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850A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850A
KR20100003850A KR1020080063877A KR20080063877A KR20100003850A KR 20100003850 A KR20100003850 A KR 20100003850A KR 1020080063877 A KR1020080063877 A KR 1020080063877A KR 20080063877 A KR20080063877 A KR 20080063877A KR 20100003850 A KR20100003850 A KR 2010000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key information
area
touch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029B1 (ko
Inventor
이성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029B1/ko
Priority to EP09163575A priority patent/EP2141575A1/en
Priority to CN200910142563A priority patent/CN101620506A/zh
Priority to US12/496,174 priority patent/US201000019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0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해당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상기 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갖는다.
휴대 단말기, 터치 스크린, 키, 매핑, 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USING TOUCH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와 입력부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것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따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터치 스크린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 많이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키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입력 방식이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되는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입력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방식의 변화에 따라 키패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들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방식의 호환성 문제로 수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키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재개발해야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재개발되지 않는 키패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장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과 매핑된 키 정보를 통한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방법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해당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상기 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표시하고,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 및 상기 영역과 매핑(Mapping)된 키 정보를 포함하는 키 정보 그룹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여,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키 정보 그룹을 호 출하고,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해당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상기 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재개발되지 않고도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재개발되지 않는 키패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장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나타내는 입력 방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MP3 어플리케이션,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키패드(Key pad) 입력 방식'은 휴대 단말기에서 물리적인 키들로 구성된 입력부를 통해 키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입력 방식'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터치(Touch)'는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과 같은 물체의 접촉 또는 해제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에 물체가 접촉되었다가 일정 시간 내에 접촉이 해제되는 탭(Tap), 또는 물체가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었다가 운동 방향을 가지며 접촉이 해제되는 플릭(Flick)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00), 저장부(120), 터치 스크린(130), 방향 확인부(140)로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을 확인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방식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property)을 확인하여, 확인된 속성에 Midxlet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Midxlet이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Midxlet을 통해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만약 Midxlet에 touch = Yes가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는 이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됨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에 설정된 Midxlet이 없거나, 설정된 Midxlet에 touch= No가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는 이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됨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여,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해당 키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여, 확인된 방향에 따른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고,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해당 키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수행 중에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에 매핑된 키정보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들과 각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포함하는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키 정보 그룹(125)은 터치 스크린(130)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ID와 각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 및 영역에서 감지된 터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정보 그룹(125)은 휴대 단말기 제조시 제조사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표시부(133)와 터치 센서(139)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부(133)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33)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3)는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35)과 제2 표시 영역(137)으로 구분되어 수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키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센서(139)는 표시부(133)에 장착되며, 표시부(133)에서 물체의 접촉 및 해제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 센서(139)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여, 검출된 좌표를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방향 확인부(140)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또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가로, 세로 또는 사선 방향인지를 확인하여,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제어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 프(Gyroscope) 센서, 이미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향 확인부(140)를 통해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은 종래의 각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DMB 수신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에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20)로부터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하고,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터치 스크린(130)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좌표를 통해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에서 키 정보와 매핑되는 영역들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과 이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d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에서 키 정보와 매핑되는 영역들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130)은 전면을 보고 있고, 휴대 단말기의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터치 스크린(130)의 표시부(133)는 수행되는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도 2에서 숫자와 함께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들은 키 정보들이 매핑될 영역이다. 