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68A -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68A
KR20100012568A KR1020080074037A KR20080074037A KR20100012568A KR 20100012568 A KR20100012568 A KR 20100012568A KR 1020080074037 A KR1020080074037 A KR 1020080074037A KR 20080074037 A KR20080074037 A KR 20080074037A KR 20100012568 A KR20100012568 A KR 2010001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touch
keypad
touch scree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07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568A/ko
Publication of KR2010001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는 터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콘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터치 메뉴가 생성되도록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74037
터치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장치는 별도의 키입력부를 사용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되면, 그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는 장치로, 상기 터치 스크린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패널의 종류는 저항(resistive)방식, 정전용량(capacitive)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
즉, 터치 스크린 장치는 이러한 터치 패널이 장착된 터치 스크린에 문자나 그림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자에 의해 접촉이 발생되면, 접촉이 발생된 위치의 좌 표정보를 통해 조작자가 선택한 것을 파악하고, 이에 해당하는 명령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를 다운받을 경우가 있는데, 상기 콘텐츠와 소정의 터치 메뉴를 함께 다운받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다운받은 콘텐츠와 터치 메뉴는 획일적이고, 콘텐츠와 함께 표시되어 콘텐츠를 볼 수 없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는, 터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콘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터치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된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메뉴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를 포함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상하 방향 메뉴와 상기 좌우 방향 메뉴가 터치 스크린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메뉴에 대해 기 저장된 이전 위치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이전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방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한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키패드 메뉴의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방향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방향 메뉴의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방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되도록 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의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뉴 생성부가 생성하는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콘텐츠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터치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터치 메뉴와 상기 콘텐츠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콘텐츠를 다운받을 경우, 사용자가 양손으로 조작하기 쉽도록 휴대용단말기의 좌우에 터치할 수 있는 방향 메뉴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메뉴를 이동할 수 있고, 표시된 터치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어 콘텐츠를 실행하면서 터치 메뉴를 통해 조작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와, 터치 스크린부(120)와, 터치 검출부(130)와, 메뉴 생성부(140)와, 저장부(150)와, 투명 조절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는 인터넷이 가능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SP(Play Station Portable) 및 휴대용 방송수신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가 해당된다.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휴대용단말기의 각종 기능과 관련된 메뉴 및 메시지를 표시한다.
터치 검출부(130)는 상기 터치 스크린부(120)에서 발생되는 접촉을 검출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이 발생된 위치의 좌표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메뉴 생성부(140)는 터치 메뉴를 생성한다. 터치 메뉴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를 포함한 방향 메뉴와 키패드 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 메뉴는 숫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15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는 게임 콘텐츠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150)는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의 이전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투명도 조절부(160)는 사용자의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메뉴 생성부(140)가 생성하는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를 더 포함하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콘텐츠가 실행될 경우,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일 경우, 방향 메뉴(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를 포함한 터치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140)를 제어한다.
터치 메뉴가 방향 메뉴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가 포함된 방향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140)를 제어하고, 생성된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가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 되도록 하되, 콘텐츠가 처음 실행된 경우, 초기 설정에 따라 상기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가 터치 스크린부(120)의 화면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이전에 저장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의 이전 위치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전 위치정보에 따라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가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터치 메뉴가 키패드 메뉴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키패드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140)를 제어하고, 생성된 키패드 메뉴가 터치 스크린부(12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방향 메뉴와 마찬가지로, 초기 설정된 위치 또는 이전에 저장된 키패드 메뉴의 이전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일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와 그에 해당되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상기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된 메뉴에 대한 접촉시간을 체크한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에 대한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상기 메뉴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표시된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는 터치 스크린부(120)에서 삭제되도록 한다. 이는, 키패드 메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시간을 초과하여 메뉴를 접촉할 때마다 방향 메뉴와 키패드 메뉴가 서로 번갈아 가며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75)는 상기 터치 검출부(130)가 검출하는 접촉에 따라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된 메뉴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터치 스크린부(120)에 표시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가 드래그 앤 드롭될 경우, 드롭된 위치에 상기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변경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의 위치정보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달리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휴대용단말기는 소정 콘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S201),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3). 상기 콘텐츠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게임 콘텐츠이다.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일 경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와 그에 대응되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S205).
한편,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일 경우, 휴대용단말기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와 콘텐츠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되,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는 터치 스크린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S207b).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초기 설정 위치 또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에 대해 기 저장된 이전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초기 설정 위치에 따를 경우,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는 터치 스크린의 좌우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에 각각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 메뉴(10)는 콘텐츠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의 왼쪽 가장자리의 하단에 표시되고, 상하 방향 메뉴(20)는 콘텐츠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의 오른쪽 가장자리의 하단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를 접촉하여 드래그 앤 드롭할 경우(S209b),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드롭된 위치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를 이동시킨다(S211b).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메뉴(20)를 소정치 위쪽으로 드래그한 후에 드롭(드래그 앤 드롭)(a)할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된 위치에 상하 방향 메뉴(21)를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의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S213b), 휴대용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하 방향 메뉴 또는 좌우 방향 메뉴를 삭제하고, 키패드 메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215b).
한편,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일 경우, 휴대용단말기는 키패드 메뉴를 생성하고, 콘텐츠와 상기 생성된 키패드 메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되, 상기 키패드 메뉴는 터치 스크린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S207c).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의 기 설정된 위치에 키패드 메뉴(50)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패드 메뉴를 접촉하여 드래그 앤 드롭할 경우(S209c),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드롭된 위치로 키패드 메뉴를 이동시킨다(S211c).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메뉴(50)를 소정치 왼쪽으로 드래그 한 후에 드롭(b)할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된 위치에 키패드 메뉴(51)를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패드 메뉴의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S213c), 휴대용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키패드 메뉴를 삭제하고, 상하 방향 메뉴 및 좌우 방향 메뉴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한다(S215c).
한편, 휴대용단말기는 콘텐츠 실행 시 또는 콘텐츠 실행 중에 투명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 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터치 메뉴를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터치 메뉴를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무선 통신부 120 : 터치 스크린부
130 : 터치 검출부 140 : 메뉴 생성부
150 : 저장부 160 : 투명도 조절부
170 : 제어부 175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Claims (16)

