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828A -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828A
KR20210017828A KR1020190097657A KR20190097657A KR20210017828A KR 20210017828 A KR20210017828 A KR 20210017828A KR 1020190097657 A KR1020190097657 A KR 1020190097657A KR 20190097657 A KR20190097657 A KR 20190097657A KR 20210017828 A KR20210017828 A KR 2021001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housing
excavator
rotating adapter
stopp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489B1 (ko
Inventor
이종준
권덕영
Original Assignee
이종준
권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준, 권덕영 filed Critical 이종준
Priority to KR102019009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8Mechanical locking means for booms or arms against rotation, e.g. during transport of th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록킹부와, 필요시 외부로부터 가해진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릴리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는, 최소한의 유압에 의해 동작하므로 구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매우 작고, 구조가 컴팩트하여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강력한 브레이킹이 가능하여 버킷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Rotating adapter break device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장착 사용하는 로테이팅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중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하중에 의해 로테이팅 어뎁터가 좌우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토목 및 건설용 중장비 중, 굴착기는, 가령, 땅을 파는 굴착작업, 토사를 덤프차에 올리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 다양한 임무 수행이 가능한 중요 현장 장비이다.
굴착기는, 엔진이 구비되어 있는 주행체, 주행체 상부에 설치되며 필요한 각도로 회전하는 선회부, 선회부의 측부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출입하는 운전실, 선회부에 연결되는 붐대, 붐대에 연결되는 아암, 아암의 단부에 장착되는 버킷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붐의 단부에 퀵커플러가 장착될 수도 있다.
퀵커플러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버킷을 분리하고, 그 자리에 브레이커, 크래셔, 전지가위, 그래플, 집게장치 등을 포함하는 필요 장비를 신속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연결용 어뎁터이다.
한편, 굴착기의 단부에 버킷이나 그 외 다른 장비(이하, 버킷이라 통칭함)를 장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작업 능률을 높이기 위해 버킷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굴착기도 사용되고 있다. 가령,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0379호를 통해 개시된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와 같이, 버킷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특허공보에 개시된 버킷장치는, 아암에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 버킷에 고정되는 버킷플레이트, 버킷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는 외접기어, 외접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기어,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버킷장치는, 작업 중 버킷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버킷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말하자면, 모터로부터 출발한 동력이 버킷으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와 반대로, 작업 중, 버킷에 가해진 힘이 역류하여 모터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만큼 버킷의 작동 정밀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품의 모델에 따라 모터에 브레이크를 내장한 타입도 있는데, 브레이크가 내장된 모터는 중량이 무거우며 특히 부피가 커서 모터 주변의 유압라인 등에 걸려 유압라인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0379호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286호 (수직갱도 굴착장치)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8-044674호 (굴착기용 버킷)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구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매우 작고, 구조가 컴팩트하여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강력한 브레이킹이 가능한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는,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록킹부와, 필요시 외부로부터 가해진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릴리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엄의 단부에는 스플라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핑로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및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일체를 이루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플라인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플라인부에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일정곡률의 원호방향으로 등각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이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일대일 대응하는 록킹핀이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토핑로터를 지지하여 록킹핀이 각 고정홈에 끼워지게 작용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벽면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고,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록킹핀이 위치한 제1공간부와, 스프링이 위치한 제2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릴리징수단은, 상기 제1공간부에 유압을 유도하는 유압포트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스토핑로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핀홈이 대칭으로 등각 배치되고, 상기 록킹핀은, 각 핀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또한, 상기 록킹핀의 하단부에는, 핀홈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되는 자석이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는,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엄의 단부에는 