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06A -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06A
KR20100004106A KR1020097022796A KR20097022796A KR20100004106A KR 20100004106 A KR20100004106 A KR 20100004106A KR 1020097022796 A KR1020097022796 A KR 1020097022796A KR 20097022796 A KR20097022796 A KR 20097022796A KR 20100004106 A KR20100004106 A KR 2010000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earing support
vehicle body
end section
energy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476B1 (ko
Inventor
하랄트 린트네르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4417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041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6Buffers absorbing shocks by permanent deformation of buff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블록(2, 3) 내부로 충격력을 전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4)를 구비하는 베어링 블록(2, 3)과 변형 튜브(5)를 구비하는, 예를 들면 클러치 배열용 에너지 흡수 장치와 관련된다. 베어링 블록(2, 3)은 차량 본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인터페이스(4)에 연결되는 제2 베어링 지지부(3)를 포함한다. 베어링 사이드 단부 섹션(5b) 상에서, 변형 튜브(5)는 차체 측으로 더 위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2)과 비교하여 확장된 횡단면을 갖는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타이트하게 연결되는 섹션(5.1)을 포함한다. 변형 튜브(5)의 횡단면을 확장하고 변형 튜브(5)에 잼을 없애는 과정 중, 차체의 방향으로 제1 베어링 지지부(2) 및 변형 튜브(5)에 대하여 충돌의 경우에, 이동 가능한 제2 베어링 지지부(3)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 요소(6)를 더 포함하는 베어링 블록을 제공한다. 가이드 요소(6)의 베어링 사이드에서 단부 섹션(6b)은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6a)에서 단부 섹션(3a)에 연결되고, 차체면(6a)의 단부는 차체면(6a)의 단부의 방향으로 위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상기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 접한다.
베어링 블록, 변형 튜브, 가이드 요소, 에너지, 흡수

Description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Energy absorption device for multi-section vehicles}
본 발명은, 인접한 차량 본체로부터 전이되는 충격력이 수행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플레인(coupling plane) 방향을 향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하며 차량 본체에 장착 가능한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과, 베어링 블록에 대하여 위치되는 변형 튜브(deformation tube)를 포함하며, 베어링 블록은 멀티 섹션 차량(multi-section vehicle)의 차체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와, 인터페이스의 차체면 단부 섹션(car body-side end section)에 연결되는 제2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변형 튜브는 차체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변형 튜브의 섹션과 비교하여 확장되는 횡단면을 나타내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coupling plane-side end section)에서 제1 베어링 지지부에 고정 연결되는 섹션을 포함하며,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제1 베어링 지지부와 차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변형 튜브의 섹션 사이에 고정되는, 멀티 섹션 차량의 커플링 어셈블리(coupling assembly) 또는 클로즈 커플러(close coupler) 또는 사이드 버퍼(side buffer)를 위한 에너지 흡수 장치와 관련된다.
이러한 타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원리는, 예를 들면 커플링 어셈블리를 위한 충격 흡수 장치(shock absorber)로서 레일 차량 기술에서 적용되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런 충격 흡수 장치는 보통 드로우기어(drawgear, 스프링 장치)와 변형 튜브(deformation tube)의 형태를 갖는 에너지 흡수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그에 의해서 충격 흡수 장치의 에너지 흡수 장치는 특히 높은 충돌 속도에서 차량을 보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한정된 크기에 달하는 견인 및 충격력을 흡수하고, 그리고 나서 차량의 하부 구조에 그것의 초과된 힘을 경로화하는 드로우기어가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멀티 섹션 차량(multi-section vehicle)의 개별적인 차체 사이에, 차량의 정상 동작 동안 발생하는 견인 및 충격력이 초과되는 드로우기어의 작동 시 보통 충격 흡수 장치의 재생 제작된(regeneratively-designed) 드로우기어에 흡수되는 반면에, 차량이 장애물과 충돌되거나 뜻밖의 제동이 발생되는 경우, 재생 제작된 드로우기어와 개별적인 차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커플링 연결은 아마도 파기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충격 흡수 장치의 드로우기어가 모든 합성적인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충격 흡수 장치의 드로우기어가 모든 합성적인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다. 그런 드로우기어는 총체적으로 차량의 에너지 흡수 개념에 있어서 더 이상 구체화되지 못하며, 따라서 합성적인 충격 에너지는 차량의 하부로 직접 이동된다. 따라서 후자는 극단적인 힘을 받으며 손상되거나 심지어 파기될 수도 있다. 레일 차량의 경우에 는, 차량 본체들이 레일에서 이탈하는 위험 또한 있다. 따라서 후자는 극단적인 힘을 받으며 손상되거나 심지어 파기될 수도 있다. 레일 차량의 경우에는, 차체들이 레일에서 이탈하는 위험 또한 있다.
격렬한 충돌로 인한 손상에 대하여 차량 하부를 보호하기 위해, 충격 흡수 장치는, 고안된 파괴 형성(destructively-configured)되거나 재생 제작된(regeneratively-configured) 흡수 장치로 종종 설비되는데, 예를 들면 드로우기어의 효과적인 흡수 후에 반응하기 위해 완전히 태핑되고, 따라서 에너지 흡수 장치를 통하여 힘 흐름으로 전이된 에너지를 적어도 일부분이 흡수되고 이로 인해 일소한다. 특히 적용 가능한 에너지 흡수 장치들은 변형 튜브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 장치는, 요소(변형 튜브)의 한정된 합성적인 변형에 의해 변형과 열의 작업에서 충격 에너지를 파괴적으로 전환한다.
