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72A -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72A
KR20100004372A KR1020080064497A KR20080064497A KR20100004372A KR 20100004372 A KR20100004372 A KR 20100004372A KR 1020080064497 A KR1020080064497 A KR 1020080064497A KR 20080064497 A KR20080064497 A KR 20080064497A KR 20100004372 A KR20100004372 A KR 2010000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outlet
gripping
member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08006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372A/ko
Publication of KR2010000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185Holders for boxes of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는 인출구에 걸린 화장지가 케이스 내부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장지, 케이스, 인출구

Description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Outlet structure of tissue case}
본 발명은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출구에 걸린 화장지가 케이스 내부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장형 화장지(tissue)는 케이스 내부에 접혀져서 수납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화장지를 한 장씩 뽑아서 사용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종이 재질의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화장지(1)가 인출되는 인출구(12)가 형성된다. 인출구(12)에는 화장지(1)를 고정하기 위한 파지부재(14)가 팽팽하게 설치된다. 파지부재(14)는 통상적으로 비닐로 만들어지는데, 파지부재(14)에는 일정 간격의 천공에 의하여 형성된 절개선(16)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절개선(16)을 절개한 후 화장지(1)를 인출하는데, 각각의 화장지(1)는 서로 맞물려서 접혀있기 때문에 파지부재(14)에 걸려진 화장지(1)가 당겨지면 화장지(1)가 파지부재(14)를 완전히 빠져 나오기 전에 다음 장의 화장지(1)가 따라 나오다가 파지부재(14)에 걸리게 되고 인출하려던 화장지(1)만 외부로 빠져나 오게 된다.
한편, 파지부재(14)는 절개선(16)의 양쪽에서 화장지(1)를 눌러줌으로써 화장지(1)를 고정한다. 그런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지부재(14)는 화장지(1)의 인출이 반복되면 팽팽하게 인출구(12)에 부착되었던 것이 점차 느슨해진다. 파지부재(14)가 느슨해지면 파지부재(14)에 걸려진 화장지(1)가 케이스(10) 내부로 떨어질 수 있다.
화장지(1)가 케이스(10) 내부로 떨어지면 사용자가 케이스(10)를 개방하여 화장지(1)를 파지부재(14)에 다시 걸거나, 절개선(16)을 통하여 손가락을 집어넣어 화장지(1)를 잡은 후 파지부재(14)에 다시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구(파지부재)에 걸려진 화장지가 케이스 내부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는, 화장지 인출구의 미리 정해진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제1 파지부재; 및, 제1 파지부재가 덮지 않는 인출구의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제1 파지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설치된 제2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화장지는 겹쳐진 제1,2 파지부재 사이의 벌어진 틈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벌어진 틈에 걸쳐진 화장지는 제1,2 파지부재가 누르는 힘을 받기 때문에 화장지 케이스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제1,2 파지부재는 인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제1 파지부재와 제2 파지부재가 겹치는 부분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2 파지부재의 테두리가 화장지 케이스 내측의 인출구 둘레에 부착되어 제1,2 파지부재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 파지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2 파지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에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인출구(제1,2 파지부재)에 걸린 화장지가 케이스 내부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1,2 파지부재를 제외하면 기존의 케이스 생산 설비를 거의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생산이 용이하며,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인출구 구조(100)는 화장지 인출구(20)에 설치된 제1,2 파지부재(30)(40)를 포함한다.
제1 파지부재(30)는 인출구(20)의 미리 정해진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2 파지부재(40)는 제1 파지부재(30)가 덮지 않는 인출구(20)의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파지부재(30)와 제2 파지부재(40)는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설치된다. 도면은 제1 파지부재(30)의 아래에 제2 파지부재(40)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1 파지부재(30)가 제2 파지부재(40)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제2 파지부재(40)의 일부분이 제1 파지부재(30)의 아래에 놓여진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2 파지부재(40)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제1,2 파지부재(30)(40)는 비닐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지(1)는 겹쳐진 제1,2 파지부재(30)(40) 사이 의 벌어진 틈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벌어진 틈에 걸린 화장지(1)는 제1,2 파지부재(30)(40)가 누르는 힘을 받기 때문에 화장지 케이스(10)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1,2 파지부재(30)(4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도 1의 파지부재(14)보다 더 큰 힘으로 화장지(1)를 눌러줄 수 있다. 따라서, 화장지(1) 인출이 반복된 경우에도 제1,2 파지부재(30)(40)가 느슨해져서 화장지(1)가 케이스(10)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2 파지부재(30)(40)는 인출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제1 파지부재(30)와 제2 파지부재(40)가 겹치는 부분은 인출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2 파지부재(30)(40)는 인출구(20)에 팽팽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팽팽하게 설치될수록 화장지(1)를 더 큰 힘으로 눌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2 파지부재(30)(40)의 테두리가 화장지 케이스(10) 내측의 인출구(20)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제1,2 파지부재(30)(40)의 테두리를 인출구(20)의 둘레에 부착하기 위하여 테이프(50) 또는 접착제(미도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출구 구조(100)는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1,2 파지부재(30)(40)를 제외하면 기존의 케이스(10) 생산 설비를 거의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생산이 용이하며,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인출구 구조(100a)(100a')는 제1 파지부재(30a)(30a')와 제2 파지부재(4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요홈(32a)(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은 요홈(32a)(32a')이 제1 파지부재(30a)(30a')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제2 파지부재(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인출구 구조(100a)(100a')는 제1 파지부재(30a)(30a')와 제2 파지부재(40)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화장지(1)를 효과적으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홈(32a)(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지(1)를 뽑을 때에 제1,2 파지부재(30a)(30a')(40)로 인하여 과도한 텐션이 화장지(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화장지(1)가 쉽게 찢어지는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제1,2 파지부재(30a)(30a')(40)로 인한 과도한 텐션에 의하여 화장지(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인출구 구조(100b)는 제1,2 파지부재(30b)(4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돌출부(36b)와 요홈부(3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부(36b)와 요홈부(34b)는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은 돌출부(36b)와 요홈부(34b)가 제1 파지부재(30b)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제2 파지부재(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인출구 구조(100b)는 제1,2 파지부재(30b)(40)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화장지(1)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출부(36b)와 요홈부(34b)에는 팽팽한 텐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지(1)를 뽑을 때에 제1,2 파지부재(30b)(40)로 인하여 과도한 텐션이 화장지(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화장지(1)가 쉽게 찢어지는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제1,2 파지부재(30b)(40)로 인한 과도한 텐션에 의하여 화장지(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 1 내지 도 7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진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부재에 화장지가 걸려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파지부재가 느슨해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화장지 케이스의 제1,2 파지부재에 화장지가 걸려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화장지 케이스의 상면을 화장지 케이스의 내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20 : 인출구
30, 30a, 30b : 제1 파지부재 40 : 제2 파지부재
100, 100a, 100b :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Claims (5)

