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24A - 명함케이스 - Google Patents

명함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24A
KR20100005324A KR1020080065310A KR20080065310A KR20100005324A KR 20100005324 A KR20100005324 A KR 20100005324A KR 1020080065310 A KR1020080065310 A KR 1020080065310A KR 20080065310 A KR20080065310 A KR 20080065310A KR 20100005324 A KR20100005324 A KR 2010000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outlet
pocket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117B1 (ko
Inventor
이한별
이명숙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존뉴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존뉴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존뉴턴스
Priority to KR102008006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1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명함과 타인의 명함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히 거치 가능하게 하는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제 1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자신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1 명함포켓과,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제 2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타인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2 명함포켓과,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명함인출구를 개폐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명함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자신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명함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타인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명함인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명함케이스는 한 장의 종이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제 2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홈이 더 형성된다
명함케이스, 고정홈, 거치홈, 명함포켓, 개폐수단

Description

명함케이스 {NAME CARD CASE}
본 발명은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포할 자신의 명함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타인의 명함을 보관하는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서 무수한 사업체가 생겨나고 있는데, 자신의 사업체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광고나 선전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사업상 만나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사업을 소개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름과 사업체명, 직위, 연락처 등이 기재되어 있는 명함을 건네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따라서, 사업가들은 사업상 만나는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자신의 명함을 소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사업상 만나는 상대방으로부터 받는 타인의 명함을 소지하게 된다.
명함의 교부를 위하여 와이셔츠 주머니에 명함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와이셔츠 주머니에 보관시에는 명함이 구겨지거나 인출시 이물질이 함께 인출될 개연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명함을 보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명함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는데, 일반 적으로 자신의 명함과 타인의 명함을 보관될 곳을 별개로 분리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타인의 명함을 자신의 명함과 함께 보관한다면 추후에 자신의 명함에서 타인의 명함을 분리해야 하므로 시간의 소모가 많고, 자신의 명함을 타인에게 배포할 시에 잘못하면 타인의 명함이 배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신의 명함과 타인의 명함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제 1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자신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1 명함포켓과,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제 2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타인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2 명함포켓과,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명함인출구를 개폐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명함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명함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자신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명함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타인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명함인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명함케이스는 한 장의 종이를 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홈 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케이스에 의하면, 자신의 명함을 보관할 수 있는 제 1 명함포켓과 타인의 명함을 보관할 수 있는 제 2 명함포켓이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자신의 명함과 타인의 명함을 별개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어서 자신의 명함과 타인의 명함이 서로 섞이지 아니하여 편리하다. 그리고, 개폐수단의 단부를 거치홈에 끼워서 책상 등에 거치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의 전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는 케이스본체(30)와, 케이스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제 1 명함인출구(11)가 형성되어 자신의 명 함(110)이 보관되는 제 1 명함포켓(10)과, 제 1 명함포켓(10)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제 2 명함인출구(21)가 형성되어 타인의 명함(110)이 보관되는 제 2 명함포켓(20)과, 제 2 명함인출구(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명함인출구(21)를 개폐하고 연장 형성되어 제 1 명함인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0)과, 제 1 명함포켓(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개폐수단(4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30)의 일측에는 제 1 명함포켓(10)이 형성되는데, 제 1 명함포켓(10)은 자신의 명함(110)이 보관되는 곳으로서 제 1 명함포켓(10)의 상단에는 명함(110)의 인출을 위한 제 1 명함인출구(1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명함인출구(11)에는 명함(11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명함인출홈(12)이 형성된다. 명함(110)은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제 1 명함포켓(10)에서 인출하게 되는데 손가락 끝과 명함(110)이 접촉되는 부분을 늘려 마찰력을 늘려줌으로써 명함(110)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2 명함포켓(20)은 타인의 명함(110)이 보관되는 곳인데, 제 1 명함포켓(10)의 후면부에 접하여 형성되고 제 1 명함포켓(10)에 비하여 그 부피가 작게 형성된다. 배포를 위한 자신의 명함(110)은 충분한 수량이 보관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제 1 명함포켓(10)은 제 2 명함포켓(20)에 비하여 부피가 크게 형성된다.
