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20U -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20U
KR20100004820U KR2020080014579U KR20080014579U KR20100004820U KR 20100004820 U KR20100004820 U KR 20100004820U KR 2020080014579 U KR2020080014579 U KR 2020080014579U KR 20080014579 U KR20080014579 U KR 20080014579U KR 20100004820 U KR20100004820 U KR 201000048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pattern paper
molded pattern
plate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861Y1 (ko
Inventor
박병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형무늬지를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성형무늬지가 권취되는 작동롤 유닛의 직경을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성있는 성형무늬지가 작동롤 유닛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거나 작동롤 유닛에 대한 압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성형무늬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성형무늬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성형무늬지의 교체 작업시 성형무늬지의 손상이 방지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80014579
성형무늬지, 권취롤, 가압성형, 작동롤 유닛

Description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Film Sheet Rolling Apparatus}
본 고안은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무늬지를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성형무늬지가 권취되는 작동롤 유닛의 직경을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성있는 성형무늬지가 작동롤 유닛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거나 작동롤 유닛에 대한 압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성형무늬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성형무늬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성형무늬지의 교체 작업시 성형무늬지의 손상이 방지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 및 특성을 갖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중 일부의 제품 즉,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우더,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등은 화장품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접시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며, 상기의 내부접시는 화장품의 케이스에 의한 최종 생산공정 전에 내용물의 충전과 압축 및 오일 제거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 각각의 공정을 매우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품은 대부분 오일리하거나 그렇지 않은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 원료를 내부접시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부분 고형으로 압축되어 생산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분말원료는 일반적으로 탈크,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분말, 폴리메칠매타크릴레이크, 세리사이트, 카올린, 이연화, 옥시염화비스머스 등과 같은 기재에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색소 및 상기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인더는, 실리콘계 오일류, 탄화수소계 오일류, 고급 지방산계 오일류, 고급알콜계 오일류, 에스테르계 오일류, 글리세라이드계 오일류, 라놀린계 오일류, 동물성계 오일류, 식물성계 오일류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한 베이스의 점도는 항상 일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인 습식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의 기본색 베이스 점도가 15,000~25,000cps 인데 반해, 유동성 반죽의 점도는 20~50,000cps의 폭넓은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점도를 갖는 원료로부터 그 오일성분의 바인더를 제거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이크업용 화장품의 개략적인 생산과정을 살펴보면, 화장품 내부접시가 거치된 상태의 운반치구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한 이송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고, 운반치구의 이송과정 중에 오일리 한 원료의 투입공정과, 프레스에 의한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 및 오일 배출공정을 거치게 되고, 오일이 제거된 용기를 취출하여 완성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원료투입공정에서는 액체정량주입기가 사용되고, 액체정량주입기는 유동성 반죽 상의 베이스를 건밸브와 자동 디스펜서에 의해 토출시키는 것이며, 투입된 원료의 가압성형공정은, 그 용기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가압치구에 의해 용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원료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가압되는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오일성분은 강제 흡입기에 의해 인공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오일배출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가압성형공정에서의 장치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컨베이어장치(100)를 통해 비어있는 상태의 내부접시(110)가 제공되면, 상기의 내부접시(110)는 턴테이블(120)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운반되는 것인데, 상기의 턴테이블(120)에는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투입호퍼(130)와, 상기 투입호퍼(130)로부터 제공된 내용물을 가압성형하기 위한 프레스장치(140) 및 프레스장치(140)로부터 내용물이 가압 성형된 상태의 내부접시(110)를 배출시키기 위한 또 다른 컨베이어장치(15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상기 프레스장치(140)는 유압이나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141)의 하단에 내부접시(110)의 내경 또는 내부형상과 일치하는 성형펀치(14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의 성형펀치(142)의 하측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권취롤(143)(143')로부터 이송되는 성형무늬지(144)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주입된 상태의 내부접시(110)가 프레스장치(140)의 하측으로 이동되면 도 1의 도시와 같은 상기 실린더(141)의 작동을 통해 성형펀치(142)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하강하는 성형펀치(142)에 의해 내부접시 내의 내용물이 가압되며 견고한 고형의 상태가 되게 하면서도 매끄러운 상부 표면을 갖게 하는 것이며, 성형펀치(142)와 내용물의 사이에 위치하는 성형무늬지(144)를 통해 내용물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함과 동시에 가압과정에서 배출되는 내용물 내의 오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 성형 공정에서 가압 성형하는 내용물의 표면에 다른 무늬를 형성해야 하는 경우 사용 중인 성형무늬지(144)를 권취롤(143)(143')로부터 제거하고 다른 성형무늬지(144)로 교체해야 한다. 이때, 일반적인 권취롤(143)(14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중심축(143a)(143a') 외주면에 직접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중심축(143a)(143a')의 외주면에 압착되며 권취되는 성형무늬지(144)를 권취된 롤 상태에서 중심축(143a)(143a')으로부터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성형무늬지(144)는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중심축(143a)(143a')의 외주면에 더욱 압착되어 권취되므로 중심축(143a)(143a')으로부터 성형무늬지(144)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성형무늬지(144)의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교체 중에 작업자에 의해 성형무늬지(144)가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성형무늬지를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성형무늬지가 권취되는 작동롤 유닛의 직경을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성있는 성형무늬지가 작동롤 유닛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거나 작동롤 유닛에 대한 압착력을 현저히 감소시켜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성형무늬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성형무늬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성형무늬지의 교체 작업시 성형무늬지의 손상이 방지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화장품의 가압성형 제조과정에서 화장품의 내용물 표면에 입체 무늬 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성형무늬지(144)를 권취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있어서, 원판형의 고정플레이트(2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된 가이드로드(240)와, 상기 가이드로드(240)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판형의 작동플레이트(23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주 둘레에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작동롤 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에는 상기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홀(2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작동롤바(221)의 양단부에는 상기 경 사홀(2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돌기(22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돌기(223)가 상기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롤바(221)는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성형무늬지를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성형무늬지가 권취되는 작동롤 유닛의 직경을 증가 및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성있는 성형무늬지가 작동롤 유닛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거나 작동롤 유닛에 대한 압착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작동롤 