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992A -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992A
KR20100003992A KR1020080064072A KR20080064072A KR20100003992A KR 20100003992 A KR20100003992 A KR 20100003992A KR 1020080064072 A KR1020080064072 A KR 1020080064072A KR 20080064072 A KR20080064072 A KR 20080064072A KR 20100003992 A KR20100003992 A KR 2010000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ompound
zucc
al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2003B1 (ko
Inventor
주우홍
최혜정
최영환
이성태
조수동
김순신
Original Assignee
주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홍 filed Critical 주우홍
Priority to KR102008006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0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 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저해 및 알도즈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저해 활성을 통해 항당뇨 활성을 갖는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우수한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알도즈 환원효소 저해 활성 및 뛰어난 혈당강하 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당뇨 활성을 가지므로, 이를 음료, 차, 과자류, 선식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적용할 수 있고 당뇨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치료제제 및 치료용 생약제에 적용할 수 있다.
사방오리나무, 항당뇨, 글루코시다제, 알도즈 환원효소

Description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he treament of obesity and diabetes containing Alnus firma Sieb. et Zucc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therefrom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당뇨 활성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파 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저해 및 알도즈 환원효소(aldose reductase) 저해 활성을 통해 항당뇨 활성을 갖는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질환으로서,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 만성퇴행성질환중의 하나이다.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평균수명은 연장되는 것에 반하여 당뇨병 등의 만성퇴행성질환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의 당뇨병 유병율은 약 5-1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1세기에는 당뇨병이 국가적 차원에서도 심각한 건강장애 질환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장애 질환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3번째로 심각한 질병으로 망막, 신장, 신경, 심혈관계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당뇨병은 인슐린 작용, 인슐린 분비 또는 이러한 두 가지 모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장애 증후군이다. 당뇨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서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서부터 인슐린의 작용에 대한 저항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나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인슐린 분비 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한약을 비롯한 천연물을 중심으로 한 학문이 크게 발전하고 천연물 성분 중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천연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리활성 물질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현저한 활성을 나타내는 고부가 가치의 물질로서 수많은 종류가 인류에게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물질들이 지속적으로 분리 개발되고 있다. 천연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생약재를 포함한 약용 식물류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마늘, 대추, 버섯류도 향미 및 영양성분 이외의 항암 활성 및 면역증강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오리나무속(Alnus sp.)식물은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하며 북반부 남아 메리카에 30여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오리나무(Alnus japonica), 물오리나무(Alnus hirasuta), 떡오리나무(Alnus borealis koidzumi),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 물갬나무(Alnus hirsuta var. sibirica) 등 17여종 이상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 및 한방에서는 오리나무의 수피를 적양(赤壤)이라 부르며, 봄ㆍ가을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약효로는 청열(淸熱), 강화(降火)하는 작용, 비출혈(鼻出血), 설사, 외상출혈의 치료와 그 외 민간요법으로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국내에 자생하는 사방오리나무는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며 성장 속도가 빨라 재배가 용이하며 국내에서 사방사업과 국토 산지의 녹화사업에 주로 활용한 수종이므로 건강 식품 산업 및 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오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02231호 “당뇨에 효능이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에 당뇨환자에 주기적으로 복용시켜 당뇨환자의 혈당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오리나무와 산뽕나무의 잎·줄기 또는 뿌리의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거나 또는 오리나무와 산뽕나무의 각 부분을 직접 분말화한 것을 주원료로 하고 마가목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77553호 “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오리나무 추출물을 주원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004963호 “당뇨병 치료용 혈당 강하 음 료”에 동아열매, 하늘타리열매, 오리나무가지로 이루어진 주재료에 상백피, 유근피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섞어 혼합재료에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서 제조된, 수분 섭취, 또는 갈증해소를 목적으로 복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체내의 혈당량을 강하시키게 되어 당뇨병 치료용 음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2-0079386호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에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 한 항암효과는 물론 간보호효과, 항피로효과, 항노쇠효과, 면역력증강효과, 강장효과등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취식이 용이한 건강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48335호 “물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베툴리닉에시드를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물오리나무(Alnus hirsuta S.) 추출물 또는 베툴리닉에시드(Betulinic acid)를 포함하는, 아실 코에이: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Acyl CoA: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DGAT) 저해 활성을 가져서 비만 및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9191호 “좀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좀사방오리나무(Alnus pendula)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국내 자생 및 식재된 사방오리나무의 항당뇨 활성을 이용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으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사방오리나무의 항당뇨 활성을 밝혀내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당뇨 활성을 갖는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사방오리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알도즈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통한 항당뇨 활성 관련 실험을 수행한 후,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생체내 (in vivo) 실험을 통해 항당뇨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알도즈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오리나무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수득된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각각 HX 분획물, DCM 분획물 및 EA 분획물로서 수득된다.
