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51A -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51A
KR20100005151A KR1020097024970A KR20097024970A KR20100005151A KR 20100005151 A KR20100005151 A KR 20100005151A KR 1020097024970 A KR1020097024970 A KR 1020097024970A KR 20097024970 A KR20097024970 A KR 20097024970A KR 20100005151 A KR20100005151 A KR 20100005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lc
grid
connection path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8882B1 (ko
Inventor
아키라 미타무라
사토루 나카이
마사유키 우에노
도모후미 이시하라
유주루 도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1Multiprocessor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2Linking several PL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028Address of module determined by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복수의 PLC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제어 시스템의 하나의 PLC와 접속하고, 이 PLC를 기점 PLC로 하여, 제어 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제어 시스템 중 각 PLC까지의 온라인 접속 경로를 수집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온라인 접속 경로로부터 네트워크간의 배치 관계 및 PLC의 접속 관계와 그 좌표를 산출하여, 오브젝트로서 표시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CONTROL SYSTEM ENGIN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등의 복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의 설정이나 관리를 지원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산 설비의 제어를 행하기 위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이하, PLC라고 함)가 사용되고 있다. 이 PLC에 접속하여, 소정의 프로그래밍이나 보수를 행하는 것이 엔지니어링 장치이다. 엔지니어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여, PLC가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작성을 지원하는 것 외에, 엔지니어링 장치가 동작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PLC와 접속하여, 작성한 프로그램을 PLC에 전송하거나, PLC가 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개개의 PLC에는 베이스(백플레인(backplane))가 있어, 그 베이스 상에 네트워크 접속용의 통신 유닛이 장착된다. 이 통신 유닛끼리를 케이블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PLC로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이 구축된다. 생산 설비의 규모가 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수의 PLC가 사용되어, 이러한 PLC끼리를 접속하는 네트워크도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엔지니어링 장치에는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오프라인으로 작성하여, 그래픽 표시함과 아울러, 이 그래픽 표시를 사용하여 PLC의 모니터나 PLC로의 프로그램 전송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복잡한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종류의 PLC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엔지니어링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서는 설정하는 PLC의 구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모니터나 설정의 대상이 되는 PLC를 강조 표시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6-27773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서는 엔지니어링 장치의 사용자가 미리 실제의 네트워크 구성에 기초하여, PLC의 배치를 엔지니어링 장치 상에서 행하여, 각 PLC에 설정값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이나 시스템 구성의 정보를 오프라인으로 작성하고 있었다. 복잡한 구성의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이나 PLC의 시스템 구성의 정보를 오프라인으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PLC간의 접속 등을 틀리게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서는 대상이 되는 PLC의 장소를 강조 표시할 수는 있으나,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장치가 접속된 위치로부터 대상이 되는 PLC까지의 정보 전달을 행하기 위한 최적의 접속 경로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복수의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는 PLC에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걸쳐 데이터 전송을 가 능하게 하기 위한 라우팅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라우팅 파라미터가, 어느 요구원으로부터 어느 요구처로의 트랜지언트(transient) 전송을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 제3자가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추가 변경을 행하는 경우나 새롭게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시스템 구축자에게 있어서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은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어, 그 산출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복수 PLC로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구성과 PLC의 시스템 구성을 수집하여, 자동적으로 그 구성을 그래피컬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오프라인으로 네트워크 구성을 그래피컬하게 작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점(起点)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목표가 되는 위치의 PLC까지의 최적의 접속 경로를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강조 표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얻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추가 변경을 행하는 경우나, 새롭게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PLC로의 라우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는, 복수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제어 시스템 중 하나의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과 접속한 상기 제어 장치를 기점 제어 장치로서 지정하는 기점 제어 장치 지정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이 제어 장치가 소지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 및 상기 제어 장치가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오브젝트(object)로 하고,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서 얻어진 각 제어 장치의 구성과, 각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의 접속 관계를,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좌표를 산출하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과;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오브젝트와 상기 좌표로부터, 상기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LC 등의 복수 제어 기기로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의 전체의 네트워크 구성이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시스템에 접속하여 수집하는 것에 의해, 그 접속 관계를 포함하여 그래피컬하게 표시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 전체의 상태(status)를 파악하는 일도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다.
도 4A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대응되는 그리드(grid)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에 대응되는 그리드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대응되는 그리드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7A에 대응되는 그리드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도 7B에 대응되는 그리드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A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1).
도 9B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2).
도 9C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3).
도 10은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격납부에 격납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네트워크의 정보 수집 제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네트워크 정보 출력 처리 우선도(優先度)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B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C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D는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E는 그리드 좌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16B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16C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16D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16E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17은 그리드 사이즈 산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그리드 좌표 산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스템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표시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B는 PLC 그리드 배치 기능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A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1).
도 23B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2).
도 23C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3).
도 24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의 1).
도 25B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25C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25D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25E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26은 도 25E의 결과에 대해, 그리드 사이즈와 그리드 좌표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시스템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을 실시 형태 1의 방법으로 표시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8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실시 형태 2의 방법으로 작성한 그리드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0의 그리드 모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3의 기능 구성을 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4A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34B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34C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34D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34E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4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6A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1).
도 36B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2).
도 36C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3).
도 37A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37B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37C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37D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37E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38은 본 실시 형태 4에 의한 쓰루풋(throughput) 모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5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2는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3A는 PLC(10-1)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43B는 PLC(10-1)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43C는 PLC(10-1)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43D는 PLC(10-1)을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43E는 PLC(10-1)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44A는 PLC(10-2)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44B는 PLC(10-2)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44C는 PLC(10-2)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44D는 PLC(10-2)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44E는 PLC(10-2)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45A는 PLC(10-4)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45B는 PLC(10-4)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45C는 PLC(10-4)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45D는 PLC(10-4)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45E는 PLC(10-4)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46A는 PLC(10-5)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46B는 PLC(10-5)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46C는 PLC(10-5)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46D는 PLC(10-5)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46E는 PLC(10-5)를 기점 PLC로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5).
도 47은 최적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제어 시스템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6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0은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부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1A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1).
도 51B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2).
도 52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각 PLC로의 접속 경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A는 PLC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그의 1).
도 53B는 PLC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그의 2).
도 53C는 PLC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그의 3).
도 53D는 PLC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그의 4).
도 5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7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5A는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의 1).
도 55B는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의 2).
도 56A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56B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56C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56D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도 57A는 복수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1).
도 57B는 복수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그의 2).
도 58A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1).
도 58B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2).
도 58C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3).
도 58D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그의 4).
<부호의 설명>
10, 10-1 ~ 10-13 PLC(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11-1A ~ 11-5B 통신 유닛
12-3 ~ 12-5 입출력 유닛
13-3 증설 베이스
21 정보계 네트워크 No.3
22A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22B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23 필드 네트워크
100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01, 155 마이크로프로세서
102, 156 데이터 격납 메모리
103 통신 포트
104, 112, 151 표시부
105, 152 입력부
106, 154 기억부
107, 157 버스
111 통신부
113 기점 PLC 지정부
114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
115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
116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
117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
118 시스템 구성 표시부
119 제어부
120 접속 경로 표시부
121 시스템 구성 편집부
122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
123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
124 쓰루풋 모델 홀딩부
125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
126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
127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부
150 표시기
1171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
1172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
1173 PLC 그리드 배치 기능
1174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
1175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
1271 접속 경로 역전 기능
1272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 기능
1273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 기능
1274 중계처 국 번호 추출 기능
11721 타네트워크 접속 PLC 추출 수단
11722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
11731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추출 수단
11732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복수의 PLC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생산 설비 등의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으로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접속 경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접속 경로 정보로부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성이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표시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 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생산 설비를 구성하여, 복수의 PLC가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예에서는 PLC(10-1, 10-2)가 정보계 네트워크(21)에 접속되고, PLC(10-1, 10-3, 10-4)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에 접속되고, PLC(10-1, 10-2, 10-5)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에 접속되고, PLC(10-4, 10-5)가 필드 네트워크(23)로 접속되어 있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의 PLC(10-3)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30)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접속된다.
여기서, 정보계 네트워크는 PLC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단말이 혼재되어 접속되는 네트워크이고, 이더넷(ethernet, 등록 상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는 PLC만이 접속되는 네트워크이고, 필드 네트워크는 PLC와, 서보모터 등의 PLC의 제어 대상이 혼재되어 접속되는 네트워크이다. 일반적으로, 필드 네트워크(23)보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의 쪽이 통신 속도가 빠른 회선에 의해 구성된다. 또, 정보계 네트워크(21)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에는 네트워크 번호를 붙일 수 있으나, 필드 네트워크(23)에는 네트워크 번호를 붙일 수 없는 것으로 한다. 이 도 1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에는 네트워크 번호 「No.1」이 붙여지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에는 네트워크 번호 「No.2」가 붙여지며, 정보계 네트워크(21)에는 네트워크 번호 「No.3」이 붙여져 있다.
PLC(10-1)의 베이스에는 통신 유닛으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 22B)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1A, 11-1B)과, 정보계 네트워크(21)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1C)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LC를 국(局)이라 한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서는 국 중에서, 특히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각 국을 관리하는 국으로, 자신의 국 번호와 얼마만큼의 국을 관리하는지의 정보(총 국 수)를 홀딩하는 국을 관리국이라 한다. 이 관리국은 하나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하나로 한다. 또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있어서 그 이외의 국에서, 자신의 국 번호를 홀딩하는 국을 통상국이라 한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 22B)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11)의 도면 중에 있어서 표기는 이하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M1-3통(通)」의 경우에는 「M」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나타내고, 「1」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붙여져 있는 네트워크 번호를 나타내고, 하이픈 「-」의 나중 숫자 「3」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있어서 그 PLC(통신 유닛(11))의 국 번호를 나타내고, 마지막 문자는 관리국인지 통상국인지를 나타내고, 관리국의 경우에는 「관(管)」이라고 표기되고, 통상국의 경우에는 「통」으로 표기된다.
또, 정보계 네트워크(21)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11)의 도면 중 표기, 예를 들어 「E3-1」에서, 「E」는 정보계 네트워크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나타내고, 「3」은 정보계 네트워크에 붙여져 있는 네트워크 번호를 나타내고, 하이픈 「-」의 나중 숫자 「1」은 정보계 네트워크에 있어서 그 PLC(통신 유닛(11))의 국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통신 유닛(11-1A)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에 대해 국번(局番) 3의 통상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고, 통신 유닛(11-1B)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에 대해 국번 2의 통상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또, 통신 유닛(E3-1)은 정보계 네트워크(21)에 대해 국번 1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PLC(10-2)의 베이스에는 통신 유닛으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2A)과, 정보계 네트워크(21)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2B)이 마련되어 있다. 통신 유닛(11-2A)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에 대해 국번 1의 관리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또, 통신 유닛(11-2B)은 정보계 네트워크(21)에 대해 국번 2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PLC(10-3)의 베이스에는 통신 유닛으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통신 유닛(11-3)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에 대해 국번 1의 관리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또, PLC(10-3)의 베이스에는 입출력(I/O) 유닛(12-3)이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2개의 입출력 유닛(12-3)이 장착된 증설 베이스(13-3)가 장착되어 있다.
PLC(10-4)의 베이스에는 입출력 유닛(12-4) 외에, 통신 유닛으로서, 필드 네트워크(23)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4A)과,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4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필드 네트워크(23)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11)의 도면 중 표기, 예를 들어 「C 마스터」에서, 「C」는 필드 네트워크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나타내고, 그 후의 문자는 마스터국인지 로컬국인지를 나타내고, 로컬 국의 경우에는 한층 더 후에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 그 PLC(통신 유닛(11))의 국 번호가 붙여진다. 또한, 마스터국, 로컬국은 필드 네트워크에 있어서 국의 통칭이고, 마스터국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관리국에 상당하고, 로컬국은 마찬가지로 통상국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통신 유닛(11-4A)은 필드 네트워크(23)에 대해 마스터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고, 통신 유닛(11-4B)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에 대해 국번 2의 통상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PLC(10-5)의 베이스에는 입출력 유닛(12-5) 외에, 통신 유닛으로서, 필드 네트워크(23)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A)과,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B)이 마련되어 있다. 통신 유닛(11-5A)은 필드 네트워크(23)에 대해 국번 1의 로컬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고, 통신 유닛(11-5B)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에 대해 국번 3의 통상국으로서 접속되는 통신 유닛이다.
또한, 각 PLC는 PLC를 동작시키기 위해 PLC에 설정한 베이스 정보나, 그 PLC가 속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홀딩하고 있다. 베이스 정보는 PLC의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수(슬롯 수)나 베이스의 각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종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증설 베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그 PLC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종별, 네트워크 번호, 네트워크에 있어서 국번과 관리국인지 통상국인지의 종별, 총 국 수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베이스 정보와 접 속 네트워크 정보를 합한 것을 시스템 구성 정보라고도 한다.
도 2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단말에 의해 구성되어, 엔지니어링 툴의 처리(즉, 시스템 구성의 설정 및 관리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1)와, 그 처리에 수반하는 일시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 격납 메모리(102)와, PLC(1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포트(103)와, 엔지니어링 툴(트리나 아이콘 등의 윈도우)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04)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105)와, 엔지니어링 툴로 설정한 데이터(즉, 시스템 구성의 설정)를 기억하는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부(106)가 버스(107)를 통하여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의 예에서는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PLC(10-3)와 USB 케이블(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약하에서, 제어 시스템에 관한 PLC 데이터나 각 PLC(10)로의 접속 경로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스템 구성을 그래피컬하게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통신부(111)와, 표시부(112)와, 기점 PLC 지정부(113)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와,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와,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와,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와, 이러한 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9)를 구비한다.
통신부(111)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PLC와 접속하여 통신을 행한다. 또, 표시부(112)는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에 의해 작성된 시스템 구성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또한, 통신부(111)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통신 수단에 대응되고, 표시부(112)는 마찬가지로 표시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기점 PLC 지정부(113)는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어느 PLC에 접속할지를 지정한다. 이 기점 PLC 지정부(113)에 의한 처리는, 예를 들어 특허 제358709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점 PLC 지정부(113)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기점 제어 장치 지정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기점 PLC 지정부(113)에서 지정된 PLC를 기점으로 하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나 PLC의 시스템 구성(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베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정보와, 각 PLC로의 접속 경로인 접속 경로 정보를 수집한다. 또, 수집한 시스템 구성 정보로부터, 네트워크의 구성, 즉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는 기능도 갖는다. 그리고, 수집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베이스 정보를 PLC 데이터로서, 작성한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데이터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하고, 수집한 접속 경로 정보를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격납한다. 또한, 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에,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의 처리 중에서 사용된, 각 PLC로의 접속 경로인 접속 경로 정보를 홀딩한다. 접속 경로 정보는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접속된 PLC로부터 어느 PLC로 액세스할 때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에 의해 수집된 접속 네트워크 정보나 베이스 정보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에 의해 작성된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서 홀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네트워크 정보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베이스 정보는 각 PLC와 같은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유닛의 수(슬롯 수)와 종류와 그 속성, 그 베이스에 접속되는 증설 베이스와 이 증설 베이스에 장착되는 유닛의 수와 종류와 그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LC와 그 통신 유닛에 설정된 속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홀딩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독출(讀出)하고, 그 내용을 해석하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표시하기 위해서, 각 표시 오브젝트(이하, 간단히 오브젝트라고도 함)의 좌표를 산출한다. 이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에서 산출된 좌표에 기초하여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이 시스템 구성 표시 부(118)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에서 표시 처리되는 오브젝트의 좌표를 최종적으로 산출할 때까지의 중간 단계로서, 그리드 모델에 의한 배치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그리드 모델은 직사각형 셀에 의해 오브젝트 사이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델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그리드 모델로서, 네트워크 그리드와,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3 종류 그리드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그리드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셀(그리드)이다. 네트워크 그리드의 좌우에 별도의 그리드가 배치되는 일은 없으며, 복수의 네트워크 그리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그리드는 상하에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PLC 그리드는 PLC를 나타내는 직사각형 셀(그리드)이다. PLC 그리드는 PLC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그리드의 아래에, 후술하는 배선 그리드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 PLC 그리드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어 장치 그리드에 대응하고 있다.
배선 그리드는 PLC와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을 나타내는 직사각형 셀(그리드)이다. 배선 그리드는 네트워크 그리드와 PLC 그리드 사이에 배치되고, PLC 그리드로부터는 반드시 윗쪽 방향으로만 뻗는 것으로 한다.
또, 이 밖에, 추가한 PLC 그리드 상부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그리드는 추가한 하부의 PLC 그리드를 포함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뻗는 것으로 한다.
뒤이어, 그리드 모델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4A ~ 도 7D는 제어 시스템 구성의 일례와, 그에 대응되는 그리드 모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난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3)를, 그리드 모델로 나타낸 것이 도 4B이다. 이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그리드(1)의 아래에 PLC 그리드(3)가 배치되고, 이 PLC 그리드(3)로부터 네트워크 그리드(1)를 향하여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3)가 네트워크 No.1, No.2의 2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의 그리드 모델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 그리드(3)로부터, 상하에 배치된 네트워크 그리드(1)와 네트워크 그리드(2)에 대해 배선 그리드가 윗쪽 방향에 배치된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PLC(3, 4)가 하나의 네트워크 No.1에 접속되는 경우의 그리드 모델은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PLC 그리드(3, 4)의 각각으로부터 네트워크 그리드(1)를 향하여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이 때,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트워크 No.1에는 2개의 PLC(3, 4)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6B에서, 네트워크 그리드(1)는 2개의 PLC 그리드(3, 4)를 포함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뻗은 형태로 되어 있다.
