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98B1 -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98B1
KR102147198B1 KR1020190134164A KR20190134164A KR102147198B1 KR 102147198 B1 KR102147198 B1 KR 102147198B1 KR 1020190134164 A KR1020190134164 A KR 1020190134164A KR 20190134164 A KR20190134164 A KR 20190134164A KR 102147198 B1 KR102147198 B1 KR 10214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registration
estrus
unit
ca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철
Original Assignee
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철 filed Critical 강현철
Priority to KR102019013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Bir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 상기 발정탐지부로부터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개체별 번식주기 및 번식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발정탐지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거나,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사육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발정탐지부에서 개체의 발정탐지 시,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번식주기를 연산하는 일정연산부; 상기 사육자 단말기로부터 실제 확인된 번식상태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일정연산부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차이를 개체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한우 개체마다 부착된 센서에서 감지된 소의 움직임 및 행동 정보를 토대로, 소의 행동 유형 패턴을 판단하고 소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소의 발정기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공태기간 및 번식장애(저수태, 미약발정, 무발정, 조기배사멸)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키고 발정 미감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한우 농가의 생산성 및 수익성에 이바지하고 농가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한우 개체의 발정탐지 후,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 일정 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고, 번식상태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한우 번식우 사육자에게 해야 할 일을 빠짐없이 번식상태별로 안내할 수 있어 번식우 개체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한우 번식우마다 개별적인 건강상태에 적합하도록 번식관리를 할 수 있어, 더욱 체계적인 번식관리를 통해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번식주기 내 자동으로 판단된 개체의 번식상태와 사육자로부터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여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내지 등록지연 알람을 보냄으로써, 축사주 내지 사육자가 빠뜨림 없이 번식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관리를 강제할 수 있으며, 사육자가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축사주가 고용된 사육자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BREED OF CATTLE TO FORCE THE MANAGEMENT OF CATTLE WITH REGISTRATION}
본 발명은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사 관리의 목표는 가축이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 혹은 축사에 이상 상황이 발생했는지 등과 같이 가축의 상태 및 환경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대처방안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우 번식우 사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번식인데, 효과적인 번식을 위해서는 발정을 제때 발견하고 번식주기를 체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우 농가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 또는 목장주가 관리해야 할 한우 두수가 증가하고 있어,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에 관한 세밀한 관찰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우의 번식주기 내 상태로는 어린소 상태, 수정전 상태, 수정후 상태, 임신대기 상태, 임신중 상태, 분만후 상태, 비육 상태로 나뉠 수 있는데, 발정상태의 개체를 제때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정 이후 적절한 시기에 인공수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수정 이후 임신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는 등 번식주기 내 상태를 꾸준히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발정주기 내 상태를 빠짐없이 확인하기는 쉽지 않으며, 사육자를 따로 고용하여 운영하는 기업형 농가에서는 사육자의 업무를 관리하거나 강제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우의 발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발정상태의 개체가 발정 이후 번식주기 내 어떤 상태에 있는지 빠짐없이 점검하도록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1443호(발명의 명칭: 한우 개체 관리 및 교배 예측 방법, 공고일자: 2017년 03월 21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우 개체마다 부착된 센서에서 감지된 소의 움직임 및 행동 정보를 토대로, 소의 행동 유형 패턴을 판단하고 소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개체의 발정기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공태기간 및 번식장애(저수태, 미약발정, 무발정, 조기배사멸)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키고 발정 미감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한우 농가의 생산성 및 수익성에 이바지하고 농가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우 개체의 발정탐지 후,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 일정 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고, 번식상태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한우 번식우 사육자에게 해야 할 일을 빠짐없이 번식상태별로 안내할 수 있어 번식우 개체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한우 번식우마다 개별적인 건강상태에 적합하도록 번식관리를 할 수 있어, 더욱 체계적인 번식관리를 통해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번식주기 내 자동으로 판단된 개체의 번식상태와 사육자로부터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여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내지 등록지연 알람을 보냄으로써, 축사주 내지 사육자가 빠뜨림 없이 번식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관리를 강제할 수 있으며, 사육자가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축사주가 고용된 사육자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은,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
상기 발정탐지부로부터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개체별 번식주기 및 번식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발정탐지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거나,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사육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발정탐지부에서 개체의 발정탐지 시,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번식주기를 연산하는 일정연산부;
