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361U -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361U
KR20100002361U KR2020080011349U KR20080011349U KR20100002361U KR 20100002361 U KR20100002361 U KR 20100002361U KR 2020080011349 U KR2020080011349 U KR 2020080011349U KR 20080011349 U KR20080011349 U KR 20080011349U KR 20100002361 U KR20100002361 U KR 201000023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headband
region
hat
crow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
Original Assignee
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 filed Critical 권승
Priority to KR202008001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361U/ko
Publication of KR20100002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4Blocking; Pressing; Steaming;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8Hat-finishing, e.g. polishing, ironing, smoothing, brushing, impregnating, stiffen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Abstract

크라운부와 헤드밴드부의 일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모자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모자는 크라운부, 크라운부의 하단에 크라운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차양부 및 크라운부 하단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 1 영역에 크라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영역에서 크라운부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제 1 영역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는 제 1 헤드밴드부를 포함하여, 모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봉제선을 최소화하여 모자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모자, 헤드밴드

Description

모자{Headgear}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라운부와 헤드밴드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크라운부 및 차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크라운부 하단의 내주면에는 헤드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밴드부는 모자 착용시 발생하는 땀 등을 흡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자의 구성도로서, 캡(cap)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도시한 것과 같이, 모자(10)는 크라운부(12), 차양부(14) 및 크라운부(12) 하단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헤드밴드부(16)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헤드밴드부(16)는 땀 흡수성이 우수한 재질을 갖는 원단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크라운부(12) 하단의 내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라운부(12)의 밑단과 헤드밴드부(16)의 각 재단선에 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어 박기 등의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별도 제작된 크라운부(12)와 헤드밴드부(16)를 겹쳐 봉제선(18)을 따라 봉제하여야 하므로, 모자(10) 하단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모자(10)의 착용감이 저하되고, 복수 회의 봉제 처리 등에 의해 모자(10)의 외관이 깔끔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아울러, 모자(10) 착용시에는 주로 이마 부위에서 땀 발생량이 많은데, 현재의 모자(10)는 크라운부(12) 하단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 헤드밴드부(16)가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헤드밴드부(16)로 사용되는 땀 흡수성이 우수한 원단은 단가가 높기 때문에 현재와 같이 모자(10)를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부위에 고가의 원단을 적용함에 따라 모자(10)의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라운부와 헤드밴드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땀 흡수성이 우수한 고가의 원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생산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자는 크라운부;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에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차양부; 및 상기 크라운부 하단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 1 영역에 상기 크라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영역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는 제 1 헤드밴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착용자의 후두부에 마련되는 헤드밴드부를 크라운부와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모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봉제선을 최소화하여 모자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땀 발생량이 많은 부위와 접촉되는 부분에만 땀 흡수성이 우수한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모자의 생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모자(20)는 크라운부(22), 크라운부(22) 하단에 크라운부(22)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는 차양부(24) 및 크라운부(22) 하단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제 1 헤드밴드부(2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헤드밴드부(26)는 크라운부(22)와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즉, 크라운부(22)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크라운부(22)의 제 1 영역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헤드밴드부(2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은 모자(22) 착용시 착용자의 측두부 및 후두부에 대응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헤드밴드부(26)를 크라운부(22)의 