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34U -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34U
KR20100004334U KR2020080013881U KR20080013881U KR20100004334U KR 20100004334 U KR20100004334 U KR 20100004334U KR 2020080013881 U KR2020080013881 U KR 2020080013881U KR 20080013881 U KR20080013881 U KR 20080013881U KR 20100004334 U KR20100004334 U KR 20100004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ld
water
hot wat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진
Original Assignee
나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기진 filed Critical 나기진
Priority to KR2020080013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334U/ko
Publication of KR20100004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1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84Ratio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7Electronic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나 차와 같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냉각 및 가열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와, 상기 냉온수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커피 또는 차의 제조를 위한 음료재료를 저장하고 일측에 음료재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재료를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할 수 있는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재료가 상기 혼합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혼합용기에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냉온수기, 음료 배출

Description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나 차와 같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관공서 및 일반사무실을 비롯하여 가정에서도 냉온수기가 널리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객을 접대하는 일이 많은 회사에서는 냉온수기와는 별도로 커피와 녹차 같은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냉온수기 옆에 음료를 만들 수 있는 분말제나 티백을 보유하거나, 음료를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음료자판기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종래에는 접대를 위한 일회용 컵 또는 별도의 커피잔에 음료를 만들기 위한 분말제를 담은 뒤, 냉온수기에서 냉수 또는 온수를 받아 이를 스푼으로 혼합한 뒤 대접해야 하였기 때문에 접대를 위한 준비가 번거로웠으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최근에는 접대가 많은 회사에서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방식의 커피 자판기를 보유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별도의 커피 자판기를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위한 임대료 또는 구입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이러한 커피자판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규모가 작은 사무실에서는 설치공간의 확보에 따른 어려움도 있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냉음료에 대한 수요가 많을 때에는 냉수를 이용해 커피나 기타 음료를 만들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이에따른 비용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551호에는 분말식품 공급장치가 구비된 냉온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분말식품 공급장치가 구비된 냉온수기는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분말제를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분말제를 인출할 수 있는 공급장치를 냉온수기의 측면에 부착하여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말제를 공급받아 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종래 기술 역시 분말제를 컵에 담은 뒤, 물을 붓고 혼합해주는 일련의 과정을 사람이 직접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냉온수기를 이용하여 냉수와 온수를 모두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분말제품을 물에 녹여 제조하는 음료의 경우 음료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냉각 및 가열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와, 상기 냉온수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피 또는 차의 제조를 위한 음료재료를 저장하고 일측에 음료재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재료를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할 수 있는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재료가 상기 혼합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혼합용기에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상기 혼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료 재료와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음용수를 혼합하는 믹서부재와, 상기 믹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음료믹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 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저장통의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냉온수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부를 가동하여 음료 재료가 토출구를 통해 상기 혼합부로 토출되게 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혼합용기로 투입된 음료 재료와 음용수를 혼합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에 온수의 공급시,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와 상기 물공급부 사이의 음료재료의 이동로 상에 설치된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상기 이동로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하는 증기배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사무실이나 관공서에서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자동으로 커피를 비롯한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인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 수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100)는 물통(12)의 음용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와 온수를 형성하는 냉온수기(10)와, 상기 냉온수기(10)에 설치되어 커피를 제공하는 음료 배출수단(30) 및 냉온수기(10)와 음료 배출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포함한다.
냉온수기(10)는 일반 사무실이나 관공서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냉온수기(10)와 같이 바디부재(11)와, 상기 바디부재(1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수된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통(12)과, 바디부재(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12)에 저장된 물을 냉각 및 가열함으로써 냉수와 온수를 형성하는 온도조절부(13)와, 온도조절부(13)에서 형성된 냉수와 온수각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재(11)에 설치되는 배출부(24)를 포함한다.
바디부재(11)는 상단에 음용수가 담긴 물통(12)을 얹어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후술하는 제1, 제2 배출콕(27,2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부재(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온도조절부(13)와 제1, 제2 배수라인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물통(12)은 음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통(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홀이 상기 바디부재(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면 물통(12) 내의 음용수가 상기 바디부재(11)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조절부(13)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공급부로서 음용수를 저장한 물통(12)이 적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여 상기 온도조절 부(13)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수공급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온도조절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용수를 냉수와 온수로 형성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용수를 냉수로 냉각하는 냉수부(14)와, 음용수를 온수로 가열하는 온수부(21)를 포함한다.
