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282U - 의료용 침대 커버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282U
KR20100004282U KR2020080013813U KR20080013813U KR20100004282U KR 20100004282 U KR20100004282 U KR 20100004282U KR 2020080013813 U KR2020080013813 U KR 2020080013813U KR 20080013813 U KR20080013813 U KR 20080013813U KR 20100004282 U KR20100004282 U KR 201000042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olding wings
contact portion
medical
medical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강영순
장경자
박선진
최명애
정복희
유명덕
최경아
배효순
최성복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Priority to KR2020080013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282U/ko
Publication of KR20100004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84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4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with fastening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 커버에 관한 것으로, 침대의 상측에 결합되어 신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들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침대의 하부 내측면으로 접혀지는 복수의 접힘날개부; 및 상기 복수의 접힘날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힘날개부의 상기 침대에 대한 결합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의료용 침대 커버를 의료용 침대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의료용, 침대, 커버

Description

의료용 침대 커버{MEDICAL BED COVER}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 커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침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커버는 병실의 의료용 침대 또는 일반가정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침대 커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료용 침대(10)에 씌워져서 사용된다. 의료용 침대(10)는 매트(40)가 지지대는 지지프레임(20)과, 환자가 매트(4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가이드(30)가 구비된다. 의료용 침대 커버(50)는 매트(40)의 외곽면을 감싸 환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한다.
종래 침대 커버(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운데 영역(51)은 매트(40)의 상면에 결합되고 테두리영역(53)은 매트(40)와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접혀져 수용된다. 병원의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종래 침대 커버(50)를 의료용 침대(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침대 커버(50)를 의료용 침대(10) 위에 펼쳐놓고 매트(40)의 외부로 연장된 상하, 좌우의 테두리영역(53)들을 매트(40)와 지지프레임(20) 사이로 끼워 넣었다.
도3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종래 침대 커버(50)가 씌원진 매트(40)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침대 커버(50)는 매트(40) 밑으로 끼워진 테두리영역(53)이 환자의 움직임 또는 외력에 의해 매트(40) 밖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매트(40) 밑으로 접혀지는 길이가 매트(40)의 중앙영역에까지 충분히 닿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침대 커버(100)는 사각형의 형상에 의해 매트(40)의 모서리영역(A)에서는 좌우 테두리영역과 상하 테두리영역이 상호 겹쳐지게 구비된다.
그런데, 테두리영역(53)의 길이가 매트(40)의 중앙영역에 닿을 정도로 길게 마련되고 좌우테두리영역과 상하테두리영역이 상호 겹쳐지게 구비될 경우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침대 커버(50)를 침대 밑으로 끼워 결합시킬 때와 침대 커버(50)를 매트(40)로부터 분리시킬 때 간호사 또는 간병인에게 체력적으로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즉, 침대 커버(50)의 테두리영역(53)을 침대 밑으로 끼워 넣을 때 모서리에서 좌우테두리영역과 상하테두리영역이 겹쳐지므로 매트(40)를 들어서 겹쳐지는 부분을 별도로 접여 매트(40) 밑으로 넣어야 한다. 이 때, 간호사가 한 손으로 매트(40)를 들고 다른 손으로 테두리영역(53)을 접어 넣어야 하므로 손목과 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특히, 병원의 경우 1명의 간호사가 다수의 침대에 침대 커버를 결합해야 하므로 간호사가 체력적으로 힘들어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문제는 의료용 침대(10)로부터 침대 커버(50)를 분리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즉, 매트(40)와 지지프레임(20) 사이의 모서리부분(A)에 상 하테두리영역 좌우테두리영역이 상호 겹쳐지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간호사가 침대로 노출되어 있는 가운데영역(51)을 가압할 때 겹쳐져 있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큰 힘을 가해야 하거나, 손을 매트(40) 밑으로 넣어 테두리영역(53)을 직접 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의료용 침대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자의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근골격계 질환을 에방하는 의료용 침대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침대의 상측에 결합되어 신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들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침대의 하부 내측면으로 접혀지는 복수의 접힘날개부; 및 상기 복수의 접힘날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힘날개부가 상기 침대에 대한 결합상태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접힘날개부는 상기 침대의 좌우측으로 각각 접혀지는 좌우접힘날개와, 상기 침대의 상하로 각각 접혀지는 상하접힘날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우접힘날개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1)는 250mm<L1<400mm 의 범위 내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접힘날개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2)는 80mm <L2<150mm 의 범위 내로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 커버는 침대의 모서리 영역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좌우접힘날개와 상하접힘날개가 상호 탄성지지부재로 지지되므로 침대에 씌우거나 분리할 때 큰 힘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커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커버(100)를 의료용 침대(2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커버(100)는 의료용 침대(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접촉부(110)와, 접촉부(110)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구비되는 접힘날개부(120)와, 접힘날개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접촉부(110)는 의료용 침대(20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의료용 침대(2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접촉부(110)는 조립 후 환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된다. 