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00U - 관보 - Google Patents
관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500U KR20200001500U KR2020180006110U KR20180006110U KR20200001500U KR 20200001500 U KR20200001500 U KR 20200001500U KR 2020180006110 U KR2020180006110 U KR 2020180006110U KR 20180006110 U KR20180006110 U KR 20180006110U KR 20200001500 U KR20200001500 U KR 2020000150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ortion
- main cover
- funeral
- tub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보에 관한 것으로서, 장례용 관의 상면과 폭방향 양 측면을 덮기 위한 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배면덮개부를 갖는 관보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부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결합되는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 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관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신이 안치된 장례용 관의 상면, 양 측면, 전면 및 배면을 덮는데 사용하는 관보(棺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죽으면 장례의식을 지낼 장소를 결정해야 하고, 장례의식장소에는 시신을 안치하기 위한 장례용 관이 준비된다.
장례용 관에 시신을 안치하고 나면, 관보(棺褓)를 사용하여 장례용 관의 상면, 양 측면, 전면 및 배면을 덮게 된다.
도5는 종래의 관보의 사시도이고, 도6은 종래의 관보의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7은 종래의 관보의 설치상태도이다.
종래의 관보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덮개부(110)와, 주덮개부(110)에 결합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121) 및 배면덮개부(122)와, 주덮개부(110), 전면덮개부(121) 및 배면덮개부(122)의 하단에 결합된 레이스(151)와, 주덮개부(110)의 외표면에 설치된 판체의 종교의식부속물(152)를 갖고 있다.
주덮개부(110)는 직사각형 창틀 형태로 제작된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와,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내부공간을 메우도록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면주덮개부(112)와,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전면덮개부(121) 및 배면덮개부(122)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측면주덮개부(113)를 갖고 있다.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는 스판덱스(1Spandex) 원단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면주덮개부(112)는 비단, 인조견 등과 같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각 측면주덮개부(113)는 비단, 인조견 등과 같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전면덮개부(121)는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에 결합된다.
전면덮개부(121)는 한 쌍의 측면주덮개부(113)와 한 몸으로 형성된다.
전면덮개부(121)는 비단, 인조견 등과 같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전면덮개부(121) 및 배면덮개부(122)로부터 연장형성된 한 쌍의 측면주덮개부(113)를 갖고 있다.
배면덮개부(122)는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에 결합된다.
배면덮개부(122)는 한 쌍의 측면주덮개부(113)와 한 몸으로 형성된다.
배면덮개부(122)는 비단, 인조견 등과 같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보는 주덮개부(110)가 장례용 관(201)의 상면(201a)과 폭방향 양 측면(201b)을, 전면덮개부(121)가 장례용 관(201)의 전면(201c)을, 배면덮개부(122)가 장례용 관(201)의 배면(201d)을 각각 둘러싸도록 설치된다(도7 참조).
관보를 설치할 때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신축성에 의해 길이 또는 폭이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관보에 따르면,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의 폭이 작고,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가 신장될 때 측면주덮개부(113)는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는 장례용 관의 높이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없기 때문에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서리신축주덮개부(111)가 장례용 관의 상면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관보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축재질부분과 비신축재질부분의 결합구간이 커서(직사각형 창틀 형태의 모서리신축주덮개부의 내주면에 상면주덮개부가 결합되고, 직사각형 창틀 형태의 모서리신축주덮개부의 외주면에 전면덮개부, 배면덮개부 및 한 쌍의 측면주덮개부가 결합됨) 관보의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3432호(공개일자: 2013년 12월 9일, 발명의 명칭 : 길이와 폭이 가변되는 관보)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관보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한 관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장례용 관의 상면과 폭방향 양 측면을 덮기 위한 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배면덮개부를 갖는 관보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부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결합되는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또는 상기 주덮개부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배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배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과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합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나누어 결합된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장례용 관의 바닥면 모서리 영역과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하단과 상기 전면덮개부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 또는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의 하단과 상기 배면덮개부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체의 부속물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동작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비신축주덮개부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중앙포켓투시창부를 구비한 중앙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체의 부속물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동작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종단포켓투시창부를 구비한 종단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전방신축주덮개부에 결합되는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도록 주덮개부를 형성하고, 전면덮개부를 신축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진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설치상태도,
도5는 종래의 관보의 사시도,
도6은 종래의 관보의 폭방향 단면도,
도7은 종래의 관보의 설치상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설치상태도,
도5는 종래의 관보의 사시도,
도6은 종래의 관보의 폭방향 단면도,
도7은 종래의 관보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덮개부(10)와, 주덮개부(10)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21) 및 배면덮개부(22)와, 주덮개부(10)에 설치된 중앙포켓부(30) 및 한 쌍의 종단포켓부(40)와, 주덮개부(10), 전면덮개부(21) 및 배면덮개부(22)의 하단에 결합된 레이스(51)를 갖고 있다.