냉수부(14)는 상기 물통(12)으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는 냉수탱크(15)와, 상기 냉수탱크(15)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16)를 포함하는데, 상기 냉각장치(16)는 냉수탱크(15)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7)와, 이 증발기(17)로부터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 열교환 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18)와, 압축기(18)에 의해서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 매체를 음축하는 응축기(19)와, 상기 응축기(19)와 증발기(17)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기(19)에 의해 응축된 열교환 매체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밸브(20)를 구비한다.
열교환 매체가 상기 압축기(18)와 응축기(19), 교축밸브(20) 및 증발기(17)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7)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냉수탱크(15) 내부의 음용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온수부(21)는 상기 물통(12)으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온수탱크(22)와, 온수탱크(22)에 설치되어 온수탱크(22)에 저장된 음용수를 가열하는 가열히터(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물통(12)으로부터 음용수가 각각 상기 냉수탱크(15)와 온수탱크(22)로 공급되며, 온수탱크(22) 및 냉수탱크(15)에서는 음용수가 가열 및 냉각된다.
상기 배출부(24)는 상기 냉수탱크(15) 및 온수탱크(22)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수탱크(15)와 온수탱크(22)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제2 배출라인(25,26)과, 제1, 제2 배출라인(25,26)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디부재(11)의 전면을 토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취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제2 배출콕(27,28)을 포함한다.
음료 배출수단(30)은 상기 냉온수기(10)에 설치되어 커피를 비롯한 음료를 냉수 또는 온수를 이용해 직접 제조 및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재(11)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31)와, 본체(31)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통과, 저장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혼합부(37)와, 저장통과 혼합부(37) 사이의 토출구(33)를 개폐하는 개폐부(41), 혼합부(37)에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44), 상기 혼합부(37) 내에서 냉수 또는 온수와 상기 음료재료를 혼합하는 음료믹서부(49) 및 음료재료가 개폐부로부터 혼합부로 이동하는 이동로 상에 마련된 증기배출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상기 저장통과 개폐부(41), 혼합부(37) 등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저장통은 제조하기 위한 음료재료를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저장통의 하부에는 상기 혼합부(37)로 음료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음료재료가 토출되는 토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토출구(33)는 상기 개폐부(4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토출구(33)를 통해 음료재료가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게 상기 본체(31)는 토출구(3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토출구(33)를 향해 경사지는 소정길이의 경사부분(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의 하단에는 상기 토출구(33)의 하측에 원통형의 중공을 갖는 재료이동부(3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통에 저장되는 음료재료로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커피분말과 프림 설탕 등이 믹스된 커피믹스가 저장되어 있으나, 상기 저장통에는 이 외에도 한방차, 유자차, 율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혼합부(37)는 상기 저장통의 토출구(33)를 통해 토출된 음료재료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재료이동부(35)의 하부에 마련된다.
혼합부(37)에는 상측에 상기 물공급부(44)로부터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가 혼합부(37)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제2 음용수 유입구(38,39)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제1, 제2 음용수 유입구(38,39)는 혼합부(37)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혼합부(37) 내에서 상기 음료재료와 온수 또는 냉수와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음료가 제1, 제2 음용수 유입구(38,39)를 통해 역으로 제1, 제2 배출라인(25,26)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부(37)의 하부 일측에는 혼합부(37) 내에서 제조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음료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배출구에는 제3 배출콕(40)이 설치되어 음료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41)는 토출구(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 구(3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도록 재료이동부(35)에 설치되는 스크류(42)와, 상기 스크류(42)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42)는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나선돌기의 직경이 상기 재료이동부(35)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스크류(42)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나선돌기에 의해 음료재료가 재료이동부(35)를 통과하지 못하여 음료재료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42)가 구동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나선돌기에 의해 음료재료가 재료이동부(35)의 단부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음료재료의 이동에 따른 압력에 의해 음료재료가 혼합부(37) 내로 투입된다.
