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825A -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825A
KR20100002825A KR1020080062863A KR20080062863A KR20100002825A KR 20100002825 A KR20100002825 A KR 20100002825A KR 1020080062863 A KR1020080062863 A KR 1020080062863A KR 20080062863 A KR20080062863 A KR 20080062863A KR 20100002825 A KR20100002825 A KR 2010000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estrus
estrous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현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 알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트젠 filed Critical (주) 알트젠
Priority to KR102008006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825A/ko
Publication of KR2010000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2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eriod of heat of animals, i.e. for detecting oest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축의 발정시기를 판단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가축 발정 관리 시스템은, 가축에게 부착되어 가축의 승가 행위 및 보행 횟수를 감지하며, 감지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 처리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및 상기 가축 발정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정 시기인지를 판단하며,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가축이 발정 시기임을 통보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가축의 보행량 증가 및 승가 행위를 감지하여 가축이 발정시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estrus for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가축의 발정 시기를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가축을 사육하는 중요한 목적은 번식률을 높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발정을 일으킨 암컷의 발정 징후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하여 최적의 시기에 교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전에는 사육사가 가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가축의 발정을 인지하였고, 또한 가축의 발정 주기를 관리하여 가축의 번식률을 최대화하였다.
한편, 근래에는 가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도 가축의 발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축에게 일련의 번호를 부여하면서 각 가축의 발정일, 수정일, 임신확인일, 건유일, 분만일 등을 입력시키면 이들 반정주기에 의하여 바로 전의 발정주기와 다음의 발정주기가 자동으로 연산되면서 해당 날짜를 알려주는 동시에 불규칙적인 발정주기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육사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기술 등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새로운 방식의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은, 가축에게 부착되어 가축의 승가 행위 및 보행 횟수를 감지하며, 감지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 처리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및 상기 가축 발정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정 시기인지를 판단하며,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가축이 발정 시기임을 통보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발정 주기 관리 서버는, 가축별 발정 주기를 관리하여 가축의 발정 시기에 대한 분석 자료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축(소)의 보행 횟수의 증가 및 승가 행위를 감지하며, 이를 통해 가축의 발정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과 다르게 3D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량 및 승가 행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 관리자에게 SMS에 따른 문자메시지로 가축의 발정 시기를 통보함으로써, 가축 관리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든지 가축의 발정시기를 파악하여 그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의 개체별로 발정 주기를 관리함으로써, 가축의 발정 시기에 대한 분석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발정 주기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가축(예를 들어, 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가 부착된다.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는 소형의 센서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센서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축의 발정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경우,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 단말인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들, 및 액세스 포인트 공유기 등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방식의 경우에 목장 내 모든 소들이 위치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액세스 포인트들을 소정 위치에 설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10), 발정 감지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이 될 수 있다. 발정 감지부(120)는 승가 행위 감지부(123) 및 보행 횟수 감지부(125)를 포함한다. 승가 행위 감지부(123)는 3차원 좌표를 통해 높낮이를 파악하여 가축의 승가 행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보행 횟수 감지부(125)는 진동수를 통해 가축의 보행 횟수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정 감지부(120)는 3차원 좌표값을 통해 승가 행위를 감지하는 센싱 구성과 진동수를 감지하는 센싱 구성이 구현된 물리적으로 단일한 3D 센서이다. 제어부(130)는 발정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 구체적으로 승가 행위 감지부(123)로부터 출력된 승가 행위 데이터와 보행 횟수 감지부(125)로부터 출력된 보행 횟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축의 개체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를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로 전송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식별자는 가축의 개체별로 부여되어 사전에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에 기록된 고유 식별 정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식별자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의 고유 정보인 BDA(Bluetooth Device Address)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는 가축 정보 저장부(210),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 데이터 수신부(230), 개체 구별부(240), 발정 판단부(250), 및 발정 통보부(260)를 포함한다. 가축 정보 저장부(210)는 가축의 개체별 정보를 저장한다. 가축의 개체별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다. 바람직하게 가축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가축의 개체별 정보는 전술한 가축의 고유 식별자별로 구분되어 관리된다. 또한 가축 정보 저장부(210)에는 개체별로 가축의 발정 시기에 대한 정보가 누적되어 저장된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는 가축이 발정 시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기준 데이터는 승가 행위 데이터와 보행 횟수 데이터가 된다. 구체적으로 승가 행위 데이터는 가축의 승가 행위에 따른 고저의 차이값을 말하며, 보행 횟수 데이터는 표현 그대로 보행의 횟수를 말한다. 가축 관리자는 사전에 가축의 발정기라 판단할 수 있는 승가 행위와 보행 횟수 조건을 지정하고, 지정된 값을 기준 데이터로써 등록한다. 이 같이 관리자에 의해 등록되는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 및 보행 횟수 기준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참고로 소는 발정기시 비발정기시에 비해 승가 행위의 고저 차가 증가하며, 보행 수 또한 2~5배 정도 증가하므로, 이 같은 사실이 고려되어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 및 보행 횟수 기준 데이터가 정해지게 된다.