유닛으로부터 성형무늬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성형무늬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성형무늬지의 교체 작업시 성형무늬지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화장품의 가압성형 제조과정에서 화장품의 내용물 표면에 입체 무늬 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성형무늬지(144)를 권취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있어서, 원판형의 고정플레이트(2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된 가이드로드(240)와, 상기 가이드로드(240)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판형의 작동플레이트(23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주 둘레에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작동롤 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 에는 상기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홀(2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작동롤바(221)의 양단부에는 상기 경사홀(2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돌기(22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돌기(223)가 상기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롤바(221)는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고정플레이트(210)와,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된 가이드로드(240)와, 가이드로드(240)에 관통 결합되도록 관통홀(231) 이 형성되어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판형의 작동플레이트(230)와,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주 둘레에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작동롤 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210)에는 화장품의 가압 성형 장치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211)이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고정플레이트(210) 및 이에 결합된 작동롤 모듈(220)이 회전하며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에는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홀(2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작동롤바(221)의 양단부에는 이러한 경사홀(2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돌기(223)가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돌기(223)의 경사면이 경사홀(233)의 경사면에 접촉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돌기(223) 및 경사홀(233)에는 상호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경사돌기(223) 및 경사홀(233)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돌기(223)는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다수개의 작동롤바(221)는 작동플레이트(2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작동롤바(221)는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동롤 모듈(220)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정상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게 유지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작동롤바(221)를 외측 둘레에서 탄성력을 통해 감싸는 텐션와이어(2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과정 중의 정상상태에서는 텐션와이어(222)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이후 설명할 성형무늬지(144)의 제거시 작동플레이트(230)의 이동에 따라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는,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면 중앙부에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단부는 작동플레이트(230)의 중앙부를 관통하며 작동플레이트(230)에 나사 결합되는 작동로드(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작동로드(250)와 작동플레이트(230)의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해 작동플레이트(230)가 작동로드(250)의 회전에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동플레이트(230)의 중심부에는 나사산(S)이 형성된 결합홀(232)이 형성되고 작동로드(250)의 일부 구간에는 이러한 결합홀(232)을 통해 작동플레이 트(2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나사산(S)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작동로드(250)의 선단부에는 작동로드(250)의 회전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270)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작동플레이트(230)가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고정플레이트(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수평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가이드로드(240)의 선단부에는 지지블록(260)이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지지블록(260)은 고정홀(261)을 통해 가이드로드(240)에 볼트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취롤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는 고정플레이트(210)와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의 간격(L)이 지지블록(260)에 의해 제한되는 거리만큼 최대한으로 증가된 상태로 설정된다. 이때, 작동롤 모듈(220)은 외측 둘레를 감싸는 텐션와이어(222)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롤바(221)의 경사돌기(223)가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반경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반경 방향으로 수축하는 형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210)와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의 간격은 최대로 증가하더라도 작동롤바(221)가 그 사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는 범위 이내로 제한될 수 있도록 지지블록(260)이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상상태에서 작동로드(250)가 회전하게 되면, 작동로드(250)와 나사 결합된 작동플레이트(230)는 가이드로드(240)에 의해 회전 구속되기 때문에 고정플 레이트(2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플레이트(230)가 수평 이동하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롤바(221)의 경사돌기(223)가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반경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롤 모듈(220)은 반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변경된다.
즉, 예를 들어 정상상태에서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와 고정플레이트(210)의 외측 둘레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만큼의 높이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라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롤 모듈(220)은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의해 X만큼의 높이가 증가하며 반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변경된다.
이후 다시 작동로드(25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작동플레이트(230)는 고정플레이트(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블록(260)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까지 이동하게 되고, 작동롤 모듈(220)은 텐션와이어(222)의 탄성력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는 형태로 복귀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동작되는 권취롤 장치에 대해 권취된 성형무늬지(144)를 제거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4의 (a)에는 정상상태의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에 성형무늬지(144)가 압착되며 권취된 상태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권취된 상태에서 성형무늬지(144)를 권취롤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을 증가시킨 후, 다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을 정상상태로 원상 복귀시킨다.
이때,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다시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로드(250)를 회전시켜 작동플레이트(230)를 수평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성형무늬지(144)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에 압착되어 권취되더라도 작동로드(250)의 회전을 통해 작동롤 모듈(220)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도 4의 (b)와 같이 X만큼 반경이 증가된 후 도 4의 (c)의 정상상태로 원상 복귀되면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와 성형무늬지(144)와의 간격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보다 작은 최소한 Y만큼의 이격이 발생되므로 성형무늬지(144)를 작동롤 모듈(22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와 성형무늬지(144)와의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작동롤 모듈(220)에 대한 성형무늬지(144)의 압착력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므로 성형무늬지(144)의 제거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는 작동롤 모듈(220)에 권취된 성형무늬지(144)를 교체하는 경우,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에 대한 직경이 증가 및 감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신축성이 있는 성형무늬지(144)가 작동롤 모듈(220)의 외측 둘레로부터 이격되어 용이하게 제거 교체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화장품 가압성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구조 및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고정플레이트 220: 작동롤 유닛
230: 작동플레이트 240: 가이드로드
250: 작동로드 260: 지지블록
270: 회전손잡이

