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706Y1 -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 Google Patents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706Y1
KR200494706Y1 KR2020210001779U KR20210001779U KR200494706Y1 KR 200494706 Y1 KR200494706 Y1 KR 200494706Y1 KR 2020210001779 U KR2020210001779 U KR 2020210001779U KR 20210001779 U KR20210001779 U KR 20210001779U KR 200494706 Y1 KR200494706 Y1 KR 200494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cover
sheet
surface portion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주형
Original Assignee
한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주형 filed Critical 한주형
Priority to KR2020210001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직포층과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적층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와 2차 감염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매트리스(100)의 상면을 덮고,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트부(21)가 복수개로 적층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에 봉재되어 상기 매트리스(100)의 측면 높이만큼 연장되는 측면부(30)와; 상기 측면부(3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상기 매트리스(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Cuttable patient mattress cover}
본 고안은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직포층과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적층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와 2차 감염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침대 커버(시트)는 한 번 세탁하면 일정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세탁 회수가 많지 않은 반면, 병원의 응급실(입원실)이나 구급차와 같은 곳에서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 커버는 환자로부터 나온 혈액이나 체액, 그리고 각종 치료약품 등이 묻어 오염되므로 수시로 침대 커버를 교체하고 세탁을 요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소아 및 노약자의 병원 감염문제, 유행성 독감과 감염균에 의한 감염질환이 사회적으로 이슈화됨에 따라 병원용 침대 커버의 위생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통상 침대 커버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침대 커버를 환자 1인당 1회 교체 사용해야 하지만, 1인당 1회 사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침대 커버를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으나, 환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깨끗이 세척한 시트라 하더라도 병균이 그대로 잔존할 수 있어 세탁만으로 감염으로부터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 그렇다고 기존에 침대에 사용되는 패브릭 시트를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현실성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병원에서는 일일이 침대 커버를 교체하는 대신에 소독액으로 조치하는 등 눈으로 오염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환자나 피부 케어를 받는 고객은 불편하고 만족하지 못하지만 어쩔 수 없이 수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병원에서는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침대 커버를 교체 사용하고 있는데,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침대나 침대에 설치된 매트리스에 침대 커버를 단단하게 결속시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침대 커버를 올려놓은 상태로 설치함에 따라 침대 사용 중에 환자가 미끄러져 낙상하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침대 커버가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일회용 침대 커버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트리스(200)를 커버하는 시트(100)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저면에 상기 매트리스(20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삽입부(130); 및 상기 삽입부(130) 저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착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일회용 침대 커버는 시트의 교환시, 매트리스의 양단부를 들어 올린 후, 그 하부면에 시트의 양단부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번거롭다. 매트리스보다 더 큰 사이즈로 연장되는 시트가 필요하고, 제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비용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탈부착식 일회용 침대 커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회용 침대 커버(10)는 비교적 얇은 시트부재(11)와, 시트부재(1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시트부재(11)를 침대 또는 침대 매트리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침대 또는 침대 커버에 별도의 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수의 침대 또는 침대 커버에 부착부재를 설치시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084호(2009년 04월 01일 공개) 일회용 침대 시트 특허문헌 2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071899호(2020년 01월 23일 등록) 탈부착식 일회용 침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대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직포층과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적층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와 2차 감염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매트리스(100)의 상면을 덮고,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트부(21)가 복수개로 적층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에 봉재되어 상기 매트리스(100)의 측면 높이만큼 연장되는 측면부(30)와; 상기 측면부(3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상기 매트리스(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상기 상면부(20)의 시트부(21)는 상기 매트리스(100)의 단방향은 개방되고, 장방향으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상기 상면부(20)이 시트부(21)는 환자와 접촉하는 부직포층(22)을 갖고, 상기 부직포층(2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방수층(2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상기 조임수단(40)은 상기 측면부(3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탄성력을 갖는 밴드(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상기 조임수단(40)은 상기 측면부(30)의 각 모서리 측에서 인접되는 모서리 측을 연결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띠(4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 의하면, 부직포층과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적층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와 2차 감염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임수단을 측면부의 끝단에서 밴드형 또는 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의 교체시 매트리스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어 교체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시트부가 절취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서 시트부와 측면부를 매트리스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6b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6b를 참고하면,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10)는 매트리스(100)의 상면을 덮고,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트부(21)가 복수개로 적층된 상면부(20)와, 상면부(20)에 봉재되어 매트리스(100)의 측면 높이만큼 연장되는 측면부(30)와, 측면부(3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매트리스(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면부(20)는 매트리스(10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시트부(21)가 절취 가능 하도록 적층되고, 적층된 시트부(21)는 부직포층(22)과 방수층(23)이 적층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트부(21)는 매트리스(100)의 단방향은 개방되고, 장방향으로 절취되어 진다. 여기서, 단방향의 개방이라 함은 접착 또는 봉재가 되지 않고, 각각의 층으로 분리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길이방향 즉, 장방향은 봉재 또는 절취선이 형성된 것이다.
시트부(21)의 부직포층(22)은 환자의 신체로부터 나온 혈액이나 이물질 및 치료약품 등을 흡수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방수층(23)은 흡수된 오염물이 매트리스(100)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매트리스(100)의 상면 방향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부직포층(22)은 비교적 가볍고 저렴한 것으로, 이외에도, 흡수력이 좋은 직물 또는 종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방수층(23)은 방수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시트부(21)는 향균, 항균 및 항습 기능이 특수 처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부(20)의 시트부(21)를 절취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21)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100)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위생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10)에서 시트부(21)는 5개로 적층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측면부(30)는 시트부(20)에 봉재되어 매트리스(100)의 측면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조임수단은 측면부(30)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상기 매트리스(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부(3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탄성력을 갖는 밴드(41)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부(30)의 각 모서리 측에서 인접되는 모서리 측을 연결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띠(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에 의하면, 부직포층과 방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시트부를 적층하여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시트부가 오염될 경우 바로 절취하여 버릴 수 있으므로 매번 매트리스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환자 개인에 맞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위생상 문제와 2차 감염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임수단을 측면부의 끝단에서 밴드형 또는 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의 교체시 매트리스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어 교체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20 : 상면부 21 : 시트부
22 : 부직포층 23 : 방수층
30 : 측면부 40 : 조임수단
41 : 밴드 42 : 탄성띠
100 : 매트리스