도 7A 또는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3)가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고, PLC(4)가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고, PLC(5)가 2개의 네트워크 No.1, No.2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의 그리드 모델은 도 7C 또는 도 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된다. 즉, 2 개의 네트워크 No.1, No.2가 존재하므로, 상하 방향으로 2개의 네트워크 그리 드(1, 2)가 배치된다. 여기서는 네트워크 그리드(1)가 네트워크 그리드(2)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PLC(3)는 네트워크 No.1에만 접속되므로, PLC 그리드(3)는 네트워크 그리드(1)와 네트워크 그리드(2) 사이에 배치되고, PLC 그리드(1)로부터 네트워크 그리드(1)를 향해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또, PLC(4)는 네트워크 No.2에만 접속되므로, PLC 그리드(4)는 네트워크 그리드(2)의 아랫쪽에 배치되고, PLC 그리드(4)로부터 네트워크 그리드(2)를 향해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또한, PLC(5)는 네트워크 No.1, No.2의 양쪽에 접속되므로, PLC 그리드(5)는 네트워크 그리드(2)의 아랫쪽에 배치되고, 네트워크 그리드(1)와 네트워크 그리드(2)를 향해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또, 네트워크 그리드(1)는 PLC 그리드(3, 5)를 포함하도록, 네트워크 그리드(2)는 PLC 그리드(4, 5)를 포함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뻗은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그리드 모델의 규칙하에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그리드를 사용하여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에서 표시 처리되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좌표를 산출한다.
도 8은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과,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과,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과,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과,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을 구비한다.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은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과 PLC 그 리드 배치 기능(1173)에 의해 배치된 그리드 모델이나,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에 의해 산출된 그리드 사이즈를 포함하는 그리드 모델을 홀딩한다.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홀딩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독출하고, 그 내용으로부터 네트워크간의 배치 관계를 해석하고, 네트워크의 그리드 모델을 산출하여 배치한다. 그 결과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다.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에,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홀딩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독출하고, 그 내용으로부터 PLC와 그 네트워크의 접속 관계를 해석하고, PLC와 배선의 그리드 모델을 산출하여 배치한다. 이 때,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에 의해 산출되어,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모델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다. 또한, 이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에 대응되고 있다.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홀딩되어 있는 그리드 모델 중의 각 그리드, 특히 PLC 그리드에 대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대응하는 PLC의 베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PLC의 표시에 필요한 사이즈를 산출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그리드 모델은 네트워크 그리드와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가 배치된 그리드 모델이다. 또, 베이스 정보로는 대응되는 PLC의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갯수와 그 종류, 또 증설 베이스의 유무와, 그 증 설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갯수와 그 종류가 사용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 중의 그리드 모델에 부가되어 격납된다.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홀딩되고 있는 그리드 사이즈를 포함하는 그리드 모델 중의 PLC 그리드에 대해, 왼쪽 위의 PLC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그리드 사이즈를 가산하여 그리드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결과가 그리드 모델과 함께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에 출력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수집 처리로부터 시스템 구성 정보의 표시 처리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
(1) 처리의 개요
도 9A ~ 도 9C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의 사용자가 기점 PLC 지정부(113)로부터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어느 PLC에 접속할지를 지정한다(단계 S11). 이 때 지정된 PLC를,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기점으로 되므로, 기점 PLC라 한다.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지정된 기점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가운데,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12). 또, 동시에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이 기점 PLC로의 접속 경로를 출력하고(단계 S13), 접속 경로 정보로서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격납한다.
뒤이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는 단계 S12에서 독출한 시스템 구성 정보로부터 베이스 정보와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14), 이것들을 PLC 데이터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단계 S15).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기점 PLC를 처리 대상 PLC로서 선택하고(단계 S16), 도 9B에 나타난 A1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7).
도 9B는 도 9A의 단계 S17에 있어서 A1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는 기점 PLC가 접속하는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도 9C에 나타난 A2 처리를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 대상이 되는 PLC에 접속하는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서 A2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단계 S31에서 예인 경우)에는 A1 처리를 종료하고, 도 9A의 플로차트로 돌아온다.
또, 대상이 되는 PLC에 접속하는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A2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1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각각의 네트워크는 다시 정보 수집이 가능하진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2). 이 네트워크의 정보 수집 처리 실행의 여부 판정은 미리 정의된 네트워크의 정보 수집 처리가 가능한 범위에 대한 제약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해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 경우(단계 S32에서 예인 경우)에는 도 9C의 A2 처리를 아직 실행하고 있지 않은 네트워크로부터 하나의 네트워크를 처리 대상의 네트워크로서 선택하고(단계 S33), 이 네트워크에 대해, 도 9C에 나타난 네트워크 정보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4).
그 후, A2 처리가 아직인 네트워크가 있는지를 판정하고(단계 S35), A2 처리가 아직인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단계 S35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33으로 되돌아와서,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한편, A2 처리가 아직인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단계 S35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A1 처리가 종료하여, 도 9A로 처리가 돌아온다.
또, 단계 S32에서,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해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없는 경우(단계 S32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출력된 PLC 데이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고, 이것을 네트워크 데이터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단계 S36). 이 네트워크 정보는 각 네트워크에 대해, 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LC와, 그 PLC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도 9C는 도 9B의 단계 S34에 있어서 A2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A2 처리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우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관리국(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경우) 또는 마스터국(필드 네트워크의 경우)의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51). 이어, 독출한 시스템 구성 정보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총 국 수를 추출한다(단계 S52).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각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S53). 뒤이어, 독출한 시스템 구성 정보 중에서 베이스 정보와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54),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LC에 대한 설 정 정보를 정리한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여,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네트워크 데이터로서 출력한다(단계 S55).
계속해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정보 수집된 모든 PLC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6). 모든 PLC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단계 S56에서 예인 경우)에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관한 A2 처리를 종료하고, 도 9B의 A1 처리로 돌아온다. 또, 모든 PLC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6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각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대해 출력함과 아울러(단계 S57),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대해, 단계 S54에서 추출한 각 PLC의 PLC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58).
뒤이어, 각 PLC에 대해 네트워크에 대해 추가로 정보 수집이 가능하진의 여부를, 소정의 제약에 기초하여 판정한다(단계 S59). 네트워크에 대해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경우(단계 S59에서 예인 경우)에는 도 9B에 나타난 A1 처리에 대해 미(未)실시의 PLC를 처리 대상의 PLC로서 선택하고(단계 S60), 도 9B에 나타낸 A1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1). 그리고, A1 처리가 아직인 PLC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단계 S62), A1 처리가 아직인 PLC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62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60으로 되돌아와서,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A1 처리가 아직인 PL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62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A2 처리가 종료한다. 또한, 단계 S59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정보 수집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단계 S59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도, A2 처리가 종료한다.
그 후, 도 9A로 되돌아와서, 단계 S17의 A1 처리의 뒤,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출력된 데이터의 정합성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18). 이 데이터의 정합성의 처리로서, 예를 들어 같은 네트워크에 대해, 제약에 의해 2개의 네트워크 데이터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 2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데이터로 하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 나타낸 처리에 의해,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접속된 PLC로부터 정보 수집이 가능한 네트워크의 각 PLC까지의 접속 경로 정보가 격납되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는 정보 수집이 가능한 네트워크의 각 PLC에 관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와 베이스 정보와, 각 PLC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한 네트워크 구성 정보가 격납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의 결과,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마찬가지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격납부에 격납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러한 도 10과 도 11에서는 데이터가 생성되는 순서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들 도면 중에서, 네트워크는 도 1에 나타난 부호가 아 닌, 「네트워크 종류 + 네트워크 번호」의 형태로 표기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 경로 정보는 격납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과, 종점(終点) PLC로 되는 「명칭」과, 「기점 PLC」와, 도중의 경로인 네트워크 또는 노드(PLC)를 나타내는 「데이터 1」, 「데이터 2」, ㆍㆍㆍ,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n을 자연수로 하고, 「데이터 (2n-1)」의 란에는 네트워크가 들어가고, 입찰 「데이터 (2n)」의 란에는 PLC가 들어간다.
또,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격납되는 데이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데이터 종별」과, 대상이 되는 PLC를 나타내는 「명칭」과, 그 PLC에 대해 데이터 종별마다 규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1」, 「데이터 2」, ㆍㆍㆍ,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정보, 접속 네트워크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의 3 종류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데이터 종류에 의해 격납되는 데이터의 내용이 다르다.
예를 들어 베이스 정보를 격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종별에 「PLC 베이스」로 격납되고, 각 데이터 란에는 각 슬롯에 장착되는 유닛의 종별이 격납된다. 증설 베이스를 가지는 경우에는 증설 베이스의 각 슬롯에 장착되는 유닛의 종별도 격납된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격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종별에 「PLC 네트워크」라고 격납되고, 각 데이터 란에는 「명칭」에 나타난 PLC의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각 통신 유닛에 관한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를 격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종별에 「네트워크」라고 격납되고, 각 데이터 란에는 「명칭」에 나타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LC의 통신 유닛에 관한 정보가 격납된다. 여기서는 국 번 순서로 격납되는 것으로 한다.
(2-1) 기점 PLC에 대해
도 1에서는 PLC(10-3)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우선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의 기점 PLC 지정부(113)로부터, 사용자는 PLC(10-3)를 기점 PLC에 지정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USB 케이블(30)을 통하여 접속되는 기점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함과 아울러, 기점 PLC로의 접속 경로 P3c를,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출력한다.
여기서 독출한 시스템 구성 정보에는 베이스 정보로서, 슬롯 1에 CPU 유닛, 슬롯 2에 I/O 유닛(12-3), 슬롯 3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유닛(11-3), 증설 베이스(13-3)의 슬롯 1, 2에 I/O 유닛(12-3)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서, 네트워크 종별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유닛(11-3)이 국번 1에서, 관리국이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총 국 수는 3이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접속 경로 정보로서, 도 10의 접속 경로 P3c에 나타난 내용을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출력하고, 도 11에 나타난 PLC 데이터 P3b, P3n에 나타난 내용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 그리고, 기점 PLC인 PLC(10-3)을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B에 나타난 A1 처리를 실행한다.
(2-2) PLC(10-3)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도 9B의 A1 처리에서 PLC(10-3)에 접속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은 도 9C의 A2 처리를 아직 실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제약을 확인한다. 도 12는 네트워크의 정보 수집 제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PLC(10-3)에 접속하는 네트워크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은 도 12의 어느 제약에도 해당하지 않으므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을 A2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C에 나타난 A2 처리를 실행한다.
(2-3)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대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도 9C의 A2 처리에서 우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고 있는 관리국인 PLC(10-3)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미 PLC(10-3)의 시스템 구성 정보 중, 도 11에 PLC 데이터 P3b, P3n이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재차 독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리국 PLC(즉, PLC(10-3))의 시스템 구성 정보 중 접속 네트워크 정보 P3n에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의 총 국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총 국 수 「3」을 추출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각 국」의 경로에서, 각 국번의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즉, 여기서는 새롭게 PLC(10-4)와 PLC(10-1)의 정보가 수집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이들 추출한 정보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데이터 M1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 즉,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이미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되어 있는 PLC(10-3)의 통신 유닛(11-3)에 대한 정보와, 추출한 PLC(10-4, 10-1)의 통신 유닛(11-1A, 11-4B)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도 11의 네트워크 데이터 M1에 나타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한다.
뒤이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새롭게 수집된 PLC(10-4, 10-1)에 관한 데이터 중 모든 데이터에 대해,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PLC(10-4, 10-1)의 어느 쪽 데이터도,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아직 출력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각 PLC(10-4, 10-1)의 독출을 행한 경로를 각각 접속 경로 P4c, P1c로서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출력하고, 각 PLC(10-4, 10-1)의 PLC 데이터를,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각각 베이스 정보 P4b, P1b,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 P1n으로서 출력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정보 수집을 행한 PLC(10-4, 10-1)에 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판정한다. 또한, 여기서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판정을 행하는 PLC가 PLC(10-4)(국번 2)와 PLC(10-1)(국번 3)이지만, 어느 쪽의 PLC로부터 처리를 행해도 된다. 즉, 처리의 우선도는 없다. 이 예에서는 국번 순서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국번 2의 PLC(10-4)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 후에, 국번 3의 PLC(10-1)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2-4) PLC(10-4)
우선 PLC(10-4)에 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난 제약을 확인한다. PLC(10-4)에 관해서는 도 12의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B의 A1 처리를 실행한다.
(2-4-1) A1 처리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에서는 PLC(10-4)의 접속하는 네트워크 중,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데이터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이미 네트워크 데이터 M1로서 출력되고 있어, A2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만, 필드 네트워크(23)에 대해서는 아직 A2 처리가 실행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필드 네트워크(23)에 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를 사용하여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필드 네트워크(23)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C의 A2 처리를 실행한다.
(2-4-2) A2 처리
뒤이어, 필드 네트워크(2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2 처리로는 필드 네트워크(23)에 접속하고 있는 마스터국 PLC인 PLC(10-4)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그러나 PLC(10-4)의 시스템 구성 정보 중, 베이스 정보 P4b와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의 데이터는 이미 출력해 있기 위해, 재차 독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미 출력해 있는 마스터국의 PLC(10-4)의 시스템 구성 정보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으로부터, 필드 네트워크(23)에 접속하는 PLC의 총 국 수 「2」를 추출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 필드 네트워크(23) → 각 국」의 경로에서, 각 국번의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즉, 여기서는 새롭게 PLC(10-5)의 정보가 수집된다.
(2-4-3) 필드 네트워크(23) → PLC(10-5)
새롭게 독출한 PLC(10-5)의 시스템 구성 정보에는 베이스 정보로서, 슬롯 1에 CPU 유닛, 슬롯 2에 I/O 유닛(12-5), 슬롯 3에 필드 네트워크(23)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A), 슬롯 4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B)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서, 필드 네트워크(23), 로컬국 1이라고 하는 정보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국번 3, 통상국이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이러한 추출한 시스템 구성 정보와 이미 출력된 PLC(10-4)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로부터, 필드 네트워크(23)에 관한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고, 도 11에 나타난 네트워크 데이터 C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
이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새롭게 정보 수집된 PL C(10-5)에 관하여,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PLC(10-5)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지 않으므로, 독출을 행한 경로를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접속 경로 P5c로서 출력하고, PLC 데이터를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베이스 정보 P5b, 접속 네트워크 정보 P5n으로서 출력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정보 수집을 행한 PLC(10-5)에 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의 제약에 기초하여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 B에 해당하므로, 필드 네트워크(2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2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2-4)의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도 종료한다.
(2-5) PLC(10-1)
뒤이어, PLC(10-1)에 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난 제약을 확인한다. PLC(10-1)에 관해서는 도 12의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B의 A1 처리를 실행한다.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에서는 PLC(10-1)의 접속하는 네트워크 중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도 정보계 네트워크 No.3도, 아직 A2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소정의 기준으로 설정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처리의 대상이 되는 PLC를 선택하고, 처리를 행한다. 도 13은 네트워크 정보 출력 처리 우선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PLC가 접속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A, 22B)를 가장 처리의 우선도를 높게 설정하고, 필드 네트워크(23), 정보계 네트워크(21)의 순서로 처리의 우선도를 낮게 하고 있다.
(2-6)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도 13의 우선도에 따라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선택하고,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에 대해 도 12를 사용하여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도 9C의 A2 처리를 실행한다.
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2 처리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고 있는 관리국인 PLC(10-2)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그 시스템 구성 정보 중 접속 네트워크 정보에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의 총 국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총 국 수 「3」을 추출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각 국」의 경로에서, 각 국번의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 중 시스템 구성 정보를 독출한다. 즉, 여기서는 PLC(10-2, 10-5)의 정보가 수집된다.
새롭게 독출한 PLC(10-2)의 시스템 구성 정보에는 베이스 정보로서, 슬롯 1에 CPU 유닛, 슬롯 2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2A), 슬롯 2에 정보계 네트워크 No.3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2B)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국번 1, 관리국이라고 하는 정보와, 정보계 네트워크 No.3, 국번 2, IP 어드레스라고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PLC(10-5)의 시스템 구성 정보에는 베이스 정보로서, 슬롯 1에 CPU 유닛, 슬롯 2에 I/O 유닛(12-5), 슬롯 3에 필드 네트워크(23)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A), 슬롯 4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11-5B)이라고 하는 정보 격납되어 있다. 또,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서, 필드 네트워크, 로컬국 1이라고 하는 정보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국번 3, 통상국이라고 하는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이러한 추출한 시스템 정보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이미 격납되어 있는 PLC(10-1)에 관한 PLC 데이터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고, 네트워크 데이터 M2로서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출력한다.
뒤이어, 새롭게 정보 수집된 시스템 구성 정보 가운데, PLC(10-5)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이미 데이터 출력되어 있으나, PLC(10-2)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아직 출력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PLC(10-2)의 독출을 행한 경로를 접속 경로 P2c로서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출력하고, PLC 데이터를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베이스 정보 P2b, 접속 네트워크 정보 P2n으로서 출력한다.
(2-7) PLC(10-2)
그 후, PLC(10-2)에 관해,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난 제약을 확인한다. PLC(10-2)에 관해서는 도 12의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 므로,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9B의 A1 처리를 실행한다.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에서는 PLC(10-2)의 접속하는 네트워크 중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대해, 아직 A2 처리가 실행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의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 C에 해당하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없다. 그 때문에, PLC(10-2)의 PLC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대해 작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고, 네트워크 데이터 E3-2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를 종료한다. 또, (2-6)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2 처리도 종료한다.
(2-8) 정보계 네트워크 No.3
다음에,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관해, 네트워크를 더욱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난 제약을 확인한다. 정보계 네트워크(21)는 제약 C에 해당하므로,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대해, 작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고, 네트워크 데이터 E3-1로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2-5)의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를 종료한다. 또, (2-3)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A2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2-2)의 PLC(10-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A1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는 출력된 데이터의 정합성을 처리한다. 이 예에서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의 도 12의 제약 C에 의해,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관한 네트워크 데이터가 도 11에 나타난 네트워크 데이터 E3-1, E3-2로서 개별적으로 출력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을 집약하여 네트워크 데이터 E3으로 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상에 의해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처리를 종료한다.