이를 위해 접촉부(110)는 흡습성과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날개부(120)는 접촉부(110)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접힘날개부(120)는 접촉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접힘날개(120a)와, 접촉부(11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좌우접힘날개(120b)를 포함한다.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는 접힐 경우 상호 접촉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촉부(110)로부터 점진적으로 그 폭이 줄어들게 마련된다. 즉, 상하접힘날개(120a)의 단부영역의 폭(W2)은 접촉부(110)의 경계영역의 폭(W1)에 비해 작게 마련된다(W1>W2). 또한, 좌우접힘날개(120b)의 단부영역의 폭(W4)은 접촉부(110)의 경계영역의 폭(W3)에 비해 작게 마련된다(W3>W4). 여기서, 상하접힘날개(120a)의 접촉영역의 폭(W1)과 단부영역의 폭(W2)의 차이 및 좌우접힘날개(120b)의 단부영역의 폭(W4)과 접촉부(110)의 경계영역의 폭(W3)의 차이는 상하접힘날개(120a)가 접촉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1)와 좌우접힘날개(120b)가 접촉부(1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하접힘날개(120a)의 길이(l3)와 좌우접힘날개(l4)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상하접힘날개(120a) 및 좌우접힘날개(120b)의 경계영역과 단부영역의 폭의 차이는 커진다. 이는 상하접힘날개(120a)의 길이(l1)와 좌우접힘날개(l2)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접혀지는 길이가 길어지므로 상호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대 커버(100)는 상하접힘날개(120a)의 길이(l1)가 80mm 보다 크고 150mm 보다는 작게 마련된다. 상하접힘날개(120a)가 80mm 보다 작게 마련되는 경우 외부의 가압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하접힘날개(120a)가 침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접힘날개(120a)가 150mm 보다 크게 마련될 경우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침대 커버(100)를 교환하고자 할 때 작은 힘으로 상하 접힘 날개가 손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좌우접힘날개(120b)의 길이는 200mm 보다 크고 400mm 보다는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우접힘날개(120b)가 200mm 보다 작게 마련되는 경우 외부의 가압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하접힘날개(120a)가 침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접힘날개(120b)가 400mm 보다 크게 마련될 경우 통상 의료용 침대(200)의 폭이 800mm이므로 좌우접힘날개(120b)가 접혀질 경우 좌우접힘날개(120b)가 상호 접촉되어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침대 커버(100)를 교환하고자 할 때 작은 힘으로 좌우접힘날개를 손쉽게 분리하지 못한다.
여기서, 상술한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의 길이에 대한 임 계적 값들은 의료용 침대(200)에 침대 커버(100)를 교환하는 간호원들에 의해 수차례 반복적으로 실험한 결과의 평균값에 의한 값임을 밝힌다.
탄성지지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지지부재(130)는 침대 커버(100)가 의료용 침대(200)에 결합될 때 의료용 침대(200)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침대(200)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탄성지지부재(130)는 의료용 침대(200)의 상면에서 바닥면에 걸쳐 결합되므로 접촉부(110)가 침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탄성지지부재(130)는 고무밴드로 구비되며 의료용 침대(200)의 두께를 고려하여 반복사용하더라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커버(100)를 의료용 침대(200)에 씌우는 과정을 도5와 도6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침대 커버(100)를 의료용 침대(200) 위에 배치하고 침대의 네 모서리영역을 들어 탄성지지부재(130)를 각각 결합시켜 접촉부(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를 손으로 의료용 침대(200)의 바닥면으로 집어 넣어 외관을 정리한다. 이 때,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의 길이가 종래 침대 커버(50, 도2 참조)에 비해 길지 않으므로 간호사 또는 간병인이 침대를 들어서 깊숙이 손을 넣을 필요가 없다. 또한, 침대 커버(100)의 모서리 영역을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미리 의료용 침대에 고정하므로 접촉부(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상하접 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를 침대 밑으로 집어 넣을 때 밀리거나 당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씌워진 침대 커버(100)를 의료용 침대(200)로부터 벗겨 내기 위해서는 먼저 의료용 침대(200)의 모서리영역을 들어 탄성지지부재(130)를 의료용 침대(200)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접촉부(110)를 가압하거나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 영역을 가압하여 이들을 침대 밑에서 분리시킨다. 이 때, 상하접힘날개(120a)와 좌우접힘날개(120b)가 침대 밑에 수용되어 있는 길이가 종래 침대 커버에 비해 짧으므로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손쉽게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 커버는 침대 밑으로 끼워지는 상하접힘날개와 좌우접힘날개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침대 커버를 의료용 침대에 씌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빈번하게 침대 커버를 교환해야 하는 이들에게 체력적인 부담을 줄여 줄 수 있고,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재를 제외한 부가적인 결합수단이 없으므로 제조 가격이 저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의료용 침대 커버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의료용 침대 커버와 의료용 침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종래 의료용 침대 커버가 씌워진 의료용 침대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 커버와 의료용 침대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 커버가 씌워진 의료용 침대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대 커버 110 : 접촉부
120 : 접힘날개부 120a : 상하접힘날개
120b : 좌우접힘날개 130 : 탄성지지부재
200 : 의료용 침대

