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02B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02B1
KR101483302B1 KR20080042685A KR20080042685A KR101483302B1 KR 101483302 B1 KR101483302 B1 KR 101483302B1 KR 20080042685 A KR20080042685 A KR 20080042685A KR 20080042685 A KR20080042685 A KR 20080042685A KR 101483302 B1 KR101483302 B1 KR 10148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tem
drag operation
list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886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4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3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로서 지정하여 선택 받고, 터치동작에 연속적으로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은 다음,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여, 구별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도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동작들을 화면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유발시켜 즉시적인 상호작용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메뉴 구조나 키 패드를 통한 동작 지시에 비하여 신속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통신단말기, 터치, 드래그, 실행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LEPHONE BY USING TOUCH-SCREEN}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아이템을 대상으로 한 동작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 입력 장치로는 아직까지도 고정적인 매트릭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단말기에 컬러 및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채용되고, 외형적으로도 슬림화, 소형화가 진행되는 중에도 사용자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종래의 키-패드 형태의 입력 장치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키-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으로 장래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상당 수는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할 것이 예상되고 있다. 이는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용절감 및 종래의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들의 낮은 신뢰성 과 수명의 문제가 해결된 결과이다.
터치 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들에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및 압전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이들 중, 터치스크린에는 투과율이 높고 반응속도가 빠르며 내성이 우수하여 작동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저해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 이 가능해지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상대적으로 대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의 주된 특징은 화면 상에 출력된 대상물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반응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즉시적인 상호작용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양태 중에서 사용자에게 빈번하게 이용되는 전화번호부나 콜 히스토리를 통한 전화 걸기, 메시지 전송들과 같은 기능들에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적인 특성들이 아직까지 반영되어 있지 못하며, 단순 흥미유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위주로만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보편적으로 수행되는 아이템의 선택 및 선택된 아이템을 대상으로 하는 동작 지정을 종래와 같은 다단계의 계층적인 메뉴 구성이나 버튼 입력을 통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로서 지정하여 선택 받고, 상기 터치동작에 연속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고, 구별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하나일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수가 복수일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는 것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중 어느 방향을 지향하는지에 따른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의 좌표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의 좌표의 관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목록이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은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연락가능 수신자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콜 히스토리(call history) 목록이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은 콜 히스토리 목록에 포함된 수신 또는 발신 이력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메시지의 목록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메시지 목록에 포함된 메시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 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은 음성전화 걸기, 영상전화 걸기 및 메시지 전송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전화번호부 상에서 연락가능 수신자를 선택하여 전화 걸기나 메시지 전송,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에 대한 삭제, 복사, 메시지 전송들의 동작을 별도의 버튼 입력이나 메뉴를 통한 선택과정 없이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화면상에 출력된 대상물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반응을 유발시켜 즉시적인 상호작용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메뉴 구조나 키 패드를 통한 동작 지시에 비하여 신속한 동작 지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S110),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 받고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는 단계(S120) 및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 아이템 목록 출력 단계(S110)
먼저,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 하는 단계(S1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선택 가능한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시키고, 표시된 아이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기를 기다리는 단계이다.
이때,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목록에는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 전화나 메시지 수신자의 이름 또는 전화번호, 메뉴 아이템, 동영상 앨범에 존재하는 동영상 컨텐츠, MP3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MP3 파일들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의 일 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목록이 될 수 있고, 상기 목록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연락가능 수신자의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 가능 수신자의 이름, 연락 가능 수신자의 전화번호, 연락 가능 수신자의 주소 등일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목록은 이동통신단말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콜 히스토리(call history) 목록이며, 상기 목록 내에 포함되는 아이템은 콜 히스토리 목록에 포함된 수신 또는 발신 이력일 수 있다. 이때, 콜 히스토리라 함은 수신 또는 발신 음성전화, 영상전화,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이력을 저장한 것이고, 콜 히스토리의 목록은 수신/발신, 음성/영상전화, 메시지 등을 수발신 시각에 따라서 정렬하거나 수신 또는 발신, 음성 또는 영상전화, 메시지 등으로 분류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목록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메시지의 목록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메시지 목록에 포함된 메시지를 의미하며, 이때, 아이템의 목록은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메시지의 앞부분 내용을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선택 가능한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가능 수신자들을 아이템으로 하여 연락가능 수신자들(211~217)의 목록을 터치스크린(210) 상에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2b는, 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메시지들을 아이템으로 하여 수신된 메시지들(221~224)의 앞부분 내용들을 목록으로 터치스크린(210) 상에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아이템 선택 및 드래그 동작 입력 단계(S120)
다음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는 단계(S120)는, 상기 단계(S110)를 통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 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로서 지정하여 선택하고, 상기 터치동작에 연속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 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아이템의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b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 메시지들 중에서 첫 번째 메시지를 터치를 통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아이템에 대한 선택을 피드백 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아이템의 주위에 테두리를 표시시키거나,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highlight)시키거나, 컬러를 변경하거나, 폰트 크기를 변경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아이템을 차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계(S120)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은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 목록에서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는 후술될 드래그 동작 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대상이 선택된 복수개의 아이템들이 될 것이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되어 있는 아이템들에 대해서 테두리를 표시시키거나,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highlight)시키거나, 컬러를 변경하거나, 폰트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아이템들과 선택되지 않은 아이템들을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에 연속되어, 터치스크린의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게 된다.