스플라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핑로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일체를 이루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플라인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플라인부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일정곡률의 원호방향으로 등각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이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일대일 대응하며,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직선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대한 끼움과 분리동작을 반복하는 다수의 록킹핀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핀을 수용하여 록킹핀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가이드통로와, 각 가이드통로와 연통하며 록킹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다수의 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핀은,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고정홈에 끼움결합 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가이드통로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핀의 챔버내에 수용되어 있는 후단부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챔버내에 고정되되, 상기 영구자석에 대향 배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기신호를 가하여, 전자석으로 하여금 록킹핀에 대해 인력이나 척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전자석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 배터리가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는, 최소한의 유압에 의해 동작하므로 구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매우 작고, 구조가 컴팩트하여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강력한 브레이킹이 가능하여 버킷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에 버킷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를 로테이팅 어뎁터와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브레이크장치에 내장되는 로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는, 굴착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비정상적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로테이팅 어뎁터에 장착된 버킷이, 작업 중 가해지는 외력을 못 이기고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버킷으로 흙을 퍼 올릴 때, 흙의 하중에 의해 버킷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의 기본 구성은,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록킹부와, 필요시 외7부로부터 가해진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릴리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의 또 다른 기본 구성은,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20)에 버킷(13)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굴착기의 붐대(미도시) 단부와 결합하는 붐대커넥터(11) 하부에 로테이팅 어뎁터(20)가 장착되어 있다. 로테이팅 어뎁터(20)는, 사용할 개별 장비, 가령, 버킷(13)과 결합하며 버킷(13)을 필요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40)를 로테이팅 어뎁터(20)와 함께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팅 어뎁터(20)는, 붐대커넥터(11)의 하측에 설치되는 워엄휠(23)과, 워엄휠(23)에 치합하는 워엄케이스(29)과, 워엄케이스(29)을 축회전 시키는 유압모터(27)를 구비한다. 워엄휠(23)의 중심축부에는 버킷(13)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2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워엄케이스(29)은 워엄휠(23)의 측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워엄케이스(29)에 내장된 상태로 그 양단부가 베어링(28) 지지된다. 워엄케이스(29)이 워엄케이스(29)에 지지되므로, 워엄휠(23)에 대한 워엄케이스(29)의 간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아울러 워엄케이스(29)의 양단부에는 스플라인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홈(25a)은 동축상에 위치하며, 도면상 좌측 스플라인홈에는 유압모터(27)의 구동축(27a)이, 우측 스플라인홈에는 후술할 스토핑로터(47)의 스플라인부(47b) 끼워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40)는, 워엄케이스(29)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43), 하우징 내부의 스토핑로터(47), 록킹부, 릴리징수단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4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브레이크장치에 내장되는 스토핑로터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장치(40)는, 하우징(43), 스토핑로터(47), 다수의 록킹핀(48), 스프링(49)을 포함한다.
하우징(43)은, 스토핑로터(47)를 회전운동 및 화살표 a방향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그 전방 테두리부에 플랜지부(43a)를 갖는다. 설명의 편의상, 워엄케이스(29)이 위치한 방향을 전방이라 칭하기로 한다.
플랜지부(43a)는 고정볼트(41)가 끼워지는 볼트구멍(43b)을 가지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케이스(29)의 일단부에 밀착한 상태로 고정볼트(4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43)의 후단부에는 후방캡(43p)이 구비된다. 후방캡(43p)은 하우징(43)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로서, 유지보수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3)의 내부에는, 일정곡률의 원호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43f)이 형성된다. 고정홈(43f)은 후술할 록킹핀(48)을 향해 개방된 홈으로서, 스토핑로터(47)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등각 배치된다. 모든 고정홈(43f)이, 스플라인부(47b)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A)상에 위치하고, 고정홈(43f)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중심점은 스토핑로터(47)의 회전중심축과 만난다.
아울러, 하우징(43)의 일측에는 유압포트(43c)가 형성되어 있다. 유압포트(43c)는, 필요시 외부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통과시켜 후술할 제1공간부(43d)로 유도함으로써, 스토핑로터(47)가 스프링(49)을 압축시키며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릴리징수단이다.
한편, 상기 스토핑로터(47)는, 바디부(47a)와 스플라인부(47b)를 갖는다.
바디부(47a)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하우징(43)의 내부에 위치한다. 바디부(47a)의 외주면은 하우징(43)의 내주면에 면접 밀착한다. 이러한 바디부(47a)는 하우징(43)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부(43d)와 제2공간부(43e)로 구획한다. 제1공간부(43d)는 후술할 록킹핀(48)이 위치한 공간이고, 제2공간부(43e)는 록킹부인 스프링(49)이 내장된 공간이다.
