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313B1 -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 Google Patents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313B1
KR102575313B1 KR1020220128225A KR20220128225A KR102575313B1 KR 102575313 B1 KR102575313 B1 KR 102575313B1 KR 1020220128225 A KR1020220128225 A KR 1020220128225A KR 20220128225 A KR20220128225 A KR 20220128225A KR 102575313 B1 KR102575313 B1 KR 10257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link
auxili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원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터치 filed Critical (주)원터치
Priority to KR102022012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를 제공한다. 상기 코일회전대는 로드; 상기 로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COIL ROTATING TABLE FOR ROLL COIL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OUTER DIAMETER OF SHAFT}
본 발명은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은 롤에 권취된 상태에서 권출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생산라인으로 공급(피딩)되며, 특히, 코일을 용접하는 용접라인 등 연속 생산 작업을 수행하는 라인에서는 생산코일이 모두 권출되면 대기코일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롤코일은 코일회전대의 샤프트에 장착된 상태로 코일회전대의 회전에 의해 권출되며, 생산코일을 대기코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코일회전대의 샤프트에 장착된 생산코일을 제거하고 대기코일을 리프트시킨 다음 새롭게 장착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팩토리는 제품의 가공/생산과 포장과 기계를 점검하는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공장으로서, 전통적인 인적리소스 기반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공장에 로봇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이뤄지는 차세대 4차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힌다.
만약, 코일회전대의 샤프트의 외경을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면, 코일롤의 장착과 해제가 자동으로 편리하게 이뤄져 별도의 인적리소스의 필요가 없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코일롤의 홀에 맞추어 조절되는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는 로드; 상기 로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샤프트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로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에는 외부의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메인 유압 라인과, 상기 메인 유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실린더 유압 라인과, 상기 메인 유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유압실린더와 연겨되는 제2실린더 유압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은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유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메인링크와,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링크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메인링크와, 상기 제2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링크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메인링크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메인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보조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1메인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메인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링크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메인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보조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메인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전방 이동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의 고정에 의해 상기 제1메인링크의 경사도와 상기 제1보조링크의 경사도가 증가하며,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전방 이동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의 고정에 의해 상기 제1메인링크의 경사도와 상기 제1보조링크의 경사도가 증가하여,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는 메인브라켓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복수의 파트로 나누어진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어, 코일의 교체 시 필요에 따라 외경의 확장과 축소가 가능하여 코일의 교체가 용이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코일의 홀의 상호 다른 직경에 맞추어 변경되어 범용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유압 동력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메인브라켓을 전방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메인브라켓이 실시간으로 균등하게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독립적으로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작동 시의 오차(복수의 브라켓이 연동되지 않아 경사가 발생하는 결함 등)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며의 코일회전대는 이동자인 메인브라켓과 고정자인 보조브라켓 및 메인브라켓과 샤프트를 연결하는 메인링크와 보조브라켓과 메인링크를 연결하는 보조링크에 의해, 메인브라켓의 이동 시 메인링크와 보조링크의 교차 구조에 의한 샤프트의 지지에 의해 샤프트의 경방향 내측 이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에서 샤프트와 링크 중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탄성체 미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탄성체 미도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에서 샤프트와 링크 중 일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탄성체 미도시), 도 3은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탄성체 미도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는 언코일의 구성요소로서 코일롤이 장착되며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코일롤이 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는 관리자의 조작이나 자동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하여 외경이 확장되거나 축소됨으로써, 코일롤의 장착과 해제가 편리하며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코일롤의 홀에 맞추어 조절되는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는 로드(10), 샤프트(20), 브라켓(30), 링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0)는 연장된 막대 형태로서 로드(10)에는 브라켓(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드(10)는 외부의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로드(10)의 회전과 연동되어 샤프트(20)가 회전함으로써, 샤프트(20)에 장착된 코일롤이 권출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코일롤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경방향 외측에 로드(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브라켓(30)은 로드(10)에 배치되어 로드(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프트(20)의 외경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링크(40)는 브라켓(30)과 샤프트(20)를 연결하여 브라켓(30)의 이동에 의한 샤프트(20)의 외경이 조절되는 구동 시, 브라켓(30)과 샤프트(20)의 구동을 연동하는 동시에 샤프트(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30)은 로드(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브라켓(31)과, 로드(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31)은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1메인브라켓(31-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보조브라켓(31-2)과,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1보조브라켓(3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31-3)와, 제1메인브라켓(31-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유압실린더(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브라켓(32)은 제2메인브라켓(32-1)과, 제2메인브라켓(3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보조브라켓(32-2)과, 제2메인브라켓(32-1)과 제2메인브라켓(32-2)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체(32-3)와, 제2메인브라켓(32-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유압실린더(3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2메인브라켓(32-1)은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자이며, 제1보조브라켓(31-2)과 제2보조브라켓(32-2)은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일 수 있다.
