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886A -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886A
KR20100005886A KR1020080065984A KR20080065984A KR20100005886A KR 20100005886 A KR20100005886 A KR 20100005886A KR 1020080065984 A KR1020080065984 A KR 1020080065984A KR 20080065984 A KR20080065984 A KR 20080065984A KR 20100005886 A KR20100005886 A KR 2010000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roup
lamp
light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숙
남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전자
Priority to KR102008006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886A/ko
Publication of KR2010000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등들로 그룹화된 전등의 그룹을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력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각각의 그룹들을 중앙제어방식이 아닌 버스라인을 이용한 독립제어방식으로 구성하여 제어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지센서(10)와 전등(80)이 연결된 점등제어부(100)를 다수 연결하는 버스라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등제어부(100)는,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0)와, 상기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와, 상기 A/D컨버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8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상기 버스라인(60)을 통해 코드화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코드화하여 출력하는 딥 스위치(5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출력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상기 상용전원(90)과 전등(80)을 연결하는 트라이액(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65984
전등, 그룹제어, 버스라인, 딥 스위치, 트라이액, 감지센서

Description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OF GROUPING LAMPS}
본 발명은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전등들로 그룹화된 전등의 그룹을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력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각각의 그룹들을 중앙제어방식이 아닌 버스라인을 이용한 독립제어방식으로 구성하여 제어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복도나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점등되는 센서등(Sensor-lamp)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등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체열(體熱)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여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에 기상상태에 따라 조도가 낮아지는 경우에도 동작되도록 하여, 생활에 매우 편리함을 주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센서등은 작동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비교적 길거나 넓게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는 해당 센서등이 감지할 수 있는 범위로 보행자가 진입하여야 센서등이 작동되기 때문에 센서등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곳에 대하여 보행자는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또한, 보행자를 감지한 센서등 만이 점등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용신안등록 제0436217호(등록일: 2007.06.29)는, "점진적 점소등이 가능한 유도등 겸용 센서등"으로 발광수단을 이루는 램프들을 두루마리식으로 권취 배열함과 함께 다수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에 속하는 일정 개수의 램프들마다 특정한 지향각을 갖도록 구성하여, 동일 보행자에 대하여 시간차를 두어 감지하여 유도등 겸용 센서등이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특허 제0696603호(등록공고일: 2007.03.20)는, "2차측 전원을 이용한 센서등을 겸한 순차적 자동 점소등제어장치"로, 통행자가 지나가면 통행자 지점의 램프와 통행자 전후의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즉, 통행자가 A그룹에서 D그룹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먼저 B그룹에 통행자가 위치하게 되면 B그룹에 존재하는 인체감지 센서부(PIR)가 작동하고, 이에 따라 입출력접점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3개 방향으로 분기하여 B그룹에 존재하는 램프를 점등시키고, 하나의 라인은 A그룹의 입력 접점에 신호를 전달하여 A그룹에 존재하는 램프를 점등시키고, 다른 하나의 라인은 C그룹의 입력접점에 신호를 전달하여 C그룹에 존재하는 램프를 점등시켜 A그룹과 B그룹 및 C그룹의 램프 모두를 점등시키고, 이후 통행자가 C그룹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B그룹의 인체감지 센서부(PIR) 동작과 마찬가지로 B그룹과 D그룹에 존재하는 램프를 점등시켜 B그룹과 C그룹 및 D그룹의 램프가 모두 점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순차적 점등제어장치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전등 모두를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그룹화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오동작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룹 전체의 배선을 점검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그룹을 형성할 경우에는 배선이 매우 복잡해져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그룹을 이루는 개별전등에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 전체를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등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그룹마다 고유의 코드를 부여하여, 전등그룹의 설치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분산되어 구성되는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에, 다수의 전등을 분산되도록 설치하고 동일 그룹을 이루려는 각각의 전등에 해당 그룹의 코드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해당 그룹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 전체를 점검하기보다는 해당 전등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등과, 상기 상용전원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전등과 직렬로 연결되는 수동스위치와, 상기 수동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등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점등제어부와, 상기 점등제어부에 통행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전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0)와 전등(80)이 연결된 상기 점등제어부(100)를 다수 연결하는 버스라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등제어부(100)는,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0)와, 상기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와, 상기 A/D컨버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8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상기 버스라인(60)을 통해 코드화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코드화하여 출력하는 딥 스위치(5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상기 상용전원(90)과 전등(80)을 연결하는 트라이액(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스라인을 통해 동일한 코드신호를 제공받는 점등제어부와 연결된 전등들로 상기 상용전원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스위치(55)와, 상기 수동스위치(55)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버스라인의 신호입출력을 제어하는 그룹제어스위치(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등을 점등시키는 코드의 점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다른 코드를 제공받아 점등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는, 중첩된 감지영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전등들로 그룹화된 그룹에 보행자가 통행함에 따라 감지 그룹의 전등 전체를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분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그룹이라도, 