여기서 각 영역들은 ID로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방향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키정보와 매핑되는 영역들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130)이 전면을 보고 있고,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터치 스크린(130)의 표시부(133)는 수행되는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도 3에서 숫자와 함께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들은 키 정보들이 매핑될 영역이다. 여기서 각 영역들은 ID로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구분된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키 정보가 매핑되는 방법으로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20)로부터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하고,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각 영역에 해당 키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키 정보 그룹(125)은 휴대 단말기 제조시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조업자에 의 해 키 정보 그룹(125)이 설정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조업자에 의해 구분된 터치 스크린(130)의 영역에 ID 부여되고, 부여된 ID마다 키 정보가 매핑되면, 제어부(100)는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ID와 각 ID에 매핑된 키 정보를 키 정보 그룹(125)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키 정보 그룹(125)이 설정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키 정보 그룹(125) 설정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마다 사용되는 키 정보들을 표시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30)의 특정 영역을 터치한 다음 표시된 키 정보 중 원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하여 ID를 부여하고, 부여한 ID와 선택된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모든 키 정보가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매핑되면, 제어부(100)는 각 영역에 해당하는 ID와 매핑된 키 정보를 키 정보 그룹(125)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키 정보 그룹(125)은 표 1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역들과 매핑되는 키 정보들은 게임 모드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사용되는 키 정보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23006-PAT00001
표 1에서 예시한 키 정보 그룹(125)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키 정보 그룹(125)은 도 2 내지 도 3에서 터치 스크린(130) 각 영역들을 나타내는 ID 번호와 각 영역들과 매핑된 키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영역들에서 감지되는 터치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에 의하면 ID 1 영역 내지 ID 13 영역까지는 터치의 종류와 관계없이 키 정보가 매핑되나, 주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ID 14 영역은 감지되는 터치의 종류에 따라 매핑되는 키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의 종류는 터치 스크린(130)에 어떠한 물체가 접촉되었다가 일정 시간 내에 해제되는 탭과 터치 스크린(130)에 어떠한 물체가 접촉되었다가 이동 방향과 함께 해제되는 플릭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ID 14 영역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구분되는 영역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ID 14 영역은 감지되는 터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D 14-1 내지 14-8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ID 14-1 내지 14-8의 영역들은 ID 14 영역의 특정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ID 14 영역에서 물체의 접촉이 감지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ID 14-1 내지 14-8로 구분된 영역을 이용하여 제어부(100)는 ID 14 영역에서 감지되는 터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ID 14 영역에 물체의 접촉이 감지되는 위치인 기준점(20)을 기준으로 접촉된 물체의 해제가 감지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감지된 터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단된 터치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100)는 키 정보 그룹(125)에서 ID 14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ID 14 영역에서 물체의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이 감지된 영역을 기준점(20)으로 정한다. 그리고 ID 14 영역에서 접촉되었던 물체의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물체의 해제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한다. 만약에 확인된 영역이 기준점(20)과 동일하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터치의 종류를 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에 확인된 영역이 기준점(20)과 동일하지 않고, ID 14-1 영역 내지 ID 14-8 영역에 해당한다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터치의 종류를 플릭으로 판단하고, 물체의 접촉이 해제된 영역을 이용하여 플릭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ID 14-1 영역 내지 ID 14-8 영역 중 적어도 3개의 영역에서 물체의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표 1의 ID 14-9 영역 내지 ID 14-10 영역에 표시된 플릭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플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확인된 플릭의 이동 방향에 따른 키 정보를 키 정보 그룹(12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정보 그룹(125)을 통해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도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제어부(100)는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고,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선택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수행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2 또는 도 3에서 도시된 터치 스크린(130)의 영역들 중에서 ID 7 영역을 터치하면,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된 영역인 ID 7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인 ID 7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인 'down key'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도 2의 ID 4 내지 7 영역과 도 3의 ID 4 내지 7 그리고 9 내지 10 및 12 내지 13 영역에서와 같이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는 사용자 설정 또는 제조사의 설정에 의해 이미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 영역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30)은 수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표시 영역(135)과 키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 영역(13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137)에 표시될 수 있는 키 영역들은 도 5b 내지 도 5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키 영역에는 소프트키 형태로 키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제2 표시 영역(137)에 표시되는 키 영역 및 키 영역에 포함되는 소프트 키의 개수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키 영역에 ID가 부여된다고 가정하면, 도 5b 내지 도 5d의 ID 1 영역부터 ID 14 영역으로 구분된 키 영역과 각 키 영역에 매핑되는 키 정보를 포함하는 키 정보 그룹(125)은 표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7823006-PAT00002
여기서 키 정보 그룹(125)은 휴대 단말기 제조시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조업자에 의해 키 정보 그룹(125)이 설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제조업자에 의해 구분된 제2 표시 영역(137)에 ID 부여되고, 부여된 ID마다 키 정보가 매핑되면, 제어부(100)는 구분된 영역에 해당하는 ID와 각 ID에 매핑된 키 정보를 키 정보 그룹(125)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에 사용자에 의해 키 정보 그룹(125)이 설정되면,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마다 사용되는 키 정보들을 표시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제2 표시 영역(137)의 특정 영역을 터치한 다음 표시된 키 정보 중 원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하여 ID를 부여하고, 부여한 ID에 해당하는 영역과 선택된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모든 키 정보가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매핑되면, 제어부(100)는 각 영역에 해당하는 ID와 매핑된 키 정보를 키 정보 그룹(125)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137)에 표시되는 키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영역 설정을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키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 영역의 형태를 변경시키거나, 키 영역에 포함된 소프트 키 배열을 변경시킬 수 있다.