(PLC 그리드 배치 처리)
(1) 처리의 개요
도 14A ~ 도 14E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그리드 모델을 사용하여 표시 오브젝트의 좌표 산출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도 14A을 참조하여,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처리 순서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그리드 모델 상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른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1).
뒤이어,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그리드 모델 상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된 베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배치하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2). 이 PLC 그리드 배치 처리에서는 단계 S111에서 배치된 네트워크 그리드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배치한다. 이들 단계 S111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와, 단계 S112의 PLC 그리드 배치 처리의 결과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다.
그 후,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베이스 정보와 그리드를 배치하기 위한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각 그리드에 대한 사이즈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한다(단계 S113). 그리고,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사이즈에 기초하여, 표시부(112) 상에 그리드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를 산출하고(단계 S114),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이하에, 도 14A에 나타난 각 단계에 있어서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B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추출한다(단계 S131).
뒤이어, 추출한 네트워크를 위로부터 네트워크 번호 순서로 소트하고(단계 S132), 네트워크 번호가 붙여있지 않은 필드 네트워크는 하위에 소트한다 (단계 S133). 그리고, 소트가 완료한 순서대로 네트워크 그리드를 배치하고(단계 S134), 그 결과를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하고,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가 종료한다.
도 14C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베이스 정보로부터 PLC를 추출한다(단계 S151). 뒤이어, 추출한 PLC 중으로부터, 단계 S111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에서 가장 하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한다(단계 S152). 그 후,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를 선택하고(단계 S153), 이 중에서 국번이 가장 작은 PLC를 선택한다(단계 S154). 그리고, 단계 S1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 그리드의 왼쪽 아래의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채우고, 선택한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155). 이 때, PLC 그리드와 네트워크 그리드의 사이에 배선 그리드를 배치한다. 또, PLC 그리드가 단계 S1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해 있는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에 도달할 때까지 윗쪽 방향에 배선 그리드를 배치한다.
그 후, 단계 S1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 중 다른 PLC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6). 다른 PLC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56에서 예인 경우)에는 뒤이어 국번이 작은 PLC를 선택하고(단계 S157), 단계 S155로 되돌아와서, 단계 S1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없어질 때까지 같은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또, 단계 S156에서 다른 PL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56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58).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58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111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에서, 뒤이어 하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고(단계 S159), 단계 S153으로 되돌아와서,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배치할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5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결과를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하고(단계 S160), PLC 그리드 배치 처리가 종료한다.
도 14D는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모델로부터 PLC 그리드를 하나 선택한다(단계 S171). 뒤이어, 선택한 PLC 그리드에 대응하는 PLC에 대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로부터 베이스 정보를 독출하고, 증설 베이스 정보를 포함하여 PLC 그리드의 표시에 필요한 세로 사이즈와 가로 사이즈를 산출한다(단계 S172). 여기에서, 베이스에 장착되는 최소의 치수를 가지는 하나의 유닛을 기준 유닛으로서 직사각형으로 표시하고,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유닛이나 증설 베이스를, 이 기준 유닛의 배수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기준 유닛의 상하 방향 (이하, 세로 방향이라고 함)의 사이즈는 10이고, 좌우 방향(이하, 가로 방향이라 함)의 사이즈는 10이라고 하면, 베이스에 3개의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로 사이즈는 10이고, 가로 사이즈는 30이 된다. 또, 증설 베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로 방향에 겹쳐서 그리므로, 세로 사이즈가 늘어나 20이 된다.
그 후,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모델에는 다른 PLC 그리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3). 다른 PLC 그리드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73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171로 되돌아와서, 선택되지 않은 PLC 그리드가 없어질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다른 PLC 그리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3에서 아니오인 경우) 에,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배선 그리드를 하나 선택한다(단계 S174). 선택한 배선 그리드에 대해, 세로 사이즈와 가로 사이즈를 산출한다(단계 S175). 여기서는 배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값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배선 그리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PLC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와 동일하게 한다.
그 후,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모델에는 다른 배선 그리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6). 다른 배선 그리드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76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174로 되돌아와서, 선택되지 않은 배선 그리드가 없어질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다른 배선 그리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6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네트워크 그리드를 하나 선택한다(단계 S177). 선택한 네트워크 그리드에 대해, 세로 사이즈와 가로 사이즈를 산출한다(단계 S178). 여기서는 네트워크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값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배선 그리드를 포함하는 사이즈로 한다.
그 후,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모델에는 다른 네트워크 유닛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9). 다른 네트워크 그리드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179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177로 되돌아와서, 선택되지 않은 네트워크 그리드가 없어질 때까지, 상술한 처리 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다른 네트워크 그리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179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상기에서 산출된 그리드 사이즈를 포함하는 그리드 모델을,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하고(단계 S180),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도 14E는 그리드 좌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사이즈가 부가된 그리드 모델을 독출하고(단계 S191), 그리드 모델의 왼쪽 위로부터 차례로 그리드 사이즈를 가산하여 그리드 좌표를 산출한다(단계 S192). 이상에 의해, 그리드 좌표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0의 접속 경로 정보와 도 1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 오브젝트의 좌표 산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2-1)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우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되는 도 1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데이터 종별이 「네트워크」로 되고 있는 네트워크 데이터 M1, M2, C, E3을 참조하여,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필드 네트워크,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추출한다.
뒤이어, 추출한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번호 순서로 소트한다. 이 경우, 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부터 차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22B) → 정보계 네트워크 No.3(21) → 필드 네트워크(23)(괄호 안의 숫자는 도 1에서의 부호임)」가 된다. 그리고, 소트가 완료한 순서대로 네트워크 그리드를 배치한다. 도 15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의 상태에서는 상하의 배치 관계만이 확정되어 있고, 좌우의 배치 관계는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2-2) PLC 그리드 배치 처리
도 16A ~ 도 16E는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이들 도 16A ~ 도 16E를 참조하면서,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도 11의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로부터 데이터 종별이 「PLC 네트워크」로 되어 있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 P3n, P1n, P4n, P2n, P5n을 추출한다.
뒤이어, 추출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도 15에서 최하위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인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PLC(10-4)(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와 PLC(10-5)(접속 네트워크 정보 P5n)가 취득된다. 이러한 PLC(10-4)(마스터국)와 PLC(10-5)(로컬국 1) 중, 국번이 작은 PLC부터 처리를 행하지만, 여기서는 필드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마스터국을 최초로 처리하고, 뒤이어 로컬국의 국번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PLC(10-4)로부터 처리를 행한다.
PLC(10-4)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도 15의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4)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4)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에 걸쳐도 배선 그리드 a를 배치한다. 이 때, PLC(10-4) 그리드와 각 네트워크 그리드와 각 배선 그리드 a의 폭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가 도 16A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로컬국인 PLC(10-5)의 처리를 행한다. PLC(10-5)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b를, 도 16A의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5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5)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5)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에 걸쳐서도 배선 그리드 b를 배치한다. 이 때, 필드 네트워크보다 상위의 네트워크 그리드는 PLC(10-4) 그리드와 PLC(10-5) 그리드를 포함하도록, 가로 방향의 폭이 늘어난다. 이 결과가 도 16B에 나타나 있다.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는 이상이므로, 필드 네트워크에서의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뒤이어, 필드 네트워크의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서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선택되고, 이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PLC(10-1, 10-2))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아직 배치되지 않은 PLC(10-1)(접속 네트워크 정보 P1n, 국번 1)와 PLC(10-2)(접속 네트워크 정보 P2n, 국번 2)에 대해,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국번이 작은 순, 즉 PLC(10-1) → PLC(10-2)의 순서로 처리를 행 한다.
우선, PLC(10-1)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c를, 도 16B의 정보계 네트워크 No.3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정보계 네트워크 No.3의 하부에는 PLC(10-4)와 PLC(10-5)의 배선 그리드 a, b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PLC(10-5)보다 오른쪽의 위치에 PLC(10-1)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c를 배치한다.
여기서, 보다 하위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국번순을 배치의 우선으로 하고, 보다 하위에 배치되어 있는 PLC 그리드의 배치 관계를 분할하는 것과 같은 배치를 행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 때 동시에, 보다 상위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에의 배선도 행하기 때문에, 그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이미 배치되어 있는 상황에 의해 반드시 국번 순서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1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1)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No.1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1)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 및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에 걸쳐 배선 그리드 c를 배치한다. 이 결과가 도 16C에 나타나 있다.
뒤이어, 국번이 작은 PLC(10-2)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PLC(10-2)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d를, 도 16C의 정보계 네트워크 No.3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는 PLC(10-4) 그리드, PLC(10-5) 그리드 및 PLC(10-1) 그리드의 배선 그리드 a, b, c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약하에서는 PLC(10-1)의 우측에 PLC(10-2)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d를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2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2) 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2)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에 걸쳐 배선 그리드 d를 배치한다. 이 결과가 도 16D에 나타나 있다.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되는 PLC는 이상이므로,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서의 PLC 그리드 배선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뒤이어, 정보계 네트워크 No.3의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선택되지만, 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PLC(10-2, 10-1, 10-5)) 중, 아직 배치되지 않은 PLC는 없다. 그 때문에, 추가로 그 상위에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선택된다. 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PLC(10-3, 10-1, 10-4)) 중, 아직 배치되지 않은 PLC는 PLC(10-3)(접속 네트워크 정보 P3n)이다. 따라서, 이 PLC(10-3)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e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통상 관리국, 통상국에 관계없이, 국번 순서로(국번이 작은 PLC부터 차례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되고, 아직 배치되지 않은 처리 대상의 PLC는 1개이므로, 여기서는 PLC(10-3)의 배치 처리를 행할 뿐이다.
PLC(10-3)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e를, 도 16D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는 PLC(10-4, 10-1)의 배선 그리드 a, c가 배치되어 있지만, 그 사이의 그리드가 비어 있으므로,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하면, 그 비어 있는 그리드에 PLC(10-3)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e가 배치되게 된다. 이 결과가 도 16E에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되는 PLC는 이상이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서의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최상위의 네트워크이므로, 이상으로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2-3)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도 16E의 그리드 배치 결과에 대해, 각 그리드의 사이즈를 산출한다. 특히, PLC 그리드에 대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베이스 정보를 사용하여, PLC의 표시에 필요한 사이즈를 산출한다.
우선,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PLC 그리드의 사이즈 산출을 행한다. 이 PLC 그리드의 산출에 대해, 어느 PLC부터 처리를 개시할지의 순서는 불문한다. 이 예에서는 PLC(10-1) ~ PLC(10-5)의 차례로 각 PLC 그리드의 사이즈 산출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도 11의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PLC(10-1)의 베이스 정보 P1b를 참조하여, 증설 베이스가 없는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30으로 산출한다. 동시에, 베이스 정보 P1b로부터 베이스의 슬롯 수가 「4」인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40으로 산출한다.
PLC(10-2)에 대해서도 동양(同樣)으로, 베이스 정보 P2b로부터 증설 베이스가 없는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30으로 산출한다. 또, 베이스 정 보 P2b로부터 베이스의 슬롯 수가 「3」인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30으로 산출한다.
PLC(10-3)에 대해, 베이스 정보 P3b로부터 증설 베이스가 있는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60으로 산출한다. 동시에, 베이스 정보 P3b로부터 베이스의 슬롯 수가 「3」, 증설 베이스의 슬롯 수가 「2」인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사이즈가 큰 베이스에 맞추어 30으로 산출한다.
PLC(10-4)에 대해, 베이스 정보 P4b로부터 증설 베이스가 없는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30으로 산출한다. 또, 베이스 정보 P4b로부터 베이스의 슬롯 수가 「4」인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40으로 산출한다.
PLC(10-5)에 대해서도 동양으로, 베이스 정보 P5b로부터 증설 베이스가 없는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를 30으로 산출한다. 동시에, 베이스 정보 P5b로부터 베이스의 슬롯 수가 「4」인 것을 추출하고,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40으로 산출한다.
그 후, 세로 방향(배선 방향)으로 배열된 PLC 그리드(배치의 관계상, 같은 가로 사이즈를 공유하는 PLC 그리드)를 추출하고, 그 PLC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큰 PLC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와 통일한다. 여기서는 가로 사이즈가 30인 PLC(10-3) 그리드와 가로 사이즈가 40인 PLC(10-5) 그리드가 세로 방향(배선 방향)에 나란하게 되어 있으므로, 같은 가로 사이즈를 공유하도록, PLC(10-3)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PLC(10-5)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의 40으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배선 그리드의 사이즈 산출을 행한다. 이 때, 배선 그리드에 대해, 세로 사이즈는 고정값 10으로 하지만, 가로 사이즈에 대해서는 각 배선 그리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PLC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를 반영한다. 또, 배선 그리드의 가로 방향에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세로 사이즈의 합계 사이즈의 분만큼, 세로 방향에 배선 그리드가 늘어난다.
그리고,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은 네트워크 그리드의 사이즈 산출을 행한다. 이 네트워크 그리드의 사이즈 산출에 대해, 어느 네트워크로부터 처리를 개시할지의 순서는 불문한다. 이 예에서는 상위에 배치된 네트워크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사이즈 산출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대해서 세로 사이즈는 고정값 10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아래에 PLC(10-4, 10-3, 10-1)의 각각에 대한 배선 그리드 a, e, c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포함하는 사이즈로 한다. 즉, PLC(10-4) 그리드, PLC(10-3) 그리드 및 PLC(10-1)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각각 40, 40, 40이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120(=40+40+40)이 된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대해서도 동양으로, 세로 사이즈는 고정값 10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아래에 PLC(10-5, 10-1, 10-2)의 각각에 대한 배선 그리드 b, c, d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포함하는 사이즈로 한다. 즉, PLC(10-5) 그리드, PLC(10-1) 그리드 및 PLC(10-2)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각각 40, 40, 30이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110(=40+40+30)이 된다.
또한,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대해서도 동양으로, 세로 사이즈는 고정값 10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아래에 PLC(10-1, 10-2)의 각각에 대한 배선 그리드 c, d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포함하는 사이즈로 한다. 즉, PLC(10-1) 그리드 및 PLC(10-2)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각각 40, 30이므로, 정보계 네트워크 No.3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70(=40+30)이 된다.
또, 필드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동양으로, 세로 사이즈는 고정값 10으로 하고, 가로 사이즈는 그 아래에 PLC(10-4, 10-5)의 각각에 대한 배선 그리드 a, b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포함하는 사이즈로 한다. 즉, PLC(10-4) 그리드 및 PLC(10-5)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각각 40, 40이므로,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의 가로 사이즈는 80(=40+40)이 된다.
도 17은 그리드 사이즈 산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7은 이상의 결과를 도 16E의 그리드 배치 결과에 써 넣은 것이다. 이 결과는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다. 이상으로,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2-4) 그리드 좌표 산출 처리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은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된 그리드 사이즈 산출 결과를 포함하는 그리드 모델을 독출하고, 그리드 모델의 왼쪽 위로부터 차례로 그리드 사이즈를 가산하여 그리드 좌표를 산출하는 처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1175)은 독출한 도 17의 그리드 모델의 왼쪽 위 구석의 좌표를 (0, 0)으로 하고, 이 좌표 위치에, 각 그리드의 사이즈를 가산해 가서, 각 그리드의 좌표를 산출한다. 도 18은 그리드 좌표 산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18은 도 17의 그리드 모델에, 왼쪽 위 구석 좌표를 (0, 0)으로 하고, 각 그리드의 사이즈를 가산한 것이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 원점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을 x 축의 정(正) 방향으로 하고, 원점으로부터 아랫쪽 방향을 y축의 정 방향으로 하고 있다.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
도 19은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에 의해 산출된 그리드 좌표를 가지는 그리드 모델로부터, 네트워크 그리드를 추출하여, 각각의 네트워크를 그 좌표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한다(단계 S211). 여기서는 표시부(112)상의 시스템 구성을 표시하는 영역의 소정 위치를, 그리드 모델의 원점(0, 0)에 대응시키고, 그 점으로부터 그리드 모델의 그리드 좌표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그린다. 네트워크는 선으로 그리는 것으로 한다. 또, 각 네트워크에 대해 그 명칭을 표시한다.
뒤이어, 그리드 모델로부터 PLC 그리드를 추출하고, 각각의 PLC 그리드를 그 좌표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한다(단계 S212). 이 PLC 그리드에 관해서는 그리드 모델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또는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직사각 형상의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 이 때, 각 PLC의 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스의 각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을 구분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그 구분한 영역 내에 그 유닛의 명칭을 표시하는 처리도 행한다.
그 후, 각각의 PLC와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선, 즉 배선을 표시한다(단계 S213). 이 처리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 중의 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각 PLC의 통신 유닛와, 이 통신 유닛에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상으로써,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가 종료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에 의해 작성된 시스템 구성 정보가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도 20은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시스템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20의 예에서는 각 PLC의 통신 유닛 상에, 네트워크 종별의 머리글자와 네트워크 번호, 그 네트워크에서의 국 번호와 관리국(마스터국)인지 통상국(로컬국)인지를 문자열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 각 PLC가 홀딩하는 프로젝트 정보를 독출했을 때에, 그 스테이터스(가동 상황이나 진단 정보)를 독출해 두면, 그것을 도 20의 시스템 구성 표시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실제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PLC로부터 수집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해석 가능한 범위의 네트워크의 접속 관계나 PLC의 배치 관계를 자동적으로 그래픽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성도의 도면을 생성하는 수고로움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생산 설비 등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PLC로부터 반드시 윗쪽 방향으로 배선을 배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PLC가 어느 네트워크에 얼마만큼 속해 있는지가 용이하게 판별 가능해져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의 파악이나 스테이터스를 파악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제어 시스템의 PLC(10)에 접속하는 형태로 하였으나,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의 기능을,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접속하여, 제어 시스템의 가동 상태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설정을 행하는 표시기에 탑재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표시기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은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표시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표시기(150)는 소정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1)와, 터치 키 등에 의한 입력부(152)와, PLC(1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포트(153)와, 해당 표시기(150)에서 설정한 데이터(즉 표시 화면 프로그램)를 기억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기억부(154)와, 표시부(151)에 표시하는 처리(즉 표시 화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의 화면을 표시하는 처리, 및 시스템 구성의 설정이나 관리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55)와, 그 처리에 수반하는 일시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데이터 격납 메모리(156)가 표시기(150) 상의 버스(157)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52)가 터치 패널 화면으로 되고 있는 경우에는 입력부(152)와 표시부(151)가 일체로 된다.
