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570A -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570A
KR20100038570A KR1020080097588A KR20080097588A KR20100038570A KR 20100038570 A KR20100038570 A KR 20100038570A KR 1020080097588 A KR1020080097588 A KR 1020080097588A KR 20080097588 A KR20080097588 A KR 20080097588A KR 20100038570 A KR20100038570 A KR 2010003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hot water
tea
cold
p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102008009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570A/ko
Publication of KR2010003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2Details allowing to adapt the beverage-making apparatus to the size of the brewing vessel or the beverage container, e.g. with adjustable support for the beverage container or adjustable hot wat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냉수 혹은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상부에 생수통이 구비되거나 혹은 상수가 연결되며,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각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기계실을 구비하고, 이 기계실의 하부에 배출된 종이컵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어 커피와, 설탕, 프림을 보관 공급하되, 내부에 이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된 탱크; 상기 각 탱크를 연결하여 이들부터 공급된 커피, 설탕, 크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차 원료 공급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이컵을 상기 안착판에 공급하되, 종이컵을 낱개로 하나씩 배출하는 종이컵 배출부가 갖추어진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공급량 조절부와 종이컵 배출부를 제어하여 이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커피, 냉온수기, 차 공급장치, 컵 공급

Description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Appatus to supply the water purifier whit tea}
본 발명은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의 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냉수 혹은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상부에 거꾸로 설치되는 생수통의 물, 혹은 상수를 냉온수기 내부에 마련된 냉, 온수 저수통 각각에 공급하여 외부에 설치된 코크를 눌렀을 때 이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냉수 저수통에 저수된 물은 증발 파이프를 통과하며 냉각된 상태로 공급되고, 온수 저수통에 저수된 물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에서 온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구성이다.
보통 이러한 냉온수기는 여름철 혹은 겨울철에 물을 별도로 얼리거나 끓일 필요 없이 바로 마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무실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손님 접대를 위해 혹은 사용자가 차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냉온수기와 별도로 주방 혹은 선반에 놓인 커피나 녹차 가루, 생강이나 인삼 등의 전통차(이하 차 원료라 한다.)를 꺼내 일정 비율로 컵에 넣고 냉온수기로 가져와 물을 부어 마시게 되는데, 차 원료를 별도로 보관하는 공간이 필요하고, 차를 타는 사람이 일일이 차 원료와 컵을 꺼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냉온수기에 커피 공급 장치를 설치하여 냉, 온수는 물론 원하는 차를 언제라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51962호의 커피 및 차 공급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는 냉온수기의 본체 내부에 파우치를 구비하고, 이 파우치에 커피를 넣어 온수와 함께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냉온수기는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온의 냉수로 저장하며 냉수 배출콕을 통해 냉수를 배출하도록 냉온수기의 상층부에 설치된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전방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토록 냉수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액상의 커피 및 차가 각각 수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우치가 장착되는 냉장통과, 상기 냉수통과 냉장통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냉장통과 냉수통을 저온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수통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냉온수기의 중층부에 설치되고 냉수통과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수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물을 상온으로 유지토록 하는 히터가 구비됨과 동시에 온수 배출콕을 통 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통과, 상기 냉장통의 저면에 설치되어 냉장통의 내부에 장착된 파우치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파우치 내에 저장된 액상의 커피 또는 차를 배출함과 동시에 냉·온수통과 냉·온수 공급관에 의해 연결되어 액상의 커피 또는 차와 물을 혼합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냉·온수 공급관 상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의해 냉·온수 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냉온수기의 하층부에 설치되어 냉각코일을 작동시킴으로써 냉장통 및 냉수통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냉온수기는 다음과 단점이 있다.