  1. 터치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콘텐츠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터치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된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메뉴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를 포함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상하 방향 메뉴와 상기 좌우 방향 메뉴가 터치 스크린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메뉴에 대해 기 저장된 이전 위치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이전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방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한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키패드 메뉴의 접촉시간을 체크하여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 기 방향 메뉴가 생성되도록 상기 메뉴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방향 메뉴의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방향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되도록 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의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생성부가 생성하는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
  9. 콘텐츠 실행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콘텐츠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터치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터치 메뉴와 상기 콘텐츠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된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메뉴는
    상하 방향 메뉴와 좌우 방향 메뉴를 포함한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터치 메뉴가 상기 상하 방향 메뉴와 상기 좌우 방향 메뉴일 경우, 상기 상하 방향 메뉴와 상기 좌우 방향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터치 메뉴의 표시는
    기 저장된 이전 위치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이전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경우, 상기 방향 메뉴 또는 키패드 메뉴에 대한 접촉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해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키패드 메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키패드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에 대해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방향 메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방향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한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해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방향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하고,
    상기 키패드 메뉴에 대한 상기 방향 메뉴에 대해 체크된 상기 접촉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키패드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메뉴에 대해 투명도 조절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 메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80074037A 2008-07-29 2008-07-29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012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37A KR20100012568A (ko) 2008-07-29 2008-07-29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37A KR20100012568A (ko) 2008-07-29 2008-07-29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68A true KR20100012568A (ko) 2010-02-08

Family

ID=4208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37A KR20100012568A (ko) 2008-07-29 2008-07-29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56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52B1 (ko) * 2006-10-25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49696A (ko) * 2008-05-07 2008-06-04 (주)씨에스랩글로벌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KR20100003850A (ko) * 2008-07-02 2010-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52B1 (ko) * 2006-10-25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42056A (ko) * 2008-04-23 2008-05-14 (주)씨에스랩글로벌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49696A (ko) * 2008-05-07 2008-06-04 (주)씨에스랩글로벌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KR20100003850A (ko) * 2008-07-02 2010-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567B1 (ko)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US9086741B2 (en) User input device
KR10210806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488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KR101452038B1 (ko) 모바일 기기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220197458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1200847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EP2455850B1 (en) Method for scrolling screen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device thereof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1528412B1 (ko)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0277191A (ja) 情報処理装置
KR20110034858A (ko) 게임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WO2020001358A1 (zh) 图标的整理方法及终端设备
US20070024577A1 (en) Method of controlling software function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20023867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표시 방법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40055880A (ko) 가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091806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그 바탕화면 구성방법
EP3016400A2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5135553A (ja) タッチ操作機能付表示装置
KR20100012568A (ko) 휴대용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JP2015153197A (ja) ポインティング位置決定システム
EP34572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