이로 인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동작시키는 정보 처리 단말을 별도로 준비하여 PLC(10)에 접속하는 일 없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기(150) 상에서 시스템 전체의 구성 및 스테이터스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네트워크 그리드를 네트워크에 붙여진 번호 순서로 배치하고, PLC 그리드를 선택한 네트워크 내의 국·번이 작은 것부터 차례로 배치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단순한 번호 순서가 아닌,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한 배치를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A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2B는 마찬가지로 PLC 그리드 배치 기능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 중, 다른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를 추출하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 PLC 추출 수단(1172)과, 필드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도가 보다 높은 네트워크를 아랫쪽에 배치하고, 정보계 네트워크(21)에 관련된 정도가 보다 높은 네트워크를 윗쪽에 배치하여,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파악하기 쉬운 최적인 배치로 소트하는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을 구비한다.
여기서, 필드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도는 그 네트워크에 속하는 PLC 중, 필드 네트워크에도 속하는 PLC의 수(또는 비율)가 많을수록, 필드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또, 정보계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도는 그 네트워크에 속하는 PLC 중,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속하는 PLC의 수(또는 비율)가 많을수록, 정보계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한다.
또, 도 2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선택한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배치 후보를 추출하는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추출 수단(11731)과, 가장 근방이 되어 국 번호의 순서가 되는 최적의 배치를 후보로부터 선택하는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을 구비한다. 또한, 그 외의 구성 요소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처리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의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처리에서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에 의해 수집한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데이터(PLC 데이터)를,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하는 곳까지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그러나 실시 형태 2에서는 이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데이터에 대해,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가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를 행하는 도 14B의 처리와, PLC 그리드 배치 처리를 행하는 도 14C의 처리가 실시 형태 1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와 PLC 그리드 배치 처리에 대해 설명하고, 다른 처리에 대한 설명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1) 처리의 개요
(1-1)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작성(표시)되는 시스템 구성 정보에 있어서 네트워크 배선의 교차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규칙 A ~ D의 순서로, 네트워크 그리드와 PLC 그리드의 배치를 우선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에서는 이더넷(ethernet, 등록 상표)와 같은 정보계 네트워크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와, 필드 네트워크와는 그 사용 목적이 명확하다. 즉, 정보계 네트워크는 시스템의 상위에 위치하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는 시스템의 중위에 위치하고, 필드 네트워크는 시스템의 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이와 같은 순서로 네트워크를 배치한다.
B.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는 서로 근방에 배치한다. 특히 하위 네트워크에서는 1개의 네트워크가 1개의 셀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같은 하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는 서로 근방에 배치한다. 여기서, 셀은,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에서의 처리를 기능마다 분류했을 때의 PLC의 무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이 도장 공정, 노광 공정, 세정 공정, ㆍㆍㆍ, 등의 각 공정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에, 이러한 각 공정의 처리를 행하는 하나의 장치의 통합을 하나의 셀로 한다.
C. 상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는 셀 컨트롤러의 역하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로 근방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D. 네트워크 번호나 국 번호의 순서로 배치한다.
도 23A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추출한다(단계 S231). 이어, 상기 규칙 A에 따라서, 추출한 네트워크를 위로부터 정보계 네트워크,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필드 네트워크의 종별로 소트한다(단계 S232).
뒤이어, 소트한 네트워크 종목으로부터 하나의 네트워크 종별을 선택한다(단계 S233). 그리고, 타 네트워크 접속 PLC 추출 수단(11721)은 선택한 네트워크 종별 중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추출한다(단계 S234).
그 후,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은 각 네트워크에 대해, 다른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를 계수(計數)하여, 다른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아래에 배치한다(단계 S235).
계속해서,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은 각 네트워크에 대해,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를 계수하여,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위에 배치한다(단계 S236).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은 각 네트워크에 대해, 다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를 계수하여, 다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위에 배치한다(단계 S237). 이상과 같이, 하나의 네트워크 종별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간의 소트 처리가 실행된다.
그 후, 선택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종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8). 선택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종별이 존재하는 경우(단계 S238에서 예인 경우)에는 단계 S233으로 되돌아와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종별이 없어질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선택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종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23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소트가 완료한 순서로 네트워크 그리드를 배치하고(단계 S239), 그 결과를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하고,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가 종료한다.
(1-2) PLC 그리드 배치 처리
도 23B ~ 도 23C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베이스 정보로부터 PLC를 추출한다(단계 S251). 뒤이어, 도 23A의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에서 가장 하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한다(단계 S252). 그 후,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를 선택하고(단계 S253), 이 중에서 국번이 가장 작은 PLC를 선택한다(단계 S254).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이미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55). 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이미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255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은 추출한 PLC에 관해, 그 네트워크의 왼쪽 아래의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채워서 배선 그리드와 PLC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260).
또, 단계 S255에서, 그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이미 배치되어 있는 경우(단계 S255에서 예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추출 수단(11731)은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56).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256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은 그 네트워크의 왼쪽 아래의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채워서 배선 그리드와 PLC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260).
또, 단계 S256에서,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단계 S256에서 예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추출 수단(11731)은 그 후보 중에서, 그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근방이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57).
그 네트워크의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근방이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257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은 그 네트워크의 왼쪽 아래의 그리드로부터 차례로 채워서 배선 그리드와 PLC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260).
또, 단계 S257에서, 그 네트워크의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근방이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단계 S257에서 예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추출 수단(11731)은 그 배치 후보 중에서, 그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국 번호의 순서가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58).
그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국 번호의 순서가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단계 S25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은 그 네트워크의 왼쪽 아래의 그리드부터 차례로 채워서 배선 그리드와 PLC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260).
또, 단계 S258에서, 그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와 가장 국 번호의 순서가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단계 S258에서 예인 경우)에는 그 배치 후보를 선택하고, PLC 그리드 배치 후보 선택 수단(11732)은 그 배치 후보에 배선 그리드와 PLC 그리드를 배치한다(단계 S259).
그 후 또는 단계 S260의 뒤, 단계 S2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 중 다른 PLC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61). 다른 PLC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261에서 예인 경우)에는 뒤이어 국번이 작은 PLC를 선택하고(단계 S262), 단계 S255로 되돌아와서, 단계 S252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없어질 때까지, 같은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또, 단계 S261에서, 다른 PL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261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63).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263에서 예인 경우)에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에서, 뒤이어 하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고(단계 S264), 단계 S253으로 되돌아와서, 가장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를 배치 할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26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결과를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하고(단계 S265), PLC 그리드 배치 처리가 종료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네트워크 그리드와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도 10의 접속 경로 정보와 도 1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2-1)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
우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되는 도 1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데이터 종별이 「네트워크」로 되어 있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필드 네트워크, 정보계 네트워크 No.3의 네트워크 데이터 M1, M2, C, E3을 추출한다.
뒤이어, 상술한 규칙에 의해, 추출한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종별로 소트한다. 즉, 정보계 네트워크 No.3,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및 필드 네트워크의 순서로 소트된다. 또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만,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과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의 2개 네트워크가 존재하므로, 여기서는 네트워크 번호 순서로 소트하고, 그 후 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순번을 추가로 소트한다.
우선, 타 네트워크 접속 PLC 추출 수단(11721)은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의 네트워크 데이터 M1을 참조하여,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를 추출한다. 이 결과, PLC(10-3, 10-1, 10-4)를 얻는다. 동양으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를 추출하고, 그 결과, PLC(10-2, 10-1, 10-5)를 얻는다.
여기서, 추출한 PLC 중 다른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를 계수한다. 추출한 PLC 중,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는 PLC(10-4, 10-5)이다. 그 때문에, 다른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관해서는 PLC(10-4)의 1개이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관해서는 PLC(10-5)의 1개이다.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은 다른 필드 네트워크(23)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를 아래에 소트하지만, 이 기준에서는 양자 모두 같은 수이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과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는 소트할 수 없다.
뒤이어, 추출한 PLC 중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를 계수한다. 추출한 PLC 중,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는 PLC(10-1, 10-2)이다. 그 때문에,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관해서는 PLC(10-1)의 1개이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관해서는 PLC(10-1, 10-2)의 2개이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종별 소트 수단(11722)은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PLC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를 위에 소트하지만, 이 기준에 의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보다 위에 소트한다.
이상에 의해, 소트가 완료했으므로, 여기서는 다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의 수로 소트할 필요는 없다.
그 후,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1172)은 소트가 완료한 순서로 네트워크 그리드를 배치하고, 그리드 모델 홀딩 기능(1171)에 격납한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2) PLC 그리드 배치 처리
도 25A ~ 도 25E는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PLC 그리드 배치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이들 도 25A ~ 도 25E를 참조하면서,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의 PLC 그리드 배치 기능(1173)은 도 11의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로부터 데이터 종별이 「PLC 네트워크」로 되어 있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 P3n, P1n, P4n, P2n, P5n을 추출한다.
뒤이어, 추출한 접속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도 24에서 최하위에 배치되어 있는 네트워크인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PLC(10-4)(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와 PLC(10-5)(접속 네트워크 정보 P5n)가 취득된다. 이들 PLC(10-4)(마스터국)와 PLC(10-5)(로컬국 1) 중, 국번이 작은 PLC부터 처리를 행하지만, 여기서는 필드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마스터국을 먼저 처리하고, 뒤이어 로컬국의 국번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그 때문에, PLC(10-4) → PLC(10-5)의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PLC(10-4)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a를, 도 24의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4)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4)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에 걸쳐 배선 그리드 a를 배치한다. 이 때, PLC(10-4) 그리드와 각 네트워크 그리드와 각 배선 그리드의 폭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가 도 25A에 나타나 있다.
다음으로, 로컬국인 PLC(10-5)의 처리를 행한다. PLC(10-5)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b를, 도 25A의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필드 네트워크 그리드에는 PLC(10-4)의 배선 그리드 a가 배치되어 있고,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PLC(10-5)의 배치 후보로는 『PLC(10-4)의 왼쪽』과 『PLC(10-4)의 오른쪽』이다. 모두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PLC(10-4)에 가장 근방이 되는 배치 후보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 국 번호의 순서가 되는 것은 PLC(10-4)가 마스터국이고, PLC(10-5)가 로컬국의 국번 1이므로 『PLC(10-4)의 오른쪽』이다. 따라서, 이 정도에 PLC(10-5)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b를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5)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5)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에 걸쳐서도 배선 그리드 b를 배치한다. 이 때, 필드 네트워크보다 상위의 네트워크 그리드는 PLC(10-4)그리드와 PLC(10-5) 그리드를 포함하도록, 가로 방향의 폭이 늘어난다. 이 결과가 도 25B에 나타나 있다.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는 이상이므로, 필드 네트워크(23)에서의 PLC 그리드와 배선 그 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뒤이어, 도 24(도 25B)로부터 필드 네트워크의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선택된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는 PLC(10-1)(국번 2), PLC(10-3)(국번 1), PLC(10-4)(국번 3)이지만, 이들 중 아직 배치되지 않은 것은 PLC(10-1)와 PLC(10-3)이다. 따라서, 이들 PLC(10-1, 10-3)에 대해, PLC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국번이 작은 순서, 즉 PLC(10-3) → PLC(10-1)의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우선, PLC(10-3)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c를, 도 25B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는 PLC(10-4, 10-5)의 배선 그리드 a, b가 배치되어 있고,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필드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10-4) 그리드와 PLC(10-5) 그리드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PLC(10-3)의 배치 후보로는 『PLC(10-4)의 왼쪽』과 『PLC(10-5)의 오른쪽』이다. 이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고 있는 PLC(10-4)에 가장 근방이 되는 것은 『PLC(10-4)의 왼쪽』이다. 따라서, 이 정도치에 PLC(10-3)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c를 배치한다. 이 결과가 도 25C에 나타나 있다.
계속해서, 뒤이어 국번이 큰 PLC(10-1)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PLC(10-1)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d를, 도 25C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는 PLC(10-3, 10-4, 10-5)의 배선 그리드 c, a, b가 배치되어 있고,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필드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10-4) 그리드와 PLC(10-5) 그리드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PLC(10-1)의 배치 후보로는 『PLC(10-3)의 왼쪽』, 『PLC(10-3)의 오른쪽(=PLC(10-4)의 왼쪽)』, 『PLC(10-5)의 오른쪽』이다. 이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고 있는 PLC(10-3, 10-4)에 가장 근방이 되고,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10-3)(국번 1)와 PLC(10-4)(국번 3)와 가장 좋은 번호순의 배치가 되는 것은 『PLC(10-3)의 오른쪽』이다. 따라서, 이 정도에 PLC(10-1)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d를 배치한다.
또한, 도 11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1n에 나타난 바와 같이, PLC(10-1)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와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PLC(10-1) 그리드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와 정보계 네트워크 No.3 그리드에 걸쳐서도 배선 그리드 d를 배치한다. 이 결과가 도 25D에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그리드에 접속되는 PLC는 이상이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서의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종료한다.
뒤이어, 도 24(도 25D)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선택된다.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는 PLC(10-1)(국번 2), PLC(10-2)(국번 1), PLC(10-5)(국번 3)이지만, 이들 중, 아직 배치되지 않은 것은 PLC(10-2)이다. 따라서, 이 PLC(10-2)에 대해 PLC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의 배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배치되지 않은 PLC가 다수 있는 경우에는 국번이 작은 PLC로부터 처리를 행한다. 또,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의 경우에는 관리국, 통상국에 관계없이 국번 순서로 처리를 행한다.
PLC(10-2)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e를, 도 25D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그리드의 왼쪽 아래에 채워서 배치한다. 이 때 이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는 PLC(10-1, 10-5)의 배선 그리드 d, b가 배치되어 있고, 그 네트워크보다 하위의 네트워크(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과 필드 네트워크)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10-3, 10-1, 10-4, 10-5)의 배치 관계를 분단하지 않는 것 같은 PLC(10-2)의 배치 후보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아래의 PLC(10-1)에 연결되는 배선 d의 왼쪽 빈 그리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아래의 PLC(10-1)에 연결되는 배선 d와 PLC(10-5)로 연결되는 배선 b 사이의 빈 그리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아래의 PLC(10-5)에 연결되는 배선 b의 오른쪽』이다. 이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고 있는 PLC(10-1)에 가장 근방이 되는 것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아래의 PLC(10-1)에 연결되는 배선 d와 PLC(10-5)에 연결되는 배선 b 사이의 빈 그리드』이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의 후보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PLC(10-1)(국번 2)와 PLC(10-5)(국번 3)에 대해, 가장 국 번호의 순서로 되는 배치 후보를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아래의 PLC(10-1)에 연결되는 배선 d와 PLC(10-5)에 연결되는 배선 b 사이의 빈 그리드』가 선택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 PLC(10-2) 그리드와 배선 그리드 e를 배치한다. 이 결과가 도 25E에 나타나 있다.
그 후, 도 24(도 25E)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의 상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로서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선택되지만, 이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 속하는 PLC(10-1, 10-2) 중, 아직 배치되지 않은 PLC는 없다. 그리고, 이 정보계 네트워크(21)가 최상위의 네트워크이므로, PLC 그리드 배치 처리가 종료한다.
이 후,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5E의 결과에 대해,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1174)에 의해 각 그리드의 사이즈(특히, PLC 그리드에 대해, PLC의 베이스 정보로부터 PLC의 표시에 필요한 사이즈)를 산출하는 그리드 사이즈 산출 처리를 행하고, 왼쪽 위로부터 차례로 그리드 사이즈를가산하여 그리드 좌표를 산출하는 그리드 좌표 산출 처리를 행한다. 도 26은 도 25E의 결과에 대해, 그리드 사이즈와 그리드 좌표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는 상기의 결과가 얻어지는 그리드 좌표가 부가된 그리드 모델을 읽어 들여, 표시부(112)에 시스템 구성 정보를 표시한다. 도 27은 시스템 구성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시스템 구성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표시 화면에서는 입수에 의해 작성되는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에 가까운 상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즉, 정보계 네트워크를 상위에 표시하고, 컨트롤간 네트워크를 중위에 표시하고, 필드 네트워크를 하위에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네트워크 구성으로부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비교하여 파악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수집된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사용자가 파악하기 쉬운 네트워크의 순서로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28은 제어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 28은 실시 형태 1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의 예를 나타내는 도 1과 비교해서, 다수의 PLC에 의해 복잡하게 제어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 도 28과 같은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정보를, 실시 형태 1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경우와, 실시 형태 2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경우로 비교한다.
도 29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을 실시 형태 1의 방법으로 표시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30은 도 28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실시 형태 2의 방법으로 작성한 그리드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1은 도 30의 그리드 모델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의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도 29의 시스템 구성의 표시 화면보다, 실시 형태 2의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도 31의 시스템 구성의 표시 화면은 제어 시스템의 상위 정보계를 구성하는 네트워크가 화면의 윗쪽에 표시되고, 시스템의 하위 필드계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아랫쪽에 표시되고, 또한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가 통합적으로 표시되므로, 알기 쉽다. 즉, 실시 형태 1의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도 29의 시스템 구성의 표시 화면보다, 실시 형태 2의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도 31이, 사용자가 알기 쉽게 손으로 그린 도 28의 시스템 구성도에 의해 가까운 표현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인간이 알기 쉽게 손으로 그린 시스템 구성도에 의해 가까운 표현의 시스템 구성 정보를,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어느 경로를 통과하여 목적으로 하는 PLC에 접속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접속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의 결과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3의 기능 구성을 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실시 형태 1의 도 3에 있어서,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에 의해 산출된 좌표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서 홀딩되고 있는 접속 경로로부터, 기점 PLC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표시부(112)에 표시하는 접속 경로 표시부(12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에 있어서 기점 PLC로부터 대상이 되는 PLC까지의 접속 경로의 표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은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34A ~ 도 34E는 시스템 구성 정보 표시 화면에 있어서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 처리는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 정보의 표시 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우선,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기점 PLC의 오브젝트의 표시부(112) 상의 위치를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로부터 취득하고, 기점 PLC의 오브젝트 전체 를 강조 표시한다(단계 S271, 도 34A).
