 2019-08-05 2019-10-21 주식회사 코너스톤에스에이치 창고 관리 시스템
KR102048557B1 (ko) 2019-09-11 2019-11-25 양명헌 창고 구조물
KR102341176B1 (ko) 2020-12-11 2021-12-20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광고대 일체형 킥보드 주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99Y1 (ko) * 2000-06-13 2000-11-15 정상민 자전거 보관대
KR100466452B1 (ko) * 2004-04-12 2005-01-13 서윤석 퀵보드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63Y1 (ko) 2000-10-05 2001-05-02 주식회사스프리스 지지수단이 구비된 킥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899Y1 (ko) * 2000-06-13 2000-11-15 정상민 자전거 보관대
KR100466452B1 (ko) * 2004-04-12 2005-01-13 서윤석 퀵보드용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829A (ko) 2020-02-07 2021-08-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잠금 장치가 구비된 킥보드 보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98U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459Y1 (ko) 킥보드 거치대
US7384050B2 (en) Cart for portable oxygen
US3591173A (en) Head stand support
EP3184407B1 (en) Bicycle stand
US2805860A (en) Exercising stand for bicycles
US9283973B1 (en) Hand-truck pouring stand
KR20160000161U (ko) 낚시받침틀
US20150158537A1 (en) Scooter stand
US7841028B1 (en) Toilet moving device
WO2014091217A1 (en) Storage and transport apparatus for scaffolding
US7156086B1 (en) Bow holding stand assembly
JP6278514B2 (ja) 体重計
FR3027830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outil de surfacage
KR101901345B1 (ko) 자전거용 거치대
US6105718A (en) Roofer's extend-a-leg
US6364269B1 (en) In-line scooter stand
JP2016090024A (ja) ガスボンベ運搬具
US6837501B1 (en) Saw dolly and stand
KR101546682B1 (ko) 기립형 자전거 거치대
KR200466407Y1 (ko) 자전거 보관장치
KR101239488B1 (ko) 벽면 부착형 자전거 거치대
KR200445617Y1 (ko) 이동 및 격납용 보면대 카트
US9599277B2 (en) Frame for holding an ironing board
CN212325945U (zh) 带有桌板的沙发扶手
JP4656590B2 (ja) 袋体転回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