이때, '드래그(drag) 동작 터치'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즉, 좌표)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을 의미한다. 이 경우, 선택된 아이템이 단수인 경우와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인 경우에 따라서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선 터치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아이템이 하나일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이 드래그 동작 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앞선 터치동작에 의하여 선택된 아이템이 복수일 경우에는 선택된 아이템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이 드래그 동작 터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세 개의 아이템을 선택한 경우에는 마지막 세 번째 아이템의 선택과 동시에 세 번째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드래그 동작 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될 드래그 터치 동작에 의해 대응되는 동작의 수행 대상은 선택된 아이템들 모두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이 되는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는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아이템 영역 상에 터치를 수행한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경우를 예로 들면, 아이템(221)를 선택하기 위해서 손가락에 의하여 터치된 지점(300)이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한편,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은 출발점에서 시작된 터치가 단절되는 지 점이 될 수 있다. 즉, 출발점에서부터 이어진 터치 동작이 터치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떼어 종료되는 지점이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은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중 어느 하나까지 이어지는 것이 이후에 설명될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까지 드래그 동작이 이어질 필요 없이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는 위치까지 터치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소정의 지점에서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을 샘플하거나, 아이템 선택 시점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샘플된(sampled) 터치 지점을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으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템 선택을 위한 터치 동작 시점으로부터 0.5초 이후에 드래그 동작의 종료점을 샘플하는 방식으로 드래그 동작의 종료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터치스크린(210)의 경계선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발생시키는가에 따라서 드래그 동작을 구별하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발생되는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을 이용하여 드래그 동작 터치를 구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은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의 터치스크린 상 좌표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의 터치스크린 상 좌표 간의 관계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컨대,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향 방향(upward direction; 410-1),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향 방향(downward direction; 410-3), 실질적으로 오른쪽 방향인 우향 방향(right direction; 410-2), 실질적으로 왼쪽 방향인 좌향 방향(left direction; 410-4)의 네 가지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구성하면, 좌상향 방향(left-upward direction; 420-4), 우상향 방향(right-upward direction; 420-1), 좌하향 방향(left-downward direction; 420-3) 및 우하향 방향(right-downward direction; 420-2)을 포함하여 8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은 반드시 상하좌우 방향의 4 방향으로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8 방향의 방향성을 인식하는 것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다만, 8방향 이상의 방향성을 구별하여 인식하기 위해서는, 출발점과 종료점의 좌표를 구별해내기 위해서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4방향 또는 8방향의 구분은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360도를 4등분(한 방향에 90도씩 할당) 또는 8등분(한 방향에 45도씩 할당)하고,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 좌표(x1, y1)와 종료점 좌표(x2, y2)를 이용한 삼각 함수 법을 이용하여 출발점에서 종료점을 바라본 각도가 4등분 또는 8등분된 각도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동작 제어 방법에서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 구별의 개념도이다.