뒤이어,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에 격납되는 접속 경로로부터 지정된 또는 하나의 접속 경로 정보를 선택한다(단계 S272). 선택한 접속 경로 정보 중의 기점 PLC로부터 데이터 1에 기재되는 네트워크로의 배선을 선택한다(단계 S273). 그리고, 이 배선에 대응하는 표시부(112)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로서 취득하고, 강조 묘화한다(단계 S274, 도 34B).
그 후,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접속 경로 정보 중의 데이터 1에 기재되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를 연결하는 배선을 선택한다(단계 S275). 그리고, 이 배선에 대응되는 표시부(112)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로부터 취득하고, 강조 묘화한다(단계 S276, 도 34C).
뒤이어,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강조 묘화된 2 개의 배선 사이의 네트워크 부분을 강조 묘화한다(단계 S277, 도 34D). 그 후, 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가 접속 경로 정보의 명칭의 PLC(종점 PLC)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78).
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가 종점 PLC가 아닌 경우(단계 S278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n=1, m=2를 설정하고(단계 S279), 접속 경로 정보 중의 데이터 2n에 기재되는 PLC와, 데이터 2n+1에 기재되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배선을 선택한다(단계 S280). 그 후, 이 배선에 대한 표시부(112)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 오브젝트 좌표 연산부로부터 취득하고, 강조 묘화한다(단계 S281).
이어,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접속 경로 정보 중의 데이터 2m-1에 기재되는 네트워크와, 2m에 기재되는 PLC를 연결하는 배선을 선택한다(단계 S282). 그 후, 이 배선에 대응되는 표시부(112) 상에서의 위치를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로부터 취득하고, 강조 묘화한다(단계 S283). 그리고,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강조 묘화된 2개의 배선 사이의 네트워크 부분을 강조 묘화한다(단계 S284).
그 후, 데이터 2m에 기재되는 PLC가 접속 경로 정보의 명칭의 PLC(종점 PLC)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85). 데이터 2m에 기재되는 PLC가 종점 PLC가 아닌 경우(단계 S285에서 아니오인 경우)에,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n=n+1, m=m+1로 설정한 후(단계 S286), 단계 S280으로 되돌아와서,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단계 S278에서, 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가 종점 PLC인 경우(단계 S278에서 예인 경우), 또는 단계 S285에서, 데이터 2m에 기재되는 PLC가 종점 PLC인 경우(단계 S285에서 예인 경우)에는 기점 PLC와 목적으로 하는 종점 PLC까지의 사이의 접속 경로의 표시 처리가 종료한다(도 34E).
본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기점 PLC로부터 종점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1 ~ 3에서는 실제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접속하고, 그 PLC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이나 PLC의 시스템 구성의 정보를 얻고, 시스템 구성 정보를 표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오프라인으로 편집된 시스템 구성도에 대해, 도달 가능한 PLC를 판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복수의 접속 경로가 존재할 때에는 통신 쓰루풋을 참조하여 최적인 경로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4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통신부(111)와, 표시부(112)와, 기점 PLC 지정부(113)와,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와,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와,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와,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와,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와,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와,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와, 접속 경로 표시부(120)와, 이들 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9)를 구비한다.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는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 상에서, 오프라인으로 생산 설비 등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설정하는 화면을 사용자에 대해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내용을 관리한다. 이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 편집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는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로부터 직접 설정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의 네트워크와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나, PLC의 시스템 구성(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베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홀딩 한다. 이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 홀딩되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는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가 자동적으로 시스템 구성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구성 정보나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자가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에 직접 입력하여(오프라인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라고도 한다. 이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기점 PLC 지정부(113)에서 설정된 PLC를 기점으로 하여,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 의해 설정된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각 PLC로의 접속 경로를 해석한다. 또, 복수의 접속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의 네트워크 통신 쓰루풋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최적인 쪽의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는 제어 시스템의 각 접속 경로에 있어서 통신 쓰루풋을 산출할 때의 쓰루풋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서 홀딩한다. 이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쓰루풋 모델 홀딩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는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에서 해석 및 선택된, 각 PLC로의 접속 경로(이하, 오프라인 접속 경로라고도 함)를 홀딩한다. 이 오프라인 접속 경로는 실시 형태 1의 도 10의 접속 경로 정보의 데이터 구성에, 쓰루풋 평가값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 4에서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서 홀딩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부(112)에 표시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좌표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에서의, 오프라인에서의 제어 시스템 구성 처리로부터 오프라인에서의 접속 경로 표시 처리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오프라인에서의 제어 시스템 구성 처리)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서는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의 드래그 앤드 드롭이나 웹 사이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나 PLC의 시스템 구성 전체를 설정한다.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서 설정된 시스템 구성 데이터(이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라 함)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서 홀딩된다. 이 데이터 형식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의해 홀딩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같다. 예를 들어 하나의 요소(네트워크 또는 PLC)를 추가하는 조작을 행하면, 그 요소의 데이터가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서 홀딩되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추가된다. 계 속해서, 요소의 데이터가 추가된 후의 시스템 구성 데이터 전체에 대해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가 좌표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하여, 시스템 구성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따라서, 같은 시스템 구성을 표현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추가의 조작 순서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순번이 다르지만, 데이터의 내용(데이터가 의미하는 바)은 같은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도 1과 같은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이하의 순서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구축한 것으로 한다. 우선, PLC(10-3)을 추가하고, 뒤이어 콘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을 추가한 후에, PLC(10-1)와 PLC(10-4)를 차례로 추가한다. 그 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22B)를 추가하고, PLC(10-2)와 PLC(10-5)를 차례로 추가한다. 그리고, 필드 네트워크(23)를 추가한 후, 정보계 네트워크 No.3(21)을 추가한다.
그 결과로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서 홀딩되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데이터의 내용은 도 11과 같게 되어, 시스템 구성의 표시도 도 20(실시 형태 2의 방법을 사용하면, 도 27)과 같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이나 도 27과 같은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시스템 구성의 화면을 시스템 구성도라고 하기로 한다.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
(1) 처리의 개요
오프라인으로 편집된 시스템 구성도에 대해, 기점으로 되는 PLC(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어느 PLC에 접속할지)를, 기점 PLC 지정부(113)를 사용하 여 지정한다. 그 후,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기점 PLC 지정부(113)에서 설정된 PLC를 기점으로 하여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 의해 설정된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각 PLC로의 접속 경로를 해석한다. 이하에, 이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6A ~ 도 36C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기점 PLC 지정부(113)에 의해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접속하는 접속처 PLC(기점 PLC)가 지정되면(단계 S311),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지정된 기점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출력한다(단계 S312). 뒤이어, 지정된 기점 PLC를 처리 대상의 PLC로서 선택하고(단계 S313), 이 선택한 PLC에 대해, 도 36B에 나타난 B1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314),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가 종료한다.
도 36B는 단계 S314에 있어서 B1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PLC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단계 S331).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PLC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를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수집한다. 뒤이어, 정보 수집된 각 네트워크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를 구성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32). 여기서, 루프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접속 경로에서 같은 요소가 복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루프라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루프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접속 경로가 루프가 아닌 경우(단계 S332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도 12의 제약하에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33).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 경우(단계 S333에서 예인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 네트워크로서 선택하고(단계 S334), 도 36C에 나타난 B2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35). 또, 단계 S333에서, 도 12의 제약에 해당하여,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없는 경우(단계 S333에서 아니오인 경우) 또는 단계 S332에서, 접속 경로가 루프인 경우(단계 S332에서 예인 경우)에는 B1 처리를 종료하고, 도 35의 처리로 돌아온다.
도 36C는 도 36B의 단계 S335에 있어서 B2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B2 처리에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우선, 처리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단계 S351). 구체적으로, 처리의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이 네트워크 정보로부터 처리 대상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를 수집한다. 뒤이어, 정보 수집된 각 PLC까지의 접속 경로는 루프를 구성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52).
접속 경로가 루프를 구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단계 S352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최적의 접속 경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53). 최적의 접속 경로인지 여부의 판정은 복수의 접속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에,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가 홀딩하는 통신 쓰루풋 정보를 참조하여, 통신 쓰루풋이 좋은 접속 경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 결과, 최적의 접속 경로가 아닌 경우(단계 S35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그 접속 경로를 출력하는 일 없이 B1 처리를 종료하 고, 도 36B의 처리로 돌아온다.
또, 최적의 접속 경로인 경우(단계 S353에서 예인 경우)에는 그 접속 경로를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출력하고(단계 S354), 도 12의 제약하, 그 PLC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55).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없는 경우(단계 S355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B2 처리를 종료하고, 도 36B의 처리로 돌아온다. 또, 그 PLC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 경우(단계 S355에서 예인 경우)에는 그 PLC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단계 S356),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57).
또, 단계 S352에서, PLC까지의 접속 경로가 루프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단계 S352에서 예인 경우)에는 그 접속 경로를 출력하는 일 없이 B1 처리를 종료하고, 도 36B의 처리로 돌아온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37A ~ 도 37E는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처리의 결과,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홀딩되는 접속 경로 홀딩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여기서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는 도 11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홀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도 11과 도 37A ~ 도 37E에 나타난 데이터는 데이터 생성의 순서로 표시되어 있다. 또, 여기서도 제약으로서, 도 12에 표시된 제약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38은 본 실시 형태 4에 의한 쓰루풋 모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PLC의 쓰루풋을 1Mbps라고 하고, 필드 네트워크의 쓰루풋을 0.1Mbps라고 하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의 쓰루풋을 10Mbps라고 하고, 정보계 네트워크의 쓰루풋을 100Mbps라고 하고 있다. 또, 접속 경로 전체의 쓰루풋의 평가값의 계산 방법은 접속 경로 중에 포함되는 각 요소의 쓰루풋값의 역수를 가산해서 구하고, 이 접속 경로 전체의 쓰루풋의 평가값이 작은 것이 쓰루풋이 좋은 것이라고 판정한다.
(2-1) PLC(10-3)
우선,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기점 PLC 지정부(113)에서 지정된 PLC(10-3)의 접속 경로 P3g를 출력한다. 이 접속 경로는 종점 PLC가 기점 PLC와 같은 PLC(10-3)인 접속 경로이다. 그리고,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의 도 38의 조건을 참조하여, 쓰루풋 평가값을 계산하면, PLC(10-3)는 기점 PLC이므로, 쓰루풋 평가값은 0이 된다. 이 결과가 도 37A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기점 PLC인 PLC(10-3)에 대해,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2) PLC(10-3)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3)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 중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3n을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그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22A)」가 되어,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지 않기 때문에,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2-3)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되는 PLC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 정보 출력 처리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 중의 네트워크 데이터 M1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3, 10-4, 10-1)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4)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3)
PLC(10-3)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3)」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이 접속 경로를 출력하지 않고, 이 PLC(10-3)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다.
(2-5)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PLC(10-4)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기 때문에,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최적 접속 경로로서 상기의 접속 경로 P4g를 출력한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4)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2.1
이 되므로, 출력시에 이 쓰루풋값을 입력한다. 그 후,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나타나는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고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6) PLC(10-4)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4)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4n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PLC(10-4)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필드 네트워크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그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7) PLC(10-4) → 필드 네트워크
필드 네트워크(23)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 필드 네트워크」가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2-8)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네트워크 데이터 C로부터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해서 추출한다. 여기서는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4, 10-5)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9) 필드 네트워크 → PLC(10-4)
PLC(10-4)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 필드 네트워크 → PLC(10-4)」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이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고, 이 PLC(10-4)에 대한 처리가 종료한다.
(2-10) 필드 네트워크 → PLC(10-5)
PLC(10-5)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 필드 네트워크 → PLC(10-5)」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최적 접속 경로로서 상기의 접속 경로 P5g-1을 출력한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5)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0.1)+(1/1)=13.1
이 되므로, 출력시에 이 쓰루풋값을 입력한다. 이 결과가 도 37C에 나타나 있다. 그 후,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 B에 해당하므로,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2-8)의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를 종료한다.
(2-1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되는 PLC
(2-6)에서 PLC(10-4)에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수집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4)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되어, 같은 네트워크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2-6)의 PLC(10-4)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를 종료한다.
(2-12) PLC(10-1)에 대해
(2-3)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접속하는 PLC의 하나로서 수집된 PLC(10-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최적 접속 경로로서 상기의 접속 경로 P1g를 출력한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 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1)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2.1
이 되므로, 출력시에 이 쓰루풋시를 입력한다. 이 결과가 도 37D에 나타나 있다. 그 후,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13) PLC(10-1)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1)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격납되어 있는 접속 네트워크 정보 P1n 중의 네트워크 정보를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PLC(10-1)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및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그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14)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되어, 같은 네트워크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2-15)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2-16)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되는 PLC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네트워크 데이터 M2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해서 추출한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2, 10-1, 10-5)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17)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PLC(10-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최적 접속 경로로서 상기의 접속 경로 P2g-1을 출력한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 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2)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10)+(1/1)=3.2
가 되므로, 출력시에 이 쓰루풋값을 입력한다. 이 결과가 도 37E에 나타나 있다. 그 후, PLC(10-2)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고,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18) PLC(10-2)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2)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2n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PLC(10-2)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와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그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19)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되어, 같은 네트워크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그 때문에,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2-20) PLC(10-2) → 정보계 네트워크 No.3
정보계 네트워크 No.3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2-21)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되는 PLC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격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 E3 중에서,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해서 추출한다. 여기서는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1, 10-2)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22)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1)
PLC(10-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1)」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이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2-23)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PLC(10-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이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2-20)의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가 종료한다. 또, (2-17)의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를 종료한다.
(2-24)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1)
PLC(10-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1)」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고 있으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도 36B에 나타난 B1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2-25)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PLC(10-5)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5)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10)+(1/1)=3.2
가 된다. 그런데 PLC(10-5)까지의 경로에 대해서는 도 3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 접속 경로 P5g-1이 출력되어 있다. 이 접속 경로 P5g-1의 쓰루풋값은 13.1이므로, 이번 산출한 접속 경로의 쪽이 쓰루풋값이 좋다. 따라서, 이미 출력되 어 있는 접속 경로 대신에, 쓰루풋이 좋은 이번 산출한 쪽을 최적 접속 경로 P5g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37C에 나타나 있다. 이 도 37C에서, 접속 경로 P37C의 데이터 내용에 취소선이 붙여져 있는 것은 삭제되고, 그 아래의 데이터가 덧쓰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 후,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PLC(10-5)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고,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26) PLC(10-5)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5)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5)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5n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PLC(10-5)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필드 네트워크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각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27) PLC(10-5) → 필드 네트워크
필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 필드 네트워크」가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 리를 실행한다.
(2-28)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PLC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네트워크 데이터 C 중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여기서는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4, 10-5)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29) 필드 네트워크 → PLC(10-4)
PLC(10-4)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 필드 네트워크 → PLC(10-4)」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4)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10)+(1/1)+(1/0.1)+(1/1)=14.2
이 된다. 그런데 PLC(10-4) 까지의 경로에 대해서는 도 3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 접속 경로 P4g가 출력되어 있다. 이 접속 경로 P4g의 쓰루풋값은 2.1이므로, 이번 산출한 접속 경로보다 기존의 접속 경로의 쪽이 쓰루풋값이 좋다. 따라서, 쓰루풋이 좋은 이미 출력되어 있는 접속 경로의 쪽을 최적 접속 경로로 한다 (도 37B).
(2-30) 필드 네트워크 → PLC(10-5)
PLC(10-5)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 필드 네트워크 → PLC(10-5)」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다라서,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2-28)의 필드 네트워크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를 종료한다.
(2-31) PLC(10-5)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이고, 같은 네트워크가 복수 출현하고 있으므로, 루프이다. 그 때문에,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2-26)의 PLC(10-5)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를 종료한다. 또, (2-16)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도 36C의 B2 처리를 종료한다.
(2-32)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되는 PLC
(2-13)에서 PLC(10-1)에 선택되는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수집된 정보계 네트워크 No.3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고,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고 있는 PLC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격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 E3 중에서,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여기서는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1, 10-2)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33)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1)
PLC(10-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1)」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고 있으므로, 루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2-34)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PLC(10-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2)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100)+(1/1)=3.11
이 된다. 그런데 PLC(10-2)까지의 경로에 대해서는 도 37E에 나타난 바와 같 이, 이미 접속 경로 P2g-1이 출력되어 있다. 이 접속 경로 P2g-1의 쓰루풋값은 3.2이므로, 이번 산출된 접속 경로의 쪽이 쓰루풋값이 좋다. 따라서, 이미 출력되어 있는 접속 경로 P2g-1 대신에, 쓰루풋이 좋은 이번 계산된 쪽을 최적 접속 경로 P2g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37E에 나타나 있다. 그 후,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도 36B의 B1 처리를 실행한다.
(2-35) PLC(10-2)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에서는 PLC(10-2)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의 접속 네트워크 정보 P2n에 격납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독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PLC(10-2)에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와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네트워크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각의 접속 경로가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네트워크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36)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가 되어,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추가로 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 도 12에 표시된 제약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제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 으로서 선택하고, 도 36C의 B2 처리를 실행한다.