또한, 스플라인부(47b)는 그 외주면에 통상의 스플라인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로서, 바디부(47a)에 일체를 이루며 하우징(43)의 외부로 연장된다. 스플라인부(47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25)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플라인홈(25a)에 끼워진다.
스플라인부(47b)가 스플라인홈(25a)에 삽입되므로, 워엄(25)의 회전력이 스토핑로터(47)로 전달됨은 물론이다. 또한 스토핑로터(47)가 하우징(43)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워엄(25)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스토핑로터(47)와 하우징(43)이, 워엄(2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토핑로터(47)가 하우징(43)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토핑로터(47)가 워엄(25)과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47a)에는 다수의 핀홈(47c)이 형성되어 있다. 핀홈(47c)은 스플라인부(47b)를 중심으로 등각 배치된 홈으로서 상기한 고정홈(43f)에 일대일 대응한다.
또한 각각의 핀홈(47c)에는 록킹핀(48)이 장착된다. 록킹핀(48)은 스플라인부(47b)와 평행하게 연장된 환봉형 부재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홈(43f)에 삽입되어 스토핑로터(47)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48a는 자석이다. 자석(48a)은 록킹핀(48)을 핀홈(47c)에 끼운 상태에서 핀홈(47c)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된다. 록킹핀(48)에 자석을 적용함으로써 록킹핀(48)을 착탈식으로 설계 할 수 있다. 록킹핀의 마모 시 마모된 록킹핀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록킹부는, 스토핑로터(47)를 하우징(43)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스프링(49)이 록킹부의 역할을 한다.
스프링(49)은 바디부(47a)와 후방캡(43p)의 사이에 설치되며, 바디부(47a)를 고정홈(43f) 측으로 항상 탄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제1공간부(43d) 내에 유압이 전달되지 않는 이상, 록킹핀(48)은 고정홈(43f)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스토핑로터(47)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브레이크장치(40)는, 버킷(13)을 통해 워엄휠(23)에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워엄(25)이 비정상적으로 축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니 만큼, 작업 중에는 록킹핀(48)이 고정홈(43f)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록킹핀(48)이 고정홈(43f)에 끼워짐에 따라 스토핑로터(47)의 축회전이 불가능해지고, 스토핑로터(47)와 결합하고 있는 워엄(25)이 회전하지 못한다.
상기 상태에서 버킷(13)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유압포트(43c)를 통해 제1공간부(43d) 내부에 유압을 공급한다. 제1공간부(43d)에 유압이 전달되면 스토핑로터(47)가 스프링(49)를 압축하며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록킹핀(48)이 고정홈(43f)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유압모터(27)를 작동시켜 워엄(25)을 원하는 방향으로 축회전시킨다. 워엄(25)이 축회전함에 따라 스토핑로터(47)도 함께 회전하고, 워엄휠(23)도 회전하여 버킷의 방향이 전환된다.
버킷(13)의 방향 전환이 완료되었다면, 제1공간부(43d) 내부의 유압을 해제한다. 유압이 작용하지 않으면, 스프링(49)에 의해 스토핑로터(47)가 화살표 f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록킹핀(48)이 고정홈(43f)에 끼워져 스토핑로터(47) 및 워엄(25)이 다시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6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다른 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60)는, 하우징(43), 스토핑로터(47),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핑로터(47)의 바디부(47a)에는 다수의 가이드통로(43n)와 챔버(43m)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통로(43n)는 각 록킹핀(48)을 수용하며 록킹핀(48)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통로이다. 가이드통로(43n)는 상호 평행하며 고정홈(43f)와 일대일 대응한다.
또한, 챔버(43m)는 각 가이드통로(43n)와 연통하며 록킹핀(48)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록킹핀(48)은 그 후단부가 챔버(43m)에 수용된 상태로 화살표 p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아울러 록킹핀(48)의 후단부에는 영구자석(51)이 구비된다. 영구자석(51)은 후술할 전자석(53)과 상호 대응하며, 전자석(53)으로부터 인력이나 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챔버(43m)의 내부에는 전자석(53)이 장착된다. 전자석(53)은 제어모듈(55)을 통해 전달된 전기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록킹핀(48)을 왕복운동 시킨다. 즉, 록킹핀(48)을 밀거나 당기는 것이다. 전자석(53)에 의해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한 록킹핀(48)은 고정홈(43f)에 끼워져 스토핑로터(47)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전자석(53)의 자극이 바뀜에 따라 당겨지는 록킹핀(48)은, 고정홈(43f)으로부터 빠져 바디부(47a)에 완전히 삽입된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은, 록킹핀(48)을 왕복 운동시켜, 스토핑로터(47) 및 워엄(25)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스토핑로터와 워엄(25)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록킹수단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각 록킹핀(48)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영구자석(51)과, 챔버(43m)내에 고정되는 전자석(53)과, 제어모듈(55)을 포함한다.
