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673U -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673U
KR20100004673U KR2020080014351U KR20080014351U KR20100004673U KR 20100004673 U KR20100004673 U KR 20100004673U KR 2020080014351 U KR2020080014351 U KR 2020080014351U KR 20080014351 U KR20080014351 U KR 20080014351U KR 20100004673 U KR20100004673 U KR 20100004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equipment
cover member
horizontal ba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417Y1 (ko
Inventor
신영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1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5Chain-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매우 큰 부피를 갖고 중량이 무거운 모터 및 펌프 등를 해체 및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계실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고정대의 일 측에서 가로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가로 바와, 상기 가로 바에 중량물을 들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된 체인 블록과, 상기 체인 블록의 체인에 연결되며 기계실의 장비에 결합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MOVING DEVICE OF EQUIPMENT IN MACHINE ROOM}
본 고안은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는 매우 큰 부피를 갖고 중량이 무거운 모터 및 펌프 등과 같은 장비를 해체 및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회사등과 같은 대형의 공장에는 별도로 기계실이 설치되어 냉방장치, 에어컴프레서등과 같은 공압장치등이 배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냉방장치 또는 공압장치에는 대형 모터 및 대형 펌프 등이 설치되어 작동하게 된다.
상기 대형 모터 및 펌프는 장기간 사용한 후에는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 냉방 장치 또는 공압 장치 등에서 분리해서 이송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대형 모터 및 펌프를 분리해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별도의 이송장비(소형 크레인등)를 기계실로 운반한 상태에서, 이송장비의 체인 또는 케이블을 대형 모터에 묶게 된다.
이송장비의 체인 또는 케이블을 대형 모터 또는 펌프 등의 장비에 묶은 후에는, 냉방장치 또는 공압장치에서 대형모터 또는 펌프 등의 장비를 해제시킴과 아울 러 이송장비를 작동시켜서 대형 모터를 들어 올리게 된다.
대형모터 또는 펌프 등의 장비를 들어 올릴 때에는 장비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장비를 잡으면서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중량물인 장비를 이송장비의 체인 또는 케이블로 묶어서 들어 올리게 되면, 장비의 중심을 잡기가 대단히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장비를 잡고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고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기계실 내부에서 천장 기중기로 들어올릴 수 없는 위치의 장비 등은 보수를 위해 분리한 후 천장 기중기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작업 중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보수가 끝난 장비를 다시 원위치로 설치할 경우에도 분리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작업 중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비를 기계실에서 분리해서 운반할 때 별도의 이송장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천장 기중기로 들어올릴 수 있는 이송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보수 후 원위치로 용이하게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한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계실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고정대의 일 측에서 가로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가로 바와;
상기 가로 바에 중량물을 들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된 체인 블록과;
상기 체인 블록의 체인에 연결되며 기계실의 장비에 결합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되 천장 기중기로 이송할 수 없는 위치의 장비를 수리 또는 교체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장비의 보수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와 도1에서 모터와 커버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기계실(C)의 천정 부근에 높게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이 기계실(C) 벽면의 고정대(1)의 상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로 바(2)와, 상기한 가로 바(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3)가 구비되어 상기 가로 바(2)에 장착되는 체인블록(4)와, 상기한 체인블록(4)의 체인에 의해 들어 올려졌을 때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체인 연결고리(5)가 대칭 형성됨과 아울러 장비, 즉 대형모터(M)의 상면에 결합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커버부재(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대(1)의 상부와 가로 바(2)의 사이에는 회전축(1a)을 포함한 회전체가 구비되어 가로 바(2)가 고정대(1)의 상단에서 고정대(1)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인블록(4)은 기어를 편성해서 만들며, 조작용 체인을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체인 풀리의 회전을 평기어로 감속하여 체인을 감는 구조로 작업자의 힘으로 중량체의 물체를 들어 올리는 공지의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대형모터(M)을 이동시키는 예로 설명하며 이외에 기계실에 설치되는 다른 중량의 장비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일단 상기 가로 바(2)를 고정대(1)를 중심으로 선회시키고, 롤러를 통해 체인블록(4)을 이동하고자 하는 장비, 즉 대형모터(M)의 상부로 위치시킨 후 체인블록(4)의 체인에 구비된 상기 커버부재(6)를 대형모터(M)의 상부면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인블록(4)의 체인을 작업자가 잡아 당겨 대형모터(M)을 들어 올린다.
그리고 상기 가로 바(2)를 고정대(1)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면 천장 기중기로 연결할 수 있는 위치 또는 보수 작업을 위한 이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커버부재(6)의 연결고리(5)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6)의 중심에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됨과 아울러 2개씩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결합수단은 대형모터(M)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볼트공(7)과, 상기한 볼트공(7)에 대응되도록 커버부재(6)에 형성된 관통공(8)과, 상기한 관통공(8)을 통과하여 볼트공(7)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9)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고정볼트(9)로 모터(M)와 커버부재(6)를 결합시키게 되면 체인블록(4)로 쉽게 대형모터(M)를 들어 올릴 수 있게 되고, 대형모터(M)를 이송시킨 후에는 고정볼트(9)를 풀어서 커버부재(6)를 분리시키고 대형모터(M)를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연결고리(5)는 중심 조절을 위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6)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이동공(10)과, 상기한 연결고리(5)의 종단에 형성되어 이동공(10)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11)과, 상기한 연결고리(5)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조이면 연결고리(5)가 커버부재(6)에서 고정되고 풀면 해제되도록 하는 볼트(1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6)가 결합되는 장비의 무게 중심에 따라 각 연결고리(5)의 위치를 이동공(10)을 따라 이동시킨 후 볼트(12)를 조여 변경할 수 있어 체인블록(4)의 체인으로 들어올릴 때 균형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모터(M)를 분리해서 들어올린 다음 이동할 때 대형 모터(M)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기계실(C)에서 대형모터(M)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먼저 커버부재(6)를 잡고 교체할 대형모터(M)의 위치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작업자가 커버부재(6)를 밀게 되면 체인블록(4)이 롤러(3)에 의해 가로 바(2)를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체인블록(4) 및 커버부재(6)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가로 바(2)는 고정대(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블록(4)이 이동 및 회전하면서 기계실 전체 면적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6)가 교체 또는 수리할 대형모터(M)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체인블록(4)를 조작하여 커버부재(6)가 대형모터(M)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대형모터(M)의 상부에 커버부재(6)가 안착되면 작업자가 커버부재(6)의 관통공(8)과 대형모터(M)의 볼트공(7)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고정볼트(9)를 볼트공(7)에 결합시키게 되는 바, 고정볼트(9)에 의해 커버부재(6)와 대형모터(M)가 결합된다.
커버부재(6)가 대형모터(M)에 결합되면 다시 작업자가 체인블록(4)를 조작하여 대형모터(M)를 들어 올리게 되는 바, 상기한 커버부재(6)를 들어 올릴 때에는 대형모터(M)가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동하게 된다.
즉, 볼트(12)를 풀고 연결고리(5)의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볼트(12)를 조이게 되면 커버부재(6)와 대형모터(M)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바, 중량물인 대형모터(M)가 매우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형 모터(M)를 체인블록(4)를 통해 쉽게 들어 올리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면 작업자가 매우 쉽게 수리, 교체 등의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 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2는 도1에서 커버부재와 모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커버부재와 모터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연결고리가 이동공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정브라켓 2: 가로 바
3: 롤러 4: 체인블록
5: 연결고리 6: 커버부재
7: 볼트공 8: 관통공
9: 고정볼트 10: 이동공
11: 걸림턱 12: 볼트
C: 기계실 M: 대형모터

