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539A -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539A
KR20100002539A KR1020080062467A KR20080062467A KR20100002539A KR 20100002539 A KR20100002539 A KR 20100002539A KR 1020080062467 A KR1020080062467 A KR 1020080062467A KR 20080062467 A KR20080062467 A KR 20080062467A KR 20100002539 A KR20100002539 A KR 20100002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un
pipe
plate
f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오-페이 마
Original Assignee
카오-페이 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페이 마 filed Critical 카오-페이 마
Priority to KR102008006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539A/ko
Publication of KR2010000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방법>이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인 과제는, 일종의 층고를 증가하는 소방 살수 파이프 라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이 포함한다.
1. 소방 조립건을 조립: 헤드 연결건, 외곽 및 밀봉 플러그를 순서에 따라 조립 결합 시키면, 하나의 소방 조립건으로 조립된다.
2. 소방 조립건을 고정: 소방 조립건을 시공 도면에 따라 모판위에 예설정 위치에 놓고, 외곽을 모판에 고정시킨다. 제 1층의 철근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3. 소방용 파이프를 연결: 헤드 연결건에 파이프를 연결하며, 제1소방 파이프라인을 연결한다. 계속하여 제 2층 철근의 고정 작업을 진행한다.
4. 층판에 모르타를 주입: 모판 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소방 조립건과 소방 파이프를 콘크리트 속에 매설한다.
5. 플러그를 제거: 모판을 제거한 후, 층판에 미장 시공 및 페인트 작업을 진행하며, 나중에 외곽내에 있는 밀봉 플러그를 뽑아낸다.
6. 살수 헤드를 조립: 소방용 살수 헤드를 헤드 연결건에 연결하면, 소방 살수 파이프 라인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판, 층판, 물 파이프, 살수 헤드, 소방 파이프, 밀봉 플러그, 연결건, 소방 조립건, 헤드 연결건

Description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A MOUNT FOR COVERING FIRE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일종의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조 도면 10은, 기존 노출형으로 파이프를 설치한 소방용 살수 시설의 구조 사시도 이다. 이것은 층판 (1) 아래에 고정 설치한 나사 볼트(2)와 철강 링으로 걸어준 철강 물 파이프(3) 등, 노출 형식으로 구성한 소방용 살수 시설로서, 천정 (4)에 구멍을 내여 살수 헤드(5)를 밖으로 노출시킨다.
이러한 기존 구조는 시공에서 아주 많은 결점을 가지고있다. 소방 살수 시설용물 파이프(3)는 전체 층판 (1) 밑부분에 배치하였으며, 또한 25∼30센치 정도의 시공 공간을 반드시 남겨여야 한다. 그러므로 층고를 점용(차지)하는 문제가 나타나며 사용자들이 천정이 낮은 압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소비자들이 원하지 않는 다. 예를들면, 원(원래) 높이가 3.5미터인데 현재 오직 2.9미터만 남게 되며 인테리어 한 후에는 2.8미터 높이밖에 남지 않는다.
또한 나사 볼트(2)를 층판내에 예(미리)설치한 나사에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예설치한 나사의 시공작업은 1차 매설의 작업시간을 점용하게 되며, 모판(模板)을 제거한 후,나사 볼트(2)를 나사로 연결하고 철강 링으로 파이프(3)을 걸어주어야 하기에 시공작업시간이 아주 많이 낭비된다.
철강으로 된 물 파이프(3)의 절단 및 파이프 조립상에서 비교적 불편하다. 철강의 물 파이프(3)는 중량이 비교적 무거울 뿐만 아니라, 시공자는 반드시 절단기, 나사 가공기 등 시설을 휴대하여 물 파이프(3)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파이프에 나사 가공한 후 연결하기에 시공에서 아주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또한, 나사 볼트(2) 및 철강 링으로 걸어준 물 파이프(3)의 구조는 물 파이프( 3)의 구조가 안정화되지 않는 등 결함이 존재합니다. 특히, 파이프의 압력을 측정할때, 파이프가 흔들릴 수 있으며, 구조의 강도에 영향을 준다.
또한, 모판을 제거한 후, 층판(1)은 반드시 미장 시공 및 페인트 작업을 하여야 만이 소방 살수 시설을 설치하고 수전 배관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이미 페인트 칠한 층판을 어지럽게 하며, 시공의 분쟁이 나타날 수 있 게된다. 그러므로, 부동(不同)한 공정 사이의 배합(配合)은, 본 공정 시공에서의 아주 큰 문제로 되고 있습니다.