제어모듈(55)은 각 전자석(53)과 전력선(55b)을 통해 접속되며, 전자석에 전기신호를 전달하여, 전자석으로 하여금 록킹핀, 즉, 영구자석(51)에 대해 인력이나 척력을 출력하게 한다. 제어모듈(55)의 신호출력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55)은 배터리(61)에 전력선(61a)을 통해 접속된다. 배터리(61)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각 전자석(53)에 전달될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61)의 전력은 제어모듈(55)을 통해 가공된 후 각 전자석(53)에 전달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63은 접속포트이다. 접속포트(63)는 굴착기 자체의 배터리(외부전원)와 접속되는 전력선(미도시)이 연결되는 단자이다. 접속포트(63)에 외부전원을 연결함으로써 배터리(61) 방전의 염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붐대커넥터 13:버킷 13a:고정핀
20:로테이팅어뎁터 21:샤프트 23:워엄휠
25:워엄 25a:스플라인홈 27:유압모터
27a:구동축 28:베어링 29:워엄케이스
40:브레이크장치 41:고정볼트 43:하우징
43a:플랜지부 43b:볼트구멍 43c:유압포트
43d:제1공간부 43e:제2공간부 43f:고정홈
43m:챔버 43n:가이드통로 43p:후방캡
47:스토핑로터 47a:바디부 47b:스플라인부
47c:핀홈 48:록킹핀 48a:자석
49:스프링 51:영구자석 53:전자석
55:제어모듈 55a:스위칭부 55b:전력선
60:브레이크장치 61:배터리 61a:전력선
63:접속포트

Claims (10)

  1.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록킹부와,
    필요시 외부로부터 가해진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릴리징수단을 포함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의 단부에는 스플라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핑로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및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일체를 이루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플라인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플라인부에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일정곡률의 원호방향으로 등각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이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일대일 대응하는 록킹핀이 고정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스토핑로터를 지지하여 록킹핀이 각 고정홈에 끼워지게 작용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벽면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고,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바디부를 기준으로 록킹핀이 위치한 제1공간부와, 스프링이 위치한 제2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릴리징수단은, 상기 제1공간부에 유압을 유도하는 유압포트를 갖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스토핑로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핀홈이 대칭으로 등각 배치되고,
    상기 록킹핀은, 각 핀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의 하단부에는, 핀홈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되는 자석이 더 구비된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6. 굴착기의 붐대 단부에 설치되며, 워엄휠, 상기 워엄휠에 치합한 상태로 워엄케이스에 내장되는 워엄, 상기 워엄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로테이팅 어뎁터의 측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워엄휠에 전달된 힘에 의해 워엄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워엄케이스의 측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워엄에 연결되어 워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스토핑로터와,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핑로터를 하우징 자체에 결합시켜 스토핑로터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스토핑로터와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 스토핑로터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의 단부에는 스플라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핑로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일체를 이루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스플라인홈에 끼워지는 스플라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스플라인부에 직교하는 평면상에 일정곡률의 원호방향으로 등각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이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일대일 대응하며,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직선운동하여 상기 고정홈에 대한 끼움과 분리동작을 반복하는 다수의 록킹핀이 구비된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록킹핀을 수용하여 록킹핀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가이드통로와,
    각 가이드통로와 연통하며 록킹핀의 일부를 수용하는 다수의 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핀은,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 고정홈에 끼움결합 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가이드통로 내부에 삽입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록킹핀의 챔버내에 수용되어 있는 후단부에 고정된 영구자석과,
