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476U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476U
KR20100003476U KR2020080012740U KR20080012740U KR20100003476U KR 20100003476 U KR20100003476 U KR 20100003476U KR 2020080012740 U KR2020080012740 U KR 2020080012740U KR 20080012740 U KR20080012740 U KR 20080012740U KR 20100003476 U KR20100003476 U KR 20100003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terminal
support
wir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727Y1 (ko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2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13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바렐부(134)는 상기 전선의 심선과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바렐(132)과, 상기 전선의 피복(W)과의 결합을 위한 인슐레이션바렐(134)과, 커넥터(200)의 내부공간(S)에서 리어홀더(300)의 지지대(31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렐(1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이 전선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하여 전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아울러 커넥터 내부에서 리어홀더의 지지대와 충분히 접촉되어 커넥터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전선, 커넥터, 리어홀더, 지지대, 인슐레이션바렐, 지지바렐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상대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은 외관 및 골격을 몸체부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는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는 전선의 심선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과, 전선의 피복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 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인슐레이션바렐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와 결합부 및 바렐부는 명확하게 그 영역을 구분할 수는 없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터미널은 전선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터미널은 상 기 커넥터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리어홀더에 의해 상기 커넥터 내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리어홀더에 구비된 지지대가 상기 커넥터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지지대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 일측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은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의 후단 방향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터미널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더라도 상기 지지대의 선단과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의 일측 부분이 충분하게 접촉되지 않는다. 즉,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은 상기 전선의 피복을 둘러싸 압착됨에 따라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지지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은 외력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의 지지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고정되지 못하고 상기 커넥터의 후단 방향으로 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의 지지대에 의해 그 지지상태가 안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의 높이를 어느 정도 유지한 채 전선을 압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은 상기 전선을 안정되게 압착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인슐레이션바렐 내에서 상기 전선은 작은 외력에도 유동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이 전선을 확실하게 압착하면서도 리어홀더의 지지대에 의해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는 상기 전선의 심선과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바렐과, 상기 전선의 피복과의 결합을 위한 인슐레이션바렐과, 커넥터의 내부에서 리어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와, 상기 주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와, 상기 주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와, 상기 이중지지부의 선단에서 전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보조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의 피복을 압착한 인슐레이션바렐의 높이는 상기 지지바렐의 높이 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터미널과 전선 결합 시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이 전선의 피복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둘러싸 압착함으로써, 전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커넥터 내부에 삽입된 터미널의 지지바렐이 리어홀더의 지지대와 충분히 접촉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터미널이 커넥터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터미널은 리셉터클 터미널을 예로 설명하나, 탭 터미널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a 내지 도 2c에는 도 1의 인슐레이션바렐 및 지지바렐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터미널이 커넥터에 삽입되고 리어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터미널(100)의 외관 및 골격을 몸체부(11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후술하는 결합부(120) 및 바렐부(130)와 일체 구성되는 것 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선단에는 결합부(120)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바렐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부(120) 및 바렐부(130)는 그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대략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선단에 결합부(120)가, 후단에 바렐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스프링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122)는 상대 터미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둘 사이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124)으로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데, 상기 스프링부(122)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124)이 점점 좁아지므로 상대 터미널과 스프링부(122)가 서로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스프링부(122)의 형상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바렐부(130)는 와이어바렐(132), 인슐레이션바렐(134) 및 지지바렐(136)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32)은 전선의 심선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은 전선의 피복(W)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 터미널(1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이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전선의 피복(W)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한다.
상기 지지바렐(136)은 그 일측이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200)의 내부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300)의 지지대(310)의 선단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렐(136)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의 피복(W)을 압착하지 않고 그 높이를 유지하여 리어홀더(300)의 지지대(310)의 선단에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바렐(136)의 높이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한 인슐레이션바렐(13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 및 지지바렐(136)은 상기 터미널(100) 성형 시 일체 형성된 것을 절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은 상기 전선의 피복(W)을 압착 시 상기 전선과 터미널(100)이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압착력을 유지하도록 임계치 이상의 폭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는, 만약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의 폭이 임계치 이하의 폭을 갖도록 절개 형성된 경우,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34)은 전선이 유동됨에 따라 압착이 허술해져 전선이 분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제1실시 예에서는 대략 '1'자 모양으로 지지바렐(136)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리어홀더(300)의 지지대(310)의 선단에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렐(136)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137a)와, 상기 주지지부(137a)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137b)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바렐(136)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138a)와, 상기 주지지부(138a)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138b)와, 상기 이중지지부(138b)의 선단에서 전선의 피복(W)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보조지지부(138c)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넥터(200)에는 상기 터미널(10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내부공간(S)과, 상기 내부공간(S)으로 삽입된 터미널(100)이 1차고정되도록 탄성변형하는 랜스(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리어홀더(300)에는 상기 커넥터(200)에 안착된 터미널(100)이 2차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31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커넥터(200), 랜스(210), 리어홀더(300) 및 지지대(310)의 형상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터미널(100)의 바렐부(130)에 전선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선은 그 심선이 와이어바렐(132)과 연결되고, 그 피복(W)은 인슐레이션바렐(134)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이 연결된 터미널(100)이 커넥터(200)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면, 상기 내부공간(S)에 설치된 랜스(210)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1차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어홀더(300)가 상기 커넥터(200)와 체결되기 위해 상기 리어홀더(300)의 지지대(310)가 상기 커넥터(20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10)가 상기 내부공간(S)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리어홀더(300)에 구비된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300)와 커넥터(200)가 체결된다. 동 시에, 상기 지지대(310)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100)의 지지바렐(136)의 일측 부분에 밀착되면서 상기 터미널(100)을 2차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이 전선을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하여 전선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고, 아울러 커넥터 내부에서 리어홀더의 지지대와 충분히 접촉되어 커넥터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리어홀더의 지지대에 충분히 접촉되어 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바렐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터미널의 단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인슐레이션바렐 및 지지바렐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터미널이 커넥터에 삽입되고 리어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터미널 110 : 몸체부
120 : 결합부 122 : 스프링부
124 : 삽입공간 130 : 바렐부
132 : 와이어바렐 134 : 인슐레이션바렐
134 : 인슐레이션바렐 136 : 지지바렐
200 : 커넥터 210 : 랜스
300 : 리어홀더 310 : 지지대