도 5a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4방향의 방향성으로 구별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도 5a를 참조하면, 출발점(300)의 좌표(x1, y1)에 대비하여 종료점(310)의 좌표(x2, y2)가 360도를 90도씩 분할한 4개의 각도 영역들(431, 432, 433, 444) 중에서 상향 방향에 할당된 90도 영역(431)에 위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 동작 터치는 상향 방향(410-1)의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도 5b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8방향의 방향성으로 구별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출발점(300)의 좌표(x1, y1)에 대비하여 종료점(320)의 좌표(x2, y2)가 360도를 45도씩 분할한 8개의 각도 영역들(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중에서 우상향 방향에 할당된 45도 영역(442)에 위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 동작 터치는 우상향 방향(420-1)의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에 대응되는 동작 수행 단계(S130)
마지막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상으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130)는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고, 구별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단계(S130)는 세부적으로는, 단계(S120)를 통하여 입력되어 인식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대응되는 동작이 현재 선택된 아이템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가능한지, 즉, 현재 선택된 아이템을 대상으로 하여 인식된 드래그 동작 터치에 대응되는 동작이 존재하는지를 판별하고(S131), 수행 가능한 동작인 경우에는 동작을 수행하고(S132), 수행이 불가능한 동작인 경우에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S133) 세부적인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드래그 동작 터치에 의하여 입력된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이 식별되면, 식별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과, 식별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대응하여 선택된 아이템을 대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동작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31)의 수행을 위해서는 소정의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과 대응되는 동작의 매핑 관계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510),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대응되는 동작들(520) 및 해당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아이템이 속한 목록의 명칭들(530)이 정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목록의 명칭들(530)이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과 대응되는 동작들과 함께 매핑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과 대응 동작들간의 매핑 관계는 앞서 단계(S110)에서 출력된 아이템 목록과 단계(S120)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성격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선택 가능한 아이템들이 전화번호부 목록에 저장된 연락가능 수신자인 경우와, 선택 가능한 아이템들이 동영상 앨범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에는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과 동작의 매핑 관계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전화번호부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과 대응 동작을 매핑하는 부분(540)에서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전화 걸기 동작이 우향 방향의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에 의해 실행되며(541),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영상전화 걸기 동작이 하향 방향의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에 의해 실행되는(542)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의 재생 목록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과 대응 동작을 매핑하는 부분(550)에서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재생(play) 동작이 우향 방향의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에 의해 실행되며(551),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정지(stop) 동작이 좌향 방향의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에 의해 실행(552)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동작 제어 방법이 이용될 경우는 복수 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동작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MP3 플레이어의 재생 목록에 10개의 아이템이 존재할 경우에, 3개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마지막 세 번째 아이템 상의 위치에서 우향 방향의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하게 되면, 3개의 아이템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동영상 앨범에 포함된 동영상 파일 목록에 존재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드래그 동작 터치 방향성과 대응 동작을 매핑하는 부분(560)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6에서는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을 4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을 8방향으로 분할한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매핑 테이블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선택 가능한 아이템의 목록을 표시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아이템의 선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선택된 아이템에 대하여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동작 제어 방법에서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 구별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서 드래그 동작의 방향성과 대응되는 동작의 매핑 관계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Claims (9)

  1.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을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된 아이템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로서 지정하여 선택 받고, 상기 터치 동작에 연속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드래그 동작 터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고, 구별된 대응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하나일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을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로 입력 받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수가 복수일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들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선택된 아이템 상의 위치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터치 동작을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는 것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하좌우 경계선 중 어느 방향을 지향하는지에 따른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을 구별하는 것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출발점의 좌표와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종료점의 좌표의 관계에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목록이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은 상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연락가능 수신자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콜 히스토리(call history) 목록이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은 콜 히스토리 목록에 포함된 수신 또는 발신 이력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의 목록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메시지의 목록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상기 메시지 목록에 포함된 메시지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동작 터치의 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수행될 대응동작은 음성전화 걸기, 영상전화 걸기 및 메시지 전송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80042685A 2008-05-08 2008-05-0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148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2685A KR101483302B1 (ko) 2008-05-08 2008-05-0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2685A KR101483302B1 (ko) 2008-05-08 2008-05-0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86A KR20090116886A (ko) 2009-11-12
KR101483302B1 true KR101483302B1 (ko) 2015-01-15

Family

ID=4160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2685A KR101483302B1 (ko) 2008-05-08 2008-05-0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129B1 (ko) * 2010-01-19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1857B1 (ko) 2018-08-07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어층에 동박 적층체가 적층된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86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2568A1 (en) Touch scree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TWI529599B (zh) 行動式通信終端機,以及選單與項目之選擇方法
KR10061782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052102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US8350807B2 (en) Scroll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CA2572574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primary action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6904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data on a display screen
KR10149513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US918288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 of electrical devices
US9026180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10102002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US20130082824A1 (en) Feedback response
US795343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ssage display method therein
US20100281430A1 (en) Mobile applications spin menu
US20080163112A1 (en) Designation of menu actions for applications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0005663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태그 정보 표시 방법
US20070146346A1 (en) Input unit, mobile terminal unit, and content data manipulation method in mobile terminal unit
CN102609169A (zh) 电子装置
KR2009013214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보조 디스플레이부 활용 방법 및 이를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48330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80096732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7491251B (zh) 移动终端及指纹控制方法
KR2009011156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30042876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키패드 위치 정보에 따른 메뉴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