한편, 로드(10)에는 외부의 유압액추에이터(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메인 유압 라인(11)과, 메인 유압 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유압실린더(31-4)와 연결되는 제1실린더 유압 라인(12)과, 메인 유압 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제2유압실린더(32-4)와 연결되는 제2실린더 유압 라인(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드(10)의 말단에는 메인 유압 라인(11)과 외부의 유압액추에이터를 연결하기 위한 로타리 조인트(11-1)과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유압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액추에이터의 미작동 시,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2메인브라켓(32-1)은 제1탄성체(31-3)와 제2탄성체(32-3)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유압액추에이터의 작동 시(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2메인브라켓(32-1)은 메인 유압 라인(11)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실린더 유압 라인(12)과 제2실린더 유압 라인(13)을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독립적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제1유압실린더(31-4)와 제2유압실린더(32-4)에 의해 독립적으로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유압 동력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메인브라켓을 전방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메인브라켓이 실시간으로 균등하게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독립적으로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작동 시의 오차(복수의 브라켓이 연동되지 않아 경사가 발생하는 결함 등)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의 작동과 관련하여 유압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의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가 균등한 범주로 설계변경하는 경우까지도 포함하는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에서는 상술한 유압액추에이터를 대체하여 공압액추에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는 공압에 의한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다.
링크(40)는 제1브라켓(31)과 샤프트(20)를 연결하는 제1링크(41)와, 제2브라켓(32)과 샤프트(20)를 연결하는 제2링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41)는 제1메인브라켓(31-1)과 샤프트(20)를 연결하는 제1메인링크(41-1)와, 제1보조브라켓(31-3)과 제1메인링크(41-1)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42)는 제2메인브라켓(32-1)과 샤프트(20)를 연결하는 제2메인링크(42-1)와, 제2보조브라켓(32-3)과 제2메인링크(42-1)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링크(41-1)의 일단은 제1메인브라켓(31-1)과 힌지 연결되고 제1메인링크(41-1)의 타단은 샤프트(20)와 힌지 연결되어, 제1메인링크(41-1)는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링크(41-2)의 일단은 제1보조브라켓(31-3)과 힌지 연결되고 제1보조링크(41-2)의 타단은 제1메인링크(4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제1보조링크(41-2)는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링크(41-2)의 일단은 제2메인브라켓(32-1)과 힌지 연결되고 제2메인링크(42-1)의 타단은 샤프트(20)와 힌지 연결되어, 제2메인링크(42-1)는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보조링크(42-2)의 일단은 제2보조브라켓(32-3)과 힌지 연결되고 제2보조링크(42-2)의 타단은 제2메인링크(32-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제2보조링크(42-2)는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메인브라켓(31-1)의 전방 이동과 제1보조브라켓(31-3)의 고정에 의해 제1메인링크(31-1)의 경사도와 제1보조링크(31-3)의 경사도가 증가(상호 역방향 경사)할 수 있으며, 제2브라켓(32-1)의 전방 이동과 제2보조브라켓(31-3)의 고정에 의해 제2메인링크(32-1)의 경사도와 제2보조링크(32-3)의 경사도가 증가(상호 역방향 경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메인링크(31-1)와 제2메인링크(32-1)와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0)가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샤프트(20)의 외경이 축소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2메인브라켓(32-1)의 전방 이동에 의해 제1메인링크(31-1)와 제1보조링크(31-3)와 제2메인링크(32-1)와 제2보조링크(32-3)의 경사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샤프트(20)가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샤프트(20)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메인링크의 경사도의 변화 시 보조링크가 메인링크와 역방향 경사로 메인링크를 지지하기 때문에, 메인링크는 안정적으로 샤프트(20)를 지지하며 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위한 하중 분산을 위해, 샤프트(20)는 로드(10)의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도면의 경우 4개), 이에 따라, 링크(40)는 샤프트(2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도면의 경우 4개).