상기 사육자 단말기로부터 실제 확인된 번식상태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일정연산부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차이를 개체별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정탐지부는,
개체에 부착되어 개체의 움직임 및 행동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행동 유형의 특징적 패턴을 찾아내고, 개체의 행동 유형을 판단하는 행동분석부; 및
상기 행동분석부에서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육자 단말기는,
한우 개체의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실제 번식상태, 및 상기 일정연산부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각각의 번식상태에 따라 사육자가 해야 할 사항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연산부는,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번식주기 내 어린소, 수정전, 수정후, 임신대기, 임신중, 분만후, 비육 상태를 포함하는 번식상태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부는,
상기 사육자 단말기의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에 따라,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을 포함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등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연산부는,
상기 등록부에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 정보 등록 시,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정보와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다시 연산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육자 단말기는,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번식상태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초과한 경우,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또는 등록지연 알람을 보내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육자의 단말기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한우 개체마다 부착된 센서에서 감지된 소의 움직임 및 행동 정보를 토대로, 소의 행동 유형 패턴을 판단하고 소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소의 발정기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공태기간 및 번식장애(저수태, 미약발정, 무발정, 조기배사멸)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키고 발정 미감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한우 농가의 생산성 및 수익성에 이바지하고 농가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한우 개체의 발정탐지 후,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 일정 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고, 번식상태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한우 번식우 사육자에게 해야 할 일을 빠짐없이 번식상태별로 안내할 수 있어 번식우 개체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한우 번식우마다 개별적인 건강상태에 적합하도록 번식관리를 할 수 있어, 더욱 체계적인 번식관리를 통해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번식주기 내 자동으로 판단된 개체의 번식상태와 사육자로부터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여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내지 등록지연 알람을 보냄으로써, 축사주 내지 사육자가 빠뜨림 없이 번식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관리를 강제할 수 있으며, 사육자가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축사주가 고용된 사육자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식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발정탐지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움직임감지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번식우의 번식주기를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등록부에서 실제 번식상태 등록 방법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사육자 단말기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모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은,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100), 발정탐지부(100)로부터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개체별 번식주기 및 번식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서버(200), 및 발정탐지부(100) 및 서버(200)로부터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거나,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는 사육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200)는, 발정탐지부(100)에서 개체의 발정탐지 시,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번식주기를 연산하는 일정연산부(210), 사육자 단말기(300)로부터 실제 확인된 번식상태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등록부(220), 및 일정연산부(210)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등록부(220)에서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차이를 개체별 비교하는 비교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발정탐지부(100)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발정탐지부(100)는, 개체의 승가 행위를 포함하는 행동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 센서(110), 움직임감지 센서(11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행동 유형의 특징적 패턴을 찾아내고, 개체의 행동 유형을 판단하는 행동분석부(120), 및 행동분석부(120)에서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연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발정탐지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움직임감지 센서(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소에 부착되어 소의 움직임 및 행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개체의 작은 움직임까지 빠뜨림 없이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야 하는바, 움직임을 구분하기 용이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한우 개체의 목에 부착하여, 모든 움직임 감지에 적합하고, 떼어내고 붙이기 쉬우며, 무엇보다 소 개체가 거부감 없이 생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움직임에서부터 큰 움직임까지 모든 움직임을 탐지하면서도,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최적의 형상으로서 개체에 밀착된 형태로 설계 및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움직임감지 센서(110)는, 개체의 머리, 귀, 입놀림 및 몸 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머리의 떨림을 이용하여, 기울기 값을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와 개체의 머리, 귀, 입놀림 및 몸 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머리의 떨림을 이용하여, 방향값을 측정하는 자력계로 구성되어 개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행동분석부(120)는, 행동 유형의 특징적 패턴을 찾아내고, 개체의 행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소의 휴식상태, 활동상태, 및 고활동상태를 포함하는 행동 유형의 특징적 패턴을 찾아내고, 소의 행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는데, 움직임 데이터 중 특징적 3가지 행동(휴식, 활동, 고활동)을 시간, 일간, 주간, 월간, 년간 단위로 탐지하여 각 행동의 비율을 통계적, 수학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고, 각 상태를 모델링 하여 