Claims (3)

  1. 기계실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단에 회전축이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고정대의 일 측에서 가로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가로 바와;
    상기 가로 바에 중량물을 들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된 체인 블록과;
    상기 체인 블록의 체인에 연결되며 기계실의 장비에 결합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부재의 연결고리는 커버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이동공과, 상기한 연결고리의 종단에 형성되어 이동공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한 연결고리의 나사산에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바에는 가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에는 상기 체인블록이 연결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KR2020080014351U 2008-10-28 2008-10-28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KR200455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51U KR200455417Y1 (ko) 2008-10-28 2008-10-28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51U KR200455417Y1 (ko) 2008-10-28 2008-10-28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73U true KR20100004673U (ko) 2010-05-07
KR200455417Y1 KR200455417Y1 (ko) 2011-09-02

Family

ID=4419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51U KR200455417Y1 (ko) 2008-10-28 2008-10-28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2925A (zh) * 2021-11-08 2022-01-18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吊挂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73B1 (ko) 2020-02-03 2020-04-20 윤대원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2164946B1 (ko) 2020-03-24 2020-10-13 윤대원 건물 기계실 내 장비 유지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982A (ja) 1996-10-31 1998-05-19 Toshiba Corp ジブクレーン
KR200244980Y1 (ko) 2001-05-22 2001-10-17 이재현 건축용 간이식 회전 지브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2925A (zh) * 2021-11-08 2022-01-18 兖州煤业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吊挂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417Y1 (ko) 201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CN102765670A (zh) 一种组合型检修搬运车
EP2871147A1 (en) Elevator with tubular motor and divided motor mount
CN202643209U (zh) 一种组合型检修搬运车
US20220379147A1 (en) Fall protection system
CN111824972B (zh) 起重机
KR101568524B1 (ko) 감속기용 구동커플링 커버 지지장치
CN108178073A (zh) 一种变电站检修通用吊装设备
CN210326087U (zh) 天线安装装置和天线
KR20150062693A (ko)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CN108069374B (zh) 一种炉辊更换装置和方法
JP2013121618A (ja) 遠隔操作可能な圧延ロール組替装置
KR20170091880A (ko) 기계실 바닥을 이용한 장비이동 장치
CN100584464C (zh) 磨机换衬设备
CN103395342B (zh) 一种台车轮拆装小车
CN220745186U (zh) 一种重型阀门拆装运输设备
KR20100057959A (ko) 타이로드 보텀너트 체결용 지그
JP7129357B2 (ja) 車室半体の上下反転方法、それに用いる回転シャフトブラケット及び反転用架台
JP5691742B2 (ja) ピストン抜出し装置
CN206018428U (zh) 高空照明系统
KR20190058954A (ko) 머플 교체 장입 장치
RU2349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ертыва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ковшей
KR20020033272A (ko) 선재 사상압연기용 감속기 수리작업대
US11731223B1 (en)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N214989897U (zh) 运送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