그것은 수평면에서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커플링 로드(coupling rod)의 차체면 단부 섹션(car body-side end section)을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과 연결하기 위한 레일 차량 기술의 상태로부터 알려져 왔으며, 그에 따라 정상 차량 작동과 입환 동안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기 위한 재생 제작 드로우 기어는, 커플링 로드 자체에, 또는 베어링 블록에서 커플링 로드의 분절에 배치된다. 베어링 블록 및 바람직하게 파괴적인 디자인의 하부에 배치되는 변형 튜브의 형태에서 에너지 흡수 요소는 예를 들면 에너지 흡수 장치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변형 요소의 형태로 형성되는 에너지 흡수 요소는 변형 작업에 의해 초과되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 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흩뜨리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에너지 흡수 장치는 변형 튜브를 통해 힘 흐름으로 전이된 에너지의 주어진 양이 초과되면 반응하도록 고안되었고, 커플링 로드와 커플링 어셈블리로부터 전이된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흡수한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후에, 변형 요소는 적당하게 대체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DE 4 302 444 A1 특허 공개 공보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 요소로서 이용되는 변형 요소는 예를 들면 변형 튜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추 형상을 갖는 그것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원추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에서 형성된 원추형 보어(bore)에 상응하게 연장된다. 이 알려진 중앙 버퍼 커플링(buffer coupling)에서, 커플링 로드를 경유하는 드로우기어에 연결되는 베어링 블록은, 변형 튜브와, 노즐 플레이트와,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동안 또는 그 후에 편향된 변형 튜브의 통로를 허용하는 레일 차량의 하부 구조 상의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와, 예를 들면 스크루에 의해 상호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DE 4 302 444 A1 특허 공개 공보로부터 알려진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에너지 흡수 요소로 제안된 것은 커플링 어셈블리의 베어링 블록에 대하여 위치되고 변형 튜브의 차체면 단부 섹션과 인접한 노즐 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도록 고안되는 변형 튜브이다. 변형 튜브는, 초과되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 시 차체의 하부 구조에 대한 변형 튜브와 베어링 블록의 축 방향으로의 변위를 경유하여, 단면적의 협소화를 겪는다.
이러한 솔루션의 단점은 첫째로, 변형 튜브가 편향될 때, 즉 에너지 흡수 요소가 반응할 때, 변형 튜브가 커플링 어셈블리의 뒤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필요한 공간 내에서 노즐 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차체의 하부 구조에서 변형 튜브와 함께 베어링 블록의 후방 이동을 위하여 요구된다는 점일 수 있다. 추가적인 공간이 제공되지 않는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예를 들면 광차로의 직접적인 접근으로 인해, 충돌의 경우에 커플링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한 에너지 흡수 장치로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솔루션을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 할 것이다.
둘째, DE 4 302 444 A1 특허 공개 공보로부터 알려진 솔루션으로는, 에너지 흡수 장치가 반응할 때, 특히 변형 튜브에 완전히 축 방향으로의 충돌이 아니라 수직이거나 비스듬한 충돌에 의해 반응할 때, 변형 튜브는 잼(jam)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파괴적인 에너지 흡수의 기능이 더 이상 의존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노즐 플레이트에서 형성된 원추형 보어에 웨지(wedge)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에너지 흡수 요소로서 레일 차량 기술로부터 이미 알려진 것은 예를 들면 작동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상에서 그것의 횡단면의 협소화되나, 충돌에서 편향된 변형 튜브가 에너지 흡수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것의 횡단면의 광폭화를 통해 합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변형 튜브이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이미 작은 설치 공간으로 결합된 최대 에너지 흡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제공한다.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이용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를 위한 이러한 종류의 솔 루션은 예를 들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은, 에너지 흡수 요소를 형성하는 차체면 단부 섹션에 인접하고,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가 일단 초과되면, 차체를 향하여 베어링 블록의 축 변위 상에 그것의 횡단면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합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고안된 변형 튜브를 갖는, 종래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베어링 블록의 부분적인 단면 표현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베어링 블록은 특별히,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지 않은 커플링 로드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수평면에 대해 축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블록에 분절화된 수단으로서,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핀(400, pivot pin)을 포함한다. 베어링 블록은, 차량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200)와, 피봇 핀(400)으로서의 커플링 로드의 차량 본체면의 단부 섹션에 연결 가능한 제2 베어링 지지부(300)로 구성된다. 특별히, 커플링 로드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피봇 핀(400)에 의해 제2 베어링 지지부(300)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coupling rod-side) 또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coupling plane-side)의 단부 섹션(30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되고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솔루션에서의 베어링 블록에 대향되게 위치하는 변형 튜브(500)는, 제1 베어링 지지부(200)에 고정 연결되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의 단부 섹션(500b) 상의 섹션(500.1)을 나타낸다. 제1 베어링 지지부(200)에 고정 연결되는 이러한 변형 튜브 섹션(500.1)은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00.2)과 비교하여 확장되는 횡단면 영역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솔루션에서, 그것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또는 커플링 플레 인 사이드 단부 섹션 상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300)의 차체면 단부 섹션(300a)에 고정 연결되는 원추형 링(700, conical ring)이 더 제공되며, 그에 따라 원추형 링(700)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확장되는 횡단면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500.2)과 차량 본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00.2)의 사이의 전이 섹션(500.3)의 내부면에 접한다.
