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22A -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22A
KR20110007922A KR1020090065605A KR20090065605A KR20110007922A KR 20110007922 A KR20110007922 A KR 20110007922A KR 1020090065605 A KR1020090065605 A KR 1020090065605A KR 20090065605 A KR20090065605 A KR 20090065605A KR 20110007922 A KR20110007922 A KR 20110007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image
camera
alarm system
automatic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홍
김재수
정근섭
이주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922A/ko
Publication of KR2011000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승가 행위를 감지하여 사육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하고, 더하여 승가 행위의 영상을 제공하여 사육자가 발정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축사 내에 설치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서 카메라 초점을 지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축사 내에서, 기준 높이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서의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확인하여 동물의 승가 행위에 대한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승가 행위 발생시 상기 발생 위치에서 가축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한 후,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상기 저장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사 관리, 발정 시기 감지, 적외선 빔 센서, 카메라,

Description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An automatic alarm system for in-and-in breeding of cattle}
본 발명은 동물의 사육시 발정 시기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승가 행위를 감지하여 사육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함과 동시에, 승가 행위의 영상을 사육자에게 제공하여 발정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소, 돼지, 양, 토끼, 가금류 등의 동물을 사육하여, 우유 ·육류 ·난류(卵類) ·모피(毛皮) 등과 같은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축산업분야에서 동물의 발정 시기 감지는 동물의 수태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동물의 발정 시기 감지를 위해 사육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하고 있다.
그러나 사육자가 항시 동물만을 관찰하고 있을 수 는 없기 때문에, 발정 시기를 감지하는 비율은 대략 60% 정도이며, 발정 시기를 감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 제적 손실은 매우 크다.
이에, 동물의 발정 정도를 쉽고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발정 감지를 위한 제품은, 대부분 동물의 몸에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동물의 발정 시기를 보다 정확하고 쉽게 감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승가 시 동물의 높이가 높아지는 점을 이용하여 동물의 승가 행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사육자에게 통보하고, 이와 함께 동물의 승가 영상을 제공하여, 발정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축사 내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서 카메라 초점을 지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축사 내에서, 기준 높이 이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기준 높이 이상에서의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확인하여 동물의 승가 행위에 대한 감지 여부 및 승가 행위 위 치를 판단하고, 승가 행위 감지시 상기 승가 행위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 명령 및 위치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 후,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상기 저장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웹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는 적외선 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은, 상기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영상을 수신하여, 사육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은, 사육 중인 동물의 발정시 나타나는 승가 행동을 검출하여 사육자에게 알리고, 동물의 승가행위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사육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육자 동물의 발정 시기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여, 동물의 발정 시기를 알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발정 시기 감지의 정확도 및 감지율을 높임으로써, 수태율을 증가시켜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구성 요소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별로 기재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은, 카메라 부(11)와, 하나 이상의 센서부(12)와, 관리부(13)와, 통신망(14)과, 유선 단말 장치(15)와, 무선 단말 장치(16)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11)는, 축사 내에 사육되는 동물의 승가 행위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사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며, 관리부(13)로부터 인가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카메라 초점을 지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지시된 위치에서의 승가 행위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11)는, PC(Personal Computer)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웹 카메라로 구현가능하고, 인터넷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2)는, 축사 내 소정 높이에 설치되어, 동물의 승가 행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12)에서의 승가 행위 감지는 승가 행위시 동물의 높이가 정상 상태의 높이보다 높아지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일정한 기준 높이 이상에서의 동물의 몸체를 감지하며, 상기 기준 높이 이상에서 동물의 몸체가 감지되면 승가 행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2)는 일정 기준 높이 이상에서의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빔을 발사하여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빔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적외선 빔 센서로 구현된 센서부의 구현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축사 내의 지상에서 일정 기준 높이 이상에 다수의 적외선 빔 센서(21~23)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적외선 빔 센서(21~23)는 적외선 빔을 방사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부에서 방사한 적외선 빔을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송신부와 수신부는 축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승가 행위에 의하여 동물의 머리나 몸이 상기 기준 높이 이상이 되면, 해당 위치의 적외선 빔 센서(23)에서 해당 동물에 의하여 적외선 빔이 차단되어 승가 행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2)는 축사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2)의 감지 신호를 분석함에 의하여, 승가 행위를 감지한 센서부(12)의 설치 위치에 근거하여 동물의 승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13)는, 동물의 승가 행위에 대한 감지 및 촬영을 제어하고 사육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12)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동물의 승가 여부 및 승가 행위가 이루어지는 위치를 판단하고, 승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가 행위가 이루어진 위치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1)에 지시하고, 이후 상기 카메라부(11)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13)는, 통신망(14)을 통해서 동물의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 장치, 예를 들어, 유선 단말 장치(15) 및/또는 무선 단말 장치(16)로 전송하고, 이어, 상기 카메라부(11)에서 촬영한 승가 행위의 영상을 상기 유선 단말 장치(15) 및/또는 무선 단말 장치(16)로 전송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관리부(13)는, PC(퍼스널 컴퓨터)에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함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PC는 카메라부(11)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통신망(14)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 할 수 있는 웹 카메라 서버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망(14)은, 상기 관리부(13)와 원격지의 유/무선 단말 장치(15, 16)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 또는 유무선 통신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15, 16)는, 사육자가 동물의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와, 촬영된 승가 행위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망(14)을 통해 상기 관리부(1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관리부(13)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승가 행위 영상을 수신하여, 사육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선 단말 장치(15)는 PC일 수 있으며, 무선 단말 장치(16)는 휴대폰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11)는 하나의 웹 카메라(24)로 구현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부(12)는 세 개의 적외선 빔 센서(21~23)로 구현하며, 통신망(14)은 인터넷(26)을 사용하며, 유선 단말 장치(15)는 PC(27)로 구현하며, 무선 단말 장치(16)는, 휴대폰(28)으로 구현한다. 그리고, 미설명된 부호 25는 관리부를 나타낸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적외선 빔 센서(21~23)는 정상 상태에서의 동물의 높이(키)를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높이 이상에 위치하여, 대상물(동물)을 감지하기 때 문에, 승가 행위에 의해 동물의 높이가 높아진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승가 행위를 감지한 적외선 빔 센서(23)의 위치에 근거하여, 축사 내에서 승가 행위가 발생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이 동작을 시작하면, 하나 이상의 적외선 빔 센서(21~23)가 동작하고, 동물의 승가 행위가 감지되면, 이를 감지한 적외선 빔 센서(23)가 감지 신호를 관리부(25)로 이를 알린다(①).
상기와 같이 특정 적외선 빔 센서(23)에서 승가 행위를 감지했다는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관리부(25)는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한 적외선 빔 센서(23)의 위치에 근거하여, 승가 행위가 발생한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웹 카메라(24)로 상기 판단한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지시한다(②). 즉, 관리부(13)에서 웹 카메라(24)로 촬영 명령과 함께 촬영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상기 웹 카메라(24)는 상기 지시된 위치로 초점을 이동하여, 영상 촬영을 한다. 상기 영상 촬영은, 관리부(25)로부터 정지 명령이 인가될 때까지 계속되며, 상기 관리부(25)는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적외선 빔 센서(21~23)의 감지 신호 발생에 따라서 촬영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빔 센서(21~23)에서 승가 행위를 감지했다는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동안에는 촬영 명령을 지시하고, 승가 행위가 종료되어 더는 감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때 촬영 정지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웹 카메라(24)는 지시된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 는 관리부(25)로 전송한다(③). 상기 영상 데이터는 관리부(25)에서 저장 관리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25)는, 인터넷(26)을 통해 동물의 승가 행위를 감지했음을 알리는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와 함께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PC(27)와 휴대폰(28)으로 전송한다(④~⑥).
이에, 사육자는 상기 PC(27) 및/또는 휴대폰(28)을 통해서, 축사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동물의 승가 행위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으며, 함께 전송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동물의 발정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육자는 원격지에서도 동물의 승가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영상 확인을 통해서 발정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고 정확하게 발정 시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발정 감지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발정 시기의 감지가 가능해지고, 발정 감지율을 높임으로써, 동물의 수태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 및 카메라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다.