단지 해당 그룹의 코드를 각각의 전등에 설정하여 그룹화하기 때문에, 전등그룹의 설정과 설치를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각각의 그룹들을 중앙제어방식이 아닌 버스라인을 이용한 독립제어방식으로 구성하여 제어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오동작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전등만을 교체하여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서 점등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서 점등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는, 일반적인 상용전원(90)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등(80)과, 상기 상용전원(90)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전등(80)과 직렬로 연결되는 수동스위치(55)와, 상기 수동스위치(55)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등(80)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점등제어부(100)와, 상기 점등제어부(100)에 통행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10)와, 상기 점등제어부(100)와 감지센서(10) 및 전등(80)이 다수 구성되어 그룹을 형성하도록 상기 각 점등제어부(100)를 연결하는 버스라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0)는,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센서나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감지센서의 동작은 이미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점등제어부(100)는, 상기 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0)와, 상기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와, 상기 A/D컨버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8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상기 상용전원(90)과 전등(80)을 연결하는 트라이액(70)과, 상기 버스 라인(60)을 통해 코드화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코드화하여 출력하는 딥 스위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감지센서(11, 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점등제어부(105)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11, 12)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DEMUX: 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딥 스위치(50)는, 각각 특정 코드로 설정되어 상기 버스라인(60)에 연결되고, 동일코드를 갖는 모두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며, 동일한 그룹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버스라인(60)에 연결된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즉, 상기 딥 스위치(50)는 특정한 코드로 상기 버스라인(60)에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받을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특정하게 셋팅된 딥 스위치(60)를 통해 물리적으로 코드화하여 상기 버스라인(60)으로 출력하고, 동일한 코드로 설정된 다른 딥 스위치(50)와 연결된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만 상기 출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동일한 코드로 셋팅된 딥 스위치(50)와 연결된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은 동일한 그룹을 형성하고, 동일한 그룹 내의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전등을 점등시키는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그룹 내의 모든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동일하게 전등을 점등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10 ~ 12)에서 통행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서 상기 트라이액(70)의 게이트로 점등신호 를 출력하여 전등(80)을 점등시키게 되고, 또한 동시에 상기 딥 스위치(50)를 통해 점등제어신호를 버스라인(60)으로 출력하고, 동일하게 코드화된 딥 스위치와 연결된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점등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다른 전등(80)을 점등시킨다. 즉, 동일한 그룹을 형성하는 모든 전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도 3은 그룹A(110)와 그룹B(120)를 개략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그룹A(110)와 그룹B(120)는 각각 다수의 점등제어부(100)와 감지센서(10) 및 전등(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룹A(110)는 버스라인(60)과 전원공급선(65)으로 연결되고, 그룹B(120)도 버스라인(60)과 전원공급선(65)으로 연결되며, 상기 버스라인(60)과 전원공급선(65)은, 그룹제어스위치(200)와, 수동스위치(55)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룹A(110)와 그룹B(120)는 각각 다른 코드로 설정되어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동스위치(55)는, 상기 그룹A(110)와, 그룹B(120)로의 상용전원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여 각각 그룹별 전등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그룹제어스위치(200)는 상기 수동스위치(55)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버스라인(60)을 통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그룹A(110)는 그룹A 제어스위치(210)로 그룹을 제어하고, 그룹B(120)는 그룹B 제어스위치(220)로 그룹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그룹제어스위치(200)는 정전용량스위치나 푸쉬풀스위치 등의 전자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스위치(55)와 그룹제어스위치(200)는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양 스위치가 모두 켜있을 때만 동작한다. 즉, 상기 감지센서(10)에 의해 전 등(80)의 점등을 제어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스위치(55)와 그룹제어스위치(200)를 모두 턴온(Turn-on) 상태로 조작하여야 하고, 해당 그룹의 전등을 모두 소등시킬 경우에는 상기 수동스위치(55)를 턴오프(Turn-off)로 조작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4는 3가닥의 버스라인(60)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두 8개의 그룹을 연결할 수 있으나, 편의상 그룹A(110), 그룹B(120), 그룹C(130)로 구성된 것을 가정한다.
또한, 그룹과 그룹이 인접하는 영역은 보행자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일정부분의 감지영역이 중첩되도록 구성한다. 즉, 그룹A(110)와 그룹B(120)는 150a의 중첩영역을 형성하며, 그룹B(120)와 그룹C(130)는 150b의 중첩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10a, 110b, 110c는 그룹A(110)를 구성하는 각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20a, 120b, 120c는 그룹B(120)를 구성하는 각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130a, 130b, 130c는 그룹C(130)를 구성하는 각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수동스위치와 그룹제어스위치는 모두 턴온(Turn-on) 상태인 것을 가정한다.
보행자가 도 4의 맨 왼쪽에서 그룹A(110)의 감지영역(110a)으로 진입하여, 그룹A(110)에서 보행자를 감지하면, 해당 점등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딥 스위치를 통해 점등제어신호를 버스라인(60)으로 전송하고, 동일한 코드로 그룹을 이루는 그룹A(110)의 모든 전등을 점등시킨다.
그 후 보행자가 그룹A(110)의 맨 오른쪽 전등(도 4 기준)이 위치한 감지영역(110c)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그룹B(120)의 맨 왼쪽 감지영역(120a)으로 진입한 것이 되므로, 동시에 그룹A(110)와 그룹B(120)의 전등이 모두 점등되게 된다.
그리고 보행자가 그룹A(110)와 그룹B(120)의 중첩영역(150a)을 벗어나게 되면 그룹A(110)는 모두 소등되고 그룹B(120)만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그룹별로 진행방향과 지나왔던 방향이 점등되기 때문에 보행자는 안전하게 목적지로 향하게 되며, 불필요한 전등의 점등으로 인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서 점등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에서 점등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12: 감지센서 15: 역다중화기(DEMUX)
20: 증폭기 30: A/D컨버터
40: 마이크로프로세서 50: 딥스위치
55: 수동스위치 60: 버스라인
65: 전원공급선 70: 트라이액
80: 전등 90: 상용전원
100, 105: 점등제어부 110: 그룹A
120: 그룹B 130: 그룹C
200: 그룹제어스위치 210: 그룹A 제어스위치
220: 그룹B 제어스위치