Claims (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는 상기 전선의 심선과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바렐과, 상기 전선의 피복과의 결합을 위한 인슐레이션바렐과, 커넥터의 내부에서 리어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와, 상기 주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렐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주지지부와, 상기 주지지부의 선 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형성된 이중지지부와, 상기 이중지지부의 선단에서 전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보조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피복을 압착한 인슐레이션바렐의 높이는 상기 지지바렐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80012740U 2008-09-22 2008-09-22 터미널 KR200464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40U KR200464727Y1 (ko) 2008-09-22 2008-09-22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40U KR200464727Y1 (ko) 2008-09-22 2008-09-22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76U true KR20100003476U (ko) 2010-03-31
KR200464727Y1 KR200464727Y1 (ko) 2013-01-15

Family

ID=4419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740U KR200464727Y1 (ko) 2008-09-22 2008-09-22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27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449Y1 (ko) 2002-12-26 2003-02-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JP4483601B2 (ja) 2005-01-28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KR100823336B1 (ko) * 2006-09-13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과 방수씰의 연결구조
KR100874963B1 (ko) * 2007-03-15 2008-12-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27Y1 (ko) 201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1032B2 (ja) 圧接端子
US20120252283A1 (en) Fuse terminal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CN106716728A (zh) 用于电连接器的端子
CN110391532B (zh) 连接器
US10811803B2 (en) Connection terminal
KR200464727Y1 (ko) 터미널
JP7353921B2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KR20080003291U (ko) 암형 전기 단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6912338B2 (ja) 雌端子
JP5367654B2 (ja) メス端子
JP3204887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の雌端子
JP4446477B2 (ja) コネクタ
JP2020135998A (ja) コネクタ
JP5173777B2 (ja) オス端子の構造
JP7152207B2 (ja) 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及び、同軸線用の端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0451901Y1 (ko) 터미널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100897376B1 (ko) 커넥터
JP6188293B2 (ja) 端子
KR20100011331A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100922154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