상기 음료재료의 배출량은 상기 스크류(42)의 회전량에 비례하게 되므로, 상기 혼합부(37) 내에서 제조되는 음료의 양에 따라 스크류(42)의 회전량을 조절하면 적정량의 음료재료를 혼합부(37)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부(41)가 상기 토출구(33)를 회전에 의해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스크류(42)와, 상기 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로 적용되었으나, 개폐부(41)는 이와는 달리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재료가 일정량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가 구동기의 구동에 의해 180°회전하였을 때, 상기 수용홈이 하방으로 향하게 되면 수용홈에 수용된 음료재료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토출구(33)가 마련되어 수용홈에 수용되는 일정량의 음료재료만 혼합부(37)로 유입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41)는 일정량의 음료재료가 혼합부(37)로 투입될 수 있게 상기 토출구(3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공급부(44)는 혼합부(37)의 내부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온수 또는 냉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 배출라인(25,26)으로부터 상기 제1, 제2 음용수 유입구(38,39)로 연장되는 제3, 제4 배출라인(45,46)과, 상기 제3, 제4 배출라인(45,46)에 설치되어 제3, 제4 배출라인(45,46)을 통해 냉수와 온수가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2 제어밸브(47,4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제어밸브(47,48) 중 선택된 하나가 후술하는 제어유닛(60)의 컨트롤러(65)에 의해 개방되면 제3, 제4 배출라인(45,46) 중 해당 배출라인을 통해 냉수 또는 온수가 상기 혼합부(37)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혼합부(37)로 냉수 또는 온수가 모두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냉음료 또는 온음료를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3, 제4 배출라인(45,46)이 각각 제1, 제2 배출라인(25,26)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 제1, 제2 배출라인(25,26) 상의 냉수 또는 온수는 냉수탱크(15)와 온수탱크(22)로부터 배출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지나 충분히 차갑거나 뜨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3, 제4 배출라인(45,46)이 각각 냉수탱크(15)와 온수탱크(22)의 냉수 및 온수를 직접 혼합부(37) 내로 공급할 수 있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음료믹서부(49)는 상기 혼합부(37) 내에서 음료재료와 냉수 또는 온수가 용 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혼합부(3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믹서부재(50)와, 믹서부재(5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모터(51)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54)이 혼합부(37)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54)에 믹서부재(50)가 설치되어 회전모터(51)의 구동에 의해 믹서부재(50)가 혼합부(37)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믹서부재(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혼합부(37) 내에서 냉수 또는 온수가 음료재료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음료재료와 음용수를 혼합하기 위해 음료를 저어줄 필요가 없다.
상기 증기배출부(52)는 혼합부(37) 내로 공급되는 온수의 수증기에 의해 음료재료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부(41)와 제1, 제2 음용수 유입구(38,39) 사이의 음료재료의 이동로 상에서 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배출호스(53)와, 배출호스(5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31)에 설치되는 흡입팬(54) 및 흡입팬(54)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55)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37)로 온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온수의 수증기가 음료재료가 이동하는 이동로의 내벽에서 응결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될 수 있으며, 또는 음료재료에 침투하여 음료재료의 함습율을 높이게 될 수 있다.
음료재료의 이동로 상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면 음료재료가 이동로의 내벽에 고착되어 음료재료의 원활한 배출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음료재료에 침투하게 되면 음료재료의 변질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수증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호스(53)는 유동성이 있게 연장될 수 있는 주름호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모터(55)의 구동에 따라 흡입팬(54)이 회전하면, 상기 배출호스(53) 내부의 공기가 본체(31)의 외부로 배출되며, 음료재료가 이동하는 이동로 상의 공기도 흡입팬(54)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사용자의 입력신호 인가시 자동으로 음료가 제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31)에 설치되는 입력부(61)와, 상기 구동모터(43)와 회전모터(51), 제1, 제2 제어밸브(47,48)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65)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61)에는 냉음료와 온음료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제2 버튼(62,63)이 마련되어 있으며, 선택된 음료와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창(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버튼(62)을 누르면 냉음료가 제조될 수 있도록 냉수가 공급되고, 제2 버튼(63)을 누르면 온수가 공급되어 온음료가 제조된다.
