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594U -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594U
KR20100005594U KR2020080015583U KR20080015583U KR20100005594U KR 20100005594 U KR20100005594 U KR 20100005594U KR 2020080015583 U KR2020080015583 U KR 2020080015583U KR 20080015583 U KR20080015583 U KR 20080015583U KR 20100005594 U KR20100005594 U KR 201000055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retainer
pin
body portion
guid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미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594U/ko
Publication of KR20100005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형홀더(40)에는 소재(M)가 안착되는 다이(45)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44)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44)에는 리프터핀(50)이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리프터핀(50)은 상기 하형홀더(40)에 설치된 지지탄성부재(59)에 의해 상기 하형리테이너(44)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리프터핀(50)은 4각에서 8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다각기둥형상이다. 상기 리프터핀(50)의 상부에는 평면으로 된 외면중 하나 전체에 걸쳐 상기 소재(M)의 가장자리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슬릿(5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면 중 상기 리프터핀(50)의 횡단면에 해당하는 일면에는 상기 소재(M)의 저면이 안착되는 소재안착면(5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면 중 상기 소재안착면(54)과 직교한 일면에는 가이드면(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리프트핀은 가이드슬릿에 의해 소재를 다이 상면에서 들어올리는 역할과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특히 가이드슬릿의 폭이 전체적으로 일정하여 보다 얇은 소재의 승강과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리프터핀, 다각기둥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Progressive mold assembly}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순차적으로 가공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란 긴 띠모양의 소재를 정해진 피치만큼 씩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다수개의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각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형홀더(10)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가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다이포켓(15)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포켓(15)에는 소재(미도시)가 안착되는 부분인 다이(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16)를 벗어난 상기 하형리테이너(14) 상에는 고정스트리퍼(1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스트리퍼(17)는 소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형리테이너(14)와 백킹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서는 리프터핀(18)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핀(18)은 이송되는 상기 소재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리프터핀(18)은 상기 소재를 들어 올려 상기 소재가 이송과정에서 상기 다이(16)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프터핀(18)은 상기 하형홀더(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8')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18')는 상기 리프터핀(18)이 상기 하형리테이너(1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를 벗어난 상기 하형홀더(10) 상에는 가이드포스트(19)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포스트(18)는 상기 하형홀더(10)측과 아래에서 설명될 상형홀더(20)측이 서로 정확하게 상대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형홀더(2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2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22)와 상형리테이너(24)는 상기 상형홀더(20)에 함께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다이(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포켓(25)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포켓(25)에는 펀치(26)가 설치된다.
가동스트리퍼(3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24)에 장착되어 상기 상형홀더(20)와 함께 승강하고, 상기 다이(16) 상에 안착된 소재의 가장자리를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3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펀치가이드홀(33)이 형성되 고, 상기 펀치가이드홀(33)을 상기 펀치(26)가 관통하며 펀치(26)의 선단이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 안착된 소재를 펀치함으로써 상기 펀치(26)의 단면형상대로 소재에 형상을 만들어낸다.
