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566A -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566A
KR20100038566A KR1020080097583A KR20080097583A KR20100038566A KR 20100038566 A KR20100038566 A KR 20100038566A KR 1020080097583 A KR1020080097583 A KR 1020080097583A KR 20080097583 A KR20080097583 A KR 20080097583A KR 20100038566 A KR20100038566 A KR 2010003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raw material
tea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08009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566A/ko
Publication of KR2010003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2Details allowing to adapt the beverage-making apparatus to the size of the brewing vessel or the beverage container, e.g. with adjustable support for the beverage container or adjustable hot wat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의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투명 홀더의 내측에 종이컵이 끼워지고, 이 홀더의 하부에 종이컵의 컬링부를 받치는 받침링체가 구비되어 이 받침링체를 구동부로 벌리거나 오므려 컵을 공급하는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된 탱크 내부에 차 원료가 담아지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차 원료를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떨어진 종이컵이 안착됨과 아울러 이 종이컵을 이동시켜 차 원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차 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 받침 선반;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종이컵 공급수단의 구동부와 차 원료 공급수단의 모터를 회전시켜 종이컵과 차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으로 구성되어 냉수와 온수를 음용하며 동시에 커피나 각종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냉온수기, 차 공급장치, 종이컵 공급수단

Description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Appatus to supply the water purifier whit tea}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설치되어 커피는 물론 각종 차 공급하여 음용할 있도록 하는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의 하우징 일측벽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종이컵과 커피 혹은 차를 공급하여 온수 및 냉수를 부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상부에 거꾸로 설치되는 생수통의 물, 혹은 상수를 냉온수기 내부에 마련된 냉, 온수 저수통 각각에 공급하여 외부에 설치된 코크를 눌렀을 때 이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냉수 저수통에 저수된 물은 증발 파이프를 통과하며 냉각된 상태로 공급되고, 온수 저수통에 저수된 물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온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구성이다.
보통 이러한 냉온수기는 여름철 혹은 겨울철에 물을 별도로 얼리거나 끓일 필요 없이 바로 마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무실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손님 접대를 위해 혹은 사용자가 차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냉온수기와 별도로 주방 혹은 선반에 놓인 커피나 녹차 가루, 생강이나 인삼 등의 전통차(이하 차 원료라 한다.)를 꺼내 일정 비율로 컵에 넣고 냉온수기로 가져와 물을 부어 마시게 되는데, 차 원료를 별도로 보관하는 공간이 필요하고, 차를 타는 사람이 일일이 차 원료와 컵을 꺼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냉온수기에 커피 공급 장치를 설치하여 냉, 온수는 물론 원하는 차를 언제라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1962호의 커피 및 차 공급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냉온수기의 본체 내부에 파우치를 구비하고, 이 파우치에 커피를 넣어 온수와 함께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냉온수기는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온의 냉수로 저장하며 냉수 배출콕을 통해 냉수를 배출하도록 냉온수기의 상층부에 설치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전방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토록 냉수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커피 및 차가 각각 수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우치가 장착되는 냉장통과, 상기 냉수통과 냉장통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냉장통과 냉수통을 저온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수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냉온수기의 중층부에 설치되고 냉수통과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을 상온으로 유지토록 하는 히터가 구비됨과 동시에 온수 배출콕을 통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통과, 상기 냉장통의 저면에 설치되어 냉장통의 내부에 장착된 파우치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파우치내에 저장된 액상의 커 피 또는 차를 배출함과 동시에 냉·온수통과 냉·온수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액상의 커피 또는 차와 물을 혼합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냉·온수 공급관 상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냉·온수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냉온수기의 하층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을 작동시킴으로써 냉장통 및 냉수통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냉온수기는 다음과 단점이 있다.
첫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를 공급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원하는 경우 언제라도 커피를 즐길 수 있으나, 컵은 이전의 냉온수기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 공급시 커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
셋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와 온수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온수 파이프의 내부에 커피가 잔여 하게 되고, 따라서 평소에도 커피가 혼합된 온수를 마시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온수기의 하우징 일측벽에 커피 혹은 전통차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이 차 원료 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종이컵을 공급할 수 있는 종이컵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냉온수기의 가장 근접된 위치에서 이들을 공급받아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종이컵, 혹은 종이컵과 차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로 종이컵과 차 등을 보관하는 공간이 불필요하며 사용이 편리한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의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투명 홀더의 내측에 종이컵이 끼워지고, 이 홀더의 하부에 종이컵의 컬링부를 받치는 받침링체가 구비되어 이 받침링체를 구동부로 벌리거나 오므려 컵을 공급하는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된 탱크 내부에 차 원료가 담아지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상기 차 원료를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떨어진 종이컵이 안착됨과 아울러 이 종이컵을 이동시켜 차 원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차 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 받침 선반;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종이컵 공급수단의 구동부와 차 원료 공급수단의 모터를 회전시켜 종이컵과 차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으로 이루어진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냉온수기의 일측벽에 종이컵과, 커피 인삼차 녹차 등의 전통차를 공급하는 수단이 동시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종이컵만을 인출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종이컵에 차를 담아 온수 혹은 냉수를 부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종이컵 및 차 원료의 투입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본 발명은 종이컵이나 차 원료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협소한 사무실 및 가정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차 마시고자 하는 사람이 한 