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079U -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079U
KR20100007079U KR2020080017495U KR20080017495U KR20100007079U KR 20100007079 U KR20100007079 U KR 20100007079U KR 2020080017495 U KR2020080017495 U KR 2020080017495U KR 20080017495 U KR20080017495 U KR 20080017495U KR 20100007079 U KR20100007079 U KR 201000070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motor
tongs
gear
housing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161Y1 (ko
Inventor
황규관
Original Assignee
황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관 filed Critical 황규관
Priority to KR2020080017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1Actuator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사용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한쌍의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작업 여건에 따라 한쌍의 집게발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가 하우징과 베어링 및 서포트(support)에 장착되어 유동 및 유격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의 마찰마모를 방지하여 기계적인 내구성을 한층 높이는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집게, 유압모터, 구동축, 구동기어, 서포트(support)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The fixed device of the hydraulic motor for excavators tongs}
본 고안은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사용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쌍의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작업 여건에 따라 한쌍의 집게발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가 하우징과 베어링 및 서포트(support)에 장착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의 마찰마모를 방지하여 기계적인 내구성을 한층 높이는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은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의 하중과 부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최근에는 인력과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대부분 굴삭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러한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사용되는 굴삭기는 굴삭작업용 버켓(bucket) 대신 한쌍의 집게를 장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상부에 굴삭기의 붐과 커플링에 장착되는 링크브라켓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 양측으로 한쌍의 집게발이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한쌍의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상호 벌어지거나 또는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굴삭기에 장착되도록 링크축(11)이 구비되고 유압모터(13)가 부착되는 기어하우징(12)이 형성된 링크브라켓(10)과, 상기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유압모터(13)의 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스윙기어(21)가 장착되어 회전가능케 설치된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하부에 한쌍으로 나란히 회동축(32)이 끼워져 장착된 힌지부(31)와, 상기 힌지부(31)의 회동축(32)에 연동기어(33)가 치합되어 회동가능케 장착되고 끝단부와 안쪽면에 수개의 투스(36)와 파지돌기(37)가 형성되어 회동 작동으로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발(30)과,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34)와 집게발(30) 사이에 장착되어 집게발(30)을 회동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한쌍의 집게발이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상호 벌어지거나 또는 파지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집게발 사이에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여 운반 또는 시공작업을 수행하며, 또한 작업 여건에 따라 유압모터의 구동으로 한쌍의 집게발이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성을 높이게 된다.
종래 선행기술의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작업 과정에서 유압모터의 구동에 따라 한쌍의 집게발이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나, 작업 과정에서 집게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 및 스윙기어에 충격이 전달되므로 이들 상호간에 유동 및 파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즉, 종래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집게발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유압모터가 기어하우징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축에 구동기어가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의 스윙기어에 치합됨에 따라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므로 집게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이 스윙기어와 구동기어 및 구동축에 직접 가해짐으로써, 이들 상호간에 유동이 점차 심해지고 마찰마모로 인하여 파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특히, 한쌍의 집게발이 정지한 상태에서 유압모터가 구동하여 집게발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집게발의 하중으로 인하여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에 과부하가 작용하므로 이들 상호간에 유동 및 유격이 가속화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고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유압모터의 설치구조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한쌍의 집게발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의 마찰마모를 방지하여 기계적인 내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가 하우징과 베어링 및 서포트에 장착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굴삭기에 장착되고 하부에 유압모터가 부착되는 기어하우징이 형성된 링크브라켓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유압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스윙기어가 장착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힌지부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을 회동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유압모터가 상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이 내장되어 기어하우징에 부착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의 하부 안쪽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내장 설치된 서포 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서포트는 반원형의 원통형상으로 기어하우징의 하부에 부착되고, 베어링이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된 커버가 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작업 여건에 따라 한쌍의 집게발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가 하우징과 베어링 및 서포트에 장착되어 유동과 유격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의 마찰마모를 방지하여 기계적인 내구성을 한층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한쌍의 집게발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유압모터가 하우징과 베어링 및 서포트에 장착되어 유동과 유격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유압모터의 구동축과 구동기어의 유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상호 치합되는 기어부의 마찰마모를 방지하여 기계적인 내구성을 한층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굴삭기에 장착되고 하부에 유압모터(13)가 부착되는 기어하우징(12)이 형성된 링크브라켓(10)과, 상기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결합된 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스윙기어(21)가 장착된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하부에서 힌지부(31)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발(30)과, 상기 집게발(30)을 회동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35)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모터(13)가 상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101)이 내장되어 기어하우징(12)에 부착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14)의 하부 안쪽에 결합되는 베어링(112)이 내장 설치된 서포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주요 구성에서 링크브라켓(10)은 굴삭기의 붐(boom)과 링크대에 취부된 커플링(coupling)에 장착되도록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2개의 링크축(1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기어하우징(12)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링크브라켓(10)의 안쪽 공간에 해당하는 기어하우징(12)의 상부 한쪽에 유압모터(13)가 위치한다.