상기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에 대한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1-데옥시노르지리마이신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도즈 환 원효소 저해 활성의 측정 결과 또한 우수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인슐린 의존성 당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생체내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것이 스트렙토조토신이 투여된 당뇨 유발 쥐에서 혈당 강하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상기 EA 분획물로부터 분리되었다. 이들을 1H-NMR, 13C-NMR을 통하여 구조 결정한 하기에 화학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갈산(gallic acid)(화합물 1), 퍼룰산(ferulic acid)(화합물 2), 베툴린(betulinic acid)산((화합물 3) 그리고 헤스페리딘(Hesperidin)(화합물 4)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1
,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2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3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4
상기의 화합물 1 내지 4에 대한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매우 우수한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 활성을 갖는 사방오리나무의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제조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료, 차, 과자류, 선식 등 기능성 식품을 포함하며 당뇨 예방 치료제제 및 치료용 생약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방오리나무의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방오리나무의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우수한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알도즈 환원효소 저해 활성 및 뛰어난 혈당강하 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당뇨 활성을 가지므로, 이를 음료, 차, 과자류, 선식 등 다양한 기능성 식품에 적용할 수 있고 당뇨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치료제제 및 치료용 생약제에 적용할 수 있어, 식품 및 의약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오리나무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는 경남 고성지방에서 자생하는 것을 2005년 11월 채집하여 음건 후 세절한 뒤 -20℃ 냉동고에 보관하고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오리나무의 가지, 잎, 열매를 포함하여 100 g을 세절하여 상온에서 99.5% 메탄올(MeOH) 1.5 L로 3회 반복 추출하여 MeOH 추출물 16.65 g을 얻었다. MeOH 추출물을 증류수 1 L에 현탁시켜 용매의 극성차를 이용하 여 헥산(HX), 디클로로메탄(DCM)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EA) 층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HX 분획물 3.6 g, DCM 분획물 0.96 g, EA 분획물 3.71 g을 각각 얻었다. 추출한 시료는 왓츠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36℃에서 감압 농축하여 -20℃ 냉동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α- 글루코시다제 억제활성 측정
알파 글루코시다제는 소장점막 상피세포 밖에서 전분이나 이당류들이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단당류 특히 포도당의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기질로 p-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PNP-G)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1 unit/mL의 효모기원의 α-글루코시다제 40 uL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용매 추출 시료액을 10 uL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1 mM의 PNP-G 용액(in potassuim phosphate buffer, pH 6.9) 950 ul 첨가하였다. 37℃에서 20분간 반응 후 1 M Na2CO3 1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MeOH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1-데옥시노르지리마이신(1-Deoxynorjirimyc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 알도즈 환원효소( aldose reuctase ) 억제 활성 측정
알도즈 환원효소는 DL-글리세르알데하이드를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조제한 각 추출시료 10 uL와 0.1 M의 SPB 완충액 500 uL, 0.1 M의 DL-글리세르알데하이드와 1.5 mM의 β-NADPH를 첨가하여 25℃에서 3분간 전반응 시켰다. 인간 근육 세포 기원의 알도즈 환원효소 0.4 units을 첨가하고 즉시 340 nm에서 3분동안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오리나무 추출물에 의한 알도즈 환원효소 억제율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5
각 수치는 3회 평균 값이다.
실시예 4 :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생체내 실험
본 실시예에서는 (주)샘타코 바이오 코리아에서 생후 6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를 공급 받아 사용하였다. 온도 21±2℃, 습도 55±10% 의 환경에서 사육하였으며 사료는 (주)샘타코 바이오 코리아에서 공급받은 방사선 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물과 여과된 멸균 정제수를 충분히 공급하고, 낮과 밤의 주기를 12시간씩 조절하면서 가능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여 예비 사육하였다.
대조군으로, 실험시작 전 14시간 이상 절식 시킨 마우스의 복강에 시트르산염 완충액(4℃, pH 4.2)에 용해한 스트렙토조토신(Sigma Co., USA)을 체중 kg 당 65 mg 수준에서 투여하고 48시간 후에 혈당(random blood glucose) 함량이 200 mg/dL 이상인 마우스만을 당뇨가 유발된 것으로 선별하였다.