충돌의 경우에, 즉, 과도한 충돌이 커플링 어셈블리를 통해 전이될 때, 그리고 이러한 과도한 충돌이 변형 튜브(500)의 변형에 영향을 미칠 때, 원추형 링(700)과 함께 제2 베어링 지지부(300)는 차체에 고정 부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200)와 변형 튜브(500)에 대하여 차체의 방향을 바꾸어 놓으며, 그에 따라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00.2)은 합성 변형에 의해서 횡단면적의 광폭화를 겪는다.
DE 4 302 444 A1 특허 공개 공보와 관련하여 전술된 솔루션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흡수 장치의 실현은, 충돌 동안 차량 본체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에 대하여 차체 방향으로 변위되는 구성들이 축 변위로 기울 것이라는 기본적인 위험을 수반하고, 그에 따라 성취할 수 있는 에너지 흡수가 불확실해질 것이며 특히 에너지의 흡수에서 사건들의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 경우들을 나타내지 못 할 것이다. 특별히, 도 1에 도시되었고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것처럼, 차체 방향으로 축 변위 동안, 제2 베어링 지지부(300)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서 제공되는 원추형 링(700)과 제2 베어링 지지부(300)는 변형 튜브(500) 내에서 기울거나 쐐기 고정(wedge)될 수 있다는 근본적인 위험이 있다. DE 4 302 444 A1 특허 공개 공보와 관련하여 설명된 솔루션에 의해, 충돌의 경우에, 이러한 솔루션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와 함께 차량 본체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변이되는 변형 튜브 자체는 노즐 플레이트에 제공된 개구부에서 웨지(wedge)하거나 잼(jam)할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토대로, 이제 본 발명은 처음에 인용된 타입의 에너지 흡수 장치보다 더욱 진보된 과제를 설명하고, 충돌 시 사건의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로 결합된 최대 에너지 흡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된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충격 흡수 장치로 이용된다. 특히, 에너지 흡수 장치는, 충돌의 경우에, 즉 예를 들면 초과되는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 시에, 일측에서 합성적인 충격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분이 한정되고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에 따라 흩뜨려질 수 있고, 타측에, 거기에 채용된 에너지 흡수 요소는 차체의 하부 구조에서 가능한 한 가장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과제는 베어링 블록이, 발명적으로 가이드 요소(guide element)와,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는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과,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의 섹션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며 상기 변형 튜브 섹션의 내부면에 대하여 위치되는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을 더 포함하는 처음에 인용된 타입의 에너지 흡수 장치로 해결된다.
제안된 솔루션으로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명백하다. 첫째로, 베어링 블록의 변형 튜브 하방 흐름을 공급하고 초과된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 시 횡단면적이 확장됨으로써 합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고안되고, 가능한 한 가장 작은 설치 공간에서 최대 에너지 흡수를 나타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를 공급한다. 이것은 에너지 흡수 장치 반응 시, 변형 튜브는 예를 들면 차체의 하부 구조에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달성된다.
반면에, 가이드 요소를 공급한 제안된 솔루션에 의해, 에너지 흡수의 공정에서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은 또한 충돌의 경우에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베어링 지지부에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 요소는, 변형 튜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의 확장된 횡단면과 비교하여,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에 앞서 미확장된 횡단면적을 갖은 변형 튜브 섹션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그것의 차체면 단부 섹션으로 연장된다. 일측에서, 가이드 요소가 에너지 흡수 장치에 앞서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의 내부면에 접하고, 타측에서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이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기 때문에,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시 아직 미확장된 변형 튜브의 내부면을 따라 간다. 즉, 가이드 요소와 함께 제2 베어링 지지부는, 차체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와 제1 베어링 지지부에 고정 연결되는 변형 튜브에 대하여 차체 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축 가이던스(guidance)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이러한 축 가이던스는,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시 변형 튜브의 합성적인 변형(다시 말해, 변형 튜브의 합성적인 횡단면적의 확장화)이 예상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충돌 동안 에너지 흡수의 일련의 경우들이 총체적으로 예상될 수 있도록, 제2 베어링 지지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에너지 흡수 장치를 실현하는 것과 관련하여 발명의 솔루션의 유리한 구체화는, 서브클레임(종속항)들에 설명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블록의 가이드 요소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의 특별히 바람직한 해결책이 제공된다.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은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장되고,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의 섹션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고, 변형 튜브와 활성화된 에너지 흡수 장치에 앞서 아직 확장되지 않은 그것의 횡단면 내에서 인접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현으로는, 가이드 요소는 한편으로는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시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축 방향을 갖는 가이던스(guidance)를 나타내고, 다른 한편으로, 원추형 링의 기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섹션은 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과,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에 앞서 변형 튜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의 확장된 횡단면과 비교하여, 아직 확장되지 않은 횡단면을 갖는 변형 튜브 사이의 전이 센션에 인접하며, 그리고 변형 튜브에 반대되는 차체 방향으로 가이드 요소와 함께 제2 베어링 지지부가 변위될 때, 에너지 흡수 장치의 활성화로 아직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의 합성적인 확장에 영향을 끼친다.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기본적으로 확장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의 내부면에 인접한다.