상기 제1, 제2 버튼(62,63)은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제조되는 음료의 양을 선택할 수도 있는데, 제1, 제2 버튼(62,63)을 한번만 누르면 1인분의 음료가 제조되도록 혼합부(37)에 투입되는 음료재료와 음용수의 양이 1인분에 해당하는 양만큼만 공급되며, 제1, 제2 버튼(62,63)을 두번 또는 세번씩 누르게 되면 각각 해당하는 분량의 음료가 제조되도록 음료재료와 유입되는 음용수의 양이 자동으로 컨트롤러(65)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표시창(64)은 제1, 제2 버튼(62,63)을 통해 선택한 음료의 종류 및 분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65)는 입력부(61)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료가 제조되도록 회전모터(51)와 구동모터(43), 흡입모터(55) 및 제1, 제2 제어밸브(47,48)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6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43)를 구동하여 소정량의 음료재료가 혼합부(37)로 투입되게 하고, 제1 제어밸브(47) 또는 제2 제어밸브(48)를 개방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유입시킨다. 음료재료와 음용수가 혼합부(37) 내로 공급되면 컨트롤러(65)는 회전모터(51)를 구동하여 믹서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재료와 음용수가 혼합되게 한다.
컨트롤러(65)에서는 또한 상기 냉수부(14)와 온수부(21)의 구동 역시 제어하는데, 상기 냉수탱크(15)와 온수탱크(22)에는 각각 냉수와 온수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제2 수온센서(66,67)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1, 제2 수온센서(66,67)에서 측정된 수온 정보가 컨트롤러(65)에 전달된다. 컨트롤러(65)에서는 제1, 제2 수온센서(66,67)에서 측정된 수온이 설정된 기준 수온을 벗어날 경우, 냉수탱크(15)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도록 냉각장치(16)를 구동시키고, 가열히터(23)를 가동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한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100)는 자동으로 냉음료 또는 온음료가 혼합부(37)에서 제조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를 제조하는 수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냉음료와 온음료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관공서에 서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료 배출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10; 냉온수기
30; 음료 배출수단
31; 본체
37; 혼합부
41; 개폐부
44; 물공급부
49; 음료믹서부
60; 제어유닛
61; 입력부
65; 컨트롤러

Claims (5)

  1. 원수공급부와;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냉각 및 가열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온수기와:
    상기 냉온수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커피 또는 차의 제조를 위한 음료재료를 저장하고 일측에 음료재료가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재료를 냉수 또는 온수와 혼합할 수 있는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재료가 상기 혼합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혼합용기에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 음용수를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음료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음료 재료와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음용수를 혼합하는 믹서부재와, 상기 믹서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음료믹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저장통의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냉온수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개폐부를 가동하여 음료 재료가 토출구를 통해 상기 혼합부로 토출되게 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제어밸브를 개방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혼합용기로 투입된 음료 재료와 음용수를 혼합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에 온수의 공급시,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와 상기 물공급부 사이의 음료재료의 이동로 상에 설치된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상기 이동로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시키는 흡입모터를 포함하는 증기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KR2020080013881U 2008-10-17 2008-10-17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KR201000043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81U KR20100004334U (ko) 2008-10-17 2008-10-17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81U KR20100004334U (ko) 2008-10-17 2008-10-17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34U true KR20100004334U (ko) 2010-04-27

Family

ID=4445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881U KR20100004334U (ko) 2008-10-17 2008-10-17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3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71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71A1 (ko) * 2022-06-03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출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EP2590515B1 (en) Machine for producing and dispensing products such as ice creams, granita or frozen beverages
AU615619B2 (en) Method for producing coffee having a foamed surface
EP1570774A2 (en)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US9066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vored ice making
WO2010021532A1 (en) Beverage dispenser
BRPI1106886A2 (pt) distribuidor de bebida com carrossel de méltiplas cÂmaras e coordenaÇço automÁtica da taxa de vazço do aromatizante
CN108351177A (zh) 冷波装置
CN201523989U (zh) 全自动多功能饮料机
US20220018589A1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EP2817254B1 (en) Potable water dispenser
JP5338299B2 (ja) 飲料供給装置
KR20100004334U (ko)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US20170211872A1 (en)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Water Dispenser Unit That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Inserting A Flavor Container
JP200701570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3421154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ー
JP6962409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20100038570A (ko)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KR200396676Y1 (ko) 소형 자동판매기의 냉음료 생산 보조장치
JP2006092181A (ja) 飲料提供装置
KR20100038566A (ko)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KR100763997B1 (ko)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
JP2009251772A (ja) 飲料供給装置
EP1716797B1 (en) Method for preparing a drink, for example chocolate, and device for preparing the drink
JP5018031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