표 2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30)에서 특정 영역(예를 들어 도 5b에 매핑된 키 정보 그룹(125)에서 ID 1 영역 내지 ID 7 영역까지)에 다수개의 키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키 입력 방식에서 사용되는 모든 키 정보들이 터치 스크린(130)의 키 영역에 매칭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30)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통해서 종래의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610단계에서 메뉴 또는 기능키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620단계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이용하여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문자 작성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등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63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635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에서 감지되는 터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그러나 630단계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640단계에서 방향 확인부(140)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고, 645단계에서 확인된 방향에 해당하는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한 다음 확인된 방향에 해당하는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한다고 설명했으나, 640단계를 생략하여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지 않고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중에도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바뀌면, 제어부(100)는 방향 확인부(140)를 통해 변화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방향에 따른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650단계에서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예를 들어 표 1 과 같은 키 정보 그룹(125)이 호출되었다면, 제어부(100)는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도 2의 ID 4 영역에는 'up key', ID 5 영역에는 'left key', ID 6 영역에는 'right key', ID 7 영역에는 'down key'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마다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에 키 정보가 매핑되면, 제어부(100)는 66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에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665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670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675단계에서 확인된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입력 방식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으며, 도 2의 ID 6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된 영역인 ID 6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ID 6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인 'right key'를 이용하여 캐릭터 이동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68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의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665단계로 돌아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68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종료가 선택되면, 제어부(100)은 수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종료는 메뉴 등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130)에 구비된 종료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이를 어플리케이션 종료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 입력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방향에 따라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변화하면, 제어부(100)는 방향 확인부(140)를 통해 변화된 방향을 확인하고, 확인된 방향에 따라 키 정보 그룹(125)을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제어부(100)는 다시 터치 스크린(130)의 각 영역마다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 변화에 상관없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좀 더 상세히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35)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키영역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137)을 표시하고, 제2 표시 영역(137)에서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통해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710단계에서 메뉴 또는 기능키 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720단계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를 통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문자 작성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등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에 따라 730단계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735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에서 감지되는 터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그러나 730단계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00)는 740단계에서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과 함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키 영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745단계에서 확인된 키 영역에 해당하는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고, 750단계에서 호출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확인된 키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76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을 제1 표시 영역(135)에, 740단계에서 확인한 키 영역을 제2 표시 영역(137)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765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키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770단계에서 터치가 감지된 키 영역을 확인하고, 775단계에서 확인된 키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통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이 제1 표시 영역(135)에, 키 영역가 제2 표시 영역(137)에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표 2의 도 5b에 해당하는 키 정보 그룹(125)을 저장부(120)로부터 호출하고, 호출한 키 정보 그룹(125)을 이용하여 도 5b에 표시된 각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시킨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제어부(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감지된 영역이 ID 1 영역이라면, 제어부(100)는 터치가 감지된 ID 1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인 'up and 2 key'를 확인하고, 확인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캐릭터 이동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78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어플리케이션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765단계로 돌아가 키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78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종료가 선택되면, 제어부(100)은 수행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종료는 메뉴 등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130)에 구비된 종료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이를 어플리케이션 종료로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터치 스크린(130)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자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810단계에서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KJavaPressedEvent( ) 함수를 호출하여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시 펜과 같은 특정 물체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에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820단계에서 KJavaGetTouchLocation( ) 함수를 호출하여 접촉이 감지된 영역을 확인하고, 830단계에서 확인한 영역이 키 정보가 매핑된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만약에 키 정보가 매핑된 영역이 아니면, 제어부(100)는 835단계에서 매핑된 키 정보가 없음을 팝업 등을 통해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확인된 영역이 키 정보가 매핑된 영역이면, 제어부(100)는 840단계에서 KJavaReleasedEvent() 함수를 통해 감지되는 접촉이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휴대 단말기 제조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으로 접촉이 해제되는데 걸리는 시간 또는 키가 입력되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제어부(100)는 이를 롱 입력 이벤트(long pressed event)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에 접촉이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면, 제어부(100)는 850단계에서 KJavaTouchLongPressedEvent() 함수를 통해 롱 입력 이벤트(long pressed event)로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855단계에서 KeyLongPressed( ) 함수를 호출하여 감지된 롱 입력 이벤트를 길게 입력되는 키 신호로 판단한다.