장소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장착된 냉온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 원료 공급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차 공급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냉온수기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에 냉수와 온수 저수통이 구비되고, 상기 냉수 저수통에는 증발 파이프가 연결되어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온수 저수통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물을 가열함과 아울러 온수 파이프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이외에 근래 개발된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를 활용하는 냉온수기에도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냉온수기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냉온수기(10)의 하우징(12) 상부에 물을 공급하는 생수통(20)이 끼워지고, 전면에는 냉수 혹은 온수 밸브(30)가 구비된 것으로, 이 냉온수기의 일측벽(14)에 본 발명의 차 공급장치(1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차 공급장치(100)는 컵이 끼워지는 홀더를 갖는 종이컵 공급수단(200)과, 종이컵(40)을 받치며 차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 받침 선반(300)과 커피 혹은 녹차, 인삼차, 생강차 등의 전통차를 상기 종이컵(40)에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400)과 종이컵 및 차 원료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500) 으로 구성된다.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200)은 홀더(210)와, 이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는 컵 배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10)는 투명관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적층되는 종이컵(40)의 수를 확인하여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어 종이컵 투입구(212)가 구비되고, 하단에 마련된 배출구(216) 주변에 종이컵이 흔들림 없이 정확한 위치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편(214)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종이컵 배출부(220)는 홀더(210)의 하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종이컵(40) 상단에 외측으로 말아진 즉, 컬링부(42)의 하부를 받쳐주거나 혹은 받침을 해지하여 컵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부 받침링체(221)와 상부로 받침링체(221a)로 구성되는데, 2개의 받침링체는 동일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받침링체(2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받침링체(221)들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222)이 결합된 구성으로, 한 쌍의 지지편(222)을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그 연장부를 교차하여 핀(223)으로 결합하되, 이 핀(223)에 구동부(224)가 연결된 구성으로 구동부로 핀을 밀거나 당겨 지지편이 벌어지거나 혹은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226)는 기본적으로 솔레노이드가 사용되며, 이 솔레노이드는 제 어수단(500)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다.
종이컵 받침 선반
상기 종이컵 받침 선반(300)은 냉온수기(10)의 측벽(14)에 고정 설치되며, 안착면(310)(320)이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200)과 후술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안착면은 상부 안착면(310)과 요홈 형태의 하부 안착면(320)으로 구성되는데, 상부 안착면(310)에는 상기 종이컵 공간수단(200)에서 떨어진 종이컵이 끼워지며 안착되도록 하고, 이 종이컵이 음용자 혹은 자동으로 하부 안착면(320)에 놓이면 자동으로 커피, 전통 차 등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300)의 일측에는 서랍장 혹은 공간이 마련되어 여기에 일회용 티스푼이 넣어지도록 하며, 각 안착면(310)(320)에 감지수단이 설치되어 컵의 안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차 원료 공급수단
상기 차 원료 공급수단(400)은 기본적으로 커피를 공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탱크(410)에 투입하는 원료에 따라 녹차, 인삼차 등 전통차의 공급도 가능하다.
상기 탱크(410)는 상부에 덮개(420)가 구비되어 차 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는 차 원료를 컵에 공급하는 토출관(430)이 구비되며, 내측 저부에 차 원료 공급 스크류(4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440)는 제어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442)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차 원료를 공급하되, 이 스크류와 연결된 차폐판(444)이 스크류와 같이 회전하며 개방 혹은 밀폐되며 차를 공급하는 것으로, 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차 원료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다시 말해, 차폐판을 갖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며 배출되는 차 원료는 스크류(440)의 회전수에 따라 즉, 기본적으로 10회라며 그 회전수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릴거나 혹은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식은 하나의 실 예이고, 다른 방식으로도 차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면 부호 450은 상기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기어로써 스크류에 차 원료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 원료를 상하로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수단
상기 종이컵(40)을 배출하는 구동부(224)와 차 원료를 공급하는 스크류의 모터(442)는 제어수단(500)의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510)를 누르면 제어수단은 구동부와 모터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종이컵과 차 원료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20은 종이컵을 감지하는 감시센서이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 공급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피는 밀크와 커피와 설탕이 혼합된 것이 투입된다.
먼저, 사용자가 종이컵만 인출하는 경우이다. 즉 커피나 혹은 차는 마시지 않고 냉수, 온수만 마시는 경우로, 사용자가 1번 스위치를 누르면 제어수단(500)은 종이컵 공급수단(200)의 배출부(220)를 동작시킨다.
먼저, 제어수단(500)은 하부 받침링체(221)와 연결된 구동부(224)를 동작시켜 구동부가 링체를 밀도록 하면 받침링체의 지지편(222)이 벌어지며 컵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고, 컵이 떨어진 다음 다시 구동부를 당겨 하부 받침링체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다른 종이컵들은 오므려져 있는 상부 받침링체에 의해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종이컵(40)이 배출된 다음 제어수단(500)은 다시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상부 받침링체(221a)가 벌어지도록 하여 최하단 종이컵이 하부 받침링체(221)로 떨어지도록 하고, 다시 오므려진다.
다음은 사용자가 커피 혹은 차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2번 스위치(510)를 누르면 제어수단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부 받침링체(221)와 상부 받침링체(221a)를 동작시켜 종이컵을 공급하고, 공급된 종이컵은 선반(300)의 상부 안착면(310)에 안착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종이컵(40)을 하부 안착면(320)에 놓으면 감지센서(52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500)에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수단(500)은 감지센서(520)의 신호에 따라 모터(442)를 동작시켜 스크류(440)가 회전하도록 하고, 스크류가 회전하며 차폐판이 열리면서 커피 또는 차가 배출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6은 선반(300)의 안착면 즉, 상부 안착면을 경사지게 하여 배출된 종이컵(40)이 이 경사면(310a)을 따라 하부 안착면(32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옮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미설명 부호 312a는 종이컵이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안착면에 종이컵(40) 이송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이송수단(340)과 같이 무한 괘도 형식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무한 괘도는 풀리와 벨트가 감아진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장착된 냉온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 원료 공급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수기 100 : 차 공급장치
200 : 종이컵 공급수단 210 : 보관통
220 : 종이컵 배출부 300 : 종이컵 받침 선반
310 : 상부 안착면 400 : 차 원료 공급수단
410 : 탱크 420 : 덮개