첫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를 공급하는 수단이 내장되어 원하는 경우 언제라도 커피를 즐길 수 있으나, 컵은 이전의 냉온수기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 공급시 커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셋째, 상기 냉온수기는 커피와 온수가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온수 파이프의 내부에 커피가 잔여하게 되고, 따라서 평소에도 커피가 혼합된 온수를 마시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필수적으로 내부 청소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온수기의 하우징 일측에 공간을 마련하여 커피와 밀크, 설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종이컵 공급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종이컵을 공급받아 온수, 냉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차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와, 밀크, 설탕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개인 취향에 맞게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온수 공급관을 별도로 두어 냉온수기의 온수에 배출에 커피 등이 침투할 일이 없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편리하면서도 사용이 용이한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상부에 생수통이 구비되거나 혹은 상수가 연결되며,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각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기계실을 구비하고, 이 기계실의 하부에 배출된 종이컵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어 커피와, 설탕, 프림을 보관 공급하되, 내부에 이들의 공급량 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된 탱크; 상기 각 탱크를 연결하여 이들부터 공급된 커피, 설탕, 크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차 원료 공급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이컵을 상기 안착판에 공급하되, 종이컵을 낱개로 하나씩 배출하는 종이컵 배출부가 갖추어진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공급량 조절부와 종이컵 배출부를 제어하여 이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첫째, 냉온수기에 설치되어 냉수, 온수는 물론 차 언제라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장치는 냉온수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커피 자판기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커피나 혹은 종이컵이 동시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협소한 사무실에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셋째, 본 발명의 장치는 냉온수기와 병행하여 설치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차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음용자의 취향에 따라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탱크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탱크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냉온수기(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냉온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내부에 냉수와 온수 저수통이 구비되고, 상기 냉수 저수통에는 증발 파이프가 연결되어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온수 저수통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물을 가열함과 아울러 온수 파이프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이외에 근래 개발된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전자소자를 활용하는 냉온수기에도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냉온수기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냉온수기(10)의 하우징(12) 상부에 물을 공급하는 생수통(20) 이 끼워지고, 전면에는 냉수 혹은 온수 밸브(30)가 구비된 것으로, 이 냉온수기의 하우징(12) 일측에 마련된 케이싱(110) 내부에 본 발명의 차 공급장치(10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10)에 마련된 기계실(120)에 종이컵 공급수단(200)이 구비되고, 이와 연이어 설탕, 프림, 커피 혹은 인삼차, 녹차 등의 전통차가 보관되는 공급 탱크(300)가 설치되며, 상기 각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차 원료를 종이컵에 공급하는 차 원료 공급부(400)로 구성된다.
케이싱
상기 케이싱(110)은 냉온수기의 하우징(12) 일측에 마련된 것으로, 하우징과 일체로 혹은 별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공급 탱크와 종이컵 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기계실(120)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의 하부에 공급 종이컵(40)이 떨어져 안착되며, 차 원료의 공급을 가능케 하는 종이컵 안착판(140)이 설치되도록 하되, 안착판과 기계실 사이에 공간(130)을 두어 종이컵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200)은 첨부된 도 4 및 5와 같이 홀더(210)와, 이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는 종이컵 배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10)는 원통의 긴 관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의 종이컵(40)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하되, 상단 투입구(212)가 케이싱(110)의 상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구성이다.