데이터 수신부(230)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이며, 바람직하게 블루투 스 통신 모듈이 된다. 데이터 수신부(230)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100)들로부터 전송된 고유 식별자,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수신한다. 개체 구별부(240)는 데이터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가축 정보 저장부(210)를 검색하여 어떤 개체인지를 구별한다. 발정 판단부(250)는 데이터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승가 행위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승가 행위 데이터가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발정 판단부(250)는 데이터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된 보행 횟수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보행 횟수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행 횟수 데이터가 보행 횟수 기준 데이터에 속하는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가 모두 조건에 만족하면, 발정 판단부(250)는 개체 구별부(240)에 의해 구별된 개체가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발정 판단부(250)는 어느 하나의 조건만 만족되면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는 환경에 따라 가축이 2가지 모두의 행태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개체별로 기준 데이터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승가 행위 조건과 보행 횟수 조건 중 어느 하나만을 기준 데이터로 설정하거나 둘 다를 기준 데이터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개체별 기준 데이터 조건을 달리 등록해야 할 것이다.
발정 판단부(250)에 의해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발정 통보부(260)는 개체 구별부(240)에 의해 구별된 개체가 발정 시기임을 가축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정 통보부(260)는 발정 시기임을 알리는 정보를 화면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정 통보부(260)는 발정 시기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축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예를 들어, 휴대폰)로 전송 처리한다. 이때 가축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는 사전에 메시지 수신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정 통보부(260)는 기 등록된 수신처 정보를 목적지로 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문자메시지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방식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가축 발정 관리 서버(200)는 발정 주기 관리부(270)를 더 포함한다. 발정 주기 관리부(270)는 발정 판단부(250)에 의해 판단된 개체별 발정 시기를 가축 정보 저장부(210)에 기록하며 누적 관리한다. 이 같이 발정 주기 관리부(270)에 의해 개체별 발정시기가 누적 관리되며, 개체별로 누적 관리된 발정 시기에 대한 데이터는 가축의 발정 시기에 대한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발정 주기 관리부(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개체별 발정 주기에 대한 정보를 화면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개체별 발정 주기를 그래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발정 주기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발정 감지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발정 주기 관리 서버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축 발정 감지 장치
120 : 근거리 무선통신부 120 : 발정 감지부
123 : 승가 행위 감지부 125 : 보행 횟수 감지부
130 : 제어부
200 : 가축 발정 관리 서버
210 : 가축 정보 저장부 220 : 기준 데이터 저장부
230 : 데이터 수신부 240 : 개체 구별부
250 : 발정 판단부 260 : 발정 통보부
270 : 발정 주기 관리부

Claims (10)

  1. 가축에게 부착되어 가축의 승가 행위 및 보행 횟수를 감지하며, 감지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 처리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및
    상기 가축 발정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정 시기인지를 판단하며,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가축이 발정 시기임을 통보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주기 관리 서버는, 가축별 발정 주기를 관리하여 가축의 발정 시기에 대한 분석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발정 감지 장치는, 가축의 승가 행위 및 보행 횟수를 감지하기 위한 3D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발정 감지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 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5. 가축의 발정 여부 판단 기준인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와 보행 횟수 기준 데이터를 저장한 기준 데이터 저장부;
    가축에 부착된 가축 발정 감지 장치로부터 전송된 가축의 개체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 가축의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가축의 개체를 구별하는 개체 구별부;
    상기 수신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승가 행위 기준 데이터 및 보행 횟수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승가 행위 및 보행 횟수 모두 발정 조건에 만족하면 상기 구별된 개체가 발정 시기인 것으로 판단하는 발정 판단부; 및
    상기 발정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개체 구별부에 의해 구별된 개체가 발정 시기임을 통보하는 발정 통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통보부는, 지정된 수신처로 상기 개체 구별부에 의해 구별된 개체가 발정 시기임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가축의 발정 시기를 기록하여 개체별 발정 주기를 관리하는 발정 주기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관리 서버.