상기 가이드 요소와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을 포함하는 가이드 요소의 바람직한 실현이 인용된 후자는,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과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결합되는 가이드 요소(원추형 링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 각각)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을 제공한다.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과,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 사이의 포지티브 연결을 위한 선택(opting)은, 특히 활성화된 에너지 흡수 장치 상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가이드 요소로 신뢰할 수 있으면서도 한정되는 힘의 전이를 가능케 한다. 활성화된 에너지 흡수 장치 상에서, 원추형 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요소의 섹션으로부터 가이드 요소에 행해지고 이미 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과 아직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 사이의 전이 섹션에 근접하는 힘은 원래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을 합성적으로 변형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이미 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과 아직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 사이의 전이 섹션에 원추형 링, 각각 원추형 링 섹션을 공급함으로써, 특별히 높고 이상적으로 완전한 힘의 전이가 제2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변형 튜브의 전이 섹션으로 시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일측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응답 시간 및 응답 행위와, 즉 에너지 흡수 장치가 반응한 후 에너지 흡수 동안 타측에서 일련의 사건들은 정확하게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 원추형 링 각각과, 포지티브 맞물림 결합의 형태로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 사이의 연결과 관련되는 바람직한 구체화에 인용된 후자에서, 포지티브하거나 힘 맞춤 연결이거나 완전히 힘 맞춤 연결을 실현하는 것이, 예를 들면 볼티드 조인트의 수단에 의해서, 역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충돌 시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응답 시간과 응답 행위를 짧게, 각각 정확히 미리 결정되게, 정의되게 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행동이 자유로운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기본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이 더 선호된다.
가이드 요소와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을 포함하는 가이드 요소의 상기 인용한 바람직한 가이드 요소와, 원추형 링의 기능을 추정하고, 확장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과, 합성적인 변형에 의해서 아직 미확장된 단면적의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의 사이의 전이 섹션의 내부변에 인접한 가이드 요소의 섹션의 실현에서, 가장 한정되고 완전한 힘의 전이는 제2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섹션과 아직 미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섹션 사이의 변형 튜브의 전이 섹션을 통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일측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에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응답 행위와, 타측에서 에너지 흡수 동안 일련의 경우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의 다른 (변경 가능한) 실현에서,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고, 확장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과 제2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변형 튜브에 상기의 정의된 힘의 전이가 실현될 수 있도록 차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변형 튜브의 섹션의 사이의 전이 섹션의 내부면에 접하는 원추형 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블록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게다가 여기서 유리하게, 가이드 요소는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에 의해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고, 그것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에너지 흡수 장치 반응에 앞서 커플링 로드에 인접하게 배치된 변형 튜브 섹션의 (확장된) 횡단면과 비교하여 감소된 내경을 갖는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된다. 따라서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감소된 내부 직경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의 내부면에 인접한다.
원추형 링과 분리된 구성으로서 형성된 이러한 종류의 가이드 요소의 제공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들은, 가이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원추형 링을 나타내는 가이드 요소에 관련하여 전술한 장점들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리퍼런스는 전술한 설명에서 이러한 포인트에 제작된다. 비록 가이드 요소와 원추형 링에서 두 부분의 디자인이,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하고 가이드 요소와 같은 축 가이드의 공급 없이 베어링 블록이 변형 튜브의 하부에 있는 종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개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져온다. 여기서, 필요한 모든 것은 가이드 요소가 가이드 요소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이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고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이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에 앞서 아직 미확장된 내부지경을 갖는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도록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서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의 차체면 단부 섹션은 감소된 내부 직경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의 내부면에 접하는 것이다.
원추형 링과 가이드 요소가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의 후자에 인용된 실현에서, 원추형 링은 일측에서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에 의해, 그리고 가이드 요소는 타측에서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단부 섹션에 의해,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과 포지티브 맞물림되도록 바람직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포지티브 연결은, 특별히 용이하게 실현되되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2 베어링 지지부와 에너지 흡수 장치의 각각의 구성, 특히 일측에 원추형 링과 타측에 가이드 요소가 있는 구성 사이의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완전한 힘의 전이가 가능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기에서, 원추형 링 그리고/또는 가이드 요소를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하기 위하여 볼티드 조인트 등이 사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을 짧게 하고 한정하며, 에너지 흡수 동안에 미리 한정된 시퀀스의 경우들을 특별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측에서 가이드 요소와 제2 베어링 지지부와, 타측에서 원추형 링과 제2 베어링 지지부의 사이에서 플레이가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일측에 가이드 요소와 타측에 원추형 링이 분리된 구성들로 각각 형성되는 후자에 인용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와 제2 베어링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각각의 구성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에너지 흡수 장치의 단순화된 조립과 관련하여 장점이 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블록과 관련해서, 볼티드 조인트에 의해 관련된 차체에 장착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것이 제공된다. 