(2-37)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되는 PLC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고 있는 PLC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격납되는 네트워크 데이터 M2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에 접속하는 PLC로서, PLC(10-2, 10-1, 10-5)가 수집된다. 그 후, 수집한 PLC까지의 접속 경로를 작성하고, 각 PLC로의 접속 경로는 루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PLC의 처리에 우선도는 없으며,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한다.
(2-38)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
PLC(10-2)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2)」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2-39)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1)
PLC(10-1)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1)」이고, 같은 PLC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따라서, 접속 경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2-40)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
PLC(10-5)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10-5)」이고, 같은 요소가 복수 출현하지 않으므로, 루프가 아니다. 여기서,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는 이 접속 경로의 쓰루풋에 대해 계산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PLC(10-5)까지의 쓰루풋 평가값은
(1/1)+(1/10)+(1/1)+(1/100)+(1/1)+(1/10)+(1/1)=4.21
이 된다. 그런데 PLC(10-5)까지의 경로에 대해서는 도 3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 접속 경로 P5g가 출력되어 있다. 이 접속 경로 P5g의 쓰루풋값은 3.2이므로, 기존의 접속 경로의 쪽이 이번 계산된 것보다 쓰루풋값이 좋다. 따라서, 쓰루풋이 좋은 이미 출력되어 있는 접속 경로의 쪽을 최적 접속 경로로 한다(도 37C). 이상에 의해, (2-37)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를 종료한다.
(2-41) 정보계 네트워크 No.3에 접속되는 PLC
(2-35)에서 PLC(10-2)에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하나로서 수집된 정보계 네트워크 No.3까지의 접속 경로는 「PLC(10-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10-1) → 정보계 네트워크 No.3 → PLC(10-2) → 정보계 네트워크 No.3」이 되어, 같은 네트워크가 복수 출현하므로, 루프이다. 그 때문에, 도 36C의 B2 처리는 실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해, (2-35)의 PLC(10-2)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도 36B의 B1 처리를 종료한다. 또, (2-32)의 정보계 네트워크 No.3을 처리의 대상으로 한 B2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2-13)의 PLC(10-1)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를 종료한다. 또, (2-11)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처리의 대상으로 하여 B2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2-2)의 PLC(10-3)를 처리의 대상으로 한 B1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종료한다.
(접속 경로 표시 처리)
상기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에 의해,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도 37A ~ 도 37E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접속 경로가 격납되면, 접속 경로 표시부(120)는 그 접속 경로에 따라서 표시부(112)에 접속 경로를 강조 표시한다.
도 39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PLC로의 접속 경로를 파악하기 쉬워진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쓰루풋이 좋은 경로가 선택된다.
또, 액세스 가능한 PLC와 액세스 불가능한 PLC를 강조적으로 구별하여 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표시하는 것에 의해, 기점 PLC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PLC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액세스 불가능한 PLC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40은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기점 PLC로부터 도 12의 제약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PLC에는 그 근방에 「○」표를 배치하고, 기점 PLC로부터 도 12의 제약에 의해 액세스할 수 없는 PLC에는 그 근방에 「×」표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점 PLC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PLC와 액세스 불가능한 PLC를 바로 분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도 39의 예에서는 PLC(10-5)의 앞에 정보계 네트워크 No.4를 통하여 PLC(10-9)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 PLC(10-9)로는 필드 네트워크의 로컬국인 PLC(10-5)를 통해서 밖 에 액세스할 수 없기 때문에, 도 12의 제약 B에 해당한다. 그 때문에, PLC(10-9)에는 액세스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도에 있어서, 기점으로 되는 PLC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PLC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경우의 각 PLC로의 접속 경로를 사전에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기점 PLC로부터의 접속 경로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기준에 의해 선택되는 최적의 접속 경로가 자동적으로 선택된다고 하는 효과도 갖는다.
실시 형태 5.
그런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상술한 도 12와 같은 접속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어디에 접속해도 시스템 내의 모든 PLC에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액세스할 수 없는 PLC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 번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와 PLC의 접속 케이블을 분리하여, 대상인 PLC에 다시 접속한다고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를 접속하는 장소에 따라서는 통신 속도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에서, 모든 PLC에 대해 접속이 가능하고, 또한 고속의 통신이 가능한(쓰루풋이 종합적으로 최적인 경로로 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접속구가 되는 PLC(기점 PLC)를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은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5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실시 형태 4의 도 35에 있어서, 기점 PLC 지정부(113)가 삭제되고,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는 해당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의 접속구(기점 PLC)의 모든 후보에 대해 차례차례,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에 의한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처리를 행한 결과, 모든 PLC에 대해 접속 가능한 후보만 추출하고, 추가로 그 중에서, 각 PLC로의 통신 쓰루풋이 종합적으로 좋은 것을 추출하여, 최적 접속 경로로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5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2는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여기서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으로의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는 기점 PLC로 되는 후보의 PLC를 추출한다(단계 S371). 구체적으로, 도 11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격납되어 있는 PLC를 모두 추출한다. 여기서는 PLC(10-1 ~ 10-5)의 5개의 PLC가 추출된다.
뒤이어, 추출된 각각을 기점 PLC로서 도 36A ~ 도 36C에 나타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72). PLC(10-3)를 기점 PLC로 하여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실행한 결과 얻어지는 접속 경로 데이터는 실시 형태 4의 도 37A ~ 도 37E에 나타난 결과와 같은 것이 된다. 도 43A ~ 도 43E는 PLC(10-1)를 기점 PLC로 하여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4A ~ 도 44E는 PLC(10-2)를 기점 PLC로 하여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5A ~ 도 45E는 PLC(10-4)를 기점 PLC로 하여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6A ~ 도 46E는 PLC(10-5)를 기점 PLC로 하여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처리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후, 접속 경로 해석 처리가 실행된 각각의 결과에 대해, 모든 PLC에 접속가능하지를 확인한다(단계 S373). 여기서, 기점으로 되는 PLC의 선택 방법에 따라서는 도 12의 제약에 의해, 접속 불가능한 PLC가 존재하는 경우가 나오므로, 도 12의 제약에 저촉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는 어느 PLC를 기점 PLC로 한 경우에도, 모든 PLC에 접속 가능하다.
뒤이어, 접속 경로 해석 처리가 실행된 각각의 결과에 대해, 시스템 구성 전체의 쓰루풋 평가값(합계 쓰루풋 평가값)을 비교한다(단계 S374). 여기서 사용하는 쓰루풋 모델은 실시 형태 4에서 사용한 도 38의 쓰루풋 모델과 같다. 이하에, 각 PLC를 기점으로 한 경우의 쓰루풋 평가값과 그 합계값을 나타낸다.
(PLC(10-1)를 기점 PLC로 한 경우)
PLC(10-1)(P1g1)=0
PLC(10-2)(P2g1)=2.01
PLC(10-3)(P3g1)=2.1
PLC(10-4)(P4g1)=2.1
PLC(10-5)(P5g1)=2.1
합계 쓰루풋 평가값=8.31
(PLC(10-2)를 기점 PLC로 한 경우)
PLC(10-1)(P1g2)=2.01
PLC(10-2)(P2g2)=0
PLC(10-3)(P3g2)=3.2
PLC(10-4)(P4g2)=3.2
PLC(10-5)(P5g2)=2.1
합계 쓰루풋 평가값=10.51
(PLC(10-3)를 기점 PLC로 한 경우)
PLC(10-1)(P1g)=2.1
PLC(10-2)(P2g)=3.11
PLC(10-3)(P3g)=0
PLC(10-4)(P4g)=2.1
PLC(10-5)(P5g)=3.2
합계 쓰루풋 평가값=10.51
(PLC(10-4)를 기점 PLC로 한 경우)
PLC(10-1)(P1g4)=2.1
PLC(10-2)(P2g4)=3.11
PLC(10-3)(P3g4)=2.1
PLC(10-4)(P4g4)=0
PLC(10-5)(P5g4)=3.2
합계 쓰루풋 평가값=10.51
(PLC(10-5)를 기점 PLC로 한 경우)
PLC(10-1)(P1g5)=2.1
PLC(10-2)(P2g5)=2.1
PLC(10-3)(P3g5)=3.2
PLC(10-4)(P4g5)=3.2
PLC(10-5)(P5g5)=0
합계 쓰루풋 평가값=10.6
이어,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는 상기에서 산출한 각 PLC를 기점으로 한 합계 쓰루풋 평가값 중, 시스템 구성 전체의 쓰루풋이 최량인 것을 추출하고(단계 S375), 최적 접속 경로로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출력한다(단계 S376). 실시 형태 4에서 사용한 쓰루풋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합계 쓰루풋 평가값이 작은 것이 최적인 것이 된다. 상기한 결과에서, PLC(10-1)를 기점 PLC로 한 경우의 접속 경로 데이터의 합계 쓰루풋 평가값이 가장 작기 때문에, 도 43A에 나타난 최적 접속 경로를 최적 접속 경로로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그 후, 접속 경로 표시부(120)에 의해, 최적 접속 경로 산출부(126)에 의해 산출된 최적 접속 경로에 기초하여, 최적 접속 경로가 오프라인의 시스템 구성도에 표시된다. 도 47은 최적 접속 경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은 도 43A에 나타난 최적 접속 경로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 3의 접속 경로 표시 처리를 사용하여 접속 경로 표시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의 사용자는 PLC(10-1)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접속하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PLC에 접속할 수 있고, 높은 쓰루풋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오프라인으로 구축된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 내의 모든 PLC에 액세스할 수 있고, 또한 고속의 통신을 할 수 있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위치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설정 데이터의 다운로드나 업로드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 형태 6.
본 실시 형태 6에서는 기점 PLC로부터 각 PLC로의 접속 경로 도중의 PLC에, 수신한 데이터를 목적으로 하는 PLC에 라우팅하기 위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산출하고, 설정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와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맨 먼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라우팅 파라미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그 후에 실시 형태의 내용을 설명한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라우팅 기능은 복수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네트워크에 걸친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 번호의 국에 트랜지언트(transient) 전송하는 기능을 말한다. 라우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라우팅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요구처의 네트워크 번호와 브릿지의 역할을 하는 PLC와의 대응부가 필요하다.
또, 라우팅 파라미터는 트랜지언트 전송의 요구원과 중계국에 설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중계국은 복수의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PLC를 말한다. 또, 중계국에는 요구원으로부터 요구처로 보내기(가기) 위한 라우팅 파라미터와, 요구처로부터 요구원으로 보내기(돌아오기) 위한 라우팅 파라미터의 2개 설정이 통상 필요하다. 또한, 요구처에서의 라우팅 파라미터의 설정은 불요하다.
도 48은 제어 시스템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 도 48에서는 각 PLC를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범위 내에는 통신 유닛이 표시되어 있다. 이 통신 유닛의 표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No.1의 1국인 경우에는 「1Ns1」로 표기한다. 또,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PLC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No.1 ~ 네트워크 No.3의 3개의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No.1에는 6개의 PLC(10-1 ~ 10-6)가 접속되어 있고, 이 중 4국의 PLC(10-4)가 인접하는 네트워크 No.2와도 접속하고 있다. 즉, PLC(10-4)는 네트워크 No.1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 1Ns4와, 네트워크 No.2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 2Ns1을 갖는다. 또, 네트워크 No.2에는 4개의 PLC(10-4, 10-7, 10-8, 10-13)이 접속되어 있다. 이 중, 네트워크 No.2에 있어서 1국의 PLC(10-4)는 인접하는 네트워크 No.1과도 접속하고 있고, 4국의 PLC(10-13)는 인접하는 네트워크 No.3과도 접속하고 있다. 즉, PLC(10-13)은 네트워크 No.2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 2Ns4와, 네트워크 No.3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 3Ns5를 갖는다. 또한, 네트워크 No.3에는 5개의 PLC(10-9 ~ 10-13) 접속되어 있다. 이 중, 네트워크 No.3에 있어서 5국의 PLC(10-13)는 인접하는 네트워크 No.2와도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는 네트워크 No.1의 PLC(10-3)로부터 네트워크 No.3의 PLC(10-12)에 데이터를 트랜지언트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트랜지언트 전송을 요구하는 네트워크 No.1의 PLC(10-3), 네트워크 No.1과 네트워크 No.2의 브릿지의 역할을 하는 PLC(10-4) 및 네트워크 No.2와 네트워크 No.3의 브릿지의 역할을 하는 PLC(10-13)에 라우팅 파라미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국의 라우팅 파라미터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1) 네트워크 No.1의 PLC(10-3)
이 PLC(10-3)에는 라우팅 파라미터로서,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3) 및 중계국의 통신 유닛(1Ns4)와, 거기까지의 중계 네트워크 번호(1)가 설정된다.
(2) 네트워크 No.1의 PLC(10-4)
이 PLC(10-4)에는 라우팅 파라미터로서,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3) 및 중계국의 통신 유닛(2Ns4)와 거기까지의 중계 네트워크 번호(2)가 설정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3)의 PLC(10-13)에서 네트워크 No.2로부터 네트워크 No.1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우팅 파라미터가 설정되므로, 이 PLC(1 0-4)에서의 복귀용의 라우팅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불요하다.
(3) 네트워크 No.2의 PLC(10-13)
이 PLC(10-13)에서 전송처로의 설정은 자국의 앞이 전송처 네트워크 (네트워크 No.3이므로, 행선용의 라우팅 파라미터의 설정은 불요하다. 단, 귀가용의 라우팅 파라미터로서, 전송원 네트워크 번호(1)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에 설정하고, 돌아오기 위한 중계국의 네트워크 유닛(2Ns1)와, 거기까지의 중계 네트워크 번호(2)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라우팅 파라미터를 각 국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No.1의 PLC(10-3)로부터 네트워크 No.3의 PLC(10-12)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설정된 라우팅 파라미터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의 순서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네트워크 No.1의 PLC(10-3)는 네트워크 No.3의 PLC(10-13)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라우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한다. 즉,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가 「3」이고, 중계처 네트워크가 「1」이고, 중계처 국 번호가 「4」라고 하는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로 인해, PLC(10-3)로부터의 데이터는 네트워크 No.1을 통하여 PLC(10-4)(네트워크 No.1에서 4국의 통신 유닛 1Ns4를 가지는 PLC)로 송신된다.
이 PLC(10-4)의 통신 유닛 1Ns4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처가 네트워크 No.3의 PLC(10-4)이므로, 라우팅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중계처 네트워크 No.2의 중계처 국 번호 4인 PLC(10-13)로, 통신 유닛 2Ns1과 네트워크 No.2를 통하여 송신한다. PLC(10-13)에서는 수신한 데이터가 네트워크 No.3의 PLC(10-12) 앞으로의 데이터이므로, 통신 유닛 3Ns5와 네트워크 No.3을 통하여 PLC(10-12)에 송신한다. 이로 인해, 갈 때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다.
다음에, 요구처인 네트워크 No.3의 PLC(10-12)가 요구원인 네트워크 No.1의 PLC(10-3)에 데이터 전송하는 경우, 즉 되돌아오는 데이터 전송의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 No.3의 PLC(10-12)는 전송처의 네트워크 No.1의 PLC(10-3) 앞으로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데이터는 네트워크 No.3을 통하여 PLC(10-13)에 도착한다. PLC(10-13)에서는 이 데이터의 수신처가 전송처 네트워크 No.1의 PLC(10-3)이므로, 라우팅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중계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No.2」로, 중계처 국 번호가 「1」인 네트워크 No.2의 PLC(10-4)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No.2의 PLC(10-4)에서는 네트워크 No.1의 PLC(10-3) 앞의 데이터이므로, 같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통신 유닛 1Ns4와, 네트워크 No.1을 통하여, 행선지의 PLC(10-3)에 송신한다. 그리고, PLC(10-3)는 네트워크 No.3의 PLC(10-12)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되돌아오는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제어 시스템에서의 복수 네트워크에 걸친 경우의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이하에, 이와 같은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6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실시 형태 4의 도 35에 있어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홀딩되어 있는 기점 PLC로부터 각 PLC로의 접속 경로를 독출하고, 각각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 라우팅 파라미터의 설정이 필요한 PLC에 대해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라우팅 파 라미터 산출부(127)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부(127)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또한, 실시 형태 4의 도 35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50은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부의 더욱 상세한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부(127)는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 기능(1272)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 기능(1273)과, 중계처 국 번호 추출 기능(1274)을 구비한다.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은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격납되는 접속 경로를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역순으로 한 역접속 경로를 작성한다.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 기능(1272)은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격납되는 접속 경로와,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에 의해 작성된 역접속 경로로부터 라우팅 파라미터에 있어서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를 추출한다.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 추출부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격납되는 접속 경로와,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에 의해 작성된 역접속 경로로부터 라우팅 파라미터에 있어서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를 추출한다.
중계처 국 번호 추출부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격납되는 접속 경로와,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에 의해 작성된 역접속 경로로부터 라우팅 파라미터에 있어서 중계처 국 번호를 추출한다.
(1) 처리의 개요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에서의,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A ~ 도 51B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기점 PLC 지정부(113)에 의해 트랜지언트 전송의 요구원 PLC가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다(단계 S411). 이 요구원 PLC를 이하에서는 기점 PLC라고 한다.
뒤이어, 기점 PLC 지정부(113)에 의해 지정된 기점 PLC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실시 형태 4의 도 36B에 나타난 B2 처리를 실행하여(단계 S412), 접속 경로를 취득한다(단계 S413).
취득한 접속 경로로부터 하나의 접속 경로를 선택한다(단계 S414). 뒤이어, 그 접속 경로에 있어서 기점 PLC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415).
도 5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C1 처리에서는 우선 처리 대상의 PLC로부터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1).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431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C1 처리를 종료하고, 도 51A의 처리로 돌아온다. 또,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단계 S431에서 예인 경우)에는 선택한 접속 경로에서, 종점 PLC의 하나 전의 데이터에 기재되는 네트워크 번호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단계 S432).