Claims (4)

  1. 축사 내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서 카메라 초점을 지시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축사 내에서, 기준 높이 이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기준 높이 이상에서의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확인하여 동물의 승가 행위에 대한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승가 행위 발생시 상기 발생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로 제어신호를 인가한 후,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며,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상기 저장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네트워크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부는, 적외선 빔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로부터 전송된 승가 행위 알람 메시지 및 영상을 수신하여, 사육자가 확인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KR1020090065605A 2009-07-17 2009-07-17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KR20110007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605A KR20110007922A (ko) 2009-07-17 2009-07-17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605A KR20110007922A (ko) 2009-07-17 2009-07-17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22A true KR20110007922A (ko) 2011-01-25

Family

ID=4361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605A KR20110007922A (ko) 2009-07-17 2009-07-17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92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89B1 (ko) * 2012-12-11 2014-03-28 대한민국 가축의 간이 체위 측정장치
KR101471906B1 (ko) * 2014-03-28 2014-12-11 차병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KR101491774B1 (ko) * 2013-05-20 2015-02-17 대한민국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WO2015178556A1 (ko) * 2014-05-22 2015-11-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머리 탐지 시스템 및 그 탐지 방법
KR101694946B1 (ko) * 2015-07-17 2017-01-10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8043765A1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30026006A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교농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89B1 (ko) * 2012-12-11 2014-03-28 대한민국 가축의 간이 체위 측정장치
KR101491774B1 (ko) * 2013-05-20 2015-02-17 대한민국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KR101471906B1 (ko) * 2014-03-28 2014-12-11 차병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WO2015178556A1 (ko) * 2014-05-22 2015-11-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머리 탐지 시스템 및 그 탐지 방법
KR101694946B1 (ko) * 2015-07-17 2017-01-10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WO2018043765A1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30026006A (ko) * 2021-08-17 2023-02-24 주식회사 교농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7922A (ko)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KR101329022B1 (ko)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WO2015147499A1 (ko)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장치와 그 방법
KR101749860B1 (ko) 축사 환경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6203238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KR20110030888A (ko) 가축용 체온 감지시스템
KR20210132593A (ko) 인공지능 기반의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9964B1 (ko) 질병 동물 격리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7405A (ko)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KR20140119228A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CA3057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dividual animals in a group of animals
EP2832217A1 (en) Estrus notification method, estrus notification device, and estrus notification program
KR20140013425A (ko) 가축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가축질병 모니터링 서버 및 그 모니터링 방법
EP33355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livestock inside a building
KR20170021936A (ko) 가축 관리 서버 및 가축 관리 시스템
KR20220068711A (ko) 영상 기반 가축의 급이 행동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20053272A (ko)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KR101568979B1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머리 탐지 시스템 및 그 탐지 방법
KR20100012614A (ko) 영상인식을 이용한 발정 탐지 시스템
US20230413786A1 (en) Pig rearing support apparatus, pig rearing support method,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storing pig rearing support program
KR20110029760A (ko) 가축 전염병 관리시스템
KR20130088667A (ko) 가축생산성 향상을 위한 u―IT기반 원격 화상 진료 장치
KR20140119924A (ko) 포획기용 제어장치
KR20130035819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한 가축 발정 진단 시스템
KR102610526B1 (ko) 축사 내 승가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