비교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람이 가축을 보살피고 관측하고 예측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낼 수 있는데, 빅데이터를 분석해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컴퓨터가 계산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예측 알고리즘을 구축함으로써, 복합적인 소의 행동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서, 한 가지 정보만을 이용하여 소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탐지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발정 출현 시간별 최적의 인공수정 적기를 분석하거나 지역별 및 환경별 수태율 영향을 분석하는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발정연산부(130)는, 행동분석부(120)에서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발정상태의 소는 흥분, 보행 수 증가, 배뇨 증가, 고성, 식욕감퇴, 후구 세움, 꼬리 흔들기, 승가 및 승가 허용, 외음부 충혈 등의 특징적인 행동을 보이는데, 발정 지속시간은 13~37시간이고, 일반적으로 발정개시 후 12~18시간(배란 전 13~18시간) 또는 발정종료 전후 3~4시간 사이가 수정 적기인바, 소의 발정 시기에 따른 행동 패턴 정보를 누적하여 분석함으로써, 행동분석부(120)에서 판단된 소의 행동 유형 정보를 바탕으로 소의 발정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다. 즉, 발정연산부(130)는, 소의 한 생애 주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행동에 대한 움직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통계적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정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서버(200)는, 발정탐지부(100)로부터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개체별 번식주기 및 번식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연산부(210), 등록부(220), 및 비교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서버(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일정연산부(210)는, 발정탐지부(100)에서 개체의 발정이 탐지되면,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번식주기를 연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정연산부(210)는,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번식주기 내 어린소, 수정전, 수정후, 임신대기, 임신중, 분만후, 비육 상태를 포함하는 번식상태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번식우의 번식주기를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식우의 번식주기는 어린소 상태, 수정전 상태, 수정후 상태, 임신대기 상태, 임신중 상태, 분만후 상태, 비육 상태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린소 상태의 개체에서 발정 징후가 보이게 되면, 해당 번식우에 씨수소의 정액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을 하게 되는데, 인공수정을 하기 적절한 시점은 발정 징후를 확인하고 12~18시간 지난 후(배란 전 13~18시간)이다. 따라서 발정 여부를 정확히 제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인공수정 후에도 인공수정이 실패한 경우를 염두에 두고 지속해서 관찰해야 한다. 인공수정에 성공하였다면, 임신대기 상태와 임신중 상태 과정을 거쳐 분만하게 되는데, 무사히 송아지를 생산하고 나서 2개월 정도 송아지에게 모유를 공급하고, 어미는 다시 다음 송아지 생산을 위한 인공수정을 준비하거나, 더이상 송아지 생산에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면 일정 기간 비육하여 고기소로 사육하게 된다.
따라서 농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번식우의 발정 예정일을 관리하고 발정 징후 행동을 빠짐없이 파악해야 하며, 인공수정 후에도 지속해서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다만, 사람이 번식우를 관리하게 되면 의도치 않게 잊어버리거나 빠뜨릴 수 있는 부분이 생길 수밖에 없는바, 본 발명은 등록 절차를 이용하여 번식주기 관리를 강제할 수 있고, 나아가 축사주가 사육자를 고용한 경우라면 축사주가 사육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번식주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등록 절차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등록부(220)는, 사육자 단말기(300)로부터 실제 확인된 번식상태를 수신받아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20)는, 사육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10)로부터 수신된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에 따라,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을 포함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정탐지부(100)에서 한우 개체의 발정을 탐지하게 되면, 사육자는 해당 정보를 수신받아 그 개체가 실제로 발정 상태에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발정 상태가 확인되면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발정등록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등록부에서 실제 번식상태 등록 방법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자는 어린소 상태의 개체, 수정이 실패한 개체, 임신이 실패한 개체, 분만후 상태의 개체 등에서 발정 징후가 보이면 실제로 발정 상태인지 확인을 하고, 자신의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발정등록을 할 수 있다. 또한, 인공수정이 완료한 개체의 경우 수정등록을 할 수 있으며, 2회 발정주기가 지난 후 자동으로 임신대기 상태가 되고, 임신 성공이 확인되면 임신감정등록을 할 수 있으며, 분만이 완료되면 분만등록을 할 수 있다. 즉, 번식우의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를 사육자가 확인하고,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로서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 중 하나의 등록이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등록 절차를 거쳐야 일정연산부(210)에서 다음 번식주기가 연산 되도록 함으로써, 사육자의 등록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의 주기적인 등록이 요구되는 본 발명은, 번식주기마다 반드시 점검해야 할 이벤트들을 등록이라는 작업으로 강제함으로써, 사육자가 빠짐없이 번식주기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며, 특히 사육자를 따로 고용하여 운영하는 기업형 농가의 경우, 고용주의 직원 업무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정연산부(210)는, 등록부(220)에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 정보가 등록되면,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뿐만 아니라, 등록부(220)에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다시 연산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한우의 번식주기정보와 달리 개체별로 번식주기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개체의 실제 번식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번식주기를 다시 연산함으로써, 한우 개체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정확한 번식주기를 연산할 수 있고, 해당 번식주기 내 향후 번식상태를 더욱 정확히 예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사육자 단말기(300)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의 사육자 단말기(300)는, 한우 개체의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를 입력하는 입력부(310), 입력부(310)에서 입력된 실제 번식상태, 및 일정연산부(210)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각각의 번식상태에 따라 사육자가 해야 할 사항을 제공하는 출력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교부(230)에서 비교된 번식상태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초과한 경우,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또는 등록지연 알람을 보내는 알람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육자는 한우 