상기 가동스트리퍼(30)를 상기 상형리테이너(24)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상형홀더(20)를 관통하여서 체결볼트(38)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금형조립체에서는, 상기 펀치(26)에 의해 소재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상형홀더(20)가 상기 하형홀더(10)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핀(18)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성형이 완료된 소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며, 이렇게 지지된 소재는 피더(미도시)에 의해 다음 성형 단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소재는 상기 고정스트리퍼(17)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이송방향이 안내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소재의 이송을 위한 구성들 중에서 상기 고정스트리퍼(17)와 리프터핀(18)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금형조립체의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트리퍼(17)와 리프터핀(18)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평면상에 다른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를 다이 상면에서 들어올리는 역할과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리프트핀이 설치된 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핀이 보다 넓은 면적에서 소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소재가 안착되는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성형하는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소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형홀더측에 의해 눌러져 하강될 수 있는 다각기둥형상의 리프터핀과; 상기 리프터핀을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밀어주는 지지탄성부재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안착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다이 상에 고정시켜주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터핀은 4각에서 8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 고, 상부 일측에는 평면으로 된 일측 외면 전체에 걸쳐 상기 가이드슬릿이 리프터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핀몸체부; 상기 핀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핀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몸체부의 상승높이는 규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 중 상기 핀몸체부의 횡단면에 해당되는 일면에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 중 상기 소재안착면과 직교한 일면에는 상기 소재의 가장자리 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재의 이송시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면의 폭(T)은 상기 소재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핀몸체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핀몸체부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횡단면이 정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된 리프트핀에 소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핀은 소재의 이송과정에서 소재를 다이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역할과 상기 소재의 가장자리 단부를 지지하여 소재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따라서 별도로 고정스트리퍼가 필요없게 되어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리프트핀이 소재를 지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소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도 소재의 승강과 안내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리테이너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터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하형홀더(40)상에는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이너(4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이너(44)는 상기 하형홀더(4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4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4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44)에는 소재가 안착되는 다이(45)가 구비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이너(44)를 관통하여서는 리프터핀(50)이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핀(50)은 도 2와 같이, 소재(M)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 수개가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터핀(50)은 소재의 이송시에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과 소재를 상기 다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리프터핀(50)의 외관과 골격을 핀몸체부(51)가 형성한다. 상기 핀몸체부(51)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기둥 형상이나, 대체로 4각~8각기둥 정도의 다각기둥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핀(50)의 일측 외면은 상기 핀몸체부(51)가 상기 하형리테이너(44)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회전방지면(52)이라는 명칭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핀몸체부(51)의 일측 외면에는 가이드슬릿(5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은 핀몸체부(5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은 핀몸체부(51)의 외면중 평면으로된 일측 외면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부에는 상기 소재(M)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의 폭(T)은 상기 소재(M)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슬릿(53) 내에서 상기 소재(M)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면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면 중 상기 핀몸체부(51)의 횡단면에 해당되는 부분은 소재(M)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면(54)이다. 상기 소재안착면(54)은 소재가 상기 다이(45) 위에 안착될 때 상기 다이(45)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슬릿(53)의 내면 중 상기 소재안착면(54)과 직교하는 가이드면(55)은 상기 소재(M)의 단부를 지지하여 이송방향(도 2의 화살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재안착면(54)과 가이드면(55)은 그 길이 전체에 걸쳐 폭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는 상기 핀몸체부(51)의 외면중 평면으로 된 일측 외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핀몸체부(51)의 하부에는 상기 핀몸체부(5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57)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57)는 상기 리프터핀(50)이 상승할 때 상기 하형측의 백킹플레이트(44)의 저면에 걸어져 상기 리프터핀(50)의 상승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랜지부(57)는 원판형상이다. 상기 플랜지부(57)는 상기 핀몸체부(5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부(57)가 별개로 형성되면, 나사(58)(도 5참고)를 통해 핀몸체부(51)와 체결하면 된다. 상기 플랜지부(57)는 상기 핀몸체부(51)와 같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될 수도 있으나, 아래에서 탄성지지부재(59)의 설치와 지지 등을 고려하면 원판형상이 가장 좋다.