내측으로 접어 넣은 후, 제 1 헤드밴드부(26)를 크라운부(22)에 지정된 간격으로 실로 고정하여 제 1 헤드밴드부(26)가 크라운부(22)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영역에서 크라운부(22)와 제 1 헤드밴드부(26)를 겹쳐 봉제하기 위한 과정 및 이에 따른 봉제선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모자는 크라운부와 헤드밴드부를 겹쳐 봉제하기 전 각 원단에 올 풀림 방지처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모자는 크라운부(22)와 제 1 헤드밴드부(26)가 하나의 원단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 1 헤드밴드부(26)의 밑단을 제외하 면 별도의 올 풀림 방지 처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크라운부(22) 하단의 봉제선을 최소화하고 두께를 감소시켜 착용감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자(20)는 제 2 헤드밴드부(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헤드밴드부(28)는 크라운부(22)의 제 1 영역을 제외한 영역 또는 제 1 영역과 일부 중첩되는 영역인 제 2 영역에 형성되고, 땀 흡수성이 우수한 원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헤드밴드부(28)가 형성되는 제 2 영역은 모자(22) 착용시 착용자의 전두부(이마)에 대응하는 부위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헤드밴드부(26)와 제 2 헤드밴드부(28)의 중첩 부분 즉, 제 1 및 제 2 헤드밴드부(26, 28)의 둘레방향 양측단을 겹쳐 봉제함으로써, 모자(20)의 미관을 더욱 살릴 수 있다.
한편, 제 2 헤드밴드부(28)에 적용되는 원단은 땀 흡수성이 우수한 고가의 원단이므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높은 땀 흡수성이 요구되는 부위(전두부 대응 부위)에만 제 2 헤드밴드부(28)를 구성하게 되면 모자(20)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모자의 예로서 캡을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차양부(24)는 크라운부(22) 하단의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부위에 크라운부(22)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햇(hat), 헌팅 캡 등 헤드밴 드를 포함하는 모든 모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을 캡에 적용하는 경우 크라운부(22)는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지며 제 2 영역에 적용되는 패널은 그 외 영역과 다른 형태로 재단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크라운부의 재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캡을 구성하는 크라운부를 6개의 패널로 재단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제 1 내지 제 6 패널(①~⑥)은 도 3에 도시한 순서에 의해 봉제선(미도시)을 따라 겹쳐져 봉제되고, 제 6 패널(⑥)은 다시 제 1 패널(①)과 봉제되어 입체감을 갖는 크라운부(22)로 제작된다.
아울러, 제 1 패널(①) 및 제 6 패널(⑥)은 제 1 및 제 6 크라운(221, 226) 및 이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4 헤드밴드(261, 2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패널(②) 및 제 5 패널(⑤)은 제 2 및 제 5 크라운(222, 225) 및 제 2 및 제 5 크라운(222, 225)의 일부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제 2 및 제 3 헤드밴드(262, 263)를 포함한다.
제 3 및 제 4 패널(③, ④)은 크라운부(22)의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패널로서, 제 2 영역 하단의 내주면에는 제 2 헤드밴드부(28)가 형성되므로, 제 3 및 제 4 패널(③, ④)은 제 3 및 제 4 크라운(223, 224)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캡에서, 제 1 패널(①), 제 2 패널(②), 제 5 패널(⑤) 및 제 6 패널(⑥) 각각의 헤드밴드(261, 262, 263, 264)는 접힘선(301, 302, 303, 304)을 따라 각 크라운(221, 222, 225, 226)의 내측으로 접혀 고정되어 제 1 헤드밴드(26)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헤드밴드부(26)가 형성되는 제 1 영역에서는 크라운부(22)와 헤드밴드부(26)를 별도로 봉제하지 않게 되어 모자의 미관이 개선되고 봉제선 및 올 풀림 방지 처리 등에 의해 모자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크라운부(22)와 제 1 헤드밴드부(26)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 1 영역에서 모자(20)와 착용자 두부의 피트(fit)되는 느낌이 다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헤드밴드부(26)와 크라운부(22)의 접촉면 사이에 탄성밴드(elastic band)(4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라운부(22)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제 1 헤드밴드부(26)는 접힘선(30)을 따라 크라운부(22)의 내주면에 접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헤드밴드부(26)의 내측면 즉, 제 1 헤드밴드부(26)와 크라운부(22)의 접촉면 사이에 탄성밴드(40)를 설치함으로써 모자(20)가 착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크라운부(22)를 신축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재작하는 경우 탄성밴드 없이도 착용시 두부와의 피트감을 살릴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모자(20-1)는 도 2에 도시한 모자(20)에 더하여 테이핑부(50) 를 더 포함한다.
테이핑부(50)는 제 1 헤드밴드부(26)의 밑단에서 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헤드밴드부(26)의 둘레 방향 밑단 일부를 테이프로 감싸 박음질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헤드밴드부(26)의 밑단을 테이핑부(50)에 의해 보호할 수 있어 모자(20-1)의 착용 횟수가 증가하여도 올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1 헤드밴드부(26) 밑단의 올 풀림 방지를 위해 테이핑부(50)를 사용하는 것 외에, 밑단을 오버록(over lock) 처리하는 등, 별도의 테이프를 적용하지 않고 재봉 기구나 바느질 등을 이용하여 올 풀림 방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착용자의 측두부 및 후두부에 밀착되는 부분은 크라운부와 일체형의 헤드밴드를 제작하고, 착용자의 전두부에 밀착되는 부분은 땀 흡수율이 우수한 원단으로 헤드밴드를 제작한다. 이에 따라 고가의 원단 사용을 최소화하여 모자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크라운부와 일체형으로 헤드밴드부를 제작함에 따라 모자의 미관 및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자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크라운부의 재단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모자 22 : 크라운부
24 : 차양부 26 : 제 1 헤드밴드부
28 : 제 2 헤드밴드부 30, 301, 302, 303, 304 : 접힘선
40 : 탄성밴드 50 : 테이핑부