제 1 명함포켓(10)과 제 2 명함포켓(20) 사이에는 격벽(50)이 설치되어 제 1 명함포켓(10)과 제 2 명함포켓(20) 사이를 분리한다.
제 2 명함포켓(20)의 하단에는 명함(110)의 인출을 위한 제 2 명함인출 구(21)가 형성된다. 제 2 명함인출구(21)는 제 1 명함인출구(11)와 반대방향에 형성되는데, 자신의 명함(110)과 타인의 명함(110)이 보관되는 위치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명함인출구(21)에는 타인의 명함(11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명함인출홈(22)이 형성된다. 명함(110)은 손가락 끝을 이용하여 인출하는데 손가락 끝과 명함(110)이 접촉되는 부분을 늘려 마찰력을 늘려줌으로써 명함(110)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폐수단(40)은 제 2 명함인출구(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 1 명함인출구(11)와 제 2 명함인출구(21)를 단일한 개폐수단(40)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하자면, 개폐수단(40)은 제 2 명함인출구(21)의 하단의 전면 모서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2 명함인출구(21)를 개폐하고, 제 2 명함인출구(21)의 하단의 후면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1회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연장형성된 개폐수단(40)은 다시 제 1 명함인출구(11)의 상단의 후면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1회 절곡되어 제 1 명함인출구(11)를 개폐한다.
그리고, 개폐수단(40)은 제 1 명함인출구(11)의 상단의 전면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1회 절곡 형성된 후 개폐수단(40)의 단부에는 고정돌기(41)가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홈(6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홈(60)은 전술한 개폐수단(4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41)가 삽입되어 개폐수단(40)을 고정시키는 부분인데, 고정돌기(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 1 명 함포켓(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만곡된 곡선형으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곡선형상은 고정돌기(4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명함포켓(10)과 제 2 명함포켓(20)에 보관된 명함(110)은 단일한 개폐수단(40)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개폐수단(40)의 고정은 견고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고정홈(6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1)는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고 고정홈(60)에 삽입된 고정돌기(41)와 고정홈(60) 사이의 유격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고정돌기(41)에는 개폐수단(4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한 마찰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다.
거치홈(70)은 책상과 같은 곳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를 거치하기 위한 홈인데, 거치홈(70)은 전술한 고정돌기(41)에 대응하여 제 2 명함포켓(20)의 외측면에 절단되어 형성된다. 거치홈(70)을 이용하여 책상의 상면에 거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를 명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명함케이스(1)는 합성수지, 가죽, 종이, 나무 등의 다양한 재료를 원료로 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는 도 3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한 장의 종이로 제조된다. 종이는 자연 소재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이며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의 제 1 명함인출구(11)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 른 명함케이스(1)의 제 2 명함인출구(21)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의 실시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자신의 명함(110)을 타인에게 배포하기 위하여 제 1 명함포켓(10)에 보관된 자신의 명함(110)을 인출해야 하는데, 명함(110)의 인출을 위하여 고정홈(60)으로부터 고정돌기(41)를 분리하고 고정돌기(4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명함인출구(11)가 개방된다. 개방된 제 1 명함인출구(11)에서 자신의 명함(110)을 인출하여 타인에게 배포한다. 제 1 명함인출구(11)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순으로 제 1 명함인출구(11)를 폐쇄하고 개폐수단(40)의 고정돌기(41)를 고정홈(6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타인의 명함(110)을 받은 경우에는 타인의 명함(110)을 제 2 명함포켓(20)에 보관하기 위하여 고정홈(60)으로부터 고정돌기(41)를 분리하고 개폐수단(4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린 후 케이스본체(30)를 전방으로 눕힌다. 상방을 향하고 있는 개폐수단(40)을 파지하고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명함인출구(21)가 개방된다. 개방된 제 2 명함인출구(21)에 타인의 명함(110)을 삽입하여 보관한다. 명함(1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순으로 제 2 명함인출구(21)를 폐쇄하고 개폐수단(40)을 고정홈(60)에 고정시킨다.
책상의 일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를 거치하기 위해 서는 고정홈(60)에서 고정돌기(41)를 분리하여 제 1 명함인출구(11)를 개방한 후, 개폐수단(40)을 더 후방으로 이동시켜 개폐수단(40)을 책상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는 30°내지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후방으로 비스듬히 눕힌다.
개폐수단(40)의 고정돌기(41)를 파지하고 상방으로 밀어올린 후, 고정돌기(41)를 케이스본체(30)의 후면에 형성된 거치홈(70)에 삽입하면 케이스본체(30)와 개폐수단(40)은 ㅅ자 형태로 지지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1)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책상의 일측에 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케이스(1)에 의하면, 자신의 명함(110)을 보관할 수 있는 제 1 명함포켓(10)과 타인의 명함(110)을 보관할 수 있는 제 2 명함포켓(20)이 분리 형성되어 자신의 명함(110)과 타인의 명함(110)을 별개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어서 자신의 명함(110)과 타인의 명함(110)이 뒤섞이지 아니하여 편리하다. 그리고, 개폐수단(40)을 거치홈(70)에 끼워서 거치할 수 있어서 명패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여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의 제 1 명함인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의 제 2 명함인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케이스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설명>
1; 명함케이스
10; 제 1 명함포켓 11; 제 1 명함인출구
12; 제 1 명함인출홈 20; 제 2 명함포켓
21; 제 2 명함인출구 22; 제 2 명함인출홈
30; 케이스본체 40; 개폐수단
41; 고정돌기 50; 격벽
60; 고정홈 70; 거치홈
110; 명함