이것 외에도, 층판 (1) 하부에 노출된 소방 살수 시설은, 복잡한 파이프(3)으로 인하여 미관성에 영향을 주며, 풍수지리에서도 좋지않습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별도의 천정(4)를 설치하여 덮어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테리어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더우기 층고를 낮게 한다. 또한 이것은 사용자에게 압박감을 부여하며, 이러한 산업 사용에 부합하지않는 디자인은 실용적이 않다. 그러므로 반드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상기 기존 구조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구와 개혁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장점 및 본 발명의 새로운 특성 등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 예 및 관련된 첨부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 조립건인 파이프라인을 층판 내부에 매설하여 층고를 점용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압박감을 피면하게 하고, 천정의 인테리어 시공이 필요 없어서 인테리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모판을 제거한 후, 즉시로 미장 시공 및 페인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그 후 살수 헤드를 직접 교체할 수 있기에 공사기간을 유효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소방 조립건을 조립: 헤드 연결건, 외곽 및 밀봉 플러그를 순서에 따라 조립 결합시켜, 소방 조립건를 형성한다.
소방 조립건을 고정: 소방 조립건을 모판위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외곽을 모판 상부에 고정시킨 후, 제 1층 철근의 고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소방 파이프 라인과 연결: 상기 헤드 연결건에, 제1 소방 파이프를 연결한 후, 제 2층 철근의 고정 작업을 하다.
층판에 모르타르 주입: 모판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소방 조립건 및 소방 파이프를 콘크리트속에 매입한다.
밀봉 플러그를 제거: 모판을 제거한 후, 외곽내에 위치한 밀봉 플러그를 직접 제거한다.
살수 헤드를 조립: 살수 헤드를 헤드 연결건의 연결단에 나사 연결하며, 소방 살수 파이프의 설치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인테리어판을 살수 헤드에 설치하여, 인테리어판으로 상기 외곽의 개방측을 덮어주며, 외모를 아름답게하는 효과에 도달하는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은, 하기와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가지고 있다.
1. 소방 조립건인 파이프라인을 층판 내부에 매설하기에, 층고를 점용하지않으며, 사용자의 압박감을 피면(避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천정의 인테리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구입력을 자극시킬 수 있으며, 매우 산업 이용성이 있는 시공 방법이다.
2.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작업시간만 필요하며, 그 후 살수 헤드로 밀봉플러그를 신속히 교체한 후, 인테리어판을 설치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으로는, 기존 나사와 철강 링에 파이프를 걸어주는 번잡한 시공법을 피면 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더욱 유효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등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3. 건축 방화 및 소방의 관련 법규에 부합(符合)되며, 층판의 외모를 더욱 미관적으로 처리하며, 노출된 난잡한 파이프가 없는 구조이다. 또한 살수 헤드 및 인테리어판을 조립하는 작업은, 이미 페인트 칠한 층판을 오염하지않으며, 진정으로 시공 단계를 간략화 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기술, 수단 및 그의 기능들은, 비교적 합리적인 실시 예 및 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며, 본 특허 청구에서 이러한 구조의 제한은 받지 않는다.
도면 1을 참조한 본 발명에 다른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방법은 이하의 단계가 포함된다.
소방 조립건을 조립: 헤드 연결건 (12), 외곽(13)밀봉 플러그(14)를 순서에 따라 조립 결합시켜, 도면 2와 같은 소방 조립건(10A)을 형성한다.
상기 헤드 연결건(12)는 일단이 연결단(121)과 연결하여 밀봉 플러그(14)와 나사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외곽(13)밀봉 플러그(14)를 통하여 헤드 연결 건( 12)밀봉 플러그(14)사이에 고정시킨다. 상기 외곽(13)은 일단의 둘레에 저접 부(131)을 설정하며, 상기 저접부 (131) 위에는 정위 구멍(132)정위 후크(133)가 설정된다.
소방 조립건을 고정: 소방 조립건(10A)를 시공도면에 따라 모판(90,模板)위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본 외곽(13)저접부(131)모판(90) 상부에 접촉시키게 하며, 나머지 외곽(13)정위 구멍(132)철강 못(134)를 박은 후, 도면 3과 같이, 외곽(13)모판(9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외곽(13)은 상기 헤드 연결건( 12)연결단(121)의 축선 방향을 모판(90)과 수직되는 상태를 보존하여 각도가 경사지는 문제를 피면한다. 계속하여, 제1층 철근(92)의 고정 작업을 진행한다.
소방 파이프 라인과 연결: 상기 헤드 연결건(12)물 파이프(11)를 연결하며, 제 1 소방 파이프(10B)를 연결한다. 제2층 철근(93)의 고정 작업을 완료한 후, 소방 파이프(10B)제2층 철근(93)에 고정시켜, 모르타르를 주입시에 소방 파이프( 10B)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소방 파이프(10B)는 고정 벨트로, 물 파이프(11)제2층 철근(93)에 고정시킨다.