Claims (3)

  1. 화장품의 가압성형 제조과정에서 화장품의 내용물 표면의 오일을 제거하거나 표면에 입체 무늬 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성형무늬지(144)를 권취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에 있어서,
    원판형의 고정플레이트(210);
    상기 고정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된 가이드로드(240);
    상기 가이드로드(240)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로드(24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원판형의 작동플레이트(23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어 외주 둘레에 성형무늬지(144)가 권취되는 작동롤 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0) 및 작동플레이트(230)에는 상기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홀(2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작동롤바(221)의 양단부에는 상기 경사홀(2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돌기(223)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기 경사돌기(223)가 상기 경사홀(23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롤바(221)는 상기 작동플레이트(2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롤 모듈(220)은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다수개의 작동롤바(221)가 정상 상태에서 반경 방향으로 수축되게 유지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작동롤바(221)를 외측에서 탄성력을 통해 감싸는 텐션와이어(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223) 및 경사홀(233)은 원뿔 형태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KR2020080014579U 2008-10-31 2008-10-31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KR200451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79U KR200451861Y1 (ko) 2008-10-31 2008-10-31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79U KR200451861Y1 (ko) 2008-10-31 2008-10-31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20U true KR20100004820U (ko) 2010-05-11
KR200451861Y1 KR200451861Y1 (ko) 2011-01-17

Family

ID=4424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79U KR200451861Y1 (ko) 2008-10-31 2008-10-31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313B1 (ko) * 2022-10-07 2023-09-07 (주)원터치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806Y1 (ko) * 1983-11-30 1985-11-25 이상훈 필림 권취 안내로울러 장치
KR20020041848A (ko) * 2000-11-29 2002-06-05 박종섭 화학 기계적 연마장치
KR200241848Y1 (ko) 2001-05-18 2001-10-15 정경림 권취용 지관 고정장치
JP3632175B2 (ja) 2001-10-10 2005-03-23 喜三 高荷 クランプ機構及びこのクランプ機構を利用する巻取軸
KR100698406B1 (ko) 2005-12-08 2007-03-23 김병화 권취용 보빈의 고정방법 및 그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313B1 (ko) * 2022-10-07 2023-09-07 (주)원터치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861Y1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36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ablets
DE602004013157T2 (de) Vorrichtung zum dosieren und herstellen von filterbeuteln für aufbrühbare produkte
US3205837A (en) Apparatus for producing edible dough products
EP0715814B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ereal aggregates on an industrial scale
EP3470216B1 (en) Pressure granulation machine for molded products
US20120139164A1 (en) Powder compac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powder compact
KR20060117653A (ko)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이를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조방법
ITBO20000256A1 (it) Apparecchiatura a giostra per la fabbricazione , mediante stampaggio a pressione , di capsule in materiale plastico .
KR200451861Y1 (ko)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KR100932109B1 (ko) 화장품용 파우더접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101600564B (zh) 颗粒状物料的挤压成型方法及挤压成型设备
US4887409A (en) Method for means for making segmented cosmetic articles
KR200449510Y1 (ko) 성형펀치의 위치 조정수단을 갖는 화장품 제조용가압성형장치
EP3384776B1 (de) Vorrichtung zum formen von teigstücken zu teigprodukten
DE102018107131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isformlingen
KR100417734B1 (ko) 화장용 분말의 자동압축 성형장치
US20934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lastic material
KR100878462B1 (ko) 다색 및 단색 파우더 화장품 성형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E1092400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ckerwuerfeln oder -broten
KR200457993Y1 (ko) 성형무늬지 보호수단을 갖는 화장품 제조용 가압성형장치
KR200258865Y1 (ko) 화장용 분말의 자동압축 성형장치
SU10729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трубчатых изделий из порошка
AT97408B (de) Maschine zum Pressen von Zucker od. dgl.
SU9505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из порошка брикетов с отверсти ми
DE19815081A1 (de) Tabletten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