Claims (10)

  1. 하우징의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기의 측벽에 고정설치되는 투명 홀더의 내측에 종이컵이 끼워지고, 이 홀더의 하부에 종이컵의 컬링부를 받치는 받침링체가 구비되어 이 받침링체를 구동부로 벌리거나 오므려 컵을 공급하는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된 탱크 내부에 차 원료가 담아지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차 원료를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떨어진 종이컵이 안착됨과 아울러 이 종이컵을 이동시켜 차 원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차 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종이컵 받침 선반;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종이컵 공급수단의 구동부와 차 원료 공급수단의 모터를 회전시켜 종이컵과 차 원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은 투명의 긴 홀더 하부에 종이컵 배출부를 구비하되, 이 배출부는 종이컵 컬링부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 받침링체와, 상부 받침링체로 구성되도록 하되, 각 받침링체는 반원형의 지지편을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연장부를 교차시켜 이 연장부를 링으로 결합한 것을 포함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에 구동부를 연결하여 이를 밀거나 당겨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되,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받침 선반은 냉온수기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며, 종이컵이 떨어져 끼워지는 상부 안착면과 차 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안착면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일측에 일회용 티 스푼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원료 공급수단은 차 원료가 보관되는 탱크의 하부에 차 원료 토출관을 구비하고, 내측 하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차 원료를 배출하는 스크류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에 토출관을 밀폐 혹은 개방하는 차폐판을 구비하고, 스크류의 회전수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이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여 차 원료를 교반함과 동시에 스크류에 차 원료의 점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원료 공급수단의 모터와, 구동부는 제어수단에 의해 동작 혹은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받침 선반의 하부 안착면에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종이컵의 유무에 따라 차 원료 공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받침 선반에 종이컵 공급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종이컵이 차 원료 공급수단의 직하부까지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받침 선반에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종이컵을 차 원료 공급수단의 직하부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되, 이 이송수단은 무한 괘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차 원료 공급장치.
KR1020080097583A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KR20100038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3A KR20100038566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3A KR20100038566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66A true KR20100038566A (ko) 2010-04-15

Family

ID=4221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83A KR20100038566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5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75A1 (ko) * 2015-11-06 2017-05-11 김선홍 커피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75A1 (ko) * 2015-11-06 2017-05-11 김선홍 커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576B2 (en) Portable automatic beverage brewing drinking vessel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EP1832826A3 (en) In-door coffee maker for refrigerators
EP3853534B1 (en) Cold brewed coffee system in a refrigerator appliance
US9441874B2 (en)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1953632A (zh) 用于输出饮料的设备
US11326825B2 (en)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CN100548195C (zh) 具快速降温功能的咖啡机
AU2020252476B2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US20160095466A1 (en) Fresh-brewed col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20100038566A (ko)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WO2022166757A1 (zh) 用于电器的防滴落饮料分配组件
KR20100038570A (ko)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JP2011149576A (ja) 給湯装置
US20190032992A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dispensing assembly
CN203662557U (zh) 多功能茶饮机
WO2019192158A1 (zh) 净饮机
KR200396676Y1 (ko) 소형 자동판매기의 냉음료 생산 보조장치
CN201015541Y (zh) 具快速降温功能的咖啡机
CN202537192U (zh) 一种速热式健康饮水机
CN207693446U (zh) 一种水桶下置式多功能饮水机
JP5892812B2 (ja) 飲料供給装置
CN221172667U (zh) 一种冰箱
KR101189635B1 (ko) 제빙수단을 구비한 먹는 물 공급장치
KR20100004334U (ko)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