Claims (5)

  1. 매트리스(100)의 상면을 덮고, 상기 매트리스(100)의 단방향은 개방되고, 장방향으로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시트부(21)가 복수개로 적층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에 봉재되어 상기 매트리스(100)의 측면 높이만큼 연장되는 측면부(30)와;
    상기 측면부(3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탄성력을 갖는 밴드(41) 또는 상기 측면부(30)의 각 모서리 측에서 인접되는 모서리 측을 연결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띠(4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상기 매트리스(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1779U 2021-06-07 2021-06-07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KR200494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79U KR200494706Y1 (ko) 2021-06-07 2021-06-07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79U KR200494706Y1 (ko) 2021-06-07 2021-06-07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706Y1 true KR200494706Y1 (ko) 2021-12-02

Family

ID=7889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79U KR200494706Y1 (ko) 2021-06-07 2021-06-07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06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84U (ko) 2007-09-27 2009-04-01 박상현 일회용 침대 시트
KR20120039807A (ko) * 2010-10-18 2012-04-26 (주)헬사테크코리아 의료용 매트리스 커버시트
KR20140001607U (ko) * 2012-09-10 2014-03-19 윤원섭 착탈식 침대패드를 갖춘 침대커버
KR20160016256A (ko) * 2014-08-04 2016-02-15 서진원 적층형 패드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2071899B1 (ko) 2019-04-30 2020-02-03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탈부착식 일회용 침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대
KR102145186B1 (ko) * 2019-07-18 2020-08-18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대 매트리스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84U (ko) 2007-09-27 2009-04-01 박상현 일회용 침대 시트
KR20120039807A (ko) * 2010-10-18 2012-04-26 (주)헬사테크코리아 의료용 매트리스 커버시트
KR20140001607U (ko) * 2012-09-10 2014-03-19 윤원섭 착탈식 침대패드를 갖춘 침대커버
KR20160016256A (ko) * 2014-08-04 2016-02-15 서진원 적층형 패드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KR102071899B1 (ko) 2019-04-30 2020-02-03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탈부착식 일회용 침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대
KR102145186B1 (ko) * 2019-07-18 2020-08-18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대 매트리스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091B1 (ko) 교환이 용이한 환자용 매트리스 시트
KR20090003084U (ko) 일회용 침대 시트
KR200494706Y1 (ko) 절취 가능한 환자용 매트리스 커버
JP5734242B2 (ja) おむつ
KR102071899B1 (ko) 탈부착식 일회용 침대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침대
CN210355209U (zh) 一种医用护理尿壶
JP5192820B2 (ja) 吸収パッド
CN210644418U (zh) 一种预防湿疹及褥疮的床垫
JP3212086U (ja) 排便収納補助具
US7849536B2 (en) Underlay
KR100536622B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의 다기능 의료용 방석
US20210289849A1 (en) Skin protection sheet
KR200331819Y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CN214855819U (zh) 一种医用被套
KR200331818Y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의 다기능 의료용 방석
CN202397546U (zh) 一次性气动止血带保护套
JP3046773U (ja) 介護用簡易エプロン
US20160008189A1 (en) Disposable diaper with pocket containing one or more wipes
CN209474279U (zh) 一次性使用陪护床床罩
ES2213452B1 (es) Salvacuñas de un solo uso.
JP3189718U (ja) 洗髪用具
KR101533890B1 (ko) 신생아용 베드커버
JP2002248126A (ja) 使い捨ておむつ替えシート
KR20100021754A (ko) 종이재질 일회용 시트 및 절단부재
JP2002142941A (ja) 易手切れ性防水シ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