개체의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를 사육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실제 번식상태와 일정연산부(210)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를 출력부(320)를 통하여 비교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번식상태에 따라 사육자가 해야 할 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어, 사육자가 누락 없이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상 번식상태와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차이가 비교부(230)에서 기설정된 값보다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또는 등록지연 알람을 보냄으로써, 등록 업무를 빠뜨리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축사주도 사육자의 업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은, 사육자의 단말기(300)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육자의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es),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desktop) PC, 랩탑(laptop) PC, 넷북(netbook)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serv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박스, 게임 콘솔, 전자사전 및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은, 사육자 단말기(300) 내에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한우 개체마다 부착된 센서에서 감지된 소의 움직임 및 행동 정보를 토대로, 소의 행동 유형 패턴을 판단하고 소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소의 발정기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공태기간 및 번식장애(저수태, 미약발정, 무발정, 조기배사멸)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소의 번식 효율을 증가시키고 발정 미감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며, 궁극적으로는 한우 농가의 생산성 및 수익성에 이바지하고 농가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한우 개체의 발정탐지 후, 번식주기 내 번식상태 일정 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고, 번식상태마다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한우 번식우 사육자에게 해야 할 일을 빠짐없이 번식상태별로 안내할 수 있어 번식우 개체별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한우 번식우마다 개별적인 건강상태에 적합하도록 번식관리를 할 수 있어, 더욱 체계적인 번식관리를 통해 번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번식주기 내 자동으로 판단된 개체의 번식상태와 사육자로부터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여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내지 등록지연 알람을 보냄으로써, 축사주 내지 사육자가 빠뜨림 없이 번식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관리를 강제할 수 있으며, 사육자가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축사주가 고용된 사육자를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에 따른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100: 발정탐지부
110: 움직임감지 센서
120: 행동분석부
130: 발정연산부
200: 서버
210: 일정연산부
220: 등록부
230: 비교부
300: 사육자 단말기
310: 입력부
320: 출력부
330: 알람부

Claims (8)

  1.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으로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탐지부(100);
    상기 발정탐지부(100)로부터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개체별 번식주기 및 번식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서버(200); 및
    상기 발정탐지부(100) 및 상기 서버(200)로부터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거나, 개체별 번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는 사육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발정탐지부(100)에서 개체의 발정탐지 시, 발정 정보를 수신하여 번식주기를 연산하는 일정연산부(210);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로부터 실제 확인된 번식상태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등록부(220); 및
    상기 일정연산부(210)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상기 등록부(220)에서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차이를 개체별 비교하는 비교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는,
    한우 개체의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를 입력하는 입력부(310);
    상기 입력부(310)에서 입력된 실제 번식상태, 및 상기 일정연산부(210)에서 연산된 번식주기에 따른 예상 번식상태와 각각의 번식상태에 따라 사육자가 해야할 사항을 제공하는 출력부(320); 및
    상기 비교부(230)에서 비교된 번식상태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보다 초과한 경우, 축사주 내지 사육자에게 등록요청 푸시알람 또는 등록지연 알람을 보내는 알람부(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육자는 어린소 상태의 개체, 수정이 실패한 개체, 임신이 실패한 개체, 또는 분만후 상태의 개체에서 발정 징후가 보이면 실제로 발정 상태인지 확인을 하여 발정인 경우 발정등록, 인공수정이 완료한 개체의 경우 수정등록, 2회 발정주기가 지난 후 자동으로 임신대기 상태가 되고 임신 성공이 확인되면 임신감정등록, 분만이 완료되면 분만등록, 분만 후 개체가 더이상 송아지 생산에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면 비육 등록이 이루어지되,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로서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 중 하나의 등록이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를 통한 등록 절차를 거쳐야 상기 일정연산부(210)에서 다음 번식주기가 연산 되도록 함으로써, 사육자의 등록을 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탐지부(100)는,
    개체에 부착되어 개체의 움직임 및 행동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 센서(110);
    상기 움직임감지 센서(11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행동 유형의 특징적 패턴을 찾아내고, 개체의 행동 유형을 판단하는 행동분석부(120); 및
    상기 행동분석부(120)에서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한우 개체의 발정 여부를 탐지하는 발정연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연산부(210)는,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를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자동으로 연산하고, 번식주기 내 어린소, 수정전, 수정후, 임신대기, 임신중, 분만후, 비육 상태를 포함하는 번식상태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220)는,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의 입력부(310)로부터 수신된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에 따라,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을 포함하는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연산부(210)는,
    상기 등록부(220)에 개체별 실제 번식상태 정보 등록 시, 상기 등록부(220)에 등록된 실제 번식상태 정보와 기입력된 한우의 번식주기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개체별 번식주기를 다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7. 삭제
  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인된 실제 번식상태로서 발정등록, 수정등록, 임신감정등록, 분만등록, 비육등록 중 하나의 등록이 상기 사육자 단말기(300) 내에서 구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10).