주덮개부(10)는 상호 분리된 전방신축주덮개부(11) 및 후방신축주덮개부(12)와, 양단을 통해 전방신축주덮개부(11) 및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각각 결합된 비신축주덮개부(13)를 갖고 있다.
전방신축주덮개부(11)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신축주덮개부(11)는 스판덱스(Spandex) 원단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제직된다.
후방신축주덮개부(12)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배면덮개부(22)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배면덮개부(22)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방신축주덮개부(12)는 스판덱스(Spandex) 원단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제직된다.
비신축주덮개부(13)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비신축주덮개부(13)는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길이구간과 후방신축주덮개부(12)의 길이구간의 합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구간이란 장례용 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잰 구간을 의미한다.
비신축주덮개부(13)는 양단이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나누어 결합된다. 비신축주덮개부(13)의 결합은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비신축주덮개부(13)는 비단, 인조견 등과 같은 비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전면덮개부(21)는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전방신축주덮개부(11)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전면덮개부(21)는 스판덱스(Spandex) 원단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배면덮개부(22)는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후방신축주덮개부(12)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배면덮개부(22)는 스판덱스(Spandex) 원단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다.
중앙포켓부(30)는 비신축주덮개부(13)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31)와,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31)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32)와,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32)에 결합된 중앙포켓투시창부(33)를 갖고 있다.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31)는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비신축주덮개부(13)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중앙포켓투시창부(33)는 비닐등과 같은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32)에 결합된다.
각 종단포켓부(40)는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와,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42)와,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42)에 결합된 종단포켓투시창부(43)를 갖고 있다.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는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종단포켓부(40) 중 일방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는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외표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방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는 후방신축주덮개부(12)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종단포켓투시창부(43)는 비닐등과 같은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42)에 결합된다.
종단포켓부(40)와 중앙포켓부(30)에는 따로 제작된 판체의 부속물(십자가 그림, 불화, 상조업체명찰, 고인의 명찰)을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보는 주덮개부(10)가 장례용 관(201)의 상면(201a)과 폭방향 양 측면(201b)을, 전면덮개부(21)가 장례용 관(201)의 전면(201c)을, 배면덮개부(22)가 장례용 관(201)의 배면(201d)을 각각 둘러싸도록 설치된다(도7 참조).
관보가 설치된 상태에서 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부분(전방신축주덮개부, 후방신축주덮개부, 전면덮개부 및 배면덮개부)이 장례용 관의 모서리 영역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를 포함하도록 주덮개부(10)를 구성하고 있으나, 전방신축주덮개부(11)만 포함하도록 주덮개부(10)를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덮개부(10)가 전방신축주덮개부(11)만을 포함하는 경우 비신축주덮개부(13)는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전방신축주덮개부(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장례용 관의 바닥면 모서리 영역과 걸림작용을 할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하단과 전면덮개부(21)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과 후방신축주덮개부(12)의 하단과 배면덮개부(22)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24)를 추가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후방신축주덮개부(12)가 없는 구조에서는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하단과 전면덮개부(21)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에만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24)가 형성된다.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24)는 패드(도4 참조), 끈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장례용 관의 양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주덮개부(10) 바람직하게는 비신축주덮개부(13)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방신축주덮개부(11)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전방신축주덮개부(11)에 결합되는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13)를 포함하도록 주덮개부(10)를 형성하고, 전면덮개부(21)를 신축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전면덮개부(21)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배면덮개부(22)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배면덮개부(22)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후방신축주덮개부(12)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방신축주덮개부(11)의 길이구간과 후방신축주덮개부(12)의 길이구간의 합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단이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에 나누어 결합된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13)를 포함하고 전면덮개부(21)와 후방신축주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례용 관의 길이범위와 폭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이가 다른 장례용 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관보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 진다.