반면에 설정된 시간 내에 물체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어부(100)는 860단계에서 접촉이 해제된 영역을 확인한다. 접촉이 해제된 영역을 확인한 제어부(100)는 870단계에서 접촉이 처음 감지되었던 영역과 접촉이 해제된 영역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만약 접촉이 감지되었던 영역과 접촉이 해제된 영역이 동일하면, 제어부(100)는 880단계에서 SetPressedTouchStatus( ) 함수를 호출하여 감지된 접촉 및 해제를 탭(Tap)으로 인식한다. 반면에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접촉이 해제된 영역이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890단계에서 KJavaGetFilckDirection( ) 함수를 호출하여 감지된 접촉 및 해제를 플릭(Flick)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은 880단계 및 890단계에서 감지된 터치의 종류 및 영역에 매핑된 키 정보를 확인한 다음, 895단계에서 KeyPressed-Released( ) 함수를 호출하여 매핑된 키 정보에 해당하는 키 신호로 판단한다. 이때 플릭의 방향을 확인하는 방법은 도 4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특정 함수들은 상세한 설명을 돕기 위해 예시한 것 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래밍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터치를 감지한 제어부(100)은 감지된 터치의 종류 및 영역에 따라 매핑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키패드 입력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키 정보와 매핑되는 영역들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방향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키정보와 매핑되는 영역들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구분되는 영역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과 키 영역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된 터치를 키 신호로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4)

  1.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touch)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해당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상기 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키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방향에 해당하는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은
    상기 키 정보가 매핑된 상기 영역에 상기 키 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변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변하면, 상기 변화된 방향에 따른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은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될 키 영역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키 영역에 따른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키 영역을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문자 작성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방법.
  8.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표시하고,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 및 상기 영역과 매핑(Mapping)된 키 정보를 포함하는 키 정보 그룹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지원가능한 입력 방식을 확인하여, 키패드 입력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해당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상기 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 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방향에 따른 키 정보 그룹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키 정보가 매핑된 상기 영역에 상기 키 정보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변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방향이 변하면, 상기 변화된 방향에 따른 키 정보 그룹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키 정보 그룹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 키 정보를 매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될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될 키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키 영역에 따른 키 정보 그룹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화면을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키 영역을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문자 작성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63877A 2008-07-02 2008-07-0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KR10102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77A KR101020029B1 (ko) 2008-07-02 2008-07-0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EP09163575A EP2141575A1 (en) 2008-07-02 2009-06-24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ouch-based key input method for the same
CN200910142563A CN101620506A (zh) 2008-07-02 2009-07-01 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及其基于触摸的键输入方法
US12/496,174 US20100001968A1 (en) 2008-07-02 2009-07-01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ouch-based key input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877A KR101020029B1 (ko) 2008-07-02 2008-07-0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50A true KR20100003850A (ko) 2010-01-12
KR101020029B1 KR101020029B1 (ko) 2011-03-09

Family

ID=4110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877A KR101020029B1 (ko) 2008-07-02 2008-07-0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01968A1 (ko)
EP (1) EP2141575A1 (ko)
KR (1) KR101020029B1 (ko)
CN (1) CN1016205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68A (ko) * 2008-07-29 2010-02-08 (주) 엘지텔레콤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0146325B2 (en) 2011-11-25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402088B2 (en) 2012-05-15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2368A1 (en) * 2009-09-20 2011-03-24 Rodney Macfarlane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dynamically downloading markup language content and overlaying existing map data
US10895955B2 (en) 2009-10-13 202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rouping and displaying icons on a screen
KR101663474B1 (ko) 2009-10-13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및 저장 매체
JP5726754B2 (ja) * 2009-11-25 2015-06-03 レノボ・イノベーションズ・リミテッド(香港) 携帯情報端末、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87129B1 (en) * 2010-01-25 2014-11-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etecting non-touch applications