그러나, 여기서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포지티브 연결에 의해서 차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베어링 지지부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조합의 차체의 하부 구조에 제1 베어링 지지부를 고정 연결시키는 가능한 실시예들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 또한 물론 생각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지지부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차체의 하부 구조에 예를 들면 고정 플랜지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공간 레일들을 구비하는 동일한 것을 제공한다. 충돌 시, 제2 베어링 지지부가 제1 베어링 지지부의 반대되는 차체와 에너지 감소 장치의 반응 시 가이드 요소와 함께 변형 튜브 측으로 이동될 때의 의미는, 제2 베어링 지지부에 고정되는 인터페이스의 차체면 단부 섹션의 통로를 허용하는 개구를 만들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의 적어도 두 개의 레일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 제안된 솔루션은 하부 구조에 볼트 결합되며 바람직하게 평행한 공간의 수직 레일을 구성하는 제1 베어링 지지부의 구체화를 실현하기에 특별히 심플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가 생각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측에서 제1 베어링 지지부와 변형 튜브의 사이에서 움직임 없이 바람직하게 고정되는 제2 베어링 지지부와, 타측에서 커플링 어셈블리에 미리 한정 가능한 작동 부하의 초과 시, 제2 베어링 지지부가 제1 베어링 지지부에 반대되는 차체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에너지 흡수 반응에 앞서 미확장된 횡단면을 나타내는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횡단면의 확장화를 통해 합성적으로 변형되는 변형 튜브가 제안된 발명의 솔루션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너지 흡수 장치는, 일측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반응 행위와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에 적응되는 타측에서 최대 에너지 흡수를 가짐으로써, 과도한 충격 등으로부터 커플링 어셈블리를 신뢰성 있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커플링 어셈블리는 견인 및 충격력을 이송하기 위한 커플링 로드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플레인 방향을 향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커플링 로드의 차체면 단부 섹션이 수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베어링 지지부에 분절화되는 수단으로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피봇 핀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이러한 사용은, 충돌 시 최대 에너지 흡수가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에 실현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요소를 갖는 커플링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특히, 충돌의 경우, 다시 말해,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의 초과 시, 적어도 일부분의 합성적인 충격 에너지가 일측에서 미리 한정되고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에 따라 흩뜨려질 수 있고, 타측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용되는 에너지 흡수 요소가 차체의 하부 구조에서 가능한 한 가장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커플링 어셈블리가 명기되어 있다.
한편, 멀티 섹션 차량의 사이드 버퍼에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사이드 버퍼는 에너지 흡수 장비에 충격력을 행하는 배플 영역(baffle area)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커플링 플레인을 바람직하게 향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사이드 버퍼의 배플 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것은 충돌 시, 즉 예를 들면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의 초과 시, 합성적인 충격 에너지는 한정되고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에 따라 에너지 흡수 장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탈될 수 있는 사이드 버퍼를 위한 에너지 흡수를 나타낸다.
다음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도면들이 포함된 리퍼런스를 만들 것이다.
도 1은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장치를 갖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베어링 블록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커플링 어셈블리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측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에너지 흡수 요소(변형 튜브)의 후면도이다.
도 2c는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베어링 블록을 따라 도 2b에서 가리키는 B-B라인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흡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에너지 흡수 요소(변형 튜브)의 후면도이다.
도 3c는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베어링 블록을 따라 도 3b에서 가리키는 B-B라인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플링 어셈블리들에서 충격 흡수 장치로서 관례적으로 이용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를 갖는 베어링 블록의 부분적인 측 단면도를 보여준다. 상기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도 1에 도시된 솔루션은, 에너지 흡수 장치가 반응한 후 변형 튜브가 횡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합성적으로 변형하고 따라서 예를 들면 노즐 플레이트에 의해 에너지 흡수 장치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에 의해 특징화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알려진 솔루션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 반응에서, 원추형 링(700)과 함께 제2 베어링 지지부(300)는, 한정되고 특별히 미리 결정 가능한 시퀀스의 경우들에 파괴적인 에너지 흡수의 기능이 더 이상 신뢰적으로 제공되지 않도록 변형 튜브(500)에 쐐기 고정될 것이다.
도 2a는 측 단면도로서 커플링 어셈블리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a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 장치의 후면도는 도 2b에 도시된다. 도 2c는 도 2a에 따른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베어링 블록을 따라 도 2b에서 가리키는 B-B라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용되는 커플링 어셈블리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견인 및 충격력을 전이하는 커플링 로드와, 멀티 섹션 차량의 차 체에 부착되는 베어링 블록을 구비한다. 특별히 베어링 블록은 멀티 섹션 차량의 차체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피봇 핀(4)에 의해 커플링 로드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결합되는 제2 베어링 지지부(3)로 구성된다. 여기서, 피봇 핀(4)은 예를 들면 인접한 차체로부터 전이되는 충격력이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내측에서 커플링 로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처럼, 제1 베어링 지지부(2) 상호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레일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볼티드 조인트(8, bolted joint)에 의해 차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베어링 지지부(3)는 제1 베어링 지지부(2)의 보호 요소(10)와 에너지를 흡수하는 베어링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변형 튜브(5)의 사이에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여기에서 변형 튜브(5)는 커플링 로드 사이드 또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5b) 상의 제1 베어링 지지부(2)에 고정 연결되는 섹션(5.1)을 구비하며, 상기 섹션(5.1)은 차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변형 튜브(5)의 섹션(5.2)과 비교하여 확장된 횡단멱적을 갖는다. 커플링 로드 사이드 또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변형 튜브 섹션(5b), 즉 확장된 횡단면적을 나타내는 변형 튜브(5)의 섹션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용된 볼티드 조인트(8)에 의해 제1 베어링 지지부(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피봇 핀(4)은 에너지 흡수 장치에 충격력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또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3b), 그리고 수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 핀(4)에서 베어링 블록에 분절화되 는 커플링 로드의 차체면 단부 섹션 상에 제공된다.