또한 신축성 재질의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24)를 추가함으로써, 관보의 설치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신축주덮개부(13)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31)와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31)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32)와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32)에 결합된 중앙포켓투시창부(33)를 구비한 중앙포켓부(30)를 추가하거나, 전방신축주덮개부(11)와 후방신축주덮개부(1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와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41)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42)와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42)에 결합된 종단포켓투시창부(43)를 구비한 종단포켓부(40)를 추가함으로써, 따로 제작된 판체의 부속물(십자가 그림, 불화, 상조업체명찰, 고인의 명찰)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동작이 용이해 진다(중앙포켓투시창부와 종단포켓투시창부가 분리될 수 있음)
10, 110 : 주덮개부 11 : 전방신축주덮개부
12 : 후방신축주덮개부 21 : 전면덮개부
22 : 배면덮개부 30 : 중앙포켓부
40 : 종단포켓부 51 : 레이스
111 : 모서리신축주덮개부 112 : 상면주덮개부
113 : 측면주덮개부
12 : 후방신축주덮개부 21 : 전면덮개부
22 : 배면덮개부 30 : 중앙포켓부
40 : 종단포켓부 51 : 레이스
111 : 모서리신축주덮개부 112 : 상면주덮개부
113 : 측면주덮개부
Claims (6)
- 장례용 관의 상면과 폭방향 양 측면을 덮기 위한 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배면덮개부를 갖는 관보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부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고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2배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에 결합되는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 제1항에 있어서,
장례용 관의 바닥면 모서리 영역과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하단과 상기 전면덮개부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 장례용 관의 상면과 폭방향 양 측면을 덮기 위한 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배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주덮개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배면덮개부를 갖는 관보에 있어서,
상기 주덮개부는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전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배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 측면 중 상기 배면덮개부에 연결되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후방신축주덮개부와, 장례용 관의 상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상면부분과 장례용 관의 양측면 중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덮히지 않는 양측면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과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의 길이구간의 합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에 나누어 결합된 비신축성 재질의 비신축주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면덮개부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 제3항에 있어서,
장례용 관의 바닥면 모서리 영역과 걸림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의 하단과 상기 전면덮개부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과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의 하단과 상기 배면덮개부의 하단이 만나는 양 모서리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신축성 재질의 바닥모서리걸림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축주덮개부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중앙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중앙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중앙포켓투시창부를 구비한 중앙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신축주덮개부와 상기 후방신축주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종단포켓고정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디귿자 형태의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와 상기 종단포켓분리벨크로테이프부에 결합된 종단포켓투시창부를 구비한 종단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6110U KR200493004Y1 (ko) | 2018-12-27 | 2018-12-27 | 관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6110U KR200493004Y1 (ko) | 2018-12-27 | 2018-12-27 | 관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500U true KR20200001500U (ko) | 2020-07-07 |
KR200493004Y1 KR200493004Y1 (ko) | 2021-01-14 |
Family
ID=7152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6110U KR200493004Y1 (ko) | 2018-12-27 | 2018-12-27 | 관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004Y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582Y1 (ko) * | 1999-11-22 | 2000-05-15 | 김영복 | 에어백 구조를 갖는 꽃상여 |
JP4292253B2 (ja) * | 2003-09-03 | 2009-07-08 | 日昭クインズ株式会社 | ペット用葬斎花立クロス |
KR20100004282U (ko) * | 2008-10-16 | 2010-04-26 |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 의료용 침대 커버 |
WO2010126145A1 (ja) * | 2009-04-30 | 2010-11-04 | 株式会社吉田木工所 | 棺桶 |
KR20130133432A (ko) * | 2012-05-29 | 2013-12-09 | 전석기 | 길이와 폭이 가변되는 관보 |
JP2015000184A (ja) * | 2013-06-14 | 2015-01-05 | 株式会社 日天大鳳 | 棺装飾具及び装飾棺 |
-
2018
- 2018-12-27 KR KR2020180006110U patent/KR20049300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582Y1 (ko) * | 1999-11-22 | 2000-05-15 | 김영복 | 에어백 구조를 갖는 꽃상여 |
JP4292253B2 (ja) * | 2003-09-03 | 2009-07-08 | 日昭クインズ株式会社 | ペット用葬斎花立クロス |
KR20100004282U (ko) * | 2008-10-16 | 2010-04-26 |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의학원 | 의료용 침대 커버 |
WO2010126145A1 (ja) * | 2009-04-30 | 2010-11-04 | 株式会社吉田木工所 | 棺桶 |
KR20130133432A (ko) * | 2012-05-29 | 2013-12-09 | 전석기 | 길이와 폭이 가변되는 관보 |
JP2015000184A (ja) * | 2013-06-14 | 2015-01-05 | 株式会社 日天大鳳 | 棺装飾具及び装飾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3004Y1 (ko) | 2021-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03996S1 (en) | Shoe | |
USD903248S1 (en) | Shoe | |
USD951236S1 (en) | Earbud | |
USD923222S1 (en) | Light wand | |
USD902563S1 (en) | Shoe | |
USD865338S1 (en) | Shoe | |
USD980851S1 (en)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
USD880819S1 (en) | Shoe | |
USD1019747S1 (en) | Wearable device | |
USD905564S1 (en) | Bag | |
USD971618S1 (en) | Digital picture frame | |
USD901216S1 (en) | Main body of indoor plant cultivators | |
USD870798S1 (en) | Projector | |
USD971571S1 (en) | Sole structure | |
USD896395S1 (en) | Knee brace massager | |
USD917182S1 (en) | Picture frame | |
USD896439S1 (en) | Hair dryer attachment | |
USD893891S1 (en) | Picture frame | |
USD953669S1 (en) | Vacuum cleaner | |
USD1043960S1 (en) | Breast pump | |
USD1011531S1 (en) | Medical imaging device | |
USD904586S1 (en) | Splash guard for a bathtub | |
USD1044039S1 (en) | Wall panel frame | |
USD998577S1 (en) | Temporary protective film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 |
KR20200001500U (ko) | 관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