한편, 상기 핀몸체부(51)는 상기 백킹플레이트(42)와 하형리테이너(44)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핀몸체부(51)는 상기 하형홀더(40) 내부에 설치된 지지탄성부재(5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탄성부재(59)는 상기 핀몸체부(51)가 상기 하형홀더(40)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핀몸체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면부호 59'는 세트스크류로서 상기 하형홀더(40) 내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탄성부재(59)의 일단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리프터핀(50)은 상기 가이드슬릿(53)에 소재(M)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소재(M)를 상기 다이(45) 표면에서 밀어올리며, 상기 소재(M)의 이송시에 상기 가이드면(55)이 상기 소재(M)를 지지하여 그 이송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하형홀더(40)측의 상부에 상기 하형홀더(40)와 마주보게 상형홀더(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홀더(6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62)와 상형리테이너(64)는 상기 상형홀더(6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6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44)측에 안착된 소재(M)를 타격하는 펀치(65)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65)는 상기 상형홀더(60)와 일체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펀치(65)는 상기 하형리테이너(44)의 다이(4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가동스트리퍼(70)는 상기 상형홀더(60)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가동스트리퍼(7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상형홀더(60)에 지지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70)는 상기 하형리테이너(44) 상에 놓여있는 소재(M)를 눌러주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7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64)와 거의 같은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가동스트리퍼(70)는 스트리퍼홀더(71)와, 상기 스트리퍼홀더(71)와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하며 실제로 소재(M)의 일측을 눌러주는 스트리퍼판(73)으로 구 성된다. 상기 스트리퍼판(73)에는 요입홈(75)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75)은 상기 리프터핀(50)과 스트리퍼판(73)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하강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44)와 밀착되었을 때, 상기 리프터핀(50)의 선단이 상기 요입홈(75)에 삽입된다. 상기 요입홈(75)은 상기 리프터핀(5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서로 대응되는 가장자리에는 걸이턱(7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7)은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측면에 가동스트리퍼(70)의 하면 가장자리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77)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구(80)의 걸이단(83)에 걸어진다.
상기 가동스트리퍼(70)를 상기 상형리테이너(64)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형홀더(60)에 고정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형홀더(60)에는 걸이구(80)가 결합된다. 상기 걸이구(80)의 선단에는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걸이턱(77)이 걸어지는 걸이단(8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80)는 4개가 사용되어, 상기 가동스트리퍼(70)를 지지한다. 하지만, 상기 걸이구(80)의 사용갯수는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크기와 무게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트리퍼(70)를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서 멀어지도록 밀어주는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상형홀더(60), 백킹플레이트(62) 및 상형리테이너(64)를 관통하여서는 누름핀(90)이 설치된다.
상기 누름핀(90)은 상기 상형홀더(60)의 안착공간(60')에서 상기 백킹플레이 트(62)와 상형리테이너(64)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누름핀(90)의 선단은 상기 가동스트리퍼(70)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핀(90)은 상기 안착공간(60') 내에 구비되는 누름탄성부재(9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누름탄성부재(92)는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상기 상형리테이너(6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누름핀(90)의 누름력과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걸이턱(77)이 상기 걸이구(80)의 걸이단(83)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긴 띠모양의 소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터미널 등의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가공은 다이(미도시) 상에 소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펀치(미도시)가 소재를 타격하여 이루어진다.
도 5와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가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리프터핀(50)은 상기 지지탄성부재(59)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형리테이너(44)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핀(50)의 플랜지부(57)는 상기 백킹플레이트(42)의 저면에 걸어진다. 상기 리프터핀(50)의 가이드슬릿(53)에는 소재(M)의 양측 가장자리가 안착되 어, 상기 다이(45) 표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재(M)는 피더(미도시)에 의해 상기 소재(M)의 길이방향으로 한 피치 이송된다.(도 2의 화살표방향 참고)
이때, 상기 소재(M)가 상기 소재안착면(54)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다이(45) 표면으로 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되므로, 상기 소재(M)의 이송시에 상기 다이(45)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소재(M)의 양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면(5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소재(M)의 이송방향이 안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재(M)가 한 피치 이송된 후에, 상기 상형홀더(60)가 상기 하형홀더(40)를 향해 하강한다. 상기 상형홀더(60)가 하강함에 따라 먼저, 상기 가동스트리퍼(70)의 저면이 상기 리프터핀(50)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동스트리퍼(70)에 형성된 요입홈(75)에 상기 리프터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상기 리프터핀(50)를 눌러, 상기 리프터핀(50)이 상기 지지탄성부재(59)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가동스트리퍼(70)와 함께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계속 하강하여 상기 하형리테이너(44)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리프터핀(50)의 소재안착면(54)은 상기 다이(45)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며, 상기 가동스트리퍼(70)는 상기 소재의 일측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상기 소재(M)을 눌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60)는 더 하강하게 된다(도 3 참고).
마지막으로 상형홀더측이 하형홀더측에 완전히 내려온 상태로 되면서 상기 펀치(65)가 상기 가동스트리퍼(70)에 의해 고정된 소재에 타격을 가하여 형상을 성형하게 된다.