반면에,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은, 제1 베어링 지지부(2)의 상기 인용한 보호 요소(10)와,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5)의 섹션(5.2), 즉 제1 베어링 지지부(2)에 고정 연결되는 변형 튜브 섹션(5b)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의 횡단면적과 비교하여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응답에 앞서 감소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의 사이에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특별히, 여기에서 가이드 요소(6)는 가이드 요소(6)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7)을 구비하는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 상에 마련된다. 가이드 요소(6)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단부 섹션(6b)은 포지티브(positive) 맞물림(engagement)에 의해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요소(6)의 차체면 단부 섹션(6a)은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미확장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이러한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 접한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에 따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6)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7)은 확장된 횡단면적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5.1)과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2)의 사이의 전이 섹션(5.3)의 내부면에 접한다.
미확장된 변형 튜브 섹션(5.2)에서 연장되고 이러한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 접하는 가이드 요소(6)의 차체 단부 섹션(6a)은, 에너지 흡수 장치 반응 시, 제2 베어링 지지부(3)가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차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2)의 동시 횡단면 확장을 따르는 변형 튜브(5)에 반대되는 차체 방향으로 직접적이면서도 한정적인 양식으로 안내되는 축 가이던스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내지 2c와 관련하여 전술한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하는 베어링 블록의 변형을 도시한다. 특별히, 도 3a는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흡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a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 장치의 후면도는 도 3b에 도시된다. 도 3c는 도 3a에 따른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요소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베어링 블록을 따라 도 3b에서 가리키는 B-B라인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특별히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a 내지 도 2c와 관련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변형 튜브(5)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단부 섹션(5b)이 볼티드 조인트(8)로 제1 베어링 지지부(2)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연결되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포지티브 연결은 엘리먼트(10)뿐만 아니라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함께 변형 튜브(5)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단부 섹션(5b) 상에서 반경 방향의 보호 요소(9)에 의해 형성된다.
게다가, 일 실시예와 차이점은,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다운스트림 에너지 흡수 요소와 베어링 블록에서 가이드 요소(6)의 실현이다. 특별히 도 3a와 도 3c에서 볼 수 있듯이, 원추형 링(7)은 포지티브 맞물림에 의해서 그것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단부 섹션(7b)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고정 연결되고, 확장된 횡단면을 갖는 변형 튜브 섹션(5.1)과,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 튜브 섹션(5.2)의 사이의 전이 섹션(5.3)의 내부면에 접한다.
원추형 링(7)에 더하여, 다른 실시예는, 포지티브 맞물림에 의해 그것의 커플링 로드 사이드 단부 섹션(6b) 상에서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바람직하게 결합되되 원추형 링(7)과 별도로 형성되는 가이드 요소(6)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가이드 요소(6)의 차체면 단부 섹션(6a)이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변형 튜브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이러한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서 접한다.
일측의 원추형 링(7)과 타측의 가이드 요소(6)가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가이드 요소(6)는 도 1에 도시된 기존 솔루션을 개선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초과된 커플링 어셈블리의 작동 부하 상에서, 축 가이던스의 기능성으로 에너지 흡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솔루션에, 도 3a에 따른 가이드 요소(6)를 오직 합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자인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여기에서 설명한 개개의 특징은 상호 바랬던 어떤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면, 에너지 흡수 장치는 멀티 섹션 차량의 사이드 버퍼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개념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이드 버퍼는 에너지 흡수 장치에 서 충격력을 수행하는 배플 영역(baffle area)을 포함하며, 그리고 커플링 플레인을 향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버퍼의 배플 영역에 고정 결합된다.

Claims (15)

  1. 인접한 차체로부터 전이되는 충격력이 수행되며, 바람직하게 커플링 플레인(coulpling plane)을 향하는 인터페이스(4, interface)를 구비하는 차체에 장착되는 베어링 블록(2, 3, bearing block)과, 상기 베어링 블록(2, 3)에 인접한 변형 튜브(5, deformation tube)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블록(2, 3)은 멀티 섹션 차량(multi-section vehicle)의 차체에 고정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인터페이스(4)의 차체면 단부 섹션에 연결되는 제2 베어링 지지부(3)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튜브(5)는 차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변형 튜브(5)의 섹션(5.2)과 비교하여 확장된 횡단면을 나타내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5b, coupling plane-side end section)에서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에 고정 연결되는 섹션(5.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차체면 단부 섹션(3a, car body-side end section)은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상기 차체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의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 블록(2, 3)은,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연결되는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6b)과, 상기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상기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서 접하게 위치하는 차체면 단부 섹션(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섹션 차량의 커플링 어셈블리(coupling assembly) 또는 클로즈 커플러(close coupler) 또는 사이드 버퍼(side buffer)를 위한 에너지 흡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2, 3)의 상기 가이드 요소(6, guide element)는,