상기 소방 파이프(10B)는 한쪽 말단을 보유하여 소방 파이프(10B)의 압력 측정에 제공되며, 가압 측정한 압력은 12kg 이다. 상기 소방 파이프(10B)는 가압측정을 통과한 후 소방 급수단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물 파이프(11)헤드 연결건(12)사이는 접합제로 접합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 중에서 상기 파이프(11)헤드 연결건(12)는 콘크리트에 부식되지않는 자재로 제작한다. 예를 들면 염화 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CPVC)등 이다. 또한 접합제도 파이프(11)헤드 연결건(12)과 동등한 자재로 된 염화 PVC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파이프(11)헤드 연결건(12)은 접합되어 일체를 형성하며, 접합부위의 강도는 비접합부위 보다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층판에 모르타르 주입: 모판(90)콘크리트(91)를 주입하여, 소방 조립 건( 10A)소방 파이프(10B)콘크리트(91)속에 매입하며, 콘크리트(91)을 도면 4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외곽(13)정위 후크(133)에 유입시킨다. 콘크리트(91)는 응고한 후, 외곽(13)정위 후크(113)와 안정되게 결합하며, 모판(90)을 제거할때, 외곽(13)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플러그를 제거: 모판(90)을 제거한 후, 층판에 대하여 미장 시공 및 페 인트 작업을 진행하며, 계속하여 외곽(13)내에 위치한 밀봉 플러그(14)를, 도면5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직접 제거한다.
살수 헤드를 조립: 살수 헤드(15)헤드 연결건(12)연결단(121)에 나사 연결하여, 도면 6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소방 살수 파이프(10C)의 설치 시공을 완료한다.
물론, 상기 조립에서 살수 헤드 단계를 완료한 후, 다음의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인테리어판 조립: 인테리어판(16)살수 헤드(15)에 설치하여, 인테리어 판(16)으로 상기 외곽(13)의 개방측을 덮어주어 외모를 아름답게 하는 효과에 도달한다. 도면 7 및 도면 8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소방 살수 파이프(10C)의 시공방법에 따라, 물 파이프(11)를 층판내에 매설하면 층고를 점용하지않기에, 건물사용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천정의 인테리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구입력을 자극시킬 수 있으며 아주 산업 이용성이 있는 시공 방법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살수 파이프(10C)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91)에 매설하는 작업을 완료한 후, 살수 헤드(15)를 신속히 밀봉 플러그(14)와 교체시키고, 인테리어판( 16)을 설치하면 시공을 완성하며, 전체 시공 시간은 기존 노출형 작업시간의 3분의1밖에 되지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는, 기존 나사와 철강 링에 물 파이프(11)를 걸어주는 번잡한 시공법을 피면(避免)할 수 있으며, 시공시간을 더욱 유효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파이프(11)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등의 효과에 도달할 수 있게된다.
이것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살수 파이프(10C)의 시공 방법은 건축 방화 및 소방의 관련 법규에 부합되며, 층판의 외모를 더욱 미관적으로 처리하며, 노출된 난잡한 물 파이프(11)가 없는 구조이다. 또한 살수 헤드(15)인테리어 판(16)의 조립작업은 이미 페인트 칠한 층판을 오염하지않으며, 진정으로 시공 단계를 간략화한 방법인 것이다.
도면 9를 참조하여, 본 외곽(17)은 2개식 충압 타이트 구조를 채용하여, 외곽(17)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것으로 볼수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상의 이용가치가 있으며, 또한 국내외 간행물에 혹은 공개 사용한, 본 발명과 상사한 발명이 아직까지 없으며, 또한 특허법에서 규정한 적극적 및 소극적인 요건에 부합되는 사실이기에, 발명 특허를 허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서술은 오직 본 창작의 비교적 적합한 실시 예일 뿐이며, 이것은 본 창작의 실시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창작에서 청구한 특허 범위내에서 실시한 모든 변화 및 수정 등은 본 창작 특허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는 것에 대하여 당업자들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시공 방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조립건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조립건을 모판에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에 모르타르를 첨가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플러그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 헤드를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판을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곽을 2개식 구조로 실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기존 소방 살수 시설의 시공 구조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층판 2. 나사볼트
3. 물 파이프 4. 청정
5. 살수 헤드 10a. 소방 조립건
10b. 소방 파이프 10c. 소방 살수 파이프
11. 물 파이프 12. 헤드 연결건
121. 연결단 13. 외곽
131. 저접부 132. 정위 구멍
133. 정위 후크 134. 못
14. 밀봉 플러그 15. 살수 헤드
16. 인테리어판 17. 외곽
171. 저접부 172. 정위 구멍
173. 정위 후크 90. 모판
91. 콘크리트 92. 제 1층 철근
93. 제 2층 철근

Claims (13)

  1.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 라인의 시공 방법으로써,
    헤드 연결건, 외곽 및 밀봉 플러그를 순서에 따라 조립 결합시켜, 소방 조립건를 형성하는 소방 조립건을 조립하는 단계;
    소방 조립건을 모판위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하여, 외곽을 모판 상부에 고정시킨 후, 제 1층 철근의 고정 작업을 진행하는 소방 조립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헤드 연결건에, 제1 소방 파이프를 연결한 후, 제 2층 철근의 고정 작업을하는 소방 파이프 라인과 연결하는 단계;