한편, 본 발명의 코일회전대(1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1보조브라켓(31-3)의 사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제1센서(미도시)와 제2메인브라켓(32-1)과 제2보조브라켓(32-3)의 사이의 제2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서(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조작이나 자동 제어에 의해 제1메인브라켓(31-1)과 제2메인브라켓(32-1)의 이동 시 제1거리와 제2거리의 차이가 특정값 이상인 경우, 유압 액추에이터가 고장이나 불량인 경우이므로 제1센서와 제2센서는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경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로드;
    상기 로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로드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로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은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2탄성체와,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에는 외부의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메인 유압 라인과, 상기 메인 유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와 연결되는 제1실린더 유압 라인과, 상기 메인 유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유압실린더와 연겨되는 제2실린더 유압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브라켓은 상기 제1탄성체와 상기 제2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유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회전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2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1메인링크와,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메인링크를 연결하는 제1보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는 제2메인링크와, 상기 제2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메인링크를 연결하는 제2보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회전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메인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메인링크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메인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1보조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1메인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메인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메인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링크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메인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의 일단은 상기 제2보조브라켓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메인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링크는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회전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브라켓의 전방 이동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의 고정에 의해 상기 제1메인링크의 경사도와 상기 제1보조링크의 경사도가 증가하며, 상기 제2메인브라켓의 전방 이동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의 고정에 의해 상기 제1메인링크의 경사도와 상기 제1보조링크의 경사도가 증가하여,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회전대.
KR1020220128225A 2022-10-07 2022-10-07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KR10257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25A KR102575313B1 (ko) 2022-10-07 2022-10-07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25A KR102575313B1 (ko) 2022-10-07 2022-10-07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313B1 true KR102575313B1 (ko) 2023-09-07

Family

ID=8797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225A KR102575313B1 (ko) 2022-10-07 2022-10-07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3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64Y1 (ko) * 2002-06-20 2002-12-12 김선철 모터 리프트장치
KR100847322B1 (ko) * 2007-05-14 2008-07-18 주식회사 티앤엑스 중공업 강판용 권취릴
KR20100004820U (ko) * 2008-10-31 2010-05-11 (주)아모레퍼시픽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KR20160076917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와 코일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101973542B1 (ko) * 2018-03-29 2019-04-29 박민하 전력관로의 내부 또는 내경 변형측정장치
KR20210116841A (ko) * 2020-03-17 2021-09-28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선박 추진축 내경 가공장치
KR20220115279A (ko) * 2021-02-10 2022-08-17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언코일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64Y1 (ko) * 2002-06-20 2002-12-12 김선철 모터 리프트장치
KR100847322B1 (ko) * 2007-05-14 2008-07-18 주식회사 티앤엑스 중공업 강판용 권취릴
KR20100004820U (ko) * 2008-10-31 2010-05-11 (주)아모레퍼시픽 성형무늬지 권취롤 장치
KR20160076917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와 코일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101973542B1 (ko) * 2018-03-29 2019-04-29 박민하 전력관로의 내부 또는 내경 변형측정장치
KR20210116841A (ko) * 2020-03-17 2021-09-28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선박 추진축 내경 가공장치
KR20220115279A (ko) * 2021-02-10 2022-08-17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언코일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2093A (en) Radial mandrel
EP3477135B1 (en) Magnetic bear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high speed rotating motor using the same
CN102232146B (zh) 风力涡轮发电机及其维护方法
EP0511818B1 (en) Apparatus for forming annular product
CN106986206A (zh) 特别地用于具有可移动臂的开卷机的伸缩式气动线性执行机构
CN105773219B (zh) 一种适用于轴类工件的加工工装
KR102575313B1 (ko) 샤프트의 외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롤코일용 코일회전대
US8020462B2 (en) Ball screw/nut type linear actuator
US6216977B1 (en) Direct-drive coiler
JP2644455B2 (ja) アンコイラマシン
US6338453B1 (en) Winding device having a winding shaft and additional bearings
CN111285156B (zh) 卷筒料放收印刷无串轴固定机组
US20200391968A1 (en) Arm for an unwinder and unwinder comprising said arm
US10072701B2 (en) Driver roller of a winding device of a rolling mi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937543B2 (en) Device for winding a strip material into a coil
CN220314335U (zh) 一种高速制袋机用上料装置
US2988407A (en) Support for structure while removing bearing
CN1005575B (zh) 梳理机用的锡林
US3005583A (en) Adjustable self-centering roll
CN210192933U (zh) 纤维幅材机的卷收器
US6647815B2 (en) Slide positioner
WO1996016891A1 (en) Winding device for an electric cable
KR101355837B1 (ko) 니들 롤러 베어링 조립 장치
CN220973408U (zh) 成型机辅助支撑装置和成型机
CN210995876U (zh) 一种开卷机的主轴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