    상기 가이드 요소(6)와 일체로 형성되는 원추형 링(7, conical ring)을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링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7b)은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연결되며,
    상기 원추형 링(7)의 차체면 단부 섹션(7a)은 상기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상기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링(7)의 상기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7b)은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맞물림(engagement)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링(7)의 상기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7b)은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비포지티브하게(non-positively) 연결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링(7)은 확장된 횡단면의 상기 변형 튜브 섹션(5.1)과 상기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 사이의 상기 전이 섹션(5.3, transition section)의 내부면에 접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블록(2, 3)은,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7b)이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연결되며, 확대된 횡단면의 상기 변형 튜브 섹션(5.1)의 사이의 전이 섹션(5.3)의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원추형 링(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요소(6)는 상기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6b)에서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요소(6)의 차체면 단부 섹션(6a)은 상기 차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 내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연장되고 상기 변형 튜브 섹션(5.2)의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에서 상기 원추형 링(7)이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7b)에서, 반면에 타측에서 상기 가이드 요소(6)는 그것의 커플링 플레인 사이드 단부 섹션(6b)에서 각각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3a)과 포지티브하게 맞물림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6)와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는 일체로 형성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는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상기 원추형 링(7)을 거쳐 상기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 사이에서 움직임 없이(without play) 고정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는 볼티드 연결(8, bolted connection)에 의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는 포지티브(positive) 연결에 의하여 상기 차체에 결합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는 상기 차체에 스크루 결합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는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상기 변형 튜브(5)의 사이에서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변형 튜브(5)는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의 미리 한정된 작동 부하의 초과에서,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가 상기 제1 베어링 지지부(2)와 반대되는 상기 차체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상기 차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변형 튜브(5)의 섹션(5.2)과 상기 확장된 횡단면이 합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타측에서 고안되는 에너지 흡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어셈블리는 견인 및 충격력을 전이할 수 있는 커플링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플레인을 바람직하게 향하는 상기 에너지 흡수 장치의 인터페이스(4)는, 수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플링 로드의 상기 차체면 단부 섹션이 상기 제2 베어링 지지부(3)에 분절화됨으로써 수직으로 연장된 피봇 핀(pivot pin)을 포함하는, 멀티 섹션 차량의 커플링 어셈블리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의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버퍼(side buffer)는 상기 에너지 흡수 장치에 충격력을 행하는 배플 영역(baffle area)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플레인을 바람직하게 향하는 상기 에너지 흡수 장치의 상기 인터페이스(4)는 상기 슬라이더 버퍼의 상기 배플 영역에 바람직하게 견고히 연결되는, 멀티 섹션 차량의 사이드 버퍼에서 에너지 흡수 장치의 용도.
KR1020097022796A 2007-05-08 2008-04-25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KR101141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7702A EP1990251B1 (de) 2007-05-08 2007-05-08 Energieverzehreinrichtung für mehrgliedrige Fahrzeuge
EP07107702.8 2007-05-08
PCT/EP2008/055064 WO2008135414A2 (de) 2007-05-08 2008-04-25 Energieverzehreinrichtung für mehrgliedrige 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06A true KR20100004106A (ko) 2010-01-12
KR101141476B1 KR101141476B1 (ko) 2012-05-04

Family

ID=3844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796A KR101141476B1 (ko) 2007-05-08 2008-04-25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90008963A1 (ko)
EP (1) EP1990251B1 (ko)
JP (1) JP5273405B2 (ko)
KR (1) KR101141476B1 (ko)
CN (1) CN101674969B (ko)
AU (1) AU2008248723B2 (ko)
BR (1) BRPI0810242A2 (ko)
DE (1) DE502007001130D1 (ko)
DK (1) DK1990251T3 (ko)
ES (1) ES2328527T3 (ko)
HK (1) HK1123779A1 (ko)
NO (1) NO20093130L (ko)
PL (1) PL1990251T3 (ko)
SI (1) SI1990251T1 (ko)
TW (1) TWI412464B (ko)
WO (1) WO20081354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7986B (en) 2013-09-09 2015-07-22 T A Savery & Co Ltd A coupler
DE102015204008A1 (de) * 2015-03-05 2016-09-0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Drehgelenk zum drehgelenkigen Verbinden von Schienenfahrzeugen
ES2938200T3 (es) * 2015-10-30 2023-04-05 Dellner Couplers Ab Anclaje pivotante y vagón
EP3173307B1 (en) * 2015-11-30 2019-03-13 Dellner Dampers AB Energy absorption device and method
CN105644580B (zh) * 2015-12-29 2019-01-29 中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压溃装置及其组装方法和包括其的车钩缓冲系统
EP3205551B2 (de) 2016-02-12 2023-06-07 Faiveley Transport Schwab AG Kupplungsein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DE102016206989A1 (de) * 2016-04-25 2017-10-26 Voith Patent Gmbh Lagerbockanordnung