  8. 가축에게 부착되어 가축의 발정을 감지하기 위한 가축 발정 감지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가축의 승가 행위를 감지하기 위한 승가 행위 감지부와, 가축의 보행 횟수를 감지하기 위한 보행 횟수 감지부를 포함하는 발정 감지부; 및
    가축의 개체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 상기 발정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승가 행위 데이터 및 보행 횟수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가축 발정 주기 관리 서버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 감지부는, 3D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발정 감지 장치.
KR1020080062863A 2008-06-30 2008-06-3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KR20100002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63A KR20100002825A (ko) 2008-06-30 2008-06-3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63A KR20100002825A (ko) 2008-06-30 2008-06-3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25A true KR20100002825A (ko) 2010-01-07

Family

ID=4181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63A KR20100002825A (ko) 2008-06-30 2008-06-3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8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55B1 (ko) * 2010-11-25 2013-02-22 김종선 고도센서를 이용한 암소의 발정 알림 시스템
KR20160015457A (ko) * 2014-07-30 2016-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198B1 (ko) * 2019-10-26 2020-08-24 강현철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55B1 (ko) * 2010-11-25 2013-02-22 김종선 고도센서를 이용한 암소의 발정 알림 시스템
KR20160015457A (ko) * 2014-07-30 2016-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198B1 (ko) * 2019-10-26 2020-08-24 강현철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906B1 (ko)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Karsten et al. Monte Carlo simulation of classical swine fever epidemics and control: I. General concepts and description of the model
Backer et al. Modelling the effectiveness and risks of vaccination strategies to control classical swine fever epidemics
CN100428879C (zh) 跟踪个体的系统和方法
CN102567798B (zh) 传感数据显示装置和显示系统
JP3634308B2 (ja) 乳牛の歩行距離管理装置及び乳牛の繁殖管理方法,乳牛の繁殖管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30030615A (ko)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41775A (ko) 반려동물의 비문을 이용한 신원등록 및 확인방법
KR20160044835A (ko)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7327B1 (ko)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KR20200057405A (ko)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JP2018099098A5 (ko)
KR20100002825A (ko)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KR20090099247A (ko) 축산자동장치
KR20110007922A (ko)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CN103209386A (zh) 用于提示用户被跟踪的移动终端及其方法
WO2003061373A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nimal breeding efficiency
KR102089165B1 (ko) 초음파 워낭장치를 이용한 가축의 객체확인 및 행동인식 시스템
KR101203745B1 (ko) 최적화 단말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78498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信息安全管理系统
WO2020216421A1 (en) An apparatus, a rat bait box and method for detecting,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of rat activity
CN103546900B (zh) 基于身份认证的电子特征采集方法
KR20130128120A (ko) 가축 전염병 감시 방법
KR20130035819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한 가축 발정 진단 시스템
KR101789488B1 (ko) 환경정보 관리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