계속해서, 선택한 접속 경로에서, 처리 대상의 PLC의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네트워크 번호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하고(단계 S433), 추가로, 처리 대상의 PLC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PLC의, 단계 S433에서 출력한 중계처 네트워크에 있어서 국 번호를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단계 S434).
그 후, 처리 대상의 PLC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PLC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단계 S435), 단계 S431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C1 처리를 종료하면, 도 51A로 되돌아와, 접속 경로 역전 기능(1271)에 의해, 선택된 접속 경로의 데이터를 역순으로 한 역접속 경로를 작성한다(단계 S416). 즉, 선택된 접속 경로의 기점 PLC가 종점 PLC로 되고, 종점 PLC가 기점 PLC로 된다.
그 후, 역순으로 한 역접속 경로의 데이터에 있어서 기점 PLC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단계 S417), C1 처리를 행한다(단계 S418).
역접속 경로에 있어서 C1 처리가 종료한 후, 단계 S413에서 취득한 모든 접속 경로에 대해 처리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419), 처리를 행하지 않은 접속 경로가 있는 경우(단계 S419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단계 S414로 되돌아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또, 모든 접속 경로에 대해 처리를 행한 경우(단계 S419에서 예인 경우)에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도 28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이 도 28에 나타난 제어 시스템을 대상으로, PLCπ를 기점 PLC로 하여 실시 형태 4의 도 36A ~ 도 36C에 나타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행한다. 도 52는 도 28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각 PLC로의 접속 경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3A ~ 도 53D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각 PLC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
(2-1) 접속 경로 취득 처리
우선, 기점 PLC 지정부(113)에서 지정한 트랜지언트 전송의 요구원 PLCπ를 기점 PLC로 하여, 도 36A ~ 도 36C에 나타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해석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도 52에 나타난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1
g ~ Pφg가 얻어진다.
(2-2)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2
g
도 52의 접속 경로 중에서, 우선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3
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4
g에 관해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2-2-1) 접속 경로의 PLCπ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5
g 중의 기점 PLC인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서 도 51B에 나타난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π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6
g에 관해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2-2) 역접속 경로의 PLCπ
이어,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7
g의 접속 경로 데이터 「PLCπ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8
」를 역순으로 한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09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π」를 역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0
g'로 한다. 그리고, 이 역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1
g'에 있어서 기점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2
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인 PLCπ를 처리 대상의 PLC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이 PLCπ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역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3
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3) 접속 경로 Pε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ε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εg에 관하여 처리를 행하면, (2-2)의 접속 경로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4
g와 동양의 결과가 되어, 산출되는 라우팅 파라미터는 없다.
(2-4) 접속 경로 Pβ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β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βg에 관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2-4-1) 접속 경로
접속 경로 Pβg 중의 기점 PLC인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서 도 51B에 나타난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π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β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β의 하나 전의 데이터(데이터 3)에 기재되는 정보계 네트워크 No.5의 네트워크 번호 「5」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1)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네트워크 번호 「1」을,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5
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있어서 국 번호 「1」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뒤이어,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6
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7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β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접속 경로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8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결과가 도 53A의 행 501에 나타나 있다.
(2-4-2) 역접속 경로
뒤이어, 접속 경로 Pβg의 접속 경로 데이터 「PLCπ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19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β」를 역순으로 한 「PLCβ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0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π」를 역접속 경로 Pβg'로 한다. 그리고, 이 역접속 경로 Pβg'에 있어서 기점 PLC인 PLCβ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1
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나 이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2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역접속 경로 Pβ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3
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한 C1의 처리를 종료한다.
(2-5) 접속 경로 Pμ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μ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μg에 관하여 처리를 행하면, (2-4)의 접속 경로 Pμg와 동양의 결과가 된다. 즉, 산출되는 라우팅 파라미터가 같으며, 새롭게 출력되는 라우팅 파라미터는 없다.
(2-6) 접속 경로 Pθ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θ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2-6-1) 접속 경로
접속 경로 Pθg 중의 기점 PLC인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하여 도 51B에 나타난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π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θ의 하나 전의 데이터(데이터 5)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의 네트워크 번호 「2」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1)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네트워크 번호 「1」을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4
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있어서 국 번호 「1」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여,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A의 행 502에 나타나 있다.
그 후,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5
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6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θ의 하나 전의 데이터(데이터 5)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22B)의 네트워크 번호 「2」를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7
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3)에 기재되는 정보계 네트워크 No.5의 네트워크 번호 「5」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8
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4)에 기재되는 PLC인 PLCβ의 정보계 네트워크 No.5에서의 국 번호 「2」를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B의 행 504에 나타나 있다.
그 후,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29
의 다음 다음 데이터가 기재되는 PLC인 PLCβ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하여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β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PLCβ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6-2) 역접속 경로
이어, 접속 경로 Pθg의 접속 경로 데이터 「PLCπ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0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β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θ」를 역순으로 한 「PLCθ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2 → PLCβ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1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π」를 역접속 경로 Pθg'로 한다. 그리고 이 역접속 경로 Pθg'에 있어서 기점 PLC인 PLCθ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β를 처리 대상으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β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π의 하나 전의 데이터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네트워크 번호 「1」을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β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3)에 기재되는 정보계 네트워크 No.5의 네트워크 번호 「5」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β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4)에 기재되는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2
의 정보계 네트워크 No.5에 있어서 국 번호 「1」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C의 행 506에 나타나 있다.
뒤이어, 처리 대상의 PLCβ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3
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4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θ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접속 경로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5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7) 접속 경로 Pκ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κ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κg에 관하여 처리를 행하면, (2-6)의 접속 경로 Pθg와 동양의 결과가 된다. 즉, 산출되 는 라우팅 파라미터가 같으며, 새롭게 출력되는 라우팅 파라미터는 없다.
(2-8) 접속 경로 Pω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ω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2-8-1) 접속 경로
접속 경로 Pωg 중의 기점 PLC인 PLCπ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하여 도 51B에 나타난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π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ω의 하나 전의 데이터(데이터 5)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네트워크 번호 「3」을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1)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네트워크 번호 「1」을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6
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있어서 국 번호 「1」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A의 행 503에 나타나 있다.
그 후, 처리 대상의 PLCπ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2)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7
를 처리의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8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ω의 하나 전의 데이터(데이터 5)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네트워크 번호 「3」을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39
의 다음 데이터(데이터 3)에 기재되는 정보계 네트워크 No.5의 네트워크 번호 「5」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0
의 다음 다음 데이터(데이터 4)에 기재되는 PLC인 PLCμ의 정보계 네트워크 No.5에 있어서 국 번호 「3」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B의 행 505에 나타나 있다.
그 후, 처리 대상의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1
의 다음 다음 데이터가 기재되는 PLC인 PLCμ를 처리의 대상 PLC로 하여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μ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PLCβ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8-2) 역접속 경로
이어, 접속 경로 Pωg의 접속 경로 데이터 「PLCπ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2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μ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 → PLCω」를 역순으로 한 「PLCω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 → PLCμ → 정보계 네트워크 No.5 →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3
→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 PLCπ」를 역접속 경로 Pωg'로 한다. 그리고 이 역접속 경로 Pωg'에 있어서 기점 PLC인 PLCω의 다음 다 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μ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μ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한다. 그 때문에, 종점 PLC인 PLCπ의 하나 전의 데이터에 기재되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의 네트워크 번호 「1」을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 처리 대상의 PLCμ의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정보계 네트워크 No.5의 네트워크 번호 「5」를 중계처 네트워크 번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처리 대상의 PLCμ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인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4
의 정보계 네트워크 No.5에 있어서 국 번호 「1」을,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로부터 취득하고, 중계처 국 번호로서 출력한다. 이 결과가 도 53D의 행 507에 나타나 있다.
이어, 처리 대상의 PLCμ의 다음 다음 데이터에 기재되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5
를 처리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C1 처리를 실행한다.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6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에서는 접속 경로 Pωg'에 관하여 종점 PLC까지에 다른 네트워크가 2개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접속 경로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7
를 처리 대상으로 한 C1 처리를 종료한다.
(2-9) 접속 경로 Pφg
도 52의 접속 경로로부터 접속 경로 Pφg를 선택하고, 이 접속 경로 Pφg에 관하여 처리를 행하면, (2-8)의 접속 경로 Pωg와 동양의 결과가 된다. 즉, 산출되는 라우팅 파라미터가 같으며, 새롭게 출력되는 라우팅 파라미터는 없다.
이와 같이 해서 구해진 도 53A ~ 도 54D의 라우팅 파라미터는 각각의 명칭에 표시된 PLC에 대해 설정된다. 즉, 도 53A는 PLCπ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고, 도 53B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8
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고, 도 53C는 PLCβ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고, 도 53D는 PLCμ에 설정되는 라우팅 파라미터이다.
본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사람 손에 의해 계산되어졌던 처리를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로 실행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수고를 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기존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추가 변경을 행하는 경우나 새롭게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PLC로의 라우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접속 경로가 표시되므로, 산출된 각 PLC의 라우팅 파라미터가 어느 접속 경로를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를 확인하기 쉬워진다는 효과도 갖는다.
실시 형태 7.
본 실시 형태 7에서는 이미 가동(稼動)하고 있는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에, 그에 따른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포함하여, 각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및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4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실시 형태 7의 기능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통신부(111), 표시부(112), 기점 PLC 지정부(113),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부(114), 온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15),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부(117), 시스템 구성 표시부(118),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 접속 경로 해석 선택부(123),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 접속 경로 표시부(120), 파라미터 일괄 갱신부(128)와, 이들 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9)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실시 형태 1의 구성과 실시 형태 6의 구성에, 쓰루풋 모델 홀딩부(124)를 삭제하여 파라미터 일괄 갱신부(128)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파라미터 일괄 갱신부(128)는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포함한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자동적으로 행한다. 이 때, 파라미터의 변경에 의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PLC에 대해 액세스 불능이 되지 않는 순서로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갱신을 행한다. 이 파라미터 일괄 갱신부(128)는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파라미터 일괄 갱신 수단에 대응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1) 처리의 개요
도 55A ~ 도 55B는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느 한 PLC에 접속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가동되고 있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451). 이하, 이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라고 한다.
이어, 취득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대해 파라미터의 변경을 오프라 인에서 편집하여(단계 S452),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작성한다. 이 때, 하나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으로 한다. 그 후, 오프라인에서 편집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한다(단계 S453).
이어,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편집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비교하여,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를 추출한다(단계 S454). 그리고 추출된 네트워크의 각 PLC에 대해, 도 55B에 나타난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455).
도 55B로 이행하여, 추출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PLC 중에서, 국번이 가장 큰 통상국 PLC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파라미터로 갱신한다(단계 S471). 이어, 이 네트워크의 관리국 PLC가 홀딩하고 있는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를 하나 줄이는 갱신 처리를 행한다(단계 S472).
그 후, 이 네트워크의 관리국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는 1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73). 관리국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가 1이 아닌 경우(단계 S473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단계 S471로 되돌아와, 관리국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가 1이 될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된다.
또, 관리국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가 1인 경우(단계 S473에서 예의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의 관리국 PLC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것으로 갱신하여(단계 S474), 파라미터 갱신 처리가 종료되어, 도 55A로 처리가 돌아온다.
도 55A로 되돌아와, 단계 S454에서 선택된 네트워크가 관련된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하고(단계 S456),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가 종료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실시 형태 6에서 산출된 도 53A ~ 도 53D의 라우팅 파라미터로 가동되고 있는 도 28에 나타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가동되고 있는 도 28에 나타난 제어 시스템의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하여,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한다.
이어, 실시 형태 4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관하여,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오프라인에서 변경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작성하고,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 격납한다. 또, 변경 후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 6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을 행한다. 도 56A ~ 도 56D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A의 행 513과 도 56B의 행 515에 있어서, 각각 도 53A의 503과 도 53B의 505의 전송처 네트워크 번호가 「3」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10」으로 변경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비교하여,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부분이,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된 것이 추출된다.
뒤이어, 변경이 있었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대해, 도 55B에 나타난 각 PLC의 파라미터의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가동되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 중에서 국번이 가장 큰 통상국 PLC인 PLCφ(국번 3)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것으로 갱신한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통상국의 국번 3」으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0.10의 통상국의 국번 3」으로 갱신 처리를 행한다.
이어, 가동되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관리국 PLC인 PLCμ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를 하나 줄여서 갱신한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총 국 수를 「3」으로부터 「2」로 갱신한다. 이로 인해,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은 PLCμ와 PLCω가 접속된 상태로 동작하고 있지만, PLCφ는 물리적으로는 접속하고 있으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국으로서는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관리국 PLC인 PLCμ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는 「1」이 아닌 「2」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PLC 중에서 국번이 가장 큰 통상국 PLC인 PLCω(국번 2)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것으로 갱신한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통상 국의 국번 2」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의 통상국의 국번 2」로 갱신 처리를 행한다.
뒤이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관리국 PLC인 PLCμ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를 하나 줄인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총 국 수를 「2」로부터 「1」로 갱신한다. 이로 인해,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은 PLCμ만이 접속된 상태로 동작하고 있고, PLCω와 PLCφ는 물리적으로는 접속하고 있으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국으로서는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접속하는 관리국 PLC인 PLCμ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총 국 수는 「1」이기 때문에, 이 관리국의 PLCμ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것으로 갱신한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의 관리국 국번 1」로부터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의 관리국 국번 1」로 갱신한다. 이로 인해, 이 시점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되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에는 PLCμ와 PLCω와 PLCφ가 접속된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 이상으로 도 55B의 각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변경이 있었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이 관련된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은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이에 따라 새롭게 자동 산출된 도 56A ~ 도 56D에 나타난 라우팅 파라미터 중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에 관련된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즉, PLCπ에 대해, 도 56A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 미터 Pπq를 기입하고,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49
에 대해 도 56B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 P
Figure 112009073772627-PCT00050
q를 기입한다. 그리고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는 이외에 없으므로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 형태 7에 의하면,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에, 라우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을 자동적으로 변경이 있는 PLC에 기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서,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시에는 변경을 행하는 각 PLC에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를 접속하여, 각각에 새로운 설정을 기입할 필요가 있어 매우 수고로웠지만, 본 실시 형태 7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각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 7에서는 이미 가동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유효한 방법이지만, 본 실시 형태 8에서는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네트워크에 대해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경우에서도, 각각의 변경에 대해 차례로 실시 형태 7을 적용하면,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포함하여, 각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을 복수 회 행할 필요가 있는 PLC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갱신 작업은 자동적이기는 하지만 효율적이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 8에서는 이것을 일괄하여 행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와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8에서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의 구성은 실시 형태 7의 도 54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단, 파라미터 일괄 갱신부(128)는 가장 먼저 라우팅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갱신을, 기점 PLC에 가장 먼 네트워크로부터 기점 PLC를 향하여 차례로 행하고, 그 후에,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을 기점 PLC에 가장 가까운 PLC로부터 차례로 안쪽의 네트워크의 PLC를 향하여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파라미터 갱신 중의 통신 불능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1) 처리의 개요
도 57A ~ 도 57B는 복수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느 한 PLC에 접속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100)는 가동되고 있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11). 이 결과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된다.
뒤이어, 취득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대해 파라미터의 변경을 오프라인에서 편집하여(단계 S512), 그 결과가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 격납된다. 이 때,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으로 한다. 그 후, 오프라인에서 편집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 처리를 행한다(단계 S513).
뒤이어, 단계 S511에서 취득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단계 S512에서 편집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비교하여,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를 추출한다(단계 S514).
그 후, 추출된 네트워크 중,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격납되어 있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기점 PLC로부터의 접속 경로가 가장 멀리 있는 네트워크를 하나 선택하고(단계 S515), 도 55B에 나타나는 선택한 네트워크의 각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516). 또한, 이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는 실시 형태 7에서 이미 설명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515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에 대해 도 53B의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S514에서 추출한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 전부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17).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 전부를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17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추출한 네트워크 중 기점 PLC로부터 그 다음으로 멀리 있는 네트워크를 하나 선택한다(단계 S518). 그리고 단계 S516으로 되돌아와서,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 전부를 기점 PLC로부터의 접속 경로가 멀리 있는 순서로 선택할 때까지 상술한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 전부를 선택한 경우(단계 S517에서 예인 경우)에는 도 57B의 라우팅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행한다(단계 S519).
도 57B로 이행하여,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갱신 처리를 행한 네트워크가 관련하는 PLC 중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 PLC를 추출한다(단계 S531). 추출한 PLC 중에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홀딩되어 있는 접속 경로가 짧은 PLC로부터 차례로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한다(단계 S532). 이상에 의해 라우팅 파라미터 갱신 처리가 종료되고,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가 종료된다.
(2) 처리의 구체적인 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복수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의 개요를 기술한 것이므로, 이 처리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실시 형태 6에서 산출된 도 53A ~ 도 53D의 라우팅 파라미터로 가동되고 있는 도 28에 나타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9로 변경하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가동되고 있는 도 28에 나타나는 제어 시스템의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16)에 격납한다.
뒤이어, 실시 형태 4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시스템 구성 편집부(121)에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9로,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각각 오프라인에서 변경한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홀딩부(122)에 격납한다. 또, 변경 후의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 6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을 행한다. 도 58A ~ 도 58D는 제어 시스템의 구성 변경 후 라우팅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후,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비교하 여,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No.3의 부분이,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9, No.10에 각각 변경되었던 것이 추출된다.
뒤이어, 변경이 있었던 각각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 대해, 도 55B에 나타난 각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즉, 최초로 변경이 있었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에 대해 각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행하고, 뒤이어 변경이 있었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에 대해 각 PLC의 파라미터 갱신 처리를 행한다.
그 후, 도 57B에 나타난 변경이 있었던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 No.3에 관련된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 처리를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한다.