    모판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소방 조립건 및 소방 파이프를 콘크리트속에 매입하는 층판에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단계;
    모판을 제거한 후, 외곽내에 위치한 밀봉 플러그를 직접 제거하는 밀봉 플러그를 제거하는 단계;
    살수 헤드를 헤드 연결건의 연결단에 나사 연결하여 소방 살수 파이프의 설치 시공을 완료하는 살수 헤드 조립 단계; 를 포함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 헤드의 조립 단계를 진행한 후,
    인테리어판을 살수 헤드에 설치하여, 인테리어판으로 상기 외곽의 개방측을 덮어주며, 외모를 아름답게하는 효과에 도달하는 인테리어판 조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조립건을 조립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외곽은 밀봉 플러그를 통하여 헤드 연결건과 밀봉 플러그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연결건의 열결단은 나사 연결할 수 있는 밀봉 플러그 혹은 살수 헤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조립건을 조립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외곽에는 환형으로 한개의 저접부를 형성하며, 상기 저접부에는 정위 구멍이 설정되었으며, 상기 외곽의 저접 부는 모판의 상부에 접촉하며, 외곽의 정위구멍이 있는 곳에서, 철강 못을 박아 ,외곽을 모판위에 고정시킴으로써, 헤드 연결건의 연결단 축선 방향과 모판은 수직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조립건을 조립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외곽의 저접부 위에는 정위후크가 설정되어, 콘크리트와 와곽의 정위 후크가 안정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조립건을 조립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외곽은 2개식 충압 타이트 구조를 채용하여, 외곽의 구조 강도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소방 파이프라인은 제2층 철 근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중에서, 상기 파이프와 헤드 연결건은 콘크리트에 부식되지않는 자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파이프와 헤드 연결건은 염화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CPVC)자재로 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파이프와 헤드 연결건 사이는 접합제를 이용하여, 접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제는 물 파이프와 헤드 연결건의 자재인 염화PVC(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CPVC)자재와 같은 자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플러그를 제거하는 단계중에서, 모판을 제거한 후, 층판에 대하여 미장 시공 및 페인트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용 살수 파이프의 시공 방법.
KR1020080062467A 2008-06-30 2008-06-30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KR20100002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467A KR20100002539A (ko) 2008-06-30 2008-06-30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467A KR20100002539A (ko) 2008-06-30 2008-06-30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39A true KR20100002539A (ko) 2010-01-07

Family

ID=4181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467A KR20100002539A (ko) 2008-06-30 2008-06-30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5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900A (ko) * 2015-11-30 2018-06-25 빅톨릭 컴패니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900A (ko) * 2015-11-30 2018-06-25 빅톨릭 컴패니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US10927993B2 (en) 2015-11-30 2021-02-23 Victaulic Company Pipe plug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021B1 (ko)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1643570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KR20100002539A (ko) 층판내에 매설한 소방 살수 파이프라인 시공 방법
CN106592753A (zh) 预制钢结构住宅给排水系统及其施工方法
JP3181260U (ja) 給水管の配管構造
JP2009285248A (ja) 床スラブ内に埋設される消防用散水配管の施工法
JPH08260642A (ja) 建築部材用取付構造及びその施工法
KR20130101681A (ko) 매립용 냉온수 배관 연결구
CN211753444U (zh) 一种建筑施工作业面喷淋降尘降温装置
JP4785591B2 (ja) 壁貫通給湯配管用スリーブユニット
KR100294743B1 (ko) 화재 진압용 물분사장치
CN220036245U (zh) 装配式卫生间系统
KR20050097400A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설치구조 및 이 구조를 이용한소방배관 설치방법
KR101437766B1 (ko) 천장 매립형 샤워기 고정장치
CN216385803U (zh) 一种自来水管网压力流量检测装置
CN216893501U (zh) 用于成品塑料模壳密肋楼板的预留套管装置及楼板架体
CN211132803U (zh) 一种喷淋管道安装结构
CN202391128U (zh) 附着于整体提升架底端的防尘降温喷淋系统
JP2003299748A (ja) スラブ構造と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の施工方法
JP4145058B2 (ja) 垂直配管の外壁貫通構造
JP5850635B2 (ja) 給湯管の配設構造
CN205118483U (zh) 一种新型金属软管
JP2015188616A (ja) 浴室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2528815Y2 (ja) 天井取付シャワー装置
KR100988937B1 (ko) 소화전 송수구 개폐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