이는 커피나 설탕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모가 많은 종이컵을 용이하게 보충시키기 위함이며, 하단에 위치하는 배출구(216) 주변에는 기계실 하판을 관통하여 공간(130)에 종이컵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편(214)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편(214)은 종이컵이 공간 바닥의 안착판(140)에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이컵 배출부(220)는 홀더(210)의 하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종이컵(40) 상단에 외측으로 말아진 컬링부(42)의 하부를 받쳐주거나 혹은 받침을 해지하여 종이컵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부 받침링체(221)와 상부로 받침링체(221a)로 구성되는데, 2개의 받침링체는 동일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부 받침링체(2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받침링체(221)들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222)이 결합된 구성으로, 한 쌍의 지지편(222)을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그 연장부를 교차하여 핀(223)으로 결합하되, 이 핀(223)에 솔레노이드(224)가 연결되어 핀을 밀거나 당겨 지지편이 벌어지거나 혹은 오므려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공급 탱크
상기 공급 탱크(300)는 구비되는 차의 종류에 따라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커피와, 설탕, 프림이 담아지는 탱크가 각각 구비되어 설치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조절 밸브(430)를 통해 배출을 제한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탱크(3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관 공간(310)의 하부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경사판(320)과 공급량 조절부(330)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경사판(320)은 탱크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 관체(410)측으로 하향 경사져 커피, 설탕 혹은 프림 등이 용이하게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고, 공급량 조절부(330)는 회전축(331)과 경사판을 막거나 개방하는 개폐판(332)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축(331)이 모터(530)와 연결되어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개폐판(332)이 회전하며 배출 관체를 막거나 개방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차 원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 혹은 음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설탕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단계별로 기 설정된 량의 스위치(510)를 누르면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설탕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차 원료 공급부
상기 차 원료 공급부(400)는 각 탱크와 연결된 배출 관체(410)와, 이들 배출 관체가 연결되는 밸브(420)와 상기 밸브를 통과한 차 원료를 종이컵(40)에 공급하는 노즐(430)이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배출 관체(410)는 각 탱크에 구비된 경사판(320)의 직하부에 위치하여 경사판을 따라 흐르는 차 원료의 이송을 안내하며, 조작 밸브(420)는 각 배출 관체를 막거나 개방한다.
이는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출 관체를 막아둠으로써, 외부 먼지 혹은 다른 차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즐(430)은 기계실(120)의 하판을 관통하여 일부 공간(130)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차 원료를 종이컵에 투입한다.
한편, 상기 안착판(140)에는 감지 센서(520)가 설치되는데, 이 감지 센서는 종이컵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 수단(500)에 신호를 출력하여 차 원료의 배출 유무를 결정한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종이컵만 인출하여 냉수 혹은 온수를 마시는 경우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 설정된 스위치(510)를 눌러 종이컵(40)을 배출하는데, 제어수단(500)은 종이컵 공급수단(200)의 배출부(220)를 동작시킨다.
제어수단(500)는 먼저 하부 받침링체(221)와 연결된 솔레노이드(224)를 동작시켜 솔레노이드가 링체를 전방측으로 밀도록 하면 받침링체의 지지편(222)이 벌어지며 컵이 하부로 떨어진다.
컵이 떨어진 다음 제어수단(500)은 솔레노이드 당김 신호를 출력하여 하부 받침링체(221)가 오므려지도록 한다. 이때 다른 종이컵들은 오므려져 있는 상부 받 침링체(221a)에 의해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종이컵(40)이 배출된 다음 제어수단(500)은 다시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상부 받침링체(221a)가 벌어지도록 하여 최하단 종이컵이 하부 받침링체(221)로 떨어지도록 하고, 다시 오므려 상부 종이컵을 받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커피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스위치 중 커피 공급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스위치(510)가 눌러지며 제어 수단(500)은 상기 종이컵 인출할 때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224)를 동작시켜 종이컵이 안착판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종이컵이 떨어지면 사용자는 차 원료 공급부(400)의 노즐(430) 하부로 옮겨 놓고, 이때 감지 센서(520)는 종이컵이 정위치에 놓이면 제어수단(500)에 그 신호를 출력하여 차 원료가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어 수단(500)은 모터(530)를 회전시켜 개폐판(332)이 배출 관체(410)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커피, 설탕 혹은 프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커피 공급량이 회전축(331)을 10회전시켜 개폐판 개방, 밀폐를 반복하며 배출하는 량이라면, 진한 커피의 경우 그 회전수를 증가시켜 공급량을 늘리는 것이다. 물론 반대인 경우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 예는 상기 노즐(430)에 온수 공급관(440)을 연결하여 커피 등과 함 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온수 공급관은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온수 파이프와 연결되어 이것으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냉온수기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공급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이컵 공급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탱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 탱크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수기 20 : 냉,온수 밸브