ES2919324T3 (es) * 2017-03-06 2022-07-26 Dellner Couplers Ab Dispositivo de disipación de energía adecuado para ser utilizado como parte de un dispositivo de conexión que conecta un primer vagón de una composición de múltiples vagones con un segundo vagón de una composición de múltiples vagones, y procedimiento para disipar energía en un dispositivo 5 de conexión
DE102018101043A1 (de) * 2017-08-11 2019-02-14 Axtone S.A. Gelenkanordnung, Konusgewinderi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i Überlast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chneidwerkzeuges sowie Verfahren zur Energieumwandlung mittels einer Gelenkanordnung
EP3626573B1 (en) * 2018-09-21 2021-08-1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tructural link between two rail vehicle subassemblies and associated rail vehicle assembly
WO2023156673A1 (de) * 2022-02-21 2023-08-24 Voith Patent Gmbh Gelenkanordnung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zwei benachbarten wagenkästen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4618B (de) * 1960-02-04 Hansa Waggonbau GmbH Bremen Stoßvorrichtung an Eisen bahnfahrzeugcn
US3186664A (en) * 1961-01-19 1965-06-01 United States Steel Corp Yielding anchorage
NL134701C (ko) * 1965-11-12
US3504568A (en) * 1968-01-26 1970-04-07 Fuji Jyukogyo Kk Impact-absorbing steering shaft
JPS4958036U (ko) * 1972-08-29 1974-05-22
JPS49672A (ko) * 1972-04-19 1974-01-07
JPS5026535U (ko) * 1973-07-02 1975-03-27
DE2825460A1 (de) * 1977-06-16 1979-01-04 Volvo Ab Energieabsorber, insbesondere fuer motorfahrzeuge
US5314161A (en) * 1992-05-29 1994-05-24 Bochumer Eisenhutte Heintzmann Gmbh & Co. Kg Mine prop
DE4302444A1 (de) * 1993-01-29 1994-08-04 Dellner Couplers Ab Automatische Mittelpufferkupplung
JP3578284B2 (ja) * 1994-10-07 2004-10-20 東レ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ャフト
DE19727931C2 (de) * 1997-07-01 2003-06-26 Zf Boge Gmbh Pralldämpfer
JP3335882B2 (ja) * 1997-07-04 2002-10-2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鉄道車両用連結装置
FR2789358B1 (fr) * 1999-02-10 2004-02-27 Nantes Ecole Centrale Dispositif absorbeur de chocs pour un nouveau tampon ferroviaire
JP3581797B2 (ja) * 1999-04-30 2004-10-27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の連結装置
GB0108413D0 (en) * 2001-04-04 2001-05-23 Oleo Internat Ltd A two stage buffer
DE10136300C1 (de) * 2001-07-25 2003-07-03 Zf Boge Gmbh Pralldämpfer
JP4049569B2 (ja) * 2001-10-31 2008-0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連結器用ゴム緩衝器の取り付け構造
DE10162061C1 (de) * 2001-12-17 2003-03-13 Zf Boge Gmbh Pralldämpfer
SE526663C2 (sv) * 2004-02-04 2005-10-18 Dellner Couplers Ab Draginrättning för tågkoppel samt deformationsrör härför
SE527014C2 (sv) * 2004-04-20 2005-12-06 Dellner Couplers Ab Tågfordon samt klämanordning för fixering av en draginrättning för dylika fordon
DE102004036929B4 (de) * 2004-07-29 2008-07-17 Zf Friedrichshafen Ag Pralldämpf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502005002232D1 (de) * 2005-08-10 2008-01-24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Energieverzehrvorrichtung mit erhöhter Ansprechkraft
JP4785046B2 (ja) * 2006-02-14 2011-10-0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鉄道車両用連結装置
DE502006003277D1 (de) * 2006-09-28 2009-05-07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Kupplungsstange zum Übertragen von Zug- und Stoßkräften
RU2462381C2 (ru) * 2007-09-11 2012-09-27 Фойт Патент Гмбх Противоуд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164256U (ja) * 2010-09-09 2010-11-18 ボイス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Voith Patent GmbH 衝撃吸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48723A1 (en) 2008-11-13
KR101141476B1 (ko) 2012-05-04
TWI412464B (zh) 2013-10-21
DK1990251T3 (da) 2009-10-12
DE502007001130D1 (de) 2009-09-03
CN101674969B (zh) 2012-01-11
CN101674969A (zh) 2010-03-17
BRPI0810242A2 (pt) 2014-10-29
TW200920636A (en) 2009-05-16
AU2008248723B2 (en) 2011-06-23
EP1990251A1 (de) 2008-11-12
JP5273405B2 (ja) 2013-08-28
ES2328527T3 (es) 2009-11-13
JP2010526702A (ja) 2010-08-05
HK1123779A1 (en) 2009-06-26
SI1990251T1 (sl) 2009-10-31
WO2008135414A2 (de) 2008-11-13
PL1990251T3 (pl) 2010-01-29
EP1990251B1 (de) 2009-07-22
NO20093130L (no) 2010-01-14
US20090008963A1 (en) 2009-01-08
WO2008135414A3 (de)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76B1 (ko) 멀티 섹션 차량의 에너지 흡수 장치
KR100979610B1 (ko) 자동 중앙 버퍼 커플링
KR101193658B1 (ko) 레일본 운송수단의 전면 또는 후면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CN107031544B (zh) 用于机动车辆的保险杠单元
US7735427B2 (en) Shock absorber
CN100503331C (zh) 用于轨道车辆的中央缓冲联结器
JP3164256U (ja) 衝撃吸収装置
US8051995B2 (en) Energy dissipation device for a car body of a multi-member rail vehicle
US7913865B2 (en) Support device
US20190077420A1 (en) Collision energy absorbing system concentrated around the vhs power car and first vehicle
US20050156442A1 (en) Lock assembly for a vehicle hood
SK285754B6 (sk) Bezpečnostné zariadenie pre vodičov koľajových vozidiel
CN101410274B (zh) 溃缩盒装置和冲击吸收系统
CZ297793B6 (cs) Teleskopický nárazník
KR101220572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자동차
KR0140769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 완화 장치
KR101220611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자동차 필러부품
CZ2006689A3 (cs) Trubkový nárazník
PL204337B1 (pl) Zderzak tulejow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