  1. 화장지 인출구의 미리 정해진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제1 파지부재; 및,
    제1 파지부재가 덮지 않는 인출구의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제1 파지부재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설치된 제2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화장지는 겹쳐진 제1,2 파지부재 사이의 벌어진 틈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벌어진 틈에 걸쳐진 화장지는 제1,2 파지부재가 누르는 힘을 받기 때문에 화장지 케이스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2 파지부재는 인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제1 파지부재와 제2 파지부재가 겹치는 부분은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2 파지부재의 테두리가 화장지 케이스 내측의 인출구 둘레에 부착되어 제1,2 파지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2 파지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에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2 파지부재가 서로 겹치는 부분의 제1 파지부재 또는 제2 파지부재에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KR1020080064497A 2008-07-03 2008-07-03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KR20100004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97A KR20100004372A (ko) 2008-07-03 2008-07-03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497A KR20100004372A (ko) 2008-07-03 2008-07-03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72A true KR20100004372A (ko) 2010-01-13

Family

ID=4181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497A KR20100004372A (ko) 2008-07-03 2008-07-03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305A1 (en) * 2014-02-28 2015-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tissue produ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305A1 (en) * 2014-02-28 2015-09-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tissue products
US10233012B2 (en) 2014-02-28 2019-03-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tissue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835A (en) Barrier means
US20060222801A1 (en) Protective film
US9595369B2 (en) Wire harness
JP7101705B2 (ja) 取り外し可能タブおよび同タブを有するバッテリアセンブリ
JP2008239251A (ja)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KR20100004372A (ko) 화장지 케이스의 인출구 구조
DE69515344D1 (de) Abziehvorrichtung für den Rand eines mit Trennpapier versehenen Blattes
JP2013256763A (ja) 仕上げ床材および仕上げ床材の設置方法
JP3142328U (ja) セパレータ付き保護フィルム
DK2701854T3 (en) FILM OF COVERING BODY
KR20110107563A (ko) 인감 날인부 커버시트의 분리장치
JP5028815B2 (ja) 離型シートを備えた粘着シート
KR101793382B1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KR200366372Y1 (ko) 개량형 티슈케이스
JP2009166872A (ja) ラップフィルムロール収納ケース
JP6293493B2 (ja) 粘着シート
US7875332B2 (en) Adhesive tape and method of use
JP6359404B2 (ja) 保持台紙
JP3211763U (ja) 携帯用粘着ごみ取り具
KR20180006829A (ko) 다기능 부착 고정장치 제작방법
JPH0616321A (ja) テ−プカッタ−
JP3178703U (ja) 関節保護テープ
TWM527746U (zh) 紙巾盒
CN210012786U (zh) 双面胶带及卷筒双面胶
KR200425967Y1 (ko) 양면 접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