CN102870084B (zh) * 2010-04-30 2015-08-19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终端和用于该信息处理终端的操作控制方法
CN102402373B (zh) * 2010-09-15 2014-12-1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移动终端中触摸键盘的方法及装置
JP2012133758A (ja) * 2010-11-30 2012-07-12 Canon Inc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59531A (ja) * 2011-01-28 2012-08-23 Canon Inc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CN102760056A (zh) * 2011-04-27 2012-10-31 上海晨兴希姆通电子科技有限公司 触摸屏与键盘代码重用装置及方法、终端、程序执行方法
CN102890610B (zh) * 2011-07-18 2017-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带有触摸屏的终端处理文档的方法和带有触摸屏的终端
US20130033645A1 (en) * 2011-08-05 2013-02-07 Motorola Mobility, Inc. Multi-Task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for Video Content Viewing
KR102084041B1 (ko) 2012-08-24 2020-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WO2015030795A1 (en) 2013-08-30 2015-03-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input association
JP6067040B2 (ja) * 2015-01-3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94238B (zh) * 2017-04-13 2020-02-28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的按键分配处理方法及智能电视
US10656806B2 (en) * 2018-04-21 2020-05-19 Augmentalis Inc. Display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689A (ja) * 1998-06-22 2000-01-14 Sharp Corp フリーキーレイアウト設定装置
US6799316B1 (en) * 2000-03-23 2004-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izing hardware with system management interrupts
JP4336788B2 (ja) * 2001-06-04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システム及び移動電話機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100537280B1 (ko) * 2003-10-29 2005-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및 방법
US20050146507A1 (en) * 2004-01-06 2005-07-07 Viredaz Marc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a control interface
US7330178B2 (en) * 2004-04-30 2008-02-12 Motorola, Inc. Display-input apparatus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device
US8775964B2 (en) * 2005-03-23 2014-07-08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for mapping a virtual user input interface to a physical user input interface
US20100214267A1 (en) * 2006-06-15 2010-08-26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virtual keypad
KR100782927B1 (ko) * 2006-06-27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791594B2 (en) * 2006-08-30 2010-09-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rientation based multiple mode mechanically vibrated touch screen display
GB2445178A (en) 2006-12-22 2008-07-02 Exoteq Aps A single touchpad to enable cursor control and keypad emulation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8059101B2 (en) * 2007-06-22 2011-11-15 Apple Inc.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KR101453909B1 (ko) * 2007-07-30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40040B2 (en) * 2008-03-28 2014-01-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ersistent event-management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80049696A (ko) * 2008-05-07 2008-06-04 (주)씨에스랩글로벌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68A (ko) * 2008-07-29 2010-02-08 (주) 엘지텔레콤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10146325B2 (en) 2011-11-25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379624B2 (en) 2011-11-25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649543B2 (en) 2011-11-25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1204652B2 (en) 2011-11-25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a keypad in wireless terminal
US10402088B2 (en) 2012-05-15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0817174B2 (en) 2012-05-15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461004B2 (en) 2012-05-15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029B1 (ko) 2011-03-09
US20100001968A1 (en) 2010-01-07
EP2141575A1 (en) 2010-01-06
CN101620506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02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US201701926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US8872617B2 (en) Data-processing device and data-processing program with bio-authorization function
US8493338B2 (en) Mobile terminal
US873905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9513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EP2332032B1 (en) Multidimensional navigation for touch-sensitive display
KR2010005663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태그 정보 표시 방법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US20140071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CN103970443A (zh) 一种终端及终端显示控制方法
KR20120023867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 방법
US20160147313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Method
KR20110025520A (ko) 휴대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0817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속 키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25722A (ko) 드래그 동작을 활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단말기
KR20090049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9501166B2 (en) Display method and program of a terminal device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48330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JP4559328B2 (ja)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2007079990A (ja) 携帯端末
KR10177543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1361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