상기에서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끼워져 결합된 구동기어(14)와 치합되도록 기어하우징(12)의 하부 안쪽 공간에 스윙기어(21)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스윙기어(21)의 저면부에 회전플레이트(20)가 고정 설치되며, 회전플레이트(20)의 하부에 전후로 힌지부(31)가 형성되고, 여기에 한쌍으로 나란히 회동축(32)이 장착된다.
한편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는 한쌍의 집게발(30)이 상호 연동기어(33)가 치합된 상태로 힌지부(31)의 회동축(32)에 끼워져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한쌍으로 마주하는 집게발(30)의 끝단부와 안쪽면에 각각 수개의 투스(36)와 파지돌기(37)가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31)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한쌍의 집게발(30)과, 회전플레이트(20)의 저면부에 형성된 지지대(34) 사이에 유압실린더(35)가 설치되어 한쌍의 집게발(30)이 유압실린더(35)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링크브라켓(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하우징(12)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플레이트(20)가 상호 회전가능케 설치됨에 따라 유압모터(13)의 작동으로 구동기어(14)와 스윙기어(21)가 구동하여 회전플레이트(20)가 선택적으로 회전하므로 작업 여건에 따라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한쌍의 집게발(30)이 회전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회전플레이트(20)와 집게발(30) 사이에 유압실린더(35)가 설치됨에 따라 유압실린더(35)가 작동하면, 결과적으로 한쌍의 집게발(30)이 힌지부(31)에서 회동축(32)을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여 벌어지거나 파지하는 작동을 수행하므로 작 업 대상물을 물어서 운반 또는 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기에 적합한 방향으로 집게발(30)을 회전시키는 유압모터(13)의 설치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기어하우징(12)의 상부면에 하우징(100)이 체결구(102)로 부착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유압모터(13)가 부착되는 한편 하우징(100)의 안쪽 공간에 베어링(101)이 내장 설치된다.
상기에서 하우징(100)의 안쪽 공간에 내장 설치된 베어링(101)은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결합된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기어하우징(13)의 하부에 또다른 베어링(112)이 내장된 서포트(support)(110)가 부착 설치된다.
여기서, 서포트(110)는 반원형의 원통형상으로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14)의 하부 안쪽에 결합되는 베어링(112)이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112)은 서포트(110)의 하부에 체결구(114)로 결합되는 반원형의 커버(113)에서 안쪽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돌기(111)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상부에 유압모터(13)가 부착되고, 상기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구동기어(14)가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20)의 스윙기어(21)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과 하부 안쪽에 각각 베어링(101)(112)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우징(100)의 안쪽 공간에 내장된 베어링(101) 이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결합된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하우징(100)에서 유압모터(13)와, 구동축(14a)과, 구동기어(14)의 유동 및 유격을 방지하는 한편 서포트(110)에서 회전돌기(111)에 끼워져 내장된 베어링(112)이 구동기어(14)의 하부 안쪽에 결합됨에 따라 구동축(14a)과, 구동기어(14)의 유동 및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우징(100)에 내장된 베어링(101)과, 서포트(110)에 내장된 베어링(112)이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과 하부 안쪽에 설치되므로 유압모터(13)와, 구동축(14a)과, 구동기어(14)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이들 상호간에 유동 및 유격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유압모터(13)와 구동축(14a) 및 구동기어(14)의 기계적인 내구성을 높여 작업 과정에서 집게발(3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유동 및 유격이 방지되므로 구동기어(14)와 스윙기어(21)가 치합되는 기어부에서 마찰마모를 줄여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굴삭기용 집게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굴삭기용 집게장치에서 구동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링크브라켓 11: 링크축
12: 기어하우징 13: 유압모터
14: 구동기어 20: 회전플레이트
21: 스윙기어 30: 집게발
31: 힌지부 33: 연동기어
35: 유압실린더 36: 투스(tooth)
37: 파지돌기 100: 하우징
101: 베어링 110: 서포트(support)
111: 회전돌기 112: 베어링
113: 커버

Claims (2)