우선, 새롭게 산출된 도 58A ~ 도 58D의 라우팅 파라미터 중에서,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 PLC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9로 변경되고,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이것들을 포함하는 현재 가동되고 있는 도 53A ~ 도 53D에 나타나는 모든 라우팅 파라미터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 즉, PLCπ에 대해 도 58A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하고,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51
에 대해 도 58B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하고, PLCβ에 대해 도 58C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하고, PLCμ에 대해 도 58D에 나타난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 Pμq를 기입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라우팅 파라미터의 기입 처리를 행할 때에, 이들 PLC 중에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홀딩되고 있는 접속 경로가 짧은 것부터 차례로 라우 팅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에 홀딩되고 있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는 오프라인에서 편집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에 대해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할 때에 사용된 접속 경로이다. 여기서는 직접 접속하고 있는 PLCπ가 가장 접속 경로가 짧으므로, 맨 먼저 PLCπ에 대해 도 58A의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한다.
그 후,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125)를 참조하여, 이 중에서 가장 접속 경로가 짧은 것을 추출한다. 이 중에서 가장 접속 경로가 짧은 PLC는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52
이다. 그 때문에, 뒤이어 PLC
Figure 112009073772627-PCT00053
에 대해 도 58B의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한다.
동양으로, 뒤이어 접속 경로가 짧은 것은 PLCβ 및 PLCμ이고, PLCβ에 대해 도 58C의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하고, PLCμ에 대해 58D의 새로운 라우팅 파라미터를 기입한다. 이상에 의해,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 처리 및 복수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일괄 갱신 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PLC에 대해 차례로 실시 형태 7의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포함하여, 각 PLC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을 복수 회 행할 필요가 있는 PLC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즉,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9로 바뀐 것을 반영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PLCπ에 기입한 후,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3이 컨트롤러간 네트워크 No.10으로 바뀐 것을 반영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재차 PLCπ에 기입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일괄하여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네 트워크 파라미터의 변경과 관련된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각 PLC에 기입하는 작업이 효율화된다.
본 실시 형태 8에 의하면, 오프라인에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2 이상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에도, 맨 먼저 기점 PLC로부터 접속 경로가 먼 네트워크로부터 차례로 네트워크 파라미터만을 변경하고, 그 후에 기점 PLC로부터 접속 경로가 가까운 차례로 라우팅 파라미터를 변경하도록 했으므로, 네트워크 파라미터의 갱신을 한꺼번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1 ~ 8에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가 제어 장치로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외에, 수치 제어 장치나 모션 컨트롤러, 로봇 컨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도 동양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방법은 그 처리 순서를 기입한 프로그램을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가지는 퍼스널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의 CPU(제어 수단)가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프로그램 작성 지원 방법의 각 처리 공정을 실행하게 된다. 이들의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CD(Compact Disk)-ROM(Read Only Memory), MO(Magneto-Optical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Digital Video Disk) 등의 컴퓨터로 독취(讀取)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됨으로써 실행된다. 또, 이러한 프로그램 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 회선)를 통하여 배포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는 생산 설비 등에 마련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이나 접속 경로의 파악에 유용하다.

Claims (19)

  1. 복수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제어 시스템 중 하나의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과 접속한 상기 제어 장치를 기점 제어 장치로서 지정하는 기점 제어 장치 지정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이 제어 장치가 소지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 및 상기 제어 장치가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오브젝트(object)로 하여,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서 얻어진 각 제어 장치의 구성과, 각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의 접속 관계를,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좌표를 산출하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과,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오브젝트와 상기 좌표로부터, 상기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은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네트워크를 추출하고, 추출한 네트워크를 직사각 형상의 네트워크 그리드로서 소정의 규칙으로 상하로 배치하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과,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제어 장치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그리드의 하위에 직사각 형상의 제어 장치 그리드를 배치하고, 접속 관계가 있는 네트워크 그리드에 대해 윗쪽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의 배선 그리드를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와 상기 네트워크 그리드 사이에 배치하여 그리드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과,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상기 제어 장치의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그리드 모델 중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의 사이즈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 장치의 사이즈에 맞추어 관계하는 배선 그리드와 네트워크 그리드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그리드 사이즈를 산출하는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과,
    상기 그리드 모델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그리드 사이즈를 사용하여 상기 그리드 모델 중 각 그리드의 좌표를 산출하는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의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은 제어 장치의 증설 베이스 장착의 유무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수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 그리드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를 상기 유닛 의 수분(數分)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은 상기 제어 장치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실제의 유닛의 종류에 대응시켜,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에 형성된 각 영역에 유닛의 종류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은 추출한 네트워크를 종류마다 분류하고, 분류한 네트워크 종류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어 장치 중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하위에 배치하고,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만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상위에 배치하고, 다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상위에 배치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어 장치 그리드를 보다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은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시스템 중 각 제어 장치까지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수집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각 제어 장치까지 의 온라인 접속 경로를 사용하여,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각 제어 장치까지의 온라인 접속 경로를 상기 시스템 구성에 겹쳐 표시하는 접속 경로 표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6. 복수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구성과, 상기 제어 장치의 네트워크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가 오프라인에서 편집되는 시스템 구성 편집 수단과,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제어 장치의 구성과 각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의 접속 관계를, 상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표시 수단 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좌표를 산출하는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과,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오브젝트와 상기 좌표로부터 상기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은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네트워크를 추출하고, 추출한 네트워크를 직사각 형상의 네트워크 그리드로서 소정의 규칙으로 상하로 배치하는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과,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로부터 제어 장치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그리드의 하위에 직사각 형상의 제어 장치 그리드를 배치하고, 접속 관계가 있는 네트워크 그리드에 대해 윗쪽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의 배선 그리드를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와 상기 네트워크 그리드 사이에 배치하여 그리드 모델을 생성하는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과,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의 상기 제어 장치의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그리드 모델 중의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의 사이즈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 장치의 사이즈에 맞추어 관계되는 배선 그리드와 네트워크 그리드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그리드 사이즈를 산출하는 그리드 사이즈 산출 기능과,
    상기 그리드 모델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그리드 사이즈를 사용하여 상기 그리드 모델 중의 각 그리드의 좌표를 산출하는 그리드 좌표 산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 좌표 산출 수단의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은 제어 장치의 증설 베이스의 장착 유무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유닛의 수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 그리드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를 상기 유닛의 수분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 수단은 상기 제어 장치의 베이스에 장착되는 실제의 유닛의 종류에 대응시켜,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에 형성한 각 영역에 유닛의 종류 명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그리드 배치 기능은 추출한 네트워크를 종류마다 분류하여, 분류한 네트워크 종류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어 장치 중 필드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하위에 배치하고, 다른 정보계 네트워크만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상위에 배치하고, 다른 컨트롤러간 네트워크에도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수 또는 비율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상위에 배치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 장치 그리드 배치 기능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어 장치 그리드를 보다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 장치 중에서, 기점 제어 장치를 지정하는 기점 제어 장치 지정 수단과,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 제어 장치로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해석하고, 선택하는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과,
    상기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홀딩하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과,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상기 시스템 구성에 겹쳐 표시하는 접속 경로 표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종류마다의 통신 쓰루풋 및 제어 장치의 통신 쓰루풋과, 상기 통신 쓰루풋을 사용한 쓰루풋 평가값의 계산 방법을 포함하는 쓰루풋 모델을 홀딩하는 쓰루풋 모델 홀딩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은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 각 제어 장치로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쓰루풋 평가값을 산출함과 아울러, 하나의 제어 장치로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최량(最良)의 쓰루풋 평가값을 가지는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 선택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 각 제어 장치를 기점으로 한 경우의 각 제어 장치로의 쓰루풋 모델에 기초한 최량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의 쓰루풋 평가값을, 상기 제어 시스템 전체 합계한 합계 쓰루풋 평가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계 쓰루풋 평가값이 최량인 것을 최적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로서 선택하는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은 상기 최적 접속 경로 산출 수단에 의해 선택된 최적의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은 정보 수집이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제약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중 각 제어 장치까지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구하고,
    상기 접속 경로 표시 수단은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에서 도달 가능한 제어 장치와,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작성할 수 없었던 도달 불가능한 제어 장치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 중의 각 오프라인 접속 경로에 대해,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종점 제어 장치까지의 사이에 네트워크가 2 이상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상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사이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종점제어 장치까지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 중의 각 오프라인 접속 경로 중의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종점 제어 장치까지의 사이에 네트워크가 2 이상 접속되는 경우에, 전송처 네트워크와,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상의 상기 제어 장치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다음에 존재하는 중계처 네트워크와, 상기 중계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중계를 행하는 중계 제어 장치를 추출하고,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상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사이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은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홀딩 수단에 홀딩되는 각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역순으로 한 역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생성하고, 이 역오프라인 접속 경로에 대해서도 라우팅 파라미터의 산출을 행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7. 복수의 제어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제어 시스템 중 하나의 제어 장치와 접속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에 접속한 상기 제어 장치를 기점 제어 장치로서 지정하는 기 점 제어 장치 지정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 장치로부터, 이 제어 장치가 소지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 및 상기 제어 장치가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수집하는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 수집 수단에서 수집된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오프라인에서 편집하여,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 구성 편집 수단과,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각 제어 장치로의 오프라인 접속 경로를 해석하고, 선택하는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과,
    상기 접속 경로 해석 선택 수단에서 선택되는 각 오프라인 접속 경로에 대해,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종점 제어 장치까지의 사이에 네트워크가 2 이상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오프라인 접속 경로 상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사이를 접속하는 제어 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종점 제어 장치까지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라우팅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과,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비교하여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제어 장치의 파라미터를 차례로 변경한 후, 라우팅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 제어 장치 중, 상기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에 관계하는 라우팅 파라미터를, 상기 라우팅 파라미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라우팅 파라미터로 갱신하는 파라미터 일괄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일괄 갱신 수단은 상기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의 통상국의 제어 장치에 대해 국 번호가 큰 제어 장치로부터 차례로 파라미터를 변경하고, 마지막으로 관리국의 제어 장치의 파라미터를 변경한 후에, 라우팅 파라미터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일괄 갱신 수단은 상기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에 변경이 있었던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상기 기점 제어 장치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네트워크의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기점 제어 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차례로 파라미터의 변경을 행하고, 라우팅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상기 기점 제어 장치에 가까운 제어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례로 라우팅 파라미터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KR1020097024970A 2007-05-31 2007-05-31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KR10103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1060 WO2008146380A1 (ja) 2007-05-31 2007-05-31 制御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51A true KR20100005151A (ko) 2010-01-13
KR101038882B1 KR101038882B1 (ko) 2011-06-02

Family

ID=4007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970A KR101038882B1 (ko) 2007-05-31 2007-05-31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06903B2 (ko)
JP (1) JP5094856B2 (ko)
KR (1) KR101038882B1 (ko)
CN (1) CN101681157B (ko)
DE (1) DE112007003526T5 (ko)
TW (1) TWI352884B (ko)
WO (1) WO2008146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0790B2 (en) * 2007-03-12 2013-08-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8359388B2 (en) * 2008-06-30 2013-01-22 Zte Corporation RACF system and equipment having dynamic discovering function in next generation network
DE112009004593T5 (de) * 2009-03-25 2013-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Parametereinstelleinrichtung
JP5206570B2 (ja) * 2009-04-22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電源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源管理システム
US8712023B2 (en) * 2010-11-23 2014-04-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and graphically represen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elecommunications circuit
CN103250110B (zh) * 2010-12-09 2016-11-16 三菱电机株式会社 工业用自动诊断装置
JPWO2012086027A1 (ja) * 2010-12-22 2014-05-22 富士通株式会社 構成図作成装置および構成図作成プログラム
EP2533549A1 (en) * 2011-06-07 2012-12-12 Alcatel Lucent Fault detector for optical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JP5611158B2 (ja) * 2011-09-05 2014-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中継制御装置、リンク間転送設定支援装置およびリンク間転送設定方法
DE112012005611B4 (de) * 2012-02-24 2016-0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ystem-Architektur-Unterstützungswerkzeug
WO2013131573A1 (en) * 2012-03-08 2013-09-12 Abb Technology Ag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device data and network of an industrial plant in one display
WO2013150618A1 (ja) * 2012-04-04 2013-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Plc設計装置
WO2014054160A1 (ja) * 2012-10-04 2014-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管理装置
WO2014155627A1 (ja) 2013-03-28 2014-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
WO2014181466A1 (ja) * 2013-05-10 2014-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6318500B2 (ja) * 2013-08-29 2018-05-09 オムロン株式会社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10203681B2 (en) 2013-11-20 2019-02-12 Mist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quence-program-creation supporting apparatus
US9922030B2 (en) * 2014-12-15 2018-03-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formation-system-construction support tool and information-system-construction support program
DE102015103727A1 (de) * 2015-03-13 2016-09-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Projektiergerät und Verfahren zum Konfigurieren und/oder Parametrieren von Automatisierungskomponenten eines Automatisierungssystems
JP2017111563A (ja) * 2015-12-15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8426B2 (ja) * 2016-12-27 2021-03-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11469951B2 (en) 2017-03-29 2022-10-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etwork-configuration-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249590B (zh) 2017-04-04 2020-10-27 三菱电机株式会社 控制系统及路径信息生成方法
US10972358B2 (en) 2017-08-30 2021-04-06 Citrix Systems, Inc. Inferring congestion and signal quality
WO2021048921A1 (ja) * 2019-09-10 2021-03-18 株式会社Fuji ライン生産設備
DE102019131622A1 (de) * 2019-11-22 2021-05-27 Beckhoff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tomatisierungssystems und Dateninfrastruktur
CN112241141B (zh) * 2020-11-12 2022-08-09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Plc控制系统的硬件配置方法、系统、设备及介质
US11582107B1 (en) * 2021-07-23 2023-02-14 Dell Products L.P. Method to configure a complex collection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968A (ja) 1992-10-09 1994-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とネットワーク構成管理方式
US5838907A (en) 1996-02-20 1998-11-1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nfiguration manager for network device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reto
JPH117421A (ja) 1997-06-19 1999-01-12 Oki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ミュレータ
US6282175B1 (en) 1998-04-23 2001-08-28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tracking configuration changes in networks of computer systems through historical monitoring of configuration status of devices on the network.
JP3587099B2 (ja) 1999-06-04 2004-11-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
US7024419B1 (en) * 1999-09-13 2006-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Network visualization tool utilizing iterative rearrangement of nodes on a grid lattice using gradient method
US6449715B1 (en) 1999-10-04 2002-09-1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Process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for use with a profibus device network
DE10008430A1 (de) 2000-02-23 2001-08-30 Maxpert Ag Konfigurations-Dokumentation in Computer-Netzwerken
US6880127B1 (en) * 2000-08-28 2005-04-12 Sanavigator, Inc. Method for routing connections in the display of a network topology
US7010753B2 (en) 2000-10-27 2006-03-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icipating drop acceptance indication
KR100524361B1 (ko) 2001-03-29 2005-10-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툴
WO2002080467A1 (fr) * 2001-03-29 2002-10-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US20030112958A1 (en) * 2001-12-13 2003-06-19 Luc Beaudoin Overlay view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network topology
US20040117166A1 (en) * 2002-12-11 2004-06-17 Cesar Cassiolato Logic arran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and simulation of a fieldbus network layout
US7315985B1 (en) * 2002-12-31 2008-01-01 Em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using a network topology view
US7460865B2 (en) * 2003-06-18 2008-12-0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elf-configuring communication networks for use with process control systems
JP3827092B2 (ja) 2003-10-22 2006-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設定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設定方法ならびに設定プログラム
JP2006277734A (ja) 2005-03-01 2006-10-12 Omron Corp ネットワーク構成図表示装置
US7587675B2 (en) * 2006-02-28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map
US7681130B1 (en) * 2006-03-31 2010-03-16 Em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etwork data
US7675862B2 (en) * 2006-08-17 2010-03-09 Belkin International, Inc. Networking hardware element to couple computer network elements and method of displaying a network layout map thereon
US20080209333A1 (en) * 2007-02-23 2008-08-28 Skypilot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6903B2 (en) 2013-03-26
CN101681157A (zh) 2010-03-24
JP5094856B2 (ja) 2012-12-12
CN101681157B (zh) 2012-07-18
KR101038882B1 (ko) 2011-06-02
DE112007003526T5 (de) 2010-09-02
JPWO2008146380A1 (ja) 2010-08-12
TW200846858A (en) 2008-12-01
US20100205535A1 (en) 2010-08-12
TWI352884B (en) 2011-11-21
WO2008146380A1 (ja)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882B1 (ko)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링 장치
US6606528B1 (en) Method for creating computer-aided design (CAD) solid models from numerically controlled (NC) machine instructions
US8620708B2 (en) Progress status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progress status management device
JP2016209969A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597377A (zh) 便于过程控制工厂中的图形显示设计工作流的系统和方法
US10534349B2 (en) Machining program edit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0108321A (ja) 建設状況可視化システム
CN103403720A (zh) 网络系统的设计辅助装置
CN105431848B (zh) 共通参数接口生成方法以及参数读入方法
JP2017213644A (ja) 教示装置、教示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教示方法、製造品の製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228387B2 (ja) 複数ロボットの作業教示方法および作業教示装置
CN108286978B (zh) 道路路网自动化生成方法和装置以及混合导航系统
CN105874511B (zh) 模拟设备
CN105074587A (zh) 系统开发装置、方法以及程序
CN102819231B (zh) 控制系统设计装置
JP2004046545A (ja) 立体形状データ変換装置および立体形状データ変換方法
KR101722610B1 (ko) 구조물의 소구역 단위의 물량 산출 장치 및 그의 물량 산출 방법
KR101818527B1 (ko)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역상자 관리 방법
Tah Virtual Planning and Knowledge‐based Decision Support
CN107908882A (zh) 一种墙体属性匹配系统、匹配方法及电子设备
JP7489339B2 (ja) 生産状況可視化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192152A1 (ja) プログラミング支援プログラム、プログラミング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ミング支援方法
JP2010182215A (ja) 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時系列地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4352941B2 (ja) 設計業務支援装置
Barbieri et al. Autonomous entities: a comparison between simulation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