100 : 차 공급장치 110 : 케이싱
200 : 종이컵 공급장치 300 : 공급 탱크
320 : 경사판 330 : 회전축
400 : 차 공급부 410 : 배출 관체

Claims (7)

  1. 하우징의 상부에 생수통이 구비되거나 혹은 상수가 연결되며, 내측에 온수 파이프와 증발 파이프가 구비되어 이들 파이프와 연결된 각 밸브를 통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기계실을 구비하고, 이 기계실의 하부에 배출된 종이컵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어 커피와, 설탕, 프림을 보관 공급하되, 내부에 이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된 공급 탱크;
    상기 각 탱크를 연결하여 이들부터 공급된 커피, 설탕, 크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차 원료 공급부;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종이컵을 상기 안착판에 공급하되, 종이컵을 낱개로 하나씩 배출하는 종이컵 배출부가 갖추어진 종이컵 공급수단;
    상기 공급량 조절부와 종이컵 배출부를 제어하여 이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내측 하부에 경사판을 두어 배출 관체측으로 차 원료가 흘러내리도록 하되, 이 경사판의 상부에 배출 관체를 막거나 개방하는 공급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절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배출 관체를 밀폐시키는 개폐판을 구비된 구성으로, 회전축이 회전수에 따라 배출 관체의 개방 및 밀폐를 반복하며 차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원료 공급부는 각 탱크의 하부와 연결된 배출 관체와, 이들 배출 관체가 연결되는 조작 밸브와 조작 밸브와 연결된 노즐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조작 밸브는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그 탱크의 배출 관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은 상부 투입구가 케이싱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홀더의 하부에 종이컵 배출부를 구비하되, 이 배출부는 종이컵 컬링부의 하부를 받치는 하부 받침링체와, 상부 받침링체로 구성되고, 각 받침링체는 반원형의 지지편을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연장부를 교차시켜 이 연장부를 링으로 결합하고, 이 링에 다시 솔레노이드를 연결하여 링을 밀거나 당겨 지지편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에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종이컵이 정 위치에 놓이면 차 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 원료 공급부에 냉온수기의 온수 파이프와 연결된 온수 공급관을 배관하여 차 원료와 함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KR1020080097588A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KR20100038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8A KR20100038570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88A KR20100038570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70A true KR20100038570A (ko) 2010-04-15

Family

ID=4221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88A KR20100038570A (ko) 2008-10-06 2008-10-06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5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21B1 (ko) * 2013-05-13 2015-03-06 이진웅 커피 제조기 겸용 냉온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21B1 (ko) * 2013-05-13 2015-03-06 이진웅 커피 제조기 겸용 냉온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US7861646B2 (en) Device for producing small batches of coffee from liquid coffee concentrate
US7748570B2 (en) Refrigerator-mounted hot beverage dispenser
US8011290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such as coffee
RU2534418C2 (ru) Кофемашина с охлаждаемым отделением
CN101953632A (zh) 用于输出饮料的设备
US9723946B2 (en) Beverage temperature optimizer machine
CN100548195C (zh) 具快速降温功能的咖啡机
KR20100038570A (ko) 냉온수기에 설치되는 차 공급장치
JP200701570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8132499B2 (en) Heated substance reservoir baffle
KR20100038566A (ko) 냉온수기용 차 공급장치
CN209789591U (zh) 即热型茶品冲泡机
US11406218B2 (en)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CN201015541Y (zh) 具快速降温功能的咖啡机
JP2005338913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200396676Y1 (ko) 소형 자동판매기의 냉음료 생산 보조장치
KR200457013Y1 (ko) 커피자동판매기
KR100379644B1 (ko) 냉온수기 겸용 커피 배출기
KR20100004334U (ko) 음료 배출수단이 구비된 냉온수기
JPH09265574A (ja) 自動販売機
KR20090103295A (ko) 음료자판기
CN209623214U (zh) 一种热饮速冷机
JP5892812B2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