KR1020190134164A 2019-10-26 2019-10-26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KR10214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64A KR102147198B1 (ko) 2019-10-26 2019-10-26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64A KR102147198B1 (ko) 2019-10-26 2019-10-26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98B1 true KR102147198B1 (ko) 2020-08-24

Family

ID=7223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64A KR102147198B1 (ko) 2019-10-26 2019-10-26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090A (zh) * 2021-12-22 2022-04-29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分院 种公羊的高效利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25A (ko) * 2008-06-30 2010-01-07 (주) 알트젠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JP2011055958A (ja) * 2009-09-08 2011-03-24 Mi Media:Kk 発情期診断システム、発情期診断方法、および発情期診断プログラム
KR20130126333A (ko) * 2012-05-11 2013-11-20 최의성 체내온도감지를 통한 돼지의 성장단계별 축사관리시스템
WO2016181604A1 (ja) * 2015-05-12 2016-11-17 ソニー株式会社 家畜管理システム、センサ装置及び家畜の状態の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25A (ko) * 2008-06-30 2010-01-07 (주) 알트젠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JP2011055958A (ja) * 2009-09-08 2011-03-24 Mi Media:Kk 発情期診断システム、発情期診断方法、および発情期診断プログラム
KR20130126333A (ko) * 2012-05-11 2013-11-20 최의성 체내온도감지를 통한 돼지의 성장단계별 축사관리시스템
WO2016181604A1 (ja) * 2015-05-12 2016-11-17 ソニー株式会社 家畜管理システム、センサ装置及び家畜の状態の推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090A (zh) * 2021-12-22 2022-04-29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分院 种公羊的高效利用方法
CN114403090B (zh) * 2021-12-22 2022-12-23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分院 种公羊的高效利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ethirajan The role of sensors,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n modern animal farming
US11889818B2 (en) Social grou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hapa et al. Accelerometer systems as tools for health and welfare assessment in cattle and pigs–a review
US8066179B2 (en) Livestock breeding and management system
Rutten et al. An ex ante analysis on the use of activity meters for automated estrus detection: To invest or not to invest?
Abell et al. Predicting bull behavior events in a multiple-sire pasture with video analysis, accelerometers,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Silper et al. Automated and visual measurements of estrous behavior and their sources of variation in Holstein heifers. I: Walking activity and behavior frequency
Keceli et al. Development of a recurrent neural networks-based calving prediction model using activity and behavioral data
Peng et al. Dam behavior patterns in Japanese black beef cattle prior to calving: Automated detection using LSTM-RNN
KR102165891B1 (ko) 축산 데이터 분석 기반 농가 상태 진단 시스템
Neves et al. Reproductive management practices and performance of Canadian dairy herds using automated activity-monitoring systems
Wang et al. Cost of bovine respiratory disease in preweaned calves on US beef cow–calf operations (2011–2015)
CN113711944B (zh) 一种母猪发情鉴定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30877A (ko)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KR102147198B1 (ko) 등록 절차를 통해 한우 관리를 강제할 수 있는 한우 번식주기 관리 시스템
JP7204093B2 (ja) 検知装置、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07231879A1 (en) Livestock breeding and management system
De Vries et al.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statistical quality control charts in a dairy production system through stochastic simulation
WO2023106993A1 (en) Parturition surveillance and alerting
KR102332252B1 (ko) 영상 분석 기반의 반추 동물의 발정행동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090090488A (ko)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가축의 질병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Borchers An evaluation of precision dairy farming technology adoption, perception, effectiveness, and use
KR102310456B1 (ko) 활동 그래프 및 번식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한우 번식관리 시스템
De Waele et al. Internet of animals: unsupervised foaling detection based on accelerometer data
Marquez et al. Business analysis of IRT, Visual observation, and Ovsynch as breeding strategies in Alberta dai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