Claims (3)

  1. 침대의 상측에 결합되어 신체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테두리영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들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침대의 하부 내측면으로 접혀지는 복수의 접힘날개부 및
    상기 복수의 접힘날개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의 모서리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힘날개부가 상기 침대에 대한 결합상태를 탄성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날개부는 상기 침대의 좌우측으로 각각 접혀지는 좌우접힘날개와, 상기 침대의 상하로 각각 접혀지는 상하접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접힘날개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1)는 250mm<L1<400mm 의 범위 내로 구비되고,
    상기 상하접힘날개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2)는 80mm <L2<150mm 의 범위 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 커버.
KR2020080013813U 2008-10-16 2008-10-16 의료용 침대 커버 KR201000042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13U KR20100004282U (ko) 2008-10-16 2008-10-16 의료용 침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13U KR20100004282U (ko) 2008-10-16 2008-10-16 의료용 침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82U true KR20100004282U (ko) 2010-04-26

Family

ID=4445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813U KR20100004282U (ko) 2008-10-16 2008-10-16 의료용 침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2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00U (ko) * 2018-12-27 2020-07-07 조남주 관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00U (ko) * 2018-12-27 2020-07-07 조남주 관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560B2 (en) Easily changeable absorbent panel for bed clothing
US9924812B1 (en) Infant safety mattress pad
US20100088819A1 (en) Mattress cover
US9890553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d method of, protecting a patient on a stretcher
KR20150080015A (ko) 탈착형 방수 패드 시스템
KR200471152Y1 (ko) 의료용 부목
KR102205713B1 (ko) 신생아의 놀람 방지와 포근하게 감쌈이 가능한 속싸개
US7114195B1 (en) Neonate warmth stocking cap
KR20140001607U (ko) 착탈식 침대패드를 갖춘 침대커버
KR20100004282U (ko) 의료용 침대 커버
KR102078972B1 (ko) 매트리스의 분리형 커버 구조물
US20120209236A1 (en) Extra tabs diaper
JP2006230705A (ja) 敷布団カバー
TWM552819U (zh) 兒童點滴固定套
KR200471508Y1 (ko) 이불
CN203458124U (zh) 可清洗式枕芯
KR200475194Y1 (ko) 유아용 침구
KR101313873B1 (ko)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치매환자용 장갑
KR200494706Y1 (ko)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KR200495008Y1 (ko) 침대 매트리스 커버
JP2010536500A5 (ko)
JP3112179U (ja) 寝たきり者用洗髪具
KR200331819Y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CN205322655U (zh) 一种易于保持平整的床单
KR200395635Y1 (ko) 분리형 패드를 구비한 매트리스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