Claims (7)

  1. 크라운부;
    상기 크라운부의 하단에 상기 크라운부의 외측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차양부; 및
    상기 크라운부 하단의 적어도 일부분인 제 1 영역에 상기 크라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영역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접혀 고정되는 제 1 헤드밴드부;
    를 포함하는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헤드밴드부는, 상기 크라운부와 접하는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상기 제 1 헤드밴드부의 말단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테이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는,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영역 또는 상기 제 1 영역의 양측단 과 일부 중첩되는 영역인 제 2 영역 내주면에, 상기 크라운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헤드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헤드밴드부는, 둘레 방향 양측단이 제 1 헤드밴드부와 중첩되며, 상기 제 1 헤드밴드부 및 상기 제 2 헤드밴드부의 중첩부위는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는,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제 1 영역을 제외한 크라운부의 제 2 영역에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크라운부 하단의 둘레 방향 전체에 상기 크라운부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2020080011349U 2008-08-26 2008-08-26 모자 KR201000023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349U KR20100002361U (ko) 2008-08-26 2008-08-26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349U KR20100002361U (ko) 2008-08-26 2008-08-26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61U true KR20100002361U (ko) 2010-03-08

Family

ID=441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349U KR20100002361U (ko) 2008-08-26 2008-08-26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3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0Y1 (ko) 2015-07-27 2016-10-20 장훈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0Y1 (ko) 2015-07-27 2016-10-20 장훈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131B1 (ko)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KR100814992B1 (ko) 접착된 판넬들을 가진 모자
KR100660680B1 (ko) 꺽여지는 챙을 가진 모자
KR100708944B1 (ko) 다양한 모양 연출이 가능한 챙
KR20100002361U (ko) 모자
US6675393B1 (en) Cap with unitary crown and visor fabric portion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100686580B1 (ko) 빈티지 처리된 모자
KR200315019Y1 (ko) 모자용 차양
KR200474537Y1 (ko) 착용감이 우수한 밀리터리 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426405Y1 (ko) 앞챙이 구비된 니트 모자
KR200272650Y1 (ko)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JP3217834U (ja) 日除け帽子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JP3121432U (ja) ブリムにギャザーを付けた日除けハット
KR100660679B1 (ko) 분리된 챙을 가진 모자
KR101072010B1 (ko) 프리 사이즈형 모자
KR200469573Y1 (ko) 회전된 가림부재가 구비된 차양모
KR200379198Y1 (ko) 측면 가리개가 구비된 모자
JP3115883U (ja) 紫外線防護用頭巾
KR200234863Y1 (ko) 패션 머플러 겸용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