  1. 굴삭기에 장착되고 하부에 유압모터(13)가 부착되는 기어하우징(12)이 형성된 링크브라켓(10)과, 상기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유압모터(13)의 구동축(14a)에 결합된 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스윙기어(21)가 장착된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하부에서 힌지부(31)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벌어지거나 파지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발(30)과, 상기 집게발(30)을 회동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35)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유압모터(13)가 상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14)의 상부 외주연에 끼워져 결합되는 베어링(101)이 내장되어 기어하우징(12)에 부착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부착되고 구동기어(14)의 하부 안쪽에 결합되는 베어링(112)이 내장 설치된 서포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포트(110)는,
    반원형의 원통형상으로 기어하우징(12)의 하부에 부착되고, 베어링(112)이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돌기(111)가 형성된 커버(113)가 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2020080017495U 2008-12-31 2008-12-31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200454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95U KR200454161Y1 (ko) 2008-12-31 2008-12-31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95U KR200454161Y1 (ko) 2008-12-31 2008-12-31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79U true KR20100007079U (ko) 2010-07-08
KR200454161Y1 KR200454161Y1 (ko) 2011-06-20

Family

ID=4445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495U KR200454161Y1 (ko) 2008-12-31 2008-12-31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8594A (zh) * 2014-12-02 2015-04-29 江苏武进不锈股份有限公司 管材全自动水压试验机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KR20210017828A (ko) * 2019-08-09 2021-02-17 이종준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0354U (ja) 1983-03-11 1984-09-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バケツト装置
DE10248355A1 (de) * 2002-10-17 2004-04-29 Ina-Schaeffler Kg Nockenwellenversteller mit elektrischem Antrieb
KR100615000B1 (ko) * 2004-08-31 2006-08-25 태영테크(주)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0803689B1 (ko) 2007-07-09 2008-02-20 김명구 진동 기능을 갖는 집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8594A (zh) * 2014-12-02 2015-04-29 江苏武进不锈股份有限公司 管材全自动水压试验机
CN104568594B (zh) * 2014-12-02 2017-12-29 江苏武进不锈股份有限公司 管材全自动水压试验机
KR101957105B1 (ko) * 2018-09-20 2019-06-24 (주)렉셀코리아 굴삭기 아암용 회전 링크 시스템
KR20210017828A (ko) * 2019-08-09 2021-02-17 이종준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61Y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494B1 (ko)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100962081B1 (ko) 바이브로 해머장치
JP5373041B2 (ja) 振動リッパー
KR20090027364A (ko)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KR200454161Y1 (ko)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200457804Y1 (ko) 유압식원목집게구조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KR200390761Y1 (ko) 지반을 굴착하는 오거로드용 오거굴착기에 조립식으로탈부착되는 해머드릴용 감속장치
US7752781B2 (en) Centring device for quick-change devices
KR20090002633U (ko)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KR200383716Y1 (ko) 원목작업용그랩장치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KR20090002634U (ko) 굴삭기용 집게장치의 유압실린더
CN106115519A (zh) 农用粮食提升机
CN109267604A (zh) 一种多功能抓手
KR20150142192A (ko) 굴삭기용 스톤그립
KR200460628Y1 (ko) 굴삭기의 집게부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KR101348396B1 (ko) 굴삭기용 집게의 선회 베어링 구동장치
KR20090041549A (ko) 회전 집게 구동장치
KR20090002635U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260680B1 (ko) 배수갑문 고정식 이물질 제거장치
JPS6022064Y2 (ja) フオ−クグラブ
KR20040090435A (ko) 드릴비트의 회전장치
CN210031955U (zh) 一种液压挖掘机的抓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