Claims (3)

  1.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제 1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자신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1 명함포켓;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제 2 명함인출구가 형성되어 타인의 명함이 보관되는 제 2 명함포켓;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명함인출구를 개폐하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명함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제 1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명함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자신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1 명함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명함인출구에는 상기 타인의 명함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제 2 명함인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명함케이스는 한 장의 종이를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명함포켓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본체가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케이스.
KR1020080065310A 2008-07-07 2008-07-07 명함케이스 KR10095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10A KR100956117B1 (ko) 2008-07-07 2008-07-07 명함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10A KR100956117B1 (ko) 2008-07-07 2008-07-07 명함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24A true KR20100005324A (ko) 2010-01-15
KR100956117B1 KR100956117B1 (ko) 2010-05-07

Family

ID=4181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10A KR100956117B1 (ko) 2008-07-07 2008-07-07 명함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9379A (zh) * 2011-02-28 2012-08-29 鲁杰罗·佩罗尼公司 由可焊接热塑性板材连续制造盒式文件夹以及相关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332B1 (ko) * 2013-02-27 2013-08-01 주식회사 한성칼라 북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315U (ja) 1981-09-11 1983-03-18 有限会社 コンペックス 組立書類箱
JPH06293378A (ja) * 1993-03-31 1994-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ビデオカセット用カートン
JP2001088483A (ja) 1999-09-22 2001-04-03 Kokuyo Co Ltd 用紙保管用ホルダ及びホルダケース
KR200232999Y1 (ko) 2000-11-22 2001-09-25 최덕환 상품 포장용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9379A (zh) * 2011-02-28 2012-08-29 鲁杰罗·佩罗尼公司 由可焊接热塑性板材连续制造盒式文件夹以及相关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117B1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010A (en) Multi-purpose holder device
US9788618B2 (en) Compression card holder
US5121834A (en) Pocket case
JPH0924697A (ja) メモボード
US4919276A (en) Portable desk top tray
US20150154891A1 (en) Whiteboard With A Unique Attaching/Looping Device
KR100956117B1 (ko) 명함케이스
US7150575B1 (en) Freestanding penholder
US6315484B1 (en) Information handler and project manager
JP3209086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用ケース
KR20220124564A (ko) 메모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지 장치
KR200459150Y1 (ko) 다용도 서류가방
KR200359935Y1 (ko) 서류 보관용 화일
WO2001001810A1 (fr) Etui portatif
JP2005306407A (ja) パンフレット収納具
KR20120001530U (ko) 다기능 캘린더
KR200193680Y1 (ko) 모니터용 광고 수납대
GB2425952A (en) Magnetic notelet holder
KR101220622B1 (ko) 시트상물 수납케이스
CN2213077Y (zh) 新型名片盒
KR200426277Y1 (ko) 휴대가 용이한 동전 보관용 수첩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KR200427473Y1 (ko) 메모지 함
KR200274448Y1 (ko) 부착형 광고 수납홀더
US6029852A (en) Device for dispensing card-lik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