소재의 성형이 완료된 후 상기 상형홀더(60)가 상기 하형홀더(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동스트리퍼(70)가 상기 리프터핀(50)을 누르지 않게 됨에 의해 상기 리프터핀(5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리프터핀(50)이 상승하면, 상기 리프터핀(50)의 가이드슬릿(53)에 안착된 소재(M)가 상기 다이(45)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다시 소재가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리프터핀(50)이 소재를 상기 다이(45) 표면에서 소정 높이로 밀어주는 역할과 소재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고정스트리퍼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금형조립체의 부품수가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핀(50)의 소재안착면(54)이 전체적으로 같은 폭을 가져 보다 안정적으로 소재(M)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얇은 소재(M)를 사용하여 가공을 수행하더라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소재(M)를 승강 및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리프터핀(50)은 상기 소재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설치 개수 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가동스트리퍼(70)가 설치되어 리프터핀(50)을 눌러주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가동스트리퍼(70) 없이 상기 상형리테이너(60)가 상기 리프터핀(50)을 직접 눌러주도록 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형리테이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도 2의 A-A' 선에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프터핀을 보인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하형홀더 42: 백킹플레이트
44: 하형리테이너 50: 리프터핀
51: 핀몸체부 52: 회전방지면
53: 가이드슬릿 54: 소재안착면
55: 가이드면 57: 플랜지부
59: 지지탄성부재 60: 상형홀더
62: 백킹플레이트 64: 상형리테이너
70: 가동스트리퍼 71: 스트리퍼홀더
73: 스트리퍼판 75: 요입홈
77: 걸이턱 80: 걸이구
83: 걸이단 90: 누름핀
92: 누름탄성부재

Claims (5)

  1. 소재가 안착되는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기 다이에 안착된 소재를 성형하는 펀치가 설치되는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소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형홀더측에 의해 눌러져 하강될 수 있는 다각기둥형상의 리프터핀과;
    상기 리프터핀을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밀어주는 지지탄성부재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안착되어 상기 소재를 상기 다이 상에 고정시켜주는 가동스트리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핀은,
    4각에서 8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는 평면으로 된 일측 외면 전체에 걸쳐 상기 가이드슬릿이 리프터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핀몸체부;
    상기 핀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핀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몸체부의 상승높이는 규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 중 상기 핀몸체부의 횡단면에 해당되는 일면에는 상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 중 상기 소재안착면과 직교한 일면에는 상기 소재의 가장자리 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이송시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면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면의 폭(T)은 상기 소재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부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핀몸체부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 전방지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2020080015583U 2008-11-24 2008-11-24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201000055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83U KR20100005594U (ko) 2008-11-24 2008-11-24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83U KR20100005594U (ko) 2008-11-24 2008-11-24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94U true KR20100005594U (ko) 2010-06-03

Family

ID=4445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83U KR20100005594U (ko) 2008-11-24 2008-11-24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5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5655A (zh) * 2013-09-30 2014-01-08 浙江柯菲过滤器有限公司 滤清器密封板连续冲压成型模具及送料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5655A (zh) * 2013-09-30 2014-01-08 浙江柯菲过滤器有限公司 滤清器密封板连续冲压成型模具及送料机构
CN103495655B (zh) * 2013-09-30 2016-05-04 浙江柯菲过滤器有限公司 滤清器密封板连续冲压成型模具及送料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388B1 (ko) 부품 공급 장치 및 부품 공급 방법, 부품 부착 시스템
KR100766072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소재안내장치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1286663B1 (ko) 도어 힌지편 밴딩장치
KR102134475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0846854B1 (ko) 금형조립체
KR20100005594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20090133028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10098878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20100013630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100823342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가이드장치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KR10098878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승강장치
KR100846853B1 (ko) 모재가이드장치
KR10089415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승강장치
KR100838779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및 그방법
KR20090073875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20100002889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10148376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00002929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제품배출장치
JP2019166551A (ja) 加工装置
KR101452455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성형장치
KR20080005827U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리프터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