Claims (5)

  1.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등과, 상기 상용전원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전등과 직렬로 연결되는 수동스위치와, 상기 수동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등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점등제어부와, 상기 점등제어부에 통행자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전등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0)와 전등(80)이 연결된 상기 점등제어부(100)를 다수 연결하는 버스라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등제어부(100)는, 상기 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0)와, 상기 증폭된 감지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와, 상기 A/D컨버터(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등(8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상기 버스라인(60)을 통해 코드화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코드화하여 출력하는 딥 스위치(5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상기 상용전원(90)과 전등(80)을 연결하는 트라이액(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점등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라인을 통해 동일한 코드신호를 제공받는 점등제어부와 연결된 전등들로 상기 상용전원의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스위치(55)와, 상기 수동스위치(55)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버스라인의 신호입출력을 제어하는 그룹제어스위치(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을 점등시키는 코드의 점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다른 코드를 제공받아 점등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는, 중첩된 감지영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을 점등시키는 코드의 점등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와 다른 코드를 제공받아 점등되는 전등제어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는, 중첩된 감지영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KR1020080065984A 2008-07-08 2008-07-08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KR20100005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984A KR20100005886A (ko) 2008-07-08 2008-07-08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984A KR20100005886A (ko) 2008-07-08 2008-07-08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28A Division KR20100120114A (ko) 2010-11-01 2010-11-01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86A true KR20100005886A (ko) 2010-01-18

Family

ID=4181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984A KR20100005886A (ko) 2008-07-08 2008-07-08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8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528A3 (ko) * 2011-01-12 2012-11-15 (주)오로라 디자인랩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2243A (ko) 2017-11-08 2019-05-16 박수정 산호석 침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6528A3 (ko) * 2011-01-12 2012-11-15 (주)오로라 디자인랩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3348771A (zh) * 2011-01-12 2013-10-09 欧若拉设计研究所 用于使用低功率无线通信模块控制led照明的方法和系统
KR20190052243A (ko) 2017-11-08 2019-05-16 박수정 산호석 침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786Y1 (ko) 조명 장치
AU2007295183B2 (e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illumination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24256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zoned illumination
KR101066238B1 (ko) 인체감지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센서 연동제어장치
CN105070064A (zh) 一种车库车行指引停车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80119266A (ko) 스마트 신호등 제어장치
KR20100098173A (ko) 터널내 조도 자동조절 조명시스템
KR101905125B1 (ko) 스마트 터널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0442A (ko) 가로등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20114A (ko)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KR101275498B1 (ko) 모션인식 조명등
KR20180121163A (ko) 가로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H1167469A (ja) 照明装置
KR20100005886A (ko)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KR20140122507A (ko) 인접 그룹별로 점등하는 독립형 조명 제어장치
KR100987963B1 (ko) 가이딩 조명 시스템
KR20200026637A (ko) 원격 조명 제어 가능한 가로등 시스템
US20170202074A1 (en) Outdoor illumination system and energy-saving control box thereof
KR20100086709A (ko)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101200247B1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1315178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333944A (zh) 一种地下停车库照明节能系统及其控制方法
CN210351722U (zh) 一种灯光跟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04

Effective date: 2012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