    상기 챔버내에 고정되되, 상기 영구자석에 대향 배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전기신호를 가하여, 전자석으로 하여금 록킹핀에 대해 인력이나 척력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상기 전자석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형 배터리가 더 포함되는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KR1020190097657A 2019-08-09 2019-08-09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KR10229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657A KR102290489B1 (ko) 2019-08-09 2019-08-09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657A KR102290489B1 (ko) 2019-08-09 2019-08-09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828A true KR20210017828A (ko) 2021-02-17
KR102290489B1 KR102290489B1 (ko) 2021-08-13

Family

ID=7473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657A KR102290489B1 (ko) 2019-08-09 2019-08-09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8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8451U (ja) * 1991-06-12 1992-12-25 株式会社小松エスト モータグレーダのブレード旋回装置
KR19980044674A (ko) 1996-12-07 1998-09-05 도시히꼬 다께우찌 굴착기용 버켓
US20030099507A1 (en) * 2001-11-29 2003-05-29 Jrb Company, Inc. Spread-style coupler
KR200337286Y1 (ko) 2003-09-17 2004-01-03 황세성 수직갱도 굴착장치
JP2009222222A (ja) * 2008-02-20 2009-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ォーム減速機、及びそれを用いた旋回型カメラ並びに電波受信装置
KR20100007079U (ko) * 2008-12-31 2010-07-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101200651B1 (ko) * 2012-04-09 2012-11-12 김철동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용 회전링크체
KR20130140379A (ko) 2012-06-14 2013-1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
KR101988828B1 (ko) * 2018-09-19 2019-06-12 김남학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8451U (ja) * 1991-06-12 1992-12-25 株式会社小松エスト モータグレーダのブレード旋回装置
KR19980044674A (ko) 1996-12-07 1998-09-05 도시히꼬 다께우찌 굴착기용 버켓
US20030099507A1 (en) * 2001-11-29 2003-05-29 Jrb Company, Inc. Spread-style coupler
KR200337286Y1 (ko) 2003-09-17 2004-01-03 황세성 수직갱도 굴착장치
JP2009222222A (ja) * 2008-02-20 2009-10-01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ォーム減速機、及びそれを用いた旋回型カメラ並びに電波受信装置
KR20100007079U (ko) * 2008-12-31 2010-07-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101200651B1 (ko) * 2012-04-09 2012-11-12 김철동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용 회전링크체
KR20130140379A (ko) 2012-06-14 2013-12-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굴삭기용 회전형 버킷장치
KR101988828B1 (ko) * 2018-09-19 2019-06-12 김남학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489B1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7717B1 (en) Electro-hydraulic drive system for a work machine
EP2495122B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orking vehicle
AU2013202500B2 (en) Hoist drive for mining machine
EP3504145B1 (en) Rotator arrangement
US20040168568A1 (en) Motor-driven, boom-mounted rotary coupling
EP4075023B1 (en) A transmission arrangement
US7152519B2 (en) Hydraulic rotator and valve assembly
KR102558578B1 (ko) 굴삭기용 틸트 로테이터장치
US9909661B2 (en) Carrier, planetary gear mechanism, transmission, and working vehicle
KR20210017828A (ko) 굴착기용 로테이팅 어뎁터 브레이크장치
KR102215697B1 (ko) 굴착기용 분해조립형 틸트 로테이터 장치
CN111788354B (zh) 滑移转向装载机器具
KR102300610B1 (ko) 회전 변환 멀티 링크
CN101922163B (zh) 多功能万向快接器
CN217352650U (zh) 一种电动轮式挖掘机
JP5595666B2 (ja) 油圧ショベル
KR20210149417A (ko) 유압블럭을 이용한 굴삭기용 다기능 로테이터
CN111188798A (zh) 工程车辆的行走液压系统及工程车辆
EP1887253A1 (en) Hydraulic drive device
CN220202827U (zh) 用于多路阀的机械操作机构和包含其的挖掘机
CN110344466A (zh) 建筑机械
CN211901119U (zh) 工程车辆的行走液压系统及工程车辆
CN214574221U (zh) 一种适用于小型挖掘机的机械式属具快换结构及挖掘机
CN102817988A (zh) 用于驱动机械设备转动的动力装置及具有其的动力系统
KR200495262Y1 (ko) 펌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