혈당은 일정한 시간에 꼬리정맥에서 채취한 혈액을 가지고 혈액 글루코스 센서(blood glucose sensor; Roche Diagnostics GmbH., Germany)로 측정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마우스는 혈당과 체중을 기준으로 실험군 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260×410×20 mm)에서 사육하였다.
실험군으로, 상기와 같이 스트렙토조토신(Sigma Co., USA)을 체중 kg 당 65 mg 수준에서 투여하고 48시간 후에 혈당(random blood glucose) 함량이 200 mg/dL 이상인 마우스만을 당뇨가 유발된 것으로 선별하였다. 번행초 MeOH 추출물을 체중 kg당 500 mg으로 PBS에 녹여서 400 ul씩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체중과 혈당은 2일에 한번씩 12시간 절식시킨 뒤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기능성 물질 분리
오리나무속 식물의 MeOH 추출물 및 각 분획물의 항당뇨 효소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활성이 좋은 EA 분획물을 HX/DCM/MeOH의 용매조합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각 분획물은 순수하게 정제하기 위해서 예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JAI, Japan)를 이용하였으며 분석용 컬럼은 멀티컬럼인 GS-310 (particle size 13 μm)을 사용하였고, 200 nm의 UV 검출기 및 RI 검출기를 사용하여 분리를 진행시켰다. 전개용매는 100% MeOH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각 분획물의 성질에 따라 5-7 mL/min 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분리된 물질의 구조분석에는 HPLC (CBM-20A, Shimadzu, Japan)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Gas Chromatograph/Mass Spectrmetry; GC/MS; HP6890, Agilent, USA)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ODS-C18 컬럼(250 × 4.6 mm, 5 μm, Japan)과 HP-5 컬럼(Agilent, USA)을 사용하였다. 1H-NMR, 13C-NMR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구조 결정을 하였으며, 그 결과 갈산(화합물 1), 퍼룰산(화합물 2), 베툴린산(화합물 3) 그리고 헤스페리딘(화합물 4)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6
,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7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8
Figure 112008047933222-PAT00009
실시예 6 : 분리된 물질의 α- 글루코시다제 억제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5에서 분리된 물질에 대해 대표적으로 α-글루코시다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8047933222-PAT0001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로부터 추출물 및 화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알파 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 있어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생체내 실험에 있어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알도즈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항당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갈산(gallic acid), 퍼룰산(ferulic acid), 베툴린산(betulinic acid) 또는 헤스페리딘(Hesperidin)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당뇨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0064072A 2008-07-02 2008-07-02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2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72A KR101062003B1 (ko) 2008-07-02 2008-07-02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72A KR101062003B1 (ko) 2008-07-02 2008-07-02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92A true KR20100003992A (ko) 2010-01-12
KR101062003B1 KR101062003B1 (ko) 2011-09-05

Family

ID=4181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72A KR101062003B1 (ko) 2008-07-02 2008-07-02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43B1 (ko) 2015-04-24 2017-02-21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계피 추출물 및 비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파-글루코시다제 활성 억제제
KR101833422B1 (ko) * 2015-11-20 2018-02-28 대한민국 사방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172B1 (ko) * 2005-06-07 2007-01-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물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베툴리닉에시드를 포함하는 비만및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003B1 (ko) 201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1437B1 (en) Aging inhibitor
JP6335508B2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US20110038959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1609123A (zh) 五層龍屬組成物、藉由其投藥之治療方法及其製備方法
KR20160007728A (ko) 마늘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062003B1 (ko)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2844042A (zh) 镰刀黄精或狭叶黄精提取物的新用途
KR101108885B1 (ko) 항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JP4922551B2 (ja) 生理活性フェノール性化合物を強化してなるメープルシロップ
KR101942959B1 (ko) 다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2833A (ko) 상백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907280B2 (ja) リパーゼ阻害剤
KR20150072660A (ko) 잔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Hu et al. Isolation, purification and effects of hypoglycemic functional polysaccharides from Inonotus obliquus
KR101995220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9383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151334A1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79913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2669920B1 (ko) 미역, 포멜로 및 밀배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4400A (ko) 고함량의 베타글루칸 함유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90084653A (